KR102084427B1 -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27B1
KR102084427B1 KR1020130077808A KR20130077808A KR102084427B1 KR 102084427 B1 KR102084427 B1 KR 102084427B1 KR 1020130077808 A KR1020130077808 A KR 1020130077808A KR 20130077808 A KR20130077808 A KR 20130077808A KR 102084427 B1 KR102084427 B1 KR 10208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wireless power
sub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7514A (en
Inventor
여성구
조규형
최준한
박세호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54,206 priority Critical patent/US9438062B2/en
Publication of KR2014004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형태의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정류된 전력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력을 입력받아,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정류된 전력보다 낮은 값의 제 1 전압을 가지는 제 1 전력을 출력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전력을 출력하지 않아,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wireless power receiver is disclosed that receives wireless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wireless power of the AC form outpu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a direct current form,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power; The rectified power is input and outputs a first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having a lower value than the rectified power during a first period, and does not output power during a second period, thereby providing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It may include a power adjusting unit for outputting.

Description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 공진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scheme.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driven by rechargeable batterie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in order to charge such batteries, electric energy is supplied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terminals using a separate charging device. Typically,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configured with separate contact terminals on the outside, thereby contacting each other,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However, in this type of contact charging method, since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contamination by foreign matter is easy, an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battery charging is not performed correctly. In addition, charging is not performed correctly even when the contact terminals are exposed to mois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ireless charging or contactless charging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used in many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us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a system in which the battery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by simply placing a mobile phone on a charging pad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charging connector. Generally known to the public as a cordless electric toothbrush or a cordless electric shaver. This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can increase the waterproof function by charging the electronics wireless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portability of electronic devices because no wired charger is required, and related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develop significantly in the coming electric vehicle era. .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Such wireless charging technologies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a coil, a resonance method using resonance, and a radio wave radiation (RF / Micro Wave Radiation) method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icrowaves and transmits them.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Until now, electromagnetic induction has been the mainstream, but recently, at home and abroad, it has been successful in experimenting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at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using microwaves. In the near future, it will wirelessly charge all electronic products without wires anytime and anywhere. The world seems to open.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is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between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When the magnet moves to the coil, an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t the transmitting end and current is induced by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at the receiving end to generate energy. This phenomenon is called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has excellent energy transmission efficiency.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In 2005, MIT's Soljacic professor, Coupled Mode Theory, announced a system that uses the resonant power transfer principle to transfer electricity wirelessly, even a few meters away from the charger. The MIT team's wireless charging system uses the concept of physics that sounds like a resonance when the tuning fork sounds. Instead of resonating the sound, the team resonated electromagnetic waves containing electrical energy. Resonant electrical energy is transmitted directly only when there is a device with a resonant frequency, and the unused part is reabsorbed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instead of spreading into the air, so unlike other electromagnetic waves, it will not affect the surrounding machinery or the body. .

한편, 종래의 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된 교류 파형을 직류 파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 및 정류된 직류 파형 전력을 출력단의 기설정된 전압 값으로 조정하는 DC-DC 컨버팅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DC-DC 컨버팅 회로는 외부 값이 큰 수동 소자를 반드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출력 및 고효율성을 가지면서 작은 실장 면적을 가지도록 회로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가 휴대폰과 같이 이동 통신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실장 면적이 증가한다는 것은 장치 전체의 박육화에 악영향을 미친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rectifying circuit for converting a received AC waveform into a DC waveform and a DC-DC converting circuit for adjusting the rectified DC waveform power to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at an output terminal. However, since the DC-DC converting circuit must use a passive element having a large external valu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circuit to have a small mounting area with high output and high efficiency. In particular,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implemented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increased mounting area adversely affects the thinning of the entire device.

뿐만 아니라, DC-DC 컨버팅 회로는 외부 패키지된 능동 소자라는 점에서 통산 수 MHz 이하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DC-DC converting circuits can only operate below a few MHz, in that they are externally packaged active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신한 무선 전력을 제어하여 그 크기를 조정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power receiver that is adjusted in size by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d using a switch.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형태의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정류된 전력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력을 입력받아,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정류된 전력보다 낮은 값의 제 1 전압을 가지는 제 1 전력을 출력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전력을 출력하지 않아,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the wireless power of the AC form outpu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 the form of DC,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power; And receiving the rectified power and outputting a first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having a lower value than the rectified power during a first period, and outputting no power during a second period, thereby having a preset voltage value. It may include a power adjustment unit for outputt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스위치의 단락 및 단선에 의하여 수신한 무선 전력의 크기가 조정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may be provided a wireless power receiver in which the magnitude of wireless power received by a short circuit and a disconnection of a switch is adjusted.

이에 따라 종래의 DC-DC 컨버팅 회로와 비교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수동 소자 및 집적회로의 개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와 더불어 공진형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직류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conventional DC-DC converting circuit,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assive elements and integrated circuits. In addition, the switch includes a resonant inductor and a capacitor to obtain a stable DC output power.

뿐만 아니라, 출력 전력 및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의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안정적인 직류 전력의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precise and stable DC power by controlling the switch by compar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d from the output power and the power receiver.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과의 비교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들이다.
도 6a 및 6b는 연속 전류 모드 및 비연속 전류 모드에서의 출력단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는 연속 전류 모드 및 비연속 전류 모드에서의 출력단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신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boost bias generator)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hrough 5C are circuit diagrams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and 6B are graphs showing output stage voltages in a continuous current mode and a discontinuous current mode.
7A and 7B are graphs showing output stage currents in a continuous current mode and a discontinuous current mode.
8A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witch on / off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ircuit diagram of a boost bias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for explaining a voltage applied to the boost bias gene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를 포함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er 110-1, 110-2, 110-n.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1-1, 1-2, 1-n to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er 110-1, 110-2, 110-n.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1-1, 1-2, 1-n to only an authenticated wireless power receiver that has performed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dure.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transmit wireless power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2-2,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PDA, PMP,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may process or transmit and receive packets 2-1, 2-2, and 2-n composed of predetermined frames. The above-described frame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In particula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PMP, a smart phone, or the like.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wirelessly provide power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transmit power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through a resonance metho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dopts a resonance method, a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10-n may be 30 m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dopt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may be preferably 10 cm or less.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may receiv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to charge the battery included therein.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transmit signals for reques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wireless power receiver status information, 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control information. 100). Information o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Also,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may transmit messages indicating respective states of charg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include display means such as a displa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based on messages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respectively. Each state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also display the estimated time until e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is fully charged.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disabli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e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110-1, 110-2, and 110-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at receives the disable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disable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및 통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er 211, a controller 212, and a communicator 213.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251, a controller 252, and a communication unit 253.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일정한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The power transmitter 211 may provide power requir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may wirelessly provide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Here, the power transmitter 211 may supply power in the form of an AC waveform, and may also supply power in the form of an AC waveform by converting it into an AC waveform using an inverter while supplying power in the form of a DC waveform. The power transmitter 21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ilt-in battery,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wer receiving interface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other components.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wer transmitter 211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power of a constant AC waveform.

아울러,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을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추가적으로 루프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전자기파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가 루프 코일로 구현되는 경우,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L)는 변경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 송신부(211)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tter 211 may provide the AC waveform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The power transmitter 211 may further include a loop coil, and thus may transmit or receive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wave. When the power transmitter 211 is implemented as a loop coil, the inductance L of the loop coil may be changeable. 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tter 211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2)의 세부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212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controller 212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using an algorithm,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quired for control read from a storage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21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PU, a microprocessor, or a minicomput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통신부(253)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방식,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통신부(213)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13)는 CSMA/CA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13)가 이용하는 주파수 및 채널 선택에 관한 구성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통신 방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원 발명은 통신부(213)에서 수행하는 특정 통신 방식에 의하여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213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53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luetooth method, Bluetooth low energy method,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The communication unit 2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metho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use a CSMA / CA algorithm.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frequency and channel selection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3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is merely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3.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213)는 상기 신호를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transmit a signal fo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unicast, multicast, or broadcast the signal.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무선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power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Herein,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apacit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the number of charges, the usage amount, the battery capacity, and the battery ratio.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transmit a charging fun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The charging function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1 of the specific wireless power receiver 250 to enable or disable the charging function.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3)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술한 표 1의 프레임의 Notic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a signal from not onl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but also anoth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not show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a notice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frame of Table 1 from anoth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한편, 도 2에서는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아웃-밴드(out-band) 형식으로 통신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2, although the power transmitter 211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3 are configured with different hardware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communicated in an out-band format, this is exemp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tter 211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be implemented in one piece of hardware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n in-band format.

무선 전력 송신기(2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주관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가입과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한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50 subscribes to the wireless power network mana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charging process through may be performed,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는 본 발명과의 비교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통신부(253), 정류부(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256) 및 충전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50 includes a power receiver 251, a controller 252, a communication unit 253, a rectifier 254, a DC / DC converter 255, a switch unit 256. And a charging unit 257.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및 통신부(253)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정류부(254)는 전력 수신부(25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259)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ower receiver 251, the controller 252 and the communication unit 253 will be omitted here. The rectifier 254 may rectify the wireless power received by the power receiver 251 in the form of direct current, for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ridge diode. The DC / DC converter 255 may convert the rectified power into a predetermined gain. For example, the DC / DC converter 255 may convert the rectified power such that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259 is 5V.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충전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충전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256 may connect the DC / DC converter 255 and the charging unit 257. The switch unit 256 may maintain an on / off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2. The charging unit 257 may store the converted power input from the DC / DC converter 255 when the switch unit 256 is in an on state.

다만,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DC/DC 컨버터부(255)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수동 소자 및 집적회로의 개수가 증가하며,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or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 / DC converter 255, and thus, the number of passive elements and integrated circuits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400)는 전력 수신부(410), 정류부(420), 전력 조정부(430) 및 로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00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410, a rectifier 420, a power adjuster 430, and a load unit 440.

전력 수신부(410)는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420)는 전력 수신부(410)에 수신된 교류 형태의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조정부(430)는 정류된 전력이 기설정된 수치, 예를 들어 5V의 전압을 가지도록 컨버팅하고, 레귤레이팅(regulating)하여 출력할 수 있다. 로드부(440)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The power receiver 410 may receive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not shown). The rectifier 420 may rectify and output the AC-type power received by the power receiver 410 in a DC form. The power adjusting unit 430 may convert the regulated power to have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a voltage of 5V, and regulate and output the regulated power. The load unit 440 may store power.

특히, 전력 조정부(430)는 제 1 기간 동안에는 제 1 전압 값을 가지는 제 1 전력을 출력하고, 제 2 기간 동안에는 제 2 전압을 가지는 제 2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조정부(430)는 기설정된 수치, 예를 들어 5V의 전압을 가지는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조정부(430)는 수동 소자를 포함하는 컨버팅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며, 단순히 스위치의 온/오프 조정에 기초하여 전력의 전압 값을 컨버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DC-DC 컨버팅 회로와 비교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수동 소자 및 집적회로의 개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와 더불어 공진형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직류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안정적인 직류 전력의 제공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power adjusting unit 430 may output a first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value during a first period, and output a second power having a second voltage during a second period. Accordingly, the power adjusting unit 430 may output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a voltage of 5V. In particular, the power adjuster 430 does not include a converting means including a passive element, and may simply convert the voltage value of power based on the on / off adjustment of the switc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conventional DC-DC converting circuit,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assive elements and integrated circuits. In addition, the switch includes a resonant inductor and a capacitor to obtain a stable DC output pow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precise and stable DC power by controlling the switch.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특히, 도 5a의 실시 예는 도 4에서 상술한 제 1 기간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5A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FIG. 5A is a circuit diagram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the first period described above in FIG. 4.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회로(510), 정류 회로(520) 및 제 1 스위치(532), 제 2 스위치(533), 제 3 스위치(534) 및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resonant circuit 510, a rectifier circuit 520, and a first switch 532, a second switch 533, a third switch 534, and a first capacitor 536. ) And a second capacitor 537.

공진 회로(510)는 커패시터(511) 및 코일(5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IRS의 값을 가지는 전력을 공진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resonant circuit 510 may include a capacitor 511 and a coil 512, and may receive power having a value of I RS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a resonance method.

정류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 회로(510)로부터 입력된 교류 형태의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520)는 IRT의 전류 값 및 VXH의 전압 값을 가지는 정류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rectifier 520 may include at least one diode and may rectify and output the AC power input from the resonant circuit 510 in a DC shape. The rectifier 520 may output rectified power having a current value of I RT and a voltage value of V XH .

정류부(520)는 제 1 노드(5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노드(531)에는 VXH의 전압 값이 인가될 수 있다. 제 1 노드(531)은 제 1 스위치(532) 및 제 2 커패시터(537)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커패시터(537)는 CFL의 정전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는 가변 커패시터일 수 있으며, 정전 용량(Cout, CFL)은 변경될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의 정전 용량을 조정함에 따라서, 제 2 기간(OFF duty)에서의 출력 전압이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정전 용량(Cout, CFL)은 전압 분배를 이용한 것으로, 커패시터 전압 분배기(capacitive voltage divider)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송 전력에 따라서, 제 1 기간(ON duty)에서의 레귤레이션에 요구되는 커패시터 값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 제 1 기간(ON duty) 및 제 2 기간(OFF duty)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rectifier 5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531. A voltage value of V XH may be applied to the first node 531. The first nod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532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The second capacitor 537 may have a capacitance of C FL . Herein,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may be variable capacitors, and the capacitances C out and C FL may be changed. As the capacitances of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are adjusted, the output voltage in the second period (OFF duty) can be adjusted. The above-mentioned capacitances C out and C FL are voltage divisions and may be referred to as capacitive voltage divide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wer, the effect of using the capacitor value required for regulation in the first period (ON duty) is created. The first period (ON duty) and the second period (OFF duty)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제 1 스위치(532), 제 2 스위치(533), 제 3 스위치(534)는 각각 하이-사이드(high-side) PMOS 스위치 또는 로우 사이드(low-side) NMOS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제 1 스위치(532), 제 2 스위치(533), 제 3 스위치(534) 및 정류 회로와의 집적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witch 532, the second switch 533, and the third switch 534 may be implemented as a high-side PMOS switch or a low-side NMOS switch, respectively. Accordingly, integration with the first switch 532, the second switch 533, the third switch 534, and the rectifier circuit may be possible.

제 1 스위치(532)의 일단은 제 1 노드(531)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 1 커패시터(53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간 동안, 제 1 스위치(532)는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류부(520)는 제 1 커패시터(53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커패시터(537)의 타단은 제 2 노드(53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노드(535)에는 제 2 스위치(533)의 일단 및 제 3 스위치(53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533)의 타단은 제 1 스위치(532)의 타단 및 제 1 커패시터(53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기간 동안, 제 2 스위치(53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 2 노드(535)는 제 3 스위치(53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치(534)의 타단은 제 1 커패시터(536)의 타단 및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기간 동안, 제 3 스위치(534)는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커패시터(537)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즉, 제 1 기간 동안에는 제 1 스위치(532) 및 제 3 스위치(534)는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고, 제 2 스위치(53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노드(531)에 인가된 VXH의 전압 값은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에 분산되어 인가될 수 있다. 이는,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인 제 1 커패시터(536)의 전압 값은 도 6a에서와 같이 VXH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도 6a는 제 1 기간 동안에,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 값의 그래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간(ON duty) 동안에는 출력단 전압(Vout)이 VXH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switch 5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531,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536. Meanwhile,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switch 532 may be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and thus the rectifier 52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536.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53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535, an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533 and one end of the third switch 53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535.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5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532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536. In particular, during the first period, the second switch 533 can be controlled to the off state. Meanwhile, the second node 535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witch 534,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switch 53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ground. In particular, during the first period, the third switch 534 can be controlled to an on state, whereb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537 can be grounded. That is,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switch 532 and the third switch 534 may be controlled to the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533 may be controlled to the off state. Accordingly, the voltage value of V XH applied to the first node 531 may be distributed and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This is due to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being connected in parallel. Accordingly,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capacitor 5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has a value smaller than V XH as shown in FIG. 6A. 6A is a graph of voltage values applied to the output stage during the first period. As shown in FIG. 6A,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terminal voltage Vout is lower than V XH during the first period (ON duty).

한편,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특히, 도 5b의 실시 예는 도 4에서 상술한 제 2 기간에서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류부(520)의 우측단만을 도시한다. 제 2 기간 동안에는, 제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532) 및 제 3 스위치(534)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며, 제 2 스위치(533)이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노드(531)는 제 2 커패시터(537)에 연결되고, 제 2 커패시터(537)는 제 1 커패시터(536)에 연결된다. 결국, 제 1 커패시터(536)에는 제 1 노드(531)에 인가된 VXH가 그대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단인 제 1 커패시터(536)의 전압 값은 도 6a에서와 같이 VXH 값을 가진다. 이는, 제 1 커패시터(536) 및 제 2 커패시터(537)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에 기인하다. 도 6a는 제 2 기간 동안에,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 값의 그래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간(OFF duty) 동안에는 출력단 전압(Vout)이 VXH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간 동안에는 VXH보다 작은 출력 전압을 가지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VXH의 출력 전압 값을 가져, 총 기간 동안 기설정된 전압 값, 예를 들어 5V를 출력할 수 있다. 5B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FIG. 5B is a circuit diagram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the second period described above in FIG. 4. FIG. 5B shows only the right end of the rectifying part 520 of FIG. 5A. During the second period,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switch 532 and the third switch 534 may be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 533 may be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Accordingly, the first node 5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pacitor 537,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is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536. As a result, V XH applied to the first node 531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536 as it is. Accordingly,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capacitor 536 as the output terminal has a V XH value as shown in FIG. 6A. This is due to the first capacitor 536 and the second capacitor 537 connected in series. 6A is a graph of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output stage during the second period. As shown in FIG. 6A,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output terminal voltage Vout is V XH during the second period (OFF duty).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voltage value is less than V XH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output voltage value of V XH is output during the second period, thereby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or example, 5 V, for the total period.

한편, 상기의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의 출력 전압 모드를 연속 전류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CCM)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7a에서, CCM에서의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간(ON duty) 동안에는 IRS 및 IRT가 증가하며, 제 2 기간(OFF duty) 동안에는 IRS 및 IRT가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 동안의 전류는 연속적일 수 있다. 제 1 기간(ON duty) 동안의 전류 증가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입장에서는 등가 임피던스가 강하하여 송신 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한편, 제 2 기간(OFF duty) 동안의 전류 감소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입장에서의 등가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송신 전력이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CCM은 예를 들어 전송 전력이 큰 경우에 이용될 수 있으며, DCM은 예를 들어 전송 전력이 작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put voltage modes of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be referred to as continuous current mode (CCM). In FIG. 7A, a graph showing the current in the CCM. As shown in FIG. 7A, I RS and I RT may increase during a first period (ON duty), and I RS and I RT may decrease during a second period (OFF duty). However, the currents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be continuous. The increase in current during the first duty period (ON duty) may be due to the drop in the equivalent imped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power. On the other hand, the decrease in current during the second period (OFF duty) may be due to the increase in the equivalent impedance from the standpoi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decrease in the transmission power. CCM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transmit power is large, and DCM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transmit power is small.

한편, 도 5c는 비연속 전류 모드(discountinuous current mode,DCM)인 경우의 제 2 기간 동안의 회로도이다. 한편, DCM의 제 1 기간 동안에는 도 5a와 동일할 수 있다. 제 2 기간 동안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531), 제 2 스위치(532) 및 제 3 스위치(534)가 모두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단인 제 1 커패시터(536)에 인가되는 전압은, 도 6b에서와 같이, VXH로부터 감쇠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기간 동안에는 VXH보다 낮은 전압 값이 출력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VXH로부터 감쇠하는 전압 값이 출력되고, 이에 따라 총 기간 동안에는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의 전압 값이 출력될 수 있다. 5C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period in the case of a discontinuous current mode (DCM). Meanwhile, it may be the same as FIG. 5A during the first period of DCM. During the second period, as shown in FIG. 5C, the first switch 531, the second switch 532, and the third switch 534 may all be controlled to the off state. Accordingly,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536, which is an output terminal, may have a value attenuated from V XH as shown in FIG. 6B. That is, a voltage value lower than V XH is output during the first period, and a voltage value attenuating from V XH is output during the second period, and accordingly,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a voltage value of 5 V, is output during the total period. Can be.

도 7b는 DCM에서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간에서의 IRS 및 IRT는 0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VXH가 플로팅(floating) 되는 것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7B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value in DCM. As shown in FIG. 7B, I RS and I RT in the second period may have a value of zero. This may be due to the floating of V XH .

상술한 바에 따라서, CCM 모드 또는 DCM 모드에서는 수동 소자를 구비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의 전압 값이 유지되어 출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CM mode or the DCM mode,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a voltage value of 5 V may be maintained and output stably even without a passive element.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8A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800)는 전력 송신부(811), 제어부(812), 통신부(813) 및 전력 공급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기(850)는 전력 수신부(851), 통신부(853), 정류부(860), 전력 조정부(870) 및 로드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조정부(870)는 스위치부(871) 및 제어부(872)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A,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800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er 811, a controller 812, a communication unit 813, and a power supply unit 814.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850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851, a communication unit 853, a rectifier 860, a power adjuster 870, and a load unit 880. The power adjuster 870 may include a switch 871 and a controller 872.

전력 공급부(814)는 전력 송신부(8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력량은 제어부(8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811)는 공진 방식에 기초하여 전력 수신부(851)에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814 may supply power to the power transmitter 811,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812. The power transmitter 811 may transmit wireless power to the power receiver 851 based on a resonance method.

정류부(860)는 입력된 전력을 정류하여 전력 조정부(870)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정류부(860)는 정류된 전력을 스위치부(870)에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87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전압 값을 가지는 제 1 전력 또는 제 2 전압 값을 가지는 제 2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전력 및 제 2 전력의 출력에 의하여, 기설정된 전압 값, 예를 들어 5V의 전압 값을 가지는 전력이 전력 조정부(87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The rectifier 860 may rectify the input power and output the rectified power to the power adjuster 870. In particular, the rectifier 860 may output the rectified power to the switch unit 870. The switch unit 870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and output the first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or the second power having the second voltage value based on the on / off state of the at least one switch. Can be. Meanwhile,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or example, a voltage value of 5V may be output from the power adjuster 870 by outputting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한편, 제어부(872)는 정류부(860)로부터 일부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872)는 정류부(860)로부터 입력받은 일부 전력에 기초하여 스위치부(87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72)는, 예를 들어 제 1 기간 동안에는 제 1 전압 값을 가지는 제 1 전력이 출력되도록 스위치부(87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제 2 전압 값을 가지는 제 2 전력이 출력되도록 스위치부(87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872)는 총 기간 동안에는 기설정된 전압 값, 예를 들어 5V의 전압 값을 가지는 전력을 출력하도록 스위치부(87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72 may receive some power from the rectifier 860. The controller 872 may control an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870 based on some power received from the rectifier 860. For example, the controller 872 may control an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870 such that the first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is output during the first period. During the two periods, the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87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second power having the second voltage value. Accordingly, the controller 872 controls the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870 to output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or example, a voltage value of 5V, for the total period. Can be.

한편, 제어부(872)는 정류부(860)에 과도한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전력 공급부(814)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신호를 통신부(813)로 송신하도록, 통신부(853)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excessive power is applied to the rectifier 860, the controller 872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853 to transmit a signal for adjusting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814 to the communication unit 813. have.

로드부(880)는 스위치부(870)로부터 출력된 기설정된 전압 값, 예를 들어 5V의 전압 값을 가지는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load unit 880 may receive a power having a preset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switch unit 870, for example, a voltage value of 5V.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8B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에서, 전력 공급부(814)는 전력 공급 수단, Class-E Amp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수단은 10V 내지 14V의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신부(811)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6.78Mhz일 수 있다. In FIG. 8B, the power supply 814 may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a Class-E Amp, and an inverter. The power supply means can vary within the range of 10V to 14V. The power transmitter 811 may include a resonance circuit. Here, the resonant frequency may be 6.78Mhz, for example.

전력 수신부(851)는, 예를 들어 6.78Mhz의 공진 주파수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류부는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861 내지 614)와 CLM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제 3 커패시터(86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3 커패시터(865)의 양단의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884)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884)는 제 1 스위치 내지 제 3 스위치(874,877,878)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클럭(CLK)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884)는 딜레이 신호(881), 모드 선택 신호(882) 및 듀티 신호(883)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신호 생성 소자(885)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 구동 신호 생성 소자(885)는, 비교기(888) 및 연산기(887)의 출력 결과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power receiver 851 may receive, for example, wireless power at a resonance frequency of 6.78 Mhz, and may include a resonance circuit. Meanwhile, the rectifier may include first to fourth diodes 861 to 614 and a third capacitor 865 having a capacitance of C LM . Meanwhile, signals at both ends of the third capacitor 865 may be input to the timing controller 884. The timing controller 884 may generate and output a clock CLK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on / off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874, 877, 878. The timing controller 884 may generate a clock signal based on the delay signal 881, the mode selection signal 882, and the duty signal 883. The gate driving signal generating element 885 may generate and output a gate driving signal based on a clock signal. In addition, the gate driving signal generating element 885 may generate a gate driving signal using the output results of the comparator 888 and the calculator 887.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스위치 내지 제 3 스위치(874,877,878)의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내지 제 3 스위치(874,877,878)의 온/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제 1 기간 동안에는 출력단(879)에 제 1 전압이 인가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출력단(879)에는 제 2 전압 값이 인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874, 877, 878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clock signal. Based on the on / off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874, 877, 878, for example, a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879 during the first period, and a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879 during the second period. Value can be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9에서는, 도 5a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서는, 제 1 저항(901), 제 2 저항(902), 비교기(903), 스위치 제어기(904) 및 신호 검출부(905)를 포함할 수 있다. 9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only additional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FIG. 5A. In FIG. 9, a first resistor 901, a second resistor 902, a comparator 903, a switch controller 904, and a signal detector 905 may be included.

제 1 저항(901)의 일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 2 저항(902)의 일단 및 비교기(903)의 제 1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902)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비교기(903)의 제 2 입력부(+)에는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될 수 있다. 비교기(903)는 기준 전압(Vref)과 제 1 입력부(-) 인가 전압을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를 스위치 제어기(904)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기(904)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스위치(532), 제 2 스위치(533) 및 제 3 스위치(534)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검출부(905)는 공진 회로(510)에서의 AC 동기 신호를 피드백받아 스위치 제어기(904)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기(904)는 AC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스위치(532), 제 2 스위치(533) 및 제 3 스위치(534) 각각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901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902 and the first input unit (−) of the comparator 903.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 902 may be grounded.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input unit + of the comparator 903. The comparator 903 may compare the reference voltage Vref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input unit (−), and output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switch controller 904. The switch controller 904 may control an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first switch 532, the second switch 533, and the third switch 534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eanwhile, the signal detector 905 may receive the AC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resonance circuit 510 and output the feedback signal to the switch controller 904. The switch controller 904 may control an on / off state of each of the first switch 532, the second switch 533, and the third switch 534 based on the AC synchronization signal.

예를 들어, 비교기(903)의 기준 전압(Vref)은 5V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단에 기준 전압인 5V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력 조정부는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5V로 유지하도록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532) 및 제 3 스위치(534)가 온 상태로 제어되며, 제 2 스위치(533)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는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 아울러, 제 1 스위치(532) 및 제 3 스위치(534)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며, 제 2 스위치(533)가 온 상태로 제어되는 제 2 기간 동안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전력 조정부는 제 1 기간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여 출력단의 전압이 5V로 인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출력단에 기준 전압인 5V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력 조정부는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5V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기간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여 출력단의 전압이 5V로 인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erence voltage Vref of the comparator 903 may be set to 5V. For example, when a voltage higher than 5 V, which is a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power adjusting unit may control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to mainta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at 5 V. FIG.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during the first period in which the first switch 532 and the third switch 534 are controlled to the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533 is controlled to the off state, Low voltage is applied. In addition, a relatively high voltage is applied during the second period in which the first switch 532 and the third switch 534 are controlled to the 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 533 is controlled to the on state. The power regulator may adjust the first perio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before, so that the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is applied at 5V. On the contrary, when a voltage lower than 5 V, which is a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power adjuster sets the first perio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before to mainta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at 5 V so that the output terminal voltage is applied at 5 V. I can adjust it.

한편, DCM인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기간 동안 전력이 출력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전력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출력단에 기준 전압인 5V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력 조정부는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5V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기간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여 출력단의 전압이 5V로 인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출력단에 기준 전압인 5V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력 조정부는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5V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기간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여 출력단의 전압이 5V로 인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CM, the power is output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power is not output during the second period. Accordingly,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f 5V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power adjuster sets the first perio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before to mainta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at 5V, and the output terminal voltage is applied at 5V. Can be adjusted as possible. In addition, when a voltage lower than 5 V, which is a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power adjusting unit sets the first period relatively longer than before to mainta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at 5 V so that the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is applied at 5 V. I can adjust i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0에서의 회로도 동작은 도 11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 신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witch on / off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diagram operation of FIG.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graph of FIG. 11. 11 is a graph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류회로는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1061 내지 1064) 및 CLM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커패시터(10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다이오드(1061)와 제 3 다이오드(1063) 사이에는 노드(1066)가 존재하며, 제 2 다이오드(1062)와 제 4 다이오드(1064) 사이에는 노드(1067)가 존재한다. 노드(1066)에는 VIN +가 인가될 수 있으며, 노드(1067)에는 VIN -가 인가될 수 있다. 노드(1066) 및 노드(1067)에는 예를 들어 도 11에서의 VIN + 및 VIN -의 차동 신호가 각각 인가될 수 있다. The rectifier circuit may include first to fourth diodes 1061 to 1064 and a capacitor 1065 having a capacitance of C LM . A node 1066 exists between the first diode 1061 and the third diode 1063, and a node 1067 exists between the second diode 1062 and the fourth diode 1064. V IN + may be applied to the node 1066, and V IN may be applied to the node 1067. For example, differential signals of V IN + and V IN in FIG. 11 may be applied to the nodes 1066 and 1067, respectively.

노드(1066)는 저항(101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1011)의 타단은 저항(101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저항(1012)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저항(1011)의 타단 및 저항(1012)의 일단은 연산기(1013)의 제 1 입력부(+)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연산기(1013)의 제 2 입력부(-)에는 저항(1019)의 일단 및 저항(101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저항(1019)의 타단은 노드(1067)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1014)의 타단은 커패시터(1015)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1015)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The node 1066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or 1011,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101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or 1012. The other end of resistor 1012 may be grounded.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1011 and one end of the resistor 1012 may be input to the first input unit (+) of the calculator 1013. Meanwhile, one end of the resistor 1019 and one end of the resistor 101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unit (−) of the calculator 1013.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1019 may be connected to the node 1067,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1014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pacitor 1015.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1015 may be grounded.

이에 따라, 연산기(1013)의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부(-)의 각각에는 VIN+ 및 VIN -의 차동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연산기(1013)는 입력되는 차동 신호를 연산하여,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1016)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서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는 VIN + 및 VIN -의 차동 신호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ly, differential signals of V IN + and V IN may be input to each of the first input unit (+) and the second input unit (−) of the calculator 1013. The calculator 1013 may calculate a differential signal to be input and output a compound sync signal 1016. In FIG. 11, the synthesized synchronization signal Comp Sync may be generated by calculating a differential signal of V IN + and V IN .

한편, 노드(1067)는 인버터(1017)에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1017)는 노드(1067)에 인가되는 VIN -신호를 인버팅하여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1018)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는 VIN -신호가 인버팅되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선택 신호(SEL)는 스위치(1019)에 인가되어 스위치(1019)가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를 수신할지 또는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를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신호(SEL)는 제 1 기간(ON duty) 동안에는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를 수신하도록 스위치(1019)를 제어하며, 제 2 기간(OFF duty) 동안에는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를 수신하도록 스위치(1019)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ode 1067 may be connected to the inverter 1017. The inverter 1017 may invert the V IN signal applied to the node 1067 and output an inver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v Sync) 1018. The inverting sync signal Inv Sync in FIG. 11 may be generated by inverting the V IN signal. The selection signal SEL may be applied to the switch 1019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1019 receives a composite sync signal or an inverting sync signal. For example, the select signal SEL controls the switch 1019 to receive an inverted synchronization signal Inv Sync during the first period (ON duty), and the composite synchronization signal (Comp) during the second period (OFF duty). The switch 1019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Sync.

딜레이부(1020)는 수신된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 또는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를 딜레이하여 클럭 신호(CLK)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간(ON duty) 동안에는 인버팅 동기 신호(Inv Sync)가 딜레이된 클럭 신호(CLK)가 생성되며, 제 2 기간(OFF duty) 동안에는 합성 동기 신호(Comp Sync)가 딜레이된 클럭 신호(CLK)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elay unit 1020 may output the clock signal CLK by delaying the inverted synchronization signal Inv Sync or the composite synchronization signal Comp Sync. As illustrated in FIG. 11, a clock signal CLK in which an inverted synchronization signal Inv Sync is delayed is generated during a first period (ON duty), and a synthesized synchronization signal (Comp Sync) during a second period (OFF duty). The delayed clock signal CLK is generat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boost bias generator)의 회로도이다. 도 12에 의한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예를 들어, 도 9의 노드(531) 및 출력단(Vout)에 연결될 수 있다. 12 is a circuit diagram of a boost bias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st bias generator according to FIG. 12 may be connected to the node 531 and the output terminal V out of FIG. 9, for example.

노드(1201)에는 EEF(1210) 및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1202)가 연결될 수 있다. EEF(1210)는 커패시터(1211), 저항(1212) 및 저항(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1211)는 예를 들어 50fF의 정전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저항(1212)는 예를 들어 700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저항(1213)은 예를 들어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EEF(1210)는 제 3 서브 스위치(1221)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서브 스위치(1221)는 FET로 구현될 수 있으며, EEF(1210)는 제 3 서브 스위치(1221)의 게이트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3 서브 스위치(1221)의 드레인에는 제 1 서브 스위치(1223)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서브 스위치(1221)의 소스는 다이오드(1227) 및 제 2 서브 스위치(1224)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서브 스위치(1224)의 드레인 및 게이트는 제 1 서브 스위치(1223)의 소스 및 노드(1225)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1226) 및 출력단(Vout) 사이에는 커패시터(1226)가 배치될 수 있다. 쇼트키 다이오드(1202)는 제 1 서브 스위치의 드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이오드(1227)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개일 수도 있다. The node 1201 may be connected to an EEF 1210 and a schottky diode 1202. The EEF 1210 may include a capacitor 1211, a resistor 1212, and a resistor 1213. Capacitor 1211 may have a capacitance of, for example, 50 fF, resistor 1212 may have a resistance of, for example, 700 Ω, and resistor 1213 may have a resistance of, for example, 10 kΩ. . The EEF 121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sub switch 1221. The third sub switch 1221 may be implemented as an FET, and the EEF 1210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hird sub switch 1221. Meanwhile, the drain of the third sub switch 1221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first sub switch 1223. The source of the third sub switch 1221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diode 1227 and the second sub switch 1224. The drain and gate of the second sub-switch 1224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and the node 1225 of the first sub-switch 1223. A capacitor 122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ode 1226 and the output terminal V out . The Schottky diode 1202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rst sub switch.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iodes 1227, for example, five.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예를 들어 도 9에서의 스위치들(532,533,534)이 N 타입 MOSFET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출력단의 전압(Vout)보다 기설정된 전압만큼 높게 유지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부스트 바이어스는 도 9에서의 제 1 스위치(532)를 실질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CCM 모드에서 제 1 스위치(532)에는 Vout 및 2Vout 사이를 전환되면서 VXH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부스트 바이어스가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witches 532, 533, and 534 in FIG. 9 are implemented as N type MOSFETs, the boost bias generator may be operated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V out of the output terminal. In particular, the boost bias can generate a voltage capable of substantially driving the first switch 532 in FIG. 9. In particular,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V XH while the first switch 532 is switched between V out and 2V out in the CCM mode, the boost bias may provide a high voltage.

아울러,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노드(1225)에 인가되는 전압(VB)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10V 이하가 되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1225)에 인가되는 전압(VB)에 인가되는 전압은 기설정된 전압인 10V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스위치들(532,533,534)이 N 타입 MOSFET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면서도, 무선 전력 수신기 전반에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ost bias generator may mainta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voltage V B applied to the node 1225 to be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10V or les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voltage applied to the voltage V B applied to the node 1225 may be maintained below 10 V, which is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ly, the boost bias generator may control the switches 532, 533, and 534 to operate when the N type MOSFET is implemented, while controlling the overvoltage to not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예를 들어, VG1의 전압 및 제 1 서브 스위치(1223)의 임계 전압 Vth의 차이가 VB보다 작으면, 제 1 서브 스위치(1223)가 턴 온될 수 있다. 아울러, VG1의 전압 및 제 1 서브 스위치(1223)의 임계 전압 Vth의 차이가 VB 이상이면, 제 1 서브 스위치(1223)가 턴 오프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 기초하여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가 동작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V G1 and the threshold voltage V th of the first sub switch 1223 is less than V B , the first sub switch 1223 may be turned 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V G1 and the threshold voltage V th of the first sub-switch 1223 is V B. In this case, the first sub-switch 1223 may be turned off. The boost bias generator may be operated based on the above oper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preferably imple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examples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refor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outlook of the invention.

Claims (22)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형태의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하여, 정류된 전력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된 전력을 수신하여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정류된 전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로 인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정류된 전력보다 낮은 값의 제 1 전압을 가지는 제 1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 2 기간 동안에는 전력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wireless power of the AC form output from the power receiver in the form of direct current, and outputs the rectified power; And
And a power adjuster including at least one switch and at least one capacitor and receiving the rectified power to output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The power adjustment unit,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switch to apply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tified power to the at least one capacitor to output a first power having a first voltage having a lower value than the rectified power during a first period of time;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switch not to output power during a second period of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ower adjuster increases the impedan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during the first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전력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ower adjuster controls the wireless power received by the power receiver to increase during the first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노드;
일단이 상기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
일단이 상기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 1 스위치의 타단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 3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adjustment unit,
A n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A first switch,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node;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node;
A second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 third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switc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 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adjust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n an on state and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in an off state during the first peri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전압을 가지는 제 1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adjustment unit,
And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parallel to control to output a first power having the first volt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adjustment unit,
And during the first period, control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to an off st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를 연결하지 않아, 전력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wer adjustment unit,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oes not output the power by no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 및 상기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동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regulator includes a switch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based on at least one of a voltage appli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regulator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by the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스위치 제어기로 출력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mparator compa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djusting unit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a comparison result to the switch controll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간의 시간을 기존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adjusting unit,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djusting un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time of the first period shorter than befo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간의 시간을 기존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adjusting unit,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djusting un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time of the first period longer than bef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에는, 제 1 차동 신호 및 제 2 차동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differential signal and a second differential signal are input to the rectifi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 2 차동 신호를 연산하여 합성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기 및 상기 제 2 차동 신호를 인버팅하여 인버팅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wer adjus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or configured to calculate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and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to output a synthesized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inverter to invert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to output an inverted synchronization signal.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합성 동기 신호 및 상기 인버팅 동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딜레이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딜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adjusting unit includes a delay unit for outpu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y delaying at least one of the synthesis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inverting synchronization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연산기 및 상기 인버터 사이를 스위칭하여 상기 딜레이부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power regulator further comprises a switch for switching between the calculator and the inverter and connected to the delay uni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딜레이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 2 기간 동안에는 상기 연산기 및 상기 딜레이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power adjusting unit controls the switch to connect the inverter and the delay unit during the first period, and controls the switch to connect the calculator and the delay unit during the second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및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boost bias gener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oost bias generator coupled to an output of the rectifier and an output of the power adjust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EEF;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쇼트키 다이오드;
드레인이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에 연결되고, 소스가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서브 스위치;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소스에, 드레인 및 게이트가 연결되는 제 2 서브 스위치;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게이트에 드레인이 연결되며, 상기 제 2 서브 스위치의 소스에 소스가 연결되는 제 3 서브 스위치; 및
상기 제 2 서브 스위치의 소스 및 상기 제 3 서브 스위치의 소스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8,
The boost bias generator,
An EEF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A schottky diod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rectifier;
A first sub switch having a drain connected to the Schottky diode and a sourc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regulator;
A second sub switch having a drain and a gate connected to a source of the first sub switch;
A third sub switch having a drain connected to a gate of the first sub switch and a source connected to a source of the second sub switch; And
And at least one diode coupled to the source of the second sub-switch and the source of the third sub-switch.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소스 및 상기 전력 조정부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boost bias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capacitor disposed between the source of the first sub-switch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djust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임계 전압 및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소스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2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sub-switch and the gate voltage of the first sub-switch is small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ource of the first sub-switch, the boost bias generator turns on the first sub-switch.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바이어스 생성기는,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임계 전압 및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의 소스에 인가되는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 1 서브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boost bias generato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sub-switch to an off state when a difference between a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sub-switch and a gate voltage of the first sub-swit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voltage applied to a source of the first sub-switch.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30077808A 2012-10-12 2013-07-03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KR102084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54,206 US9438062B2 (en) 2012-10-12 2013-10-15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3188P 2012-10-12 2012-10-12
US61/713,188 2012-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14A KR20140047514A (en) 2014-04-22
KR102084427B1 true KR102084427B1 (en) 2020-03-04

Family

ID=5065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08A KR102084427B1 (en) 2012-10-12 2013-07-03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4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292B1 (en) 2015-11-25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223A1 (en) 2003-06-30 2004-12-30 Intel Corporation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US20080080214A1 (en) 2006-09-28 2008-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Rectifier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067208A1 (en) * 2007-09-11 2009-03-12 Donald Corey Mart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528B2 (en) * 2002-06-13 2008-08-2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Power conversion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223A1 (en) 2003-06-30 2004-12-30 Intel Corporation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US20080080214A1 (en) 2006-09-28 2008-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Rectifier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067208A1 (en) * 2007-09-11 2009-03-12 Donald Corey Mart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14A (en)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00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US943806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US9391535B2 (en) Received power conversion device for resonant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933462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KR101967340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968519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42094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 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063099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KR101882800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98958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JP2015012761A (en) Power-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feeding system
KR2014006086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19064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4051086A1 (en) Electric power receiving device, electric power send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method
KR20150045602A (en) Remote Controlled Charging Device based on Resonant Method
CN114844234A (en) Charging control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084427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KR102042020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KR102079152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KR20140092197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KR20170047768A (en) Power apparatus with adjusting the rectified voltage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power transfer
KR102117869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having active rectifier
Mao Design and Analysis of Near-field Wireless Power Transfer Circuits and Systems
Moon et al. Analysis of receiver circuit efficiency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operating frequency variation
KR20140060865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