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28B1 -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 Google Patents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28B1
KR102084328B1 KR1020180118345A KR20180118345A KR102084328B1 KR 102084328 B1 KR102084328 B1 KR 102084328B1 KR 1020180118345 A KR1020180118345 A KR 1020180118345A KR 20180118345 A KR20180118345 A KR 20180118345A KR 102084328 B1 KR102084328 B1 KR 10208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ies
necklace
hole
accessor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주
Original Assignee
서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주 filed Critical 서희주
Priority to KR102018011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을 가진 수지재질의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을 신장하였을 때 연속적으로 설치된 엑세서리들 간의 간극이 벌어지면서 연결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줄에 향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출한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구슬형타입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엑세서리와; 상기 관통공을 따라 관통하여 다수의 엑세서리가 설치되는 우레탄재질의 연결줄과; 상기 엑세서리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엑세서리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연결관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중간에 엑세서리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경계부가 구비되어진 연결링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a necklace that radiates elasticity and fragrance}
본 발명은 장신구인 목걸이나 팔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을 가진 수지재질의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을 신장하였을 때 연속적으로 설치된 엑세서리들 간의 간극이 벌어지면서 연결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줄에 향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출한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여성들의 경우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장신용으로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걸이는 귀금속으로 제조된 것이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나일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줄에 독특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식체를 달아 자신의 개성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남녀 불문하고 목걸이를 착용하는 추세에 있다.
즉, 목걸이 줄은 대부분 귀금속을 이용하게 됨으로 구부러짐이 자유롭도록 체인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천공된 구슬을 연결줄을 이용하여 꿰어서 구성하는 것, 또는 군대의 인식표에 사용하는 목걸이에서와 같이 구슬형태의 소재를 양단에 걸림턱을 갖는 연결봉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 등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목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형의 소재(2)를 봉상의 연결줄(3)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결착 구성하여 된 것이며, 이에 공지의 구슬 타입 목걸이 줄(1)의 요소 요소에 원형이나 하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의 장식구(4)를 소정의 결착구(10)를 이용하여 결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목걸이는 상기 연결줄이 신축성이 전혀 없어 연결줄에 조금만 힘을 주면 끓어져 구슬형의 소재가 사방으로 흩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상기 연결줄을 고무재질로 하였을 시에는 늘어났을 때 연결줄이 보임으로써 목걸이의 가치를 훼손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을 가진 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적당히 신장되게 한 연결줄, 그리고 상기 연결줄에 설치되는 구슬형의 엑세서리 사이 사이에 신장시 연결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연결링체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연결줄에 향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출함으로써 목걸이의 효용성을 크게 향상시킨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슬형타입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엑세서리와; 상기 관통공을 따라 관통하여 다수의 엑세서리가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엑세서리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엑세서리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연결관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중간에 엑세서리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경계부가 구비되어진 연결링체;로 구성된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엑세서리의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중간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은 경계부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엑세서리가 상호 접촉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 다음, 경계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관통공과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경계부를 따라 일정 깊이의 장식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장식홈에 링상의 장식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을 가진 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적당히 신장되게 한 연결줄, 그리고 상기 연결줄에 설치되는 구슬형의 엑세서리 사이 사이에 신장시 연결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연결링체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연결줄에 향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출함으로써 목걸이의 효용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목걸이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신장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다른 요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의 신장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목걸이(100)로 명칭하였으나 보는바와 같이 팔찌도 해당되는 것을 밝힌다.
도 2와 같이, 목걸이(100)는 구슬형타입의 엑세서리(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엑세서리(110)의 형상은 구형이거나,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엑세서리(110)는 보석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고, 수지에 금, 은등을 도금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엑세서리(110)에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1)은 입구의 직경이 약간 확장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에 꿰어지는 연결줄(130)은 다소 신축성이 있는 우레탄재질로 형성되는데, 이 우레탄재질에 향조성물을 첨가하여 사출하므로서 착용자의 아름다움을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엑세서리(110)들 사이 사이에는 연결줄(130)이 관통하는 연결링체(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링체(120)는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연결관(122)이 양측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122)에는 연결줄(130)이 출입되는 연결공(123)이 구비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한쪽 연결관(122)의 길이는 엑세서리(110)의 반지름에 해당된다.
상기 연결관(122)의 중간에는 엑세서리(110)들이 충돌로 인한 마모로 인하여 도금등이 벗겨지지 않음은 물론이고 보다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게 엑세서리(110) 보다 약간 작은 경계부(121)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도 6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1)의 중간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122)은 경계부(12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연결관(122)의 입출입을 매우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링체(120)의 경계부(121)를 형성하되, 상기 경계부(121)를 따라 일정 깊이의 장식홈(124)을 형성 다음, 상기 장식홈(124)에 링형상의 장식링(140)을 설치하는데, 상기 연결링체(120)와 장식링(140)을 보석류로 형성하여 엑세서리(110)와 잘 어울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목걸이(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연결링체(120)의 연결관(122)에 구비되어진 연결공(123)에 연결줄(130)을 관통시킨 후 이를 관통한 연결줄(130)을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을 통과한 연결줄(130)을 연결링체(120)의 연결공(123)으로 관통시키는 방식을 반복하여 목걸이(100)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줄(130)은 신축성이 있는 것이므로 이를 신장시키게 되면, 도 5와 같이 엑세서리(110)들의 간극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 외측으로 연결링체(120)의 연결관(122)이 나오게 되지만 상기 연결줄(130)의 신축성에 한계가 있어 연결링체(120)의 연결관(122)이 완전히 나오지 않음으로써 신장시 연결줄(130)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줄(130)이 수축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연결링체(120)의 연결관(122)이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 내부로 들어오게 되며, 이때 상기 엑세서리(110)들 사이에 연결링체(120)의 경계부(121)가 접촉됨으로써 엑세서리(110)들의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엑세서리(110)의 관통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1)의 중간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122)은 경계부(12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연결관(122)의 입출입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연결링체(120)의 경계부(121)를 따라 일정 깊이의 장식홈(124)을 형성 다음, 상기 장식홈(124)에 qgtjrfb일 수 있는 링형상의 장식링(140)을 설치함으로써 목걸이(100)를 보다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엮다.
100:목걸이 110:엑세서리
111:관통공 120:연결링체
121:경계부 122:연결관
123:연결공 124:장식홈
130:연결줄 140:장식링

Claims (3)

  1. 구슬형타입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엑세서리와; 상기 관통공을 따라 관통하여 다수의 엑세서리가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엑세서리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엑세서리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연결관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중간에 엑세서리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경계부가 구비되어진 연결링체;로 구성된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엑세서리의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중간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은 경계부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엑세서리가 상호 접촉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 다음, 경계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관통공과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경계부를 따라 일정 깊이의 장식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장식홈에 링상의 장식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8345A 2018-10-02 2018-10-02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KR10208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45A KR102084328B1 (ko) 2018-10-02 2018-10-02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45A KR102084328B1 (ko) 2018-10-02 2018-10-02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28B1 true KR102084328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45A KR102084328B1 (ko) 2018-10-02 2018-10-02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510U (ko) * 1997-01-16 1998-10-15 박상준 장신구용 구슬
JP2007014734A (ja) * 2005-07-08 2007-01-25 Toshio Imanaka 芳香具兼用指圧用ブレスレットおよび芳香具兼用指圧用指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510U (ko) * 1997-01-16 1998-10-15 박상준 장신구용 구슬
JP2007014734A (ja) * 2005-07-08 2007-01-25 Toshio Imanaka 芳香具兼用指圧用ブレスレットおよび芳香具兼用指圧用指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835B1 (en) Pop beads having elongated necks
WO2005009166A3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20150216271A1 (en) "Swap It" Interchangeable Jewelry Building System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KR102084328B1 (ko) 신축성과 향기를 발산하는 목걸이
US20200146405A1 (en) Modular jewelry system
US20160324279A1 (en) Customizable jewelry system
KR102023327B1 (ko) 마찰식 압입구조의 초경량 라이트 장식볼을 갖는 장식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줄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US20140310919A1 (en) Crimping Bead with Plunger
KR200304316Y1 (ko) 목걸이
KR200262575Y1 (ko) 장신용 줄
KR102069296B1 (ko) 상감방식의 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장신구
KR200380762Y1 (ko) 진주목걸이 연결구
CN217695474U (zh) 一种组合式蛇形珠宝链
ITMC20060025U1 (it) Ciondolo corredato di dispositivo di aggancio di facile e rapida apertura.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CN209449873U (zh) 一种新型手镯搭扣
CN218650629U (zh) 收尾夹扣及其饰品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100760470B1 (ko)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CN212729056U (zh) 一种多功能饰品、项链、耳环及手链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50047532A (ko) 복합 보석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