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98B1 -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 Google Patents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798B1
KR102083798B1 KR1020190130590A KR20190130590A KR102083798B1 KR 102083798 B1 KR102083798 B1 KR 102083798B1 KR 1020190130590 A KR1020190130590 A KR 1020190130590A KR 20190130590 A KR20190130590 A KR 20190130590A KR 102083798 B1 KR102083798 B1 KR 10208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c acid
drum
mixture
moisture
briquet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형완
Original Assignee
변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완 filed Critical 변형완
Priority to KR102019013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61Solvent extraction of solids comprising vibrating mechanisms, e.g. mechanical, acous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69Solid material in other moving receptacles
    • B01D11/0273Solid material in other moving receptacles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9/00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갈탄 분말을 이용하여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연갈탄 미세분말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상기 연갈탄으로부터 부식산을 축출하기 위한 추출액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고, 서로 교반하도록 혼합제를 형성하는 교반하는 혼합교반단계; (C)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혼합제를 침전탱크로 이송하여 액상과 혼합제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 및 분리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는 수분증발 및 액기스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토양 중 산소 수준과 이동성의 증대, 중금속 독성 경감, 토양의 비옥도 향상 및 안정화 측면에서 중요하며, 또한 식물생육촉진, 뿌리발육촉진, 근원 미생활 활성화, 양분 흡수증대, 식물체의 엽록소량 증가 및 광합성 능력을 증대시켜 작물의 수확량 증가, 당도, 비타민함량 증가와 같은 수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질개선제, 비료첨가제, 미세먼지 저감 등 산업계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Humic acid paste production method and its paste}
본 발명은 토양 중 산소 수준과 이동성의 증대, 중금속 독성 경감, 토양의 비옥도 향상 및 안정화 측면에서 중요하며, 또한 식물생육촉진, 뿌리발육촉진, 근원 미생활 활성화, 양분 흡수증대, 식물체의 엽록소량 증가 및 광합성 능력을 증대시켜 작물의 수확량 증가, 당도, 비타민함량 증가와 같은 수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축산악취 및 미세먼지저감제, 수질개선제, 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 산업계에서 폭넓게 사용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빅산과 휴믹 산을 포함하는 휴믹 물질은 수백만년 이상 석탄화 과정에서 생성된 갈탄 등 선사 시대 침전물에서 발견되며 작은 양은 흙에서 발견이 된다. 그러나 휴믹 물질이 자연 발생하고 있는 반면에, 천연 소재에서 그들을 추출하는 것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용되고 있다.
휴믹물질의 추출의 가장 종래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끼류 등 초본류와 갈탄 등 목본류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식산은 토양 유기물을 알칼리로 추출하여 생긴 유기물 중 산성에서 침전되는 암색의 유기 물질로서, 석탄을 분쇄하여 상기 부식산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6486호(2014.10.31. 공개)에는 '게르마늄 부식산의 분리방법'이 발명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 게르마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석탄을 분쇄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건조된 석탄을 알칼리용액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액의 상층액을 고액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석탄은 무연탄, 역청탄, 아역청탄, 아탄, 갈탄, 연갈탄, 이탄 및 토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액 분리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혼합제 제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액상으로 추출하여 사용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농가에서 사용용 꺼리는 문제점은 생산비의 증가과 사용방법에 대한 한계와 지속적이 효과를 높이는 것에 대한 회의감과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4-0126486호(2014.10.31)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2-0108816 (2012.10.05)
본 발명은 연갈탄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하되, 생산력을 증대시키며서 효과를 지속적으로 줄 수 있으며, 농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식산 페이스를 생산하여 토양 중 산소 수준과 이동성의 증대, 중금속 독성 경감, 토양의 비옥도 향상 및 안정화측면을 극대화 시키고, 식물생육촉진, 뿌리발육촉진, 근원 미생활 활성화, 양분 흡수증대, 식물체의 엽록소량 증가 및 광합성 능력을 증대시켜 작물의 수확량 증가, 당도, 비타민함량 증가와 같은 수확물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며, 식물병 및 해충에 대한 저항력 증대 등으로 무농약 농법을 구현과 종자 발아시 발아률과 발아속도 증가시키고, 생장촉진 등에 사용이 편리한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축산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연갈탄 분말을 추출액과 물에 혼합한 혼합제를 사용하여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추출액과 물에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부식산 페이스트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연갈탄 분말을 이용하여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상기 연갈탄으로부터 부식산을 축출하기 위한 추출액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고, 일정시간 교반하여 혼합제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혼합제를 침전탱크로 이송하여 액상과 혼합제로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침전 및 분리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부식산 페이스트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 단계는 다양한 크기의 연갈탄을 분쇄 롤이 설치된 파쇄기로 통과시키면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연갈탄을 분쇄 롤이 맞물리는 분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 및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연갈탄을 미세 분쇄기로 이송하여 미세분말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분쇄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일정크기 이상의 연갈탄을 재선별기로 이송시켜 활용 또는 비활용 연갈탄으로 재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용 연갈탄은 상기 파쇄기로 재공급하며, 상기 비활용 연갈탄은 배출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는 토양개량제, 식물 생육 촉진제, 미량원소의 운반체, 수질개선제, 비료첨가제 등으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농축산의 분뇨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갈탄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페이스트의 점도를 달리하여 생산이 가능하므로 점도가 높은 것 부터 점도가 낮은 페이스트로 다양한 등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를 도시한 전체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이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를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순차적 제조하는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의 실시 예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의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트의 전체 순서도.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를 이용한 식물적용한 실시예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부식산 페이스트로 제조방법은 일 실시 예로서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연갈탄을 0.1~0.5크기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추출액과 물에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는 단계; (D) 부식산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단계는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미세분말은 부식산의 사용목적에 의한 필요에 따라 임의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A) 단계는 실시 예로서 도 1 및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연갈탄을 분쇄 롤이 설치된 파쇄기(210)로 통과시키면서 파쇄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파쇄된 연갈탄을 분쇄 롤이 맞물리는 분쇄 컨베이어(220)로 이송시키면서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 및 선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별된 연갈탄을 미세 분쇄기(230)로 이송하여 미세분말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A)단계는 3차에 걸친 분쇄를 통해 원하는 크기의 미세분말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A) 단계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분쇄 컨베이어(22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일정크기 이상의 연갈탄을 재선별기(240)로 이송시켜 활용 또는 비활용 연갈탄으로 재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용 연갈탄은 상기 파쇄기로 재공급하며, 상기 비활용 연갈탄은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선별과 재선별의 과정을 통해 연갈탄의 활용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추출액과 물에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추출액은 연갈탄을 분해하여 부식산(휴믹산)을 축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KOH, NaOH, LiOH, K2CO3, Na2CO3 또는 LiC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알칼리용액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은 물을 함유한 추출액은 1:5~1:50의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분리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100)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는 것이다. 즉, 이 과정에서는 수분의 증발을 위한 온도로 유지 및 가열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분의 70~9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식산 페이스트로 제조방법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상기 연갈탄으로부터 부식산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액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고, 일정시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하여 액상과 혼합제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 부식산 페이스트의 점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연갈탄 미세분말과 추출액 및 물을 혼합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직접 투입하기 전 교반기(300)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과정과 침전탱크(400)에서 침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B)단계는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상기 연갈탄으로부터 부식산을 축출하기 위한 추출액과 함께 교반기(300)에 투입하고, 일정시간 교반하여 혼합제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침전탱크(400)로 이송하여 액상과 혼합제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혼합물을 침전탱크(400)로 이송하여 일정시간 경과시킴으로서 하부의 혼합제와 상부의 액상으로 분리되면 먼저 상부의 액상을 배출한 후 혼합제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C)상기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여 부식산페이스트로 형성하는 단계는,
(C-1)부식산을 추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가 형성된 교반 드럼기내에 혼합제를 교반하는 단계; (C-2)상기 교반 드럼기는 상기 교반 드럼기내에 제1수분증발드럼과 제2수분증발드럼과 제3수분증발드럼으로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1수분증발드럼과 제2수분증발드럼과 제3수분증발드럼을 통과하면서 부식산추출과 수분배출단계; (C-3) 교반하는 교반 드럼기내의 제1수분증발드럼은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40~60%를 제거하기 위한 제 1수분증발드럼과, 상기 제1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수분이 감소한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0~90%를 제거하기 위한 제2 수분증발드럼과, 상기 제2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45% 제거하기 위한 제3 수분증발드럼(110c)으로 배열하여 수분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져 전체의 혼합제를 넣은 교반 드럼기 전체를 운영하면 시간이 증가하고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분리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연갈탄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함으로써, 부식산 용액과 페이스트의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된 페이스트의 점도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부식산 페이스트로 제조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된 혼합제를 일정량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한 교반 드럼기(110), 상기 교반 드럼기 내부에 저장된 혼합제를 뒤섞기 위한 교반 샤프트(120), 상기 교반 드럼기 내부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사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130) 및 상기 드럼의 하부를 커버하는 보온 재킷(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반 드럼기(110)는 연갈탄 분말을 추출액 및 물 함께 섞은 일정량의 혼합제를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1)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제를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된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제를 가열 및 교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113)가 상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럼의 내면은 후술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 마이크로 웨이브가 외부로 흩어지지 않도록 가둘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교반 드럼기(110)는 일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40~60%를 제거하기 위한 제 1수분증발드럼(110a), 상기 제1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0~90%을 제거하기 위한 제2 수분증발드럼(110b) 및 상기 제2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45% 제거하기 위한 제3 수분증발드럼(110c)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의 상측에는 각각 별도의 증기 배출구(113)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교반 드럼기(110)는 격벽에 의해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으로 분리되어 단계적으로 수분증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발의 효율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교반 드럼기(11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4)에 의해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격벽에는 상기 혼합제가 이동하기 위한 개폐구(115), 상기 개패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16) 및 상기 개폐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 실리더(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115)는 도면과 하기 드럼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회전 밀대(122)의 작동에 의해 혼합제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된 각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 내부에는 수분량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 실린더(11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118)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교반 샤프트(120)는 상기 드럼(1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된 혼합제를 뒤섞기 위해 다수의 교반 암(121)이 형성된다. 상기 교반 샤프트(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연동하는 것이고, 상기 교반 샤프트(120) 상에 설치되는 교반 암(121)은 도면과 같이 일정간격 씩 떨어지게 형성하거나 촘촘히 또는 연속되는 스크루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샤프트(120)는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4)에 의해 분리된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 사이로 혼합제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밀대(12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 밀대(122)는 상기 교반 샤프트(120)의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혼합제를 상기 개폐구(115) 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130)는 상기 드럼(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1 이상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130)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생하는 극초단파를 드럼 내부로 쏨으로써 드럼 내부의 물을 자극하여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130)는 앞서 설명한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에 대하여 각각 설치하되, 각 구획된 드럼에서 일정시간 동안 필요한 양의 수분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발진 용량을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 보온 재킷(400)은 상기 드럼(100)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그 내부에는 일정온도 유지를 위한 열매체가 충전된 것이다. 상기 보온 재킷(400)의 열매체는 예를 들어 유체로서 외부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드럼 내부를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부식산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식물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이며, 풀빅산은 요소의 안정화. 세포질의 전기적 평형에 도달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모든 세포에게 활력을 제공하는 강력한 유기 전해질이다. 식물과 미생물이 생리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은 적합한 전기적 포텐셜에 의해 결정된다.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을 증진시키고, 엽면살포로 호흡을 증진시킴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키고, 노화의 지연으로 생장의 지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미네랄 용해기능으로 광물질암, 인산암, 석회암의 광물질을 가용화시키고, 광과 상호작용으로 광합성을 증진시키고, 특히 흐린 날이 지속될 경우 효과가 더 높다. 미네랄을 흡수하여 생물이 이용하게 하는 천연 킬레이팅제(Natural chelating agent)로서,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진하여, 양분 흡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A :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 : 추출액과 물을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는 단계
C : 부식산 페이스트 형성하는 단계
D : 선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

Claims (6)

  1. 연갈탄 분말을 이용하여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과 부식산(휴믹산)을 축출하기 위기 위해 KOH, NaOH, LiOH, K2CO3, Na2CO3 또는 LiC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출액과 물을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여 부식산 페이스트로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여 부식산페이스트로 형성하는 단계는, (C-1)부식산을 추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가 형성된 교반 드럼기내에 혼합제를 교반하는 단계; (C-2)상기 교반 드럼기는 교반 드럼기내에 제1수분증발드럼과 제2수분증발드럼과 제3수분증발드럼으로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1수분증발드럼과 제2수분증발드럼과 제3수분증발드럼을 통과하면서 부식산추출과 수분배출단계; (C-3)상기 교반 드럼기내의 제1수분증발드럼은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40~60%를 제거하기 위한 제 1수분증발드럼과, 상기 제1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수분이 감소한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0~90%를 제거하기 위한 제2 수분증발드럼과, 상기 제2 수분증발드럼으로부터 혼합제가 유입되면서 상기 유입된 혼합제 중에 포함된 전체 수분의 5~45% 제거하기 위한 제3 수분증발드럼(110c)으로 배열하여 수분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C-3)각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의 상측에는 각각 별도의 증기 배출구(113)이 설치되며, 드럼(110)은 격벽에 의해 제1,2,3 수분증발드럼(110a, 110b, 110c)으로 분리되어 단계적으로 수분증발이 이루어져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싱기 연갈탄 분말을 이용하여 겔 상태의 부식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갈탄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형성하는 연갈탄 미세분말화 단계;
    (B) 상기 연갈탄 미세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상기 연갈탄으로부터 부식산을 축출하기 위한 추출액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고, 서로 교반하도록 혼합제를 형성하는 교반하는 혼합교반단계;
    (C)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혼합제를 침전탱크로 이송하여 액상과 혼합제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 및 분리된 혼합제를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배출하는 수분증발 및 액기스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다양한 크기의 연갈탄을 분쇄 롤이 설치된 파쇄기로 통과시키면서 파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된 연갈탄을 분쇄 롤이 맞물리는 분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 및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연갈탄을 미세 분쇄기로 이송하여 미세분말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분쇄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일정크기 이상의 연갈탄을 재선별기로 이송시켜 활용 또는 비활용 연갈탄으로 재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용 연갈탄은 파쇄기로 재공급하며, 상기 비활용 연갈탄은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를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130590A 2019-10-21 2019-10-21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KR10208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90A KR102083798B1 (ko) 2019-10-21 2019-10-21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90A KR102083798B1 (ko) 2019-10-21 2019-10-21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798B1 true KR102083798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90A KR102083798B1 (ko) 2019-10-21 2019-10-21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2451A (zh) * 2023-11-23 2023-12-22 山东优维药业有限公司 一种兽药中间品生产储存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816A (ko) 2011-03-25 2012-10-05 허교 천연 휴믹 물질로 부터 휴믹산과 풀빅산 추출방법
KR20140126486A (ko) 2013-04-23 2014-10-31 김영민 게르마늄 부식산의 분리방법
US20170036967A1 (en) * 2014-04-23 2017-02-09 Konstantin Nikolaevich TOROP Method for comprehensively processing brown coal and leonardite into humic fertilizers and preparations and into fuel briquettes, and mechanochemical reactor for processing highly-viscous med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816A (ko) 2011-03-25 2012-10-05 허교 천연 휴믹 물질로 부터 휴믹산과 풀빅산 추출방법
KR20140126486A (ko) 2013-04-23 2014-10-31 김영민 게르마늄 부식산의 분리방법
US20170036967A1 (en) * 2014-04-23 2017-02-09 Konstantin Nikolaevich TOROP Method for comprehensively processing brown coal and leonardite into humic fertilizers and preparations and into fuel briquettes, and mechanochemical reactor for processing highly-viscous medi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2451A (zh) * 2023-11-23 2023-12-22 山东优维药业有限公司 一种兽药中间品生产储存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262451B (zh) * 2023-11-23 2024-02-02 山东优维药业有限公司 一种兽药中间品生产储存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7154B2 (ja) 供給原料を用いた連続攪拌槽溶媒抽出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540432A (zh) 一种用活性氧及活化操作高速处理有机固体废弃物的方法和装置
CN102887736B (zh) 餐厨垃圾和污泥与生活垃圾同机处理制作专用肥方法
CN103328412B (zh) 从有机废物中生产颗粒状有机矿物肥料的方法及用于实施该方法的设备
KR101045399B1 (ko) 축분과 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
KR101389440B1 (ko) 분뇨 슬러지의 입자화 및 발효화를 통한 퇴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2083798B1 (ko) 친환경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부식산 페이스
CN105451579B (zh) 利用棕榈加工副产物的纤维质发酵饲料制备设备及制备方法
KR100818738B1 (ko) 고속 교반구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염분 제거장치
CN204918402U (zh) 废弃秸秆规模化生产生物有机肥装置
CN105884489A (zh) 一种利用磷矿石和钾矿石制备磷钾复肥的工艺方法
CN106576638A (zh) 一种秸秆循环肥料处理装置
CN104326773A (zh) 一种生产生物有机肥的工艺
CN112642346A (zh) 玉米种植腐殖质有机肥料的混合机
KR102134314B1 (ko) 친환경 마이크로 웨이브와 온열교반기를 이용한 부식산 페이스트 제조장치
CN101691314A (zh) 用工业有机废渣及废母液发酵生产生物肥料
CN108641771A (zh) 一种山核桃蒲生物质颗粒
KR20210020194A (ko) 해초류를 이용한 액체비료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체비료
KR101663082B1 (ko)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발효 액상 비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발효 액상 비료 제조 방법
CN105272430B (zh) 一种利用固体废弃物好氧堆肥及生物干化的物料预处理装置进行物料预处理方法
KR101503772B1 (ko) 미네랄이 함유된 휴머스를 이용한 천연비료제조장치
CN208771585U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具有破碎功能的翻料机
CN208742667U (zh) 一种有机肥配料系统
RU263632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очернозё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de Jong Physical pretreatment of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