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34B1 -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834B1
KR102081834B1 KR1020190109041A KR20190109041A KR102081834B1 KR 102081834 B1 KR102081834 B1 KR 102081834B1 KR 1020190109041 A KR1020190109041 A KR 1020190109041A KR 20190109041 A KR20190109041 A KR 20190109041A KR 102081834 B1 KR102081834 B1 KR 10208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tangent
determining
conquest
calcane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오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9010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34B1/ko
Priority to PCT/KR2019/013615 priority patent/WO20210453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단계,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a 접선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b 접선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골 골절 수술의 성공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종골 골절 환자의 재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Method for judging reduction of calcaneus fracture}
본 발명은 종공 골절(calcaneus fracture)의 정복(reduction) 여부를 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골은 체중에 대하여 견고하나 탄력성 있는 지주로서의 역할과 도약판(spring board)의 역할을 해주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종골 골절은 60%∼75%가 전위된 관절 내 골절로 부적절한 치료 결과에 따른 합병증 및 수상 이전 작업 능력의 소실이 매우 높은 골절이며 영구적인 기능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골의 관절 내 골절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에 대한 의견 차이가 심하였는데, 이는 단순 방사선 사진 소견만으로는 관절면의 정복 상태를 판단하기 어려웠던 것이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이 점차 진단에 널리 사용되면서 최근 10여 년간은 다시 수술적인 치료가 주장되고 있다. 많은 예후 인자들이 더 좋은 기능적 결과와 관련되어 있지만 그 중 후방 관절면의 정복 정도가 수술과 관련된 중요한 예후인자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
관절 내 종골 골절은 종종 후방 후관절(제1, 제2 골절선에 의해 약해진)에 수반되며, 결과적으로 골절된 기형은 보통 내반슬과 확장된 뒤꿈치에 의한 종골 높이의 상실을 유발한다. 그래서, 그러한 부상은 종종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거골하관절 관절염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내부 고정을 요구한다.
도 6은 정상적인 발 상태에서의 볼러 각도를 표시한 방사선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골절된 종골을 수술할 때, 볼러 각도(Bohler angle)는 초기 붕괴된 후방 후관절의 평가 뿐 아니라 종골 골절의 정복 결과의 평가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볼러 각도는 수술 후 임상 결과에 대한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외과 의사들은 볼러 각도의 정확한 측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경험이 풍부한 관찰자들 사이에서조차 측정한 볼러 각도에 대한 빈번한 의견 불합치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더구나, 대측성 손상되지 않은 종골의 볼러 각도를 참조하는 공개 정복 및 고정은 더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종골의 부상 전(pre-injured) 형태의 회복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16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복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볼러 각도를 이용한 정복 판단 방법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하게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복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서,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단계,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a 접선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b 접선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서,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후 관절(posterior facet)의 수페로포스테리어(superoposterior) 모서리(corner)로부터 종골의 수페로포스테리어 모서리와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를 연결하는 횡단선까지의 길이(h)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길이(h)와 미리 정해진 정상 길이(h')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길이(h)가 상기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h)가 상기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를 초과하면,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사진을 통해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종골 골절 수술을 시술한 시술자에게 정확한 정복 상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골 골절 수술의 성공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종골 골절 환자의 재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볼러 각도를 이용한 정복 판단 방법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하게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 판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정상적인 발 상태에서의 볼러 각도를 표시한 방사선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종골 골절을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는 제반 컴퓨터 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연산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종골 골절을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을 수행하는 컴퓨터, 컴퓨터의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processor)가 그 수행 주체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 판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나 종골 골절 판단 장치(100)는 영상수집부(110), 영상처리부(120), 판정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영상수집부(110)는 종골 부위를 촬영한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처리부(120)는 방사선 사진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각 라인과 각 포인트를 감지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각 라인과 포인트를 감지하여 표시한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각 라인과 포인트를 감지하여 표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종골(calcaneus)(10)과 거골(talus)(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에서 영상처리부(120)는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B에서 영상처리부(120)는 후 관절(posterior facet)의 수페로포스테리어(superoposterior) 모서리(corner)로부터 종골의 수페로포스테리어 모서리와 재거돌기(載距突起, sustentaculum tali)를 연결하는 횡단선(530)까지의 길이(h)를 감지하여 표시한다
판정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감지된 각 라인과 포인트로부터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단한다.
도 5의 A의 제1 실시예에서, 판정부(130)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a 접선이 이루는 각도(510)와 b 접선이 이루는 각도(520)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반면,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정복 상태가 정상이 아닌 이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도 5의 B의 제2 실시예에서, 판정부(130)는 길이(h)와 미리 정해진 정상 길이(h')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길이(h)가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반면, 길이(h)가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를 초과하면, 정복 상태가 정상이 아닌 이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골 골절의 정복 상태를 판정함에 있어서, 기존 볼러 각도(Bohler angle) 외에 세가지 실시예를 제안하며, 각 실시예 별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한다(S201).
그리고, 수평선을 기준으로 a 접선이 이루는 각도(510)와 b 접선이 이루는 각도(520)를 비교한다(S203).
비교 결과,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S205),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S207).
반면,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S205),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한다(S209).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후 관절(posterior facet)의 수페로포스테리어(superoposterior) 모서리(corner)로부터 종골의 수페로포스테리어 모서리와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를 연결하는 횡단선(530)까지의 길이(h)를 감지하여 표시한다(S301).
그리고, 길이(h)와 미리 정해진 정상 길이(h')를 비교한다(S303).
비교 결과, 길이(h)가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S305),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S307).
그리고, 길이(h)가 상기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를 초과하면(S305),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한다(S309).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종골 골절의 판단 방법은 세가지 정복 판정 방식을 종합하여 정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먼저, 첫번째 정복 판정 방식으로서, 수집된 방사선 사진에서 볼러 각도를 감지하여 표시한다(S401, S403).
그리고, 표시된 볼러 각도를 정상 상태의 볼러 각도와 비교한다(S409). 예를 들어, 표시된 볼러 각도를 도 6에 도시된 정상 상태의 볼러 각도와 비교하는 것이다.
비교 결과, 표시된 볼러 각도가 소정 오차 범위 내에서 정상 상태의 볼러 각도와 일치하면 승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승인 실패로 판정한다(S415, S417).
다음, 두번째 정복 판정 방식으로서, 수집된 방사선 사진에서,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한다(S401, S405).
그리고, 수평선을 기준으로 a 접선이 이루는 각도(510)와 b 접선이 이루는 각도(520)를 비교한다(S411).
비교 결과,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 승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승인 실패로 판정한다(S419, S421).
다음, 세번째 정복 판정 방식으로서, 수집된 방사선 사진에서, 후 관절(posterior facet)의 수페로포스테리어(superoposterior) 모서리(corner)로부터 종골의 수페로포스테리어 모서리와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를 연결하는 횡단선(530)까지의 길이(h)를 감지하여 표시한다(S401, S407).
그리고, 길이(h)와 미리 정해진 정상 길이(h')를 비교한다(S413).
비교 결과, 길이(h)가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승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승인 실패로 판정한다(S423, S425).
세가지 정복 판정 방식을 모두 수행하면, 세가지 정복 판정 방식에서 2개 이상의 승인이 있으면 정복 상태가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S429), 그렇지 않으면, 정복 상태가 정상이 아닌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S431).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영상수집부 120 영상처리부
130 판정부 140 표시부

Claims (4)

  1.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서,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거골(talus)의 포스테리어 형태(posterior shape)에서 포스테리어의 접선인 a 접선과, 슈페리어(superior) 종골 윤곽의 상단의 접선인 b 접선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단계;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a 접선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b 접선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내이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면,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3. 종골 골절의 정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복 판단 장치에서의 정복 판단 방법에서,
    종골 부위가 촬영된 방사선 사진에서, 후 관절(posterior facet)의 수페로포스테리어(superoposterior) 모서리(corner)로부터 종골의 수페로포스테리어 모서리와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를 연결하는 횡단선까지의 길이(h)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길이(h)와 미리 정해진 정상 길이(h')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길이(h)가 상기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정복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h)가 상기 정상 길이(h')의 소정 오차범위를 초과하면, 정복이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KR1020190109041A 2019-09-03 2019-09-03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KR10208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41A KR102081834B1 (ko) 2019-09-03 2019-09-03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PCT/KR2019/013615 WO2021045303A1 (ko) 2019-09-03 2019-10-17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41A KR102081834B1 (ko) 2019-09-03 2019-09-03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834B1 true KR102081834B1 (ko) 2020-02-26

Family

ID=6963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041A KR102081834B1 (ko) 2019-09-03 2019-09-03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1834B1 (ko)
WO (1) WO20210453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162B1 (en) * 2000-05-12 2006-09-26 Bradley D. Beasley Digital radiograph analyzer and methods
KR20100122419A (ko) * 2009-05-12 2010-11-22 강철권 발의 3차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40063321A (ko) * 2012-11-16 2014-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복 시술 로봇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KR101521628B1 (ko) 2013-06-11 2015-05-20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종골 플레이트 및 종골 플레이트 시스템
US20170105658A1 (en) * 2015-10-14 2017-04-20 Curvebeam Llc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of Foot Align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162B1 (en) * 2000-05-12 2006-09-26 Bradley D. Beasley Digital radiograph analyzer and methods
KR20100122419A (ko) * 2009-05-12 2010-11-22 강철권 발의 3차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40063321A (ko) * 2012-11-16 2014-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복 시술 로봇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KR101521628B1 (ko) 2013-06-11 2015-05-20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종골 플레이트 및 종골 플레이트 시스템
US20170105658A1 (en) * 2015-10-14 2017-04-20 Curvebeam Llc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of Foot Al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03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rbanski et al. Increased radiation but no benefits in pedicle screw accuracy with navigation versus a freehand technique in scoliosis surgery
Bhattacharyya et al. The accuracy of computed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tibial nonunion
de Cesar Netto et al. Influence of investigator experience on reliability of adult acquired flatfoot deformity measurements using weightbearing computed tomography
McClelland et al. Fracture healing assessment comparing stiffness measurements using radiographs.
Dayton et al. Observed changes in radiographic measurements of the first ray after frontal plane rotation of the first metatarsal in a cadaveric foot model
Bäcker et al. Systematic review of diagnosis of clinically suspected scaphoid fractures
Heyworth et al. Distal femoral valgus deformity following plate fixation of pediatric femoral shaft fractures
Belloti et al. Are distal radius fracture classifications reproducible?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Lucas et al. A useful preoperative planning technique for Transiliac–Transsacral screws
Sinacore et al. Neuropathic midfoot deformity: associations with ankle and subtalar joint motion
Sabharwal et al. The hip-knee-ankle angle in children: reference values based on a full-length standing radiograph
Shakoor et al. Weight-bearing radiograph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examinations in adult acquired flatfoot deformity
Yang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hatzker type IV tibial plateau fractures: a computer tomography based study
Panchbhavi et al. Radiographic assessment of fibular length variance: the case for “fibula minus”
Toepfer et al. The percutaneous learning curve of 3rd generation minimally-invasive Chevron and Akin osteotomy (MICA)
Zhong et al. A Comparison between x-ray imaging and an innovative computer-aided design method based on weightbearing CT scan images for assessing hallux valgus
Lee et al. Is the Bohler angle reliable for operative reduction of calcaneus fracture?
Klatt et al. The location of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in children: position based on common radiographic landmarks
KR102081834B1 (ko) 종골 골절의 정복 판단 방법
Arslan et al. A measuremental approach to calcaneal fractures
Koo et al. Comparing outcomes between arthroscopic-assisted reduction and fluoroscopic reduction in AO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 treatment
RU2634043C1 (ru) Способ расчета коррекции при деформациях заднего отдела стопы
Dayton et al. Observed changes in first metatarsal and medial cuneiform positions after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rthrodesis
Mansur et 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radiological parameters after hallux valgus correction
Tzatzairis et al. ‘Does compliance with BOAST guidelines matter for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the experience of a tertiary referral major trauma centre over a 3.5-year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