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20B1 -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 Google Patents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20B1
KR102081420B1 KR1020160148950A KR20160148950A KR102081420B1 KR 102081420 B1 KR102081420 B1 KR 102081420B1 KR 1020160148950 A KR1020160148950 A KR 1020160148950A KR 20160148950 A KR20160148950 A KR 20160148950A KR 102081420 B1 KR102081420 B1 KR 10208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lay
bucket
evaporation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2162A (en
Inventor
이종준
Original Assignee
이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준 filed Critical 이종준
Priority to KR102016014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20B1/en
Publication of KR2018005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로서,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밑면에는 직경이 1~7mm인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물이 저장되는 상부 물통; 상부 물통의 하부에서 상부 물통과 이격되어 프레임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증발포를 포함하는 증발포 유닛; 및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며 상부 물통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고, 하단은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는 물 중계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증발포에 가습용 물을 공급하는 속도가 일정하고, 청소나 유지 보수가 필요 없거나 매우 간단하여 일반 사용자가 실용적이고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does not use a separate energy, the frame; I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the bottom surface is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1 ~ 7mm is drilled, the upper water reservoir is stored; An evaporation cloth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mounted on the frame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water tank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water tank; And at least the surface is made of absorbent material, the upper end of the upper bucket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upper bucket while being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and the lower end of the top of the plurality of evaporators. And a water relay unit in contact with the water.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rate of supplying water for humidification to the evaporation cloth, does not require cleaning or maintenance, or is very simple and can be used by a general user for practical and long term use.

Description

자연 증발식 가습기{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Natural Evaporation Humidifier

본 발명은 전력 등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자연 증발 방식에 의해 가습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that humidifies by natural evaporation without consuming energy such as electric power.

건조한 실내 환경에서 실내 습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기 가습기는 대부분 초음파 방식이나 물을 가열하여 비등시키는 방식으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기 가습기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오염이나 세균 번식의 문제가 있어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데, 물통 내부나 유로 구석구석까지 청소하기는 곤란하다. 또한, 전기 가습기는 적은 전력이지만 에너지를 소모하고, 동작시 소음이 발생하여 숙면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Electric humidifiers are widely used to increase indoor humidity in dry indoor environments. Most conventional electric humidifiers generate steam by ultrasonic method or heating by boiling water. Such an electric humidifier has to be cleaned periodically because of contamination or bacteria propagation due to long-term use, bu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nside of the bucket or every corner of the flow path. In addition, the electric humidifier consumes less energy, but there is a problem of disturbing a good night's sleep due to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특허문헌 1(공개 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315호)은 복수의 타월을 수직으로 늘어뜨리고 타월 하부를 하부 물통에 담긴 물에 잠기도록 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부 물통에 담긴 물을 타월을 통해 위로 끌어올려 자연적으로 증발하게 하는 방식의 타월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자연 가습기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타월로 끌어올려지는 물의 양이 미미하여, 실질적인 가습 효과는 미미하다(후술하는 실험예에서 보듯이, 이러한 방식에 의해 증발되어 가습에 기여하는 물의 양은 극히 적다).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5315) hangs a plurality of towels vertically and submerges the lower part of the towel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lower bucket. Towel humidifiers are disclosed that allow them to evaporate up naturally to evaporate. However, in this type of natural humidifier, the amount of water drawn up to the towel by capillary action is insignificant, and the actual humidifying effect is insignificant (as shown in the experimental example below), the amount of water that is evaporated by this method and contributes to the humidification is extremely small. little).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공개 특허공보 제10-2007-0055458호)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빨래 건조식 가습기를 제안한 바 있다. 특허문헌 2에 도시된 가습기는, 오로지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만 증발용 물을 하부의 물통에서 상부의 타월로 공급하는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뜨려진 복수의 가습용 빨래(키친 타월) 상부에 물공급용 물통을 설치하고, 물공급용 물통의 일측면을 통해 물공급용 빨래(심지)의 일단을 물공급용 물통 안의 물에 잠기게 하고, 물공급용 빨래의 타단은 물공급용 물통의 바깥 측면과 저면을 감싸면서 복수의 가습용 빨래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용 물통에 담긴 물은 물공급용 빨래의 일단에 흡수되어 물공급용 물통의 상단까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끌어올려진 다음, 모세관 현상과 중력에 의해 아래쪽의 늘어뜨려진 가습용 빨래로 공급되어, 전술한 특허문헌 1보다는 훨씬 더 원활하게 공급된다. 한편, 가습용 빨래 아래의 저장용 물통은 가습용 빨래에 공급된 후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계속 흘러내린 물을 받는 물통이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laundry-drying humidifier as shown in Figure 1, through 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5458). The humidifier shown in Patent Literature 2 is lined up as shown in FIG. 1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atent Literature 1, which supplies only water for evaporation from the lower bucket to the upper towel only by capillary action. A water supply bucke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humidifying clothes (kitchen towels), and one end of the water supply laundry (wick) is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bucket through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bucke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laundry wraps the outer side and bottom of the water supply bucket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umidifying clothes. According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bucket is absorbed by one end of the water supply laundry and is pulled up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o the top of the water supply bucket, and then the lowered humidification laundry under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gravity. It is supplied to, and is supplied much more smoothly tha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bucket under the humidification laundry is a bucket receiving water that continues to flow without being evaporated after being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laundry.

특허문헌 2의 가습기는,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의 가습기보다 증발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만, 단위 시간당 물의 공급량(공급 속도)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의 가습기에서 증발용 물의 공급 속도는, 물공급용 빨래(심지)에서 물공급용 물통 안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과, 이 부분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물공급용 빨래의 상기 폭을 넓게 하고, 상기 각도를 작게 할수록 물의 공급 속도는 증가하고, 반대로 상기 폭을 좁게 하거나 상기 각도를 크게 할수록 물의 공급 속도는 감소한다. 그런데, 상기 물공급용 빨래의 폭이나 각도를 조절하여 물의 공급 속도를 최적화하기가 실제로는 쉽지 않아, 증발 속도를 초과하여 한 두 시간만에 물공급용 물통에 담긴 물의 전부가 공급되어 대부분의 물이 증발되지 않고 저장용 물통에 고이거나, 반대로 물의 공급 속도가 너무 느려 가습용 빨래의 상단부만 적시고 증발되어 밤새 줄어든 물의 양(실제 가습에 기여한 물의 양)이 미미하기 일쑤이다. 특히, 물공급용 빨래는 흐물흐물하여 상기 각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조절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각도가 변경되어 물의 공급 속도가 변화되어 버린다.The humidifier of Patent Literature 2 has a problem in that water for evaporation is more smoothly supplied than a humidifier in the same manner as Patent Literature 1, bu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supply amount (supply rate) of water per unit time. The supply speed of the water for evaporation in the humidifier of patent document 2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 variety of the part located in the water supply bucket by the water supply laundry (wick), and the angle which this part forms with a horizontal plane. That is, as the width of the water supply laundry is wider and the angle is smaller, the water supply speed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the narrower the width or the larger the angle is, the lower the water supply speed is. However, it is not really easy to optimize the water supply rate by adjusting the width or angle of the water supply laundry, so that al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bucket is supplied in one to two hours in excess of the evaporation rate. The water does not evaporate and accumulates in the storage bucket, or, on the contrary, the water supply rate is too slow so that only the upper part of the humidification laundry is wet and the amount of water (e.g., the amount of water contributing to the actual humidification) that is evaporated and reduced overnight is in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laundry for water supply is mushy and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angle, even if adjusted, the angle is changed over time and the supply speed of the water is changed.

한편, 특허문헌 3(등록 특허공보 제10-1172249호)이나 특허문헌 4(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018622호)는, 늘어뜨려진 증발포 또는 타월의 상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로서, 유량 조절 밸브(특허문헌 3)나 링거 호스의 점적량(點滴量) 조절기를 사용하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이러한 유량 조절 밸브나 점적량 조절기가, 물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나 불순물 등에 의해 물때가 끼고 쉽게 막혀 얼마 가지 않아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함을 여러 번 경험하였다. 물론, 이러한 유량 조절 밸브나 점적량 조절기가 막혔을 때 청소를 하여 뚫을 수 있겠지만, 청소가 용이하지 않고 매우 느린 물의 공급 속도에 비추어 작은 손상만으로도 공급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청소를 하여 뚫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그렇다고 불순물이나 미네랄 성분 등이 없는 초순수(증류수)를 가습용 물로 사용하는 것도 실용적이지 않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3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1172249) and Patent Document 4 (Publication Pub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18622) use a method of supplying water from the top of the lined evaporation cloth or towel. In addition, as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supply speed of water, a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using a flow rate regulating valve (Patent Document 3) or a drop amount regulator of a Ringer hose is disclo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ors have experienced many times that such a flow control valve or a drop amount regulator does not function properly because the scale is easily clogged by the mineral component o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ter. Of course, when the flow control valve or the drip regulator is clogged, it can be cleaned and drilled, but it is not easy to clean, and in view of the very slow water supply speed, even small damage affects the supply speed so that the general user cleans and drills i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In addition, it is also not practical to use ultrapure water (distilled water) free of impurities, minerals, and the like as humidifying water.

특허문헌 1: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315호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5315 특허문헌 2: 공개 특허공보 제10-2007-0055458호Patent Document 2: Publication No. 10-2007-0055458 특허문헌 3: 등록 특허공보 제10-1172249호Patent Document 3: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72249 특허문헌 4: 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018622호Patent Document 4: Publication No. 10-2011-0018622

이와 같이,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왔으나, 가습 효과가 미미하거나, 증발용 물의 공급 속도(유량)를 조절하기가 곤란하거나, 청소나 유지 보수가 곤란하다는 등의 이유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a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that does not use extra energy has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but the humidification effect is insignifican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upply rate (flow rate) of water for evaporation, or the cleaning or maintenance is difficult. For this reason, it is not widely spre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증발포에 가습용 물을 공급하는 속도가 일정하고, 청소나 유지 보수가 필요 없거나 매우 간단하여 일반 사용자가 실용적이고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rate of supplying humidifying water to the evaporator is constant, does not require cleaning or maintenance or very simple natural evapor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general user for a long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od humidifi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의 물통에서 하부의 증발포로 증발용 물을 공급하는 구멍을 쉽게 막히지 않을 정도로 크게 하면서, 이 구멍을 적절한 가압력으로 막아 소량의 물이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는 물 중계 유닛을 채용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hole for supplying the water for evaporation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lower evaporation cloth is large enough not to be blocked,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at a constant speed by blocking the hole with an appropriate pressing force. Adopt a water relay unit.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는,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밑면에는 직경이 1~7mm인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물이 저장되는 상부 물통; 상기 상부 물통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물통과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증발포를 포함하는 증발포 유닛; 및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며 상기 상부 물통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고, 하단은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는 물 중계 유닛을 구비한다.That is, 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that does not use extra energy, and includes a frame; An upper bucke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bottom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1 to 7 mm, and storing water; An evaporation bubbl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vaporation bubbles mounted on the frame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bucket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cket; And at least a surface of the absorbent material, the upper end of the upper bucke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while being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and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And a water relay unit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evaporator.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물 중계 유닛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 하부에 배치되는 중계 블록; 및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는 중계포를 포함하여, 상기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상단이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하단이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relay unit comprises: a relay block disposed below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an absorbent material comprising a relay cloth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relay block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while blocking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The low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relay cloth is made to conta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

또한, 상기 물 중계 유닛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 하부에 배치되는 중계 블록;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는 제1 중계포; 상기 중계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을 수용하는 접시 형태의 중계 접시; 및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접시의 외표면을 감싸는 제2 중계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상단이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접시의 하단이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relay unit, the relay block disposed under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 first relay fabric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A relay dish disposed under the relay block to accommodate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first relay cloth; And a second relay fabric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dish, wherein an upp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first relay cloth blocks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he lower end of the relay dish wrapped in the second relay can be made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

또한, 상기 중계 블록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움푹 들어간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한편, 상기 증발포 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 및 상기 복수의 거치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거치대; 상기 상측 거치대와 동일하게 구성된 하측 거치대; 및 각각이 상기 상측 및 하측 거치대의 서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거치부에 루프를 형성하며 걸어지는 상기 복수의 증발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증발포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vaporation cloth unit, an upper cradle including a plurality of cradl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radles; A lower cradl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radle; And a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loop in a mounting portion pai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mounts, and the evaporation cloth unit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상부 물통의 밑면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구멍이 뚫려 있어, 사용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upper bucket, a plurality of hole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are drill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 or closed in use.

또한, 상기 가습기는, 상기 증발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증발포를 따라 흘러내려 미처 증발되지 못한 물을 받는 하부 물통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하단이 상기 하부 물통의 바닥까지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lower bucke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ion bubble unit and flowing along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bubbles to receive water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The bottom may be configured to reach the bottom of the lower bucket.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용 물을 공급하는 상부 물통의 구멍을 쉽게 막히지 않을 정도로 크게 하면서도, 물 중계 유닛의 적절한 가압력에 의해 구멍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를 적절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 구멍이 쉽게 막히지 않고, 설령 막히더라도 구멍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쉽게 청소하여 뚫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supply speed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le appropriately and constant by the appropriate pressing force of the water relay unit while making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for supplying the water for evaporation not easily clogged. Therefor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hole is not easily clogged, and even if blocked, it can be easily cleaned and drilled without damaging the hole.

또한,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부 물통의 구멍에 맞추어 물 중계 유닛을 배치하고 상부 물통에 물을 채우는 것만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한 부품들로만 가습기가 구성되어, 일반 사용자라도 특별한 문제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by arranging the water re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filling the upper bucket with water, and the humidifier is configured only with easy-to-clean components, so that even a general user can have a long time without any problem. Can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등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충분히 실용적인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humidifier which is sufficiently practical not to use separate energy, such as electric power, can be provid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가습기의 사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증발포 유닛의 상측 거치대와 하측 거치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as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erspective photograph of a humidifi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upper cradle and the lower cradle of the evaporation cloth unit in the humidifier shown in FIG.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가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a fluid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는, 크게 프레임(10), 상부 물통(20), 물 중계 유닛(40), 증발포 유닛(30) 및 하부 물통(50)을 구비한다.2 and 3, 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 an upper bucket 20, a water relay unit 40, an evaporation bubble unit 30, and a lower bucket 50. do.

프레임(10)은 가습기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인 상부 물통(20), 물 중계 유닛(40), 증발포 유닛(30) 및 하부 물통(5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프레임(10)은 복수의 금속 봉, 파이프, 빔 또는 판재를 용접, 볼트, 리벳,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연결/조립/접착하여 제작하거나, 복수의 플라스틱 봉, 파이프, 빔 또는 판재를 암수 형합하는 형태로 성형하고 이들을 조립하거나 연결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접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The frame 10 is a component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entire humidifier and supports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upper bucket 20, the water relay unit 40, the evaporator unit 30, and the lower bucket 50. The frame 10 is manufactured by connecting / assembling / gluing a plurality of metal rods, pipes, beams, or plates by means of welding, bolts, rivets, adhesives, or the like. It can be produced by molding into a joining form and assembling them or connecting / gluing them using connectors or adhesives.

본 실시형태에서 프레임(10)은 세로로 배치되는 총 4개의 ㄱ자형 빔(11), 가로로 배치되는 총 12개의 ㄱ자형 빔(12a~12d)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중간에 가로로 배치되는 ㄱ자형 빔들(12b,12c)에 의해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획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의 전체 형상이나 각 구성 부품의 형태나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10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L-shaped beams 11 arranged vertically, and a total of 12 L-shaped beams 12a-12d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upper middle of the frame 10 and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are partitioned by the L-shaped beams 12b and 12c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lower middle. Here, of course, the overall shape of the frame 10, the shape and the number of each component, etc. can be modified as much as possible.

상단의 가로 배치 ㄱ자형 빔들(12a)과 상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b)에 의해 구획되는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 물통(20)과 물 중계 유닛(40)이 장착되고, 상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b)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증발포 유닛(30)의 상측 거치대(31)의 양측 단부가 거치되어 프레임의 중간부에 증발포 유닛(30)이 장착되며, 프레임의 하부에는 증발포 유닛(30)의 하측 거치대(32)의 양측 단부와 하부 물통(50)이 배치된다.The upper bucket 20 and the water relay unit 40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ly arranged beam-shaped beams 12a at the top and the beam-shaped beams 12b at the upper middle, and the beam-shaped beams at the upper middle. Both ends of the upper cradle 31 of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2b, and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and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is located below the frame. Both ends of the lower cradle 32 and the lower bucket 50 is disposed.

상부 물통(20)은 가습을 위해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부 물통(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직경 1~7mm의 구멍(21)이 뚫려 있다(이 구멍의 직경과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부 물통(20)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적당한 규격의 시판품을 사용하면 된다. 상부 물통(20)의 상단 외주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22)가 있어 프레임(10)의 상단에 가로로 배치되어 있는 ㄱ자형 빔들(12a)의 상면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 사용상태에서 상부 물통(20)의 돌기(22)가 프레임(10)의 상단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bucket 20 stores water supplied for humidification, and a hole 21 having a diameter of 1 to 7 mm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the diameter and the action of the hole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bucket 20 is made of, for example, plastic and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a suitable standard.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bucket 20 has a protrusion 22 protruding laterally so that it can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shaped beams (12a)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but not necessarily It is not necessary,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trusion 22 of the upper bucket 20 is not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in the actual use state.

증발포 유닛(30)은, 상부 물통(20)의 하부에서 물 중계 유닛(40)을 개재하여 상부 물통(20)과는 이격되게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물 중계 유닛(40)을 통해 상부 물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받아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증발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evaporation bubble unit 30 is mounted to the frame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ucket 20 through the water relay unit 4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cket 20, and through the water relay unit 40. It is a component to receiv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bucket 20 to flow down and evaporate.

본 실시형태에서 증발포 유닛(30)은, 상측 거치대(31), 하측 거치대(32) 및 복수의 증발포(33)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porizing unit 30 includes an upper holder 31, a lower holder 32, and a plurality of vaporizers 33.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는 그 기본적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전술한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봉, 파이프, 빔 또는 판재들을 결합/조립/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31a,32a)와 이 복수의 거치부(31a,32a)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1b,32b)를 포함하여 사다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거치부들(31a,32a) 중 적어도 상측 거치대(31)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거치부의 바깥쪽 측단은 거치대(31,32)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단면 ㄱ자형의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물 중계 유닛(40)을 개재하여 상부 물통(20)이 상측 거치대(31) 위에 놓이게 되었을 때 그 하중에 의해 상측 거치대(31)가 하방으로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upper cradle 31 and the lower cradle 32 has substantially the same basic structure, and like the frame 10 described above, metal / plastic rods, pipes, beams or plates may be combined / assembled / molded to be manufactured. Can be. As shown in FIG. 4, the upper cradle 31 and the lower cradle 32 have a plurality of cradles 31a and 32a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cradles 31a and 32a,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ladder-like form, including connecting portions 31b and 32b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outer sid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31a, 32a is bent perpendicular to the plane formed by the mounting brackets 31, 32 so as to have a cross-shaped a-shaped moun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is i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cradle 31 bent downward by the load when the upper bucket 20 is placed on the upper cradle 31 through the water relay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형태에서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는 평판 상의 판재를 펀칭 가공 또는 레이저 절단 등의 방법으로 사다리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또는,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의 거치부(31a,32a)와 연결부(31b,32b)는 각각 평판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거치부(31a,32a)의 양단과 연결부(31b,32b)는 리벳,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사다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31a,32a)의 폭과 인접하는 거치부(31a,32a) 간의 간격은,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증발포(33)들이 서로 붙어서 증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5~수 cm 정도로 설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cradle 31 and the lower cradle 32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plate member on a flat plate in a ladder form by a punching process or laser cutting. Alternatively,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and the connecting portions 31b and 32b of the upper holder 31 and the lower holder 32 are each made of a flat plate, and both ends and the connecting portion 31b of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are respectively. , 32b)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ladder by being connected by rivet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a, 32a) and the adjacent mounting portion (31a, 32a), 0.5 ~ number in order to prevent the evaporation cloth 33 is lowered to stick to each other to lower the evaporation efficiency Set it to about cm.

또한, 상측 및 하측 거치대(32)의 거치부(31a,32a)들은 서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고, 각 쌍의 거치부(31a,32a)에는 하나씩의 증발포(33)를 루프 형태로 걸어서 거치부(31a,32a)의 개수만큼의 늘어뜨려지는 증발포(33)를 결합한다. 증발포(33)는 물의 흡수 및 증발 효율이 좋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키친 타월이나 청소용 부직포 원단과 같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of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brackets 32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pairs of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hang one evaporation cloth 33 in a loop form. The number of sagging evaporation cloths 33 is combined as many as 31a and 32a. The evaporation cloth 33 is made of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or paper made of natural or synthetic fibers having good water absorption and evaporation efficiency, and may use a commercial item such as a kitchen towel or a nonwoven fabric for cleaning.

이와 같이 상측 거치대(31), 하측 거치대(32) 및 복수의 증발포(33)로 구성되는 증발포 유닛(30)은 프레임(10)에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증발포 유닛(30)의 상측 거치대(31)의 양단 연결부(31b)가 프레임(10)의 상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b)의 상면 위에 올려지고, 증발포 유닛(30)의 하측 거치대(32)의 양단 연결부(32b)가 프레임(10)의 하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c)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In this way, the upper cradle 31, the lower cradle 32 and the evaporation cannon unit 30 composed of a plurality of evaporation can (33) is mounted on the frame 10, specifically, the upper cradle of the evaporator gun unit (30) The connecting portion 31b at both ends of the 3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shaped beams 12b in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s 32b at both ends of the lower cradle 32 of the vaporizing unit 30 are connected to the frame. It is mounted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L-shaped beams 12c in the lower middle of the 10.

한편, 증발포 유닛(30)은 프레임(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배치되는 ㄱ자형 빔(11)의 전면(前面)에서 상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b)의 상면 바로 위쪽의 높이 및 하측 중간의 ㄱ자형 빔들(12c)의 하면 바로 아래쪽의 높이에 각각 절개홈(11a,11b)을 형성해 두고, 이 절개홈(11a,11b)에 상측 거치대(31)의 양단 연결부(31b) 및 하측 거치대(32)의 양단 연결부(32b)를 각각 삽입하여 Y축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10. To this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middle just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shaped middle beams (12b) in the front of the vertically-shaped beam-shaped beam (11) The cutting grooves 11a and 11b are formed at the heights directly below the lower surfaces of the L-shaped beams 12c,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ortions 31b and the lower holder 32 of the upper cradle 31 are formed in the cutting grooves 11a and 11b, respectively. It can be configured to be mounted by inser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32b) of each) and pushed in the Y-axis direction.

이와 같이 증발포 유닛(30)을 프레임(10)과는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여 프레임(10)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기간(예컨대, 한 시즌) 가습기를 사용하여 증발포(33)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등 훼손되었을 때, 증발포 유닛(30)을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증발포(33)만을 교체하고 다시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is formed in a form separate from the frame 10 and can be mounted / removed to the frame 10, so that the evaporation cloth 33 is used by using a humidifier for a long time (for example, one season). When damaged, such as being soiled or torn,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can be removed from the frame 10 to replace only the evaporation cloth 33 and can be mounted on the frame 10 again.

한편, 증발포 유닛(30)의 상측 거치대(31)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거치대(31)의 거치부(31a)가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 경우, 그 위에 장착되는 상부 물통(20) 및 물 중계 유닛(40)의 무게에 의해, 특히 물 중계 유닛(40)이 얹어지는 중간 부분이 아래로 휠 수 있다. 그러면, 이 중간 부분의 아래에 위치한 증발포(33) 부분이 하방으로 똑바로 늘어뜨려지지 못하고 구부러져서 인접하는 증발포(33)들이 서로 붙어서 증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적어도 상측 거치대(31)의 가장 바깥쪽 거치부(31a)를 ㄱ자형 빔으로 구성하여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radle 31 of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especial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unting portion 31a of the upper cradle 31 is made of a thin plate, the upper bucket 20 and water mounted thereon By the weight of the relay unit 40, in particular the middle part on which the water relay unit 40 is placed can bend down. Then, the portion of the evaporation cloth 33 positioned below the middle portion is not bent straight down and bent so that adjacent evaporation cloths 33 stick to each other and thus the evapora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t least the outermost mounting portion (31a) of the upper holder (31) with a L-shaped beam to have rigidity.

이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서 상부 물통(20)의 구멍(21)과 함께 물의 공급 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물 중계 유닛(40)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일부 단면도로서 물 중계 유닛(40)을 중심으로 상부 물통(20)과 증발포 유닛(30)의 상단부까지 도시하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he water relay unit 40,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determining the supply rate of water together with the holes 21 of the upper bucket 20 in 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eanwhile,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er illustrated in FIG. 2 and shows the upper bucket 20 and the upper end of the evaporation unit 30 around the water relay unit 40.

물 중계 유닛(40)은 상부 물통(20)과 증발포 유닛(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상부 물통(20)의 구멍(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증발포 유닛(30)의 복수의 증발포(33)로 골고루 분배하여 중계하는 구성요소이다.The water relay unit 40 is mount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ucket 20 and the evaporation bubble unit 30 to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holes 21 of the upper bucket 20. It is a component that distributes evenly to the evaporation cloth 33 to be relayed.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가습기의 경우 물의 공급 속도 조절이 곤란하고 일정하지 않은 반면, 특허문헌 3 및 4에 개시된 가습기는 물의 공급 속도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유량 조절 밸브나 점적량 조절기가 쉽게 막히고 청소 등 유지 보수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humidifi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t is difficult and constant to control the supply rate of water, whereas the humidifi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3 and 4 can finely control the supply rate of water, but the flow control valve or the drop amount regulator Is easily clogged and difficult to maintain such as cleaning.

이에 본 발명자는 상부 물통(20)의 밑면에 구멍(21)을 뚫어 증발포(33)의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되, 구멍(21)의 직경을 특허문헌 3 및 4의 유량 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는 유로의 직경보다는 크게(예컨대, 수 mm 정도로) 함으로써, 구멍(21)이 쉽게 막히지 않고 막히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런데, 단순히 구멍(21)의 직경을 크게 하기만 하면, 큰 구멍을 통해 증발포(33)에 의한 증발 속도를 훨씬 넘는 빠른 속도로 물이 배출되어 버려 가습 효과가 거의 없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처 증발하지 못하고 증발포(33)를 따라 흘러내린 물은 하부 물통(50)에 저수되지만, 하부 물통(50)에 고인 물 및 하부 물통(50)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시 증발포(33)로 끌어올려진 물이 증발되어 가습에 기여하는 정도는 미미하다).The present inventors drill the hole 21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to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evaporation cloth 33,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adjusted by the flow controller of Patent Documents 3 and 4 By making i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for example, about a few mm), a method has been devised for the general user to easily clean the hole 21 even if it is not blocked. However, if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simply increased, water is discharged at a high speed far beyo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evaporation cloth 33 through the large hole, and there is little humidification effect (as described below, The water which flowed along the evaporation bubble 33 without being evaporated is stored in the lower bucket 50, but from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bucket 50 and the lower bucket 50 back to the evaporator 33 by capillary action. The amount of water drawn up evaporates and contributes to the humidification is minim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 물통(20)의 구멍(21) 직경을 크게 하더라도 큰 구멍(21)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지는 않도록 물 중계 유닛(40)을 안출하였다. 즉, 본 발명의 가습기에서 물 중계 유닛(40)은, 그 상단이 상부 물통(20)의 구멍(21)을 막으면서 상부 물통(20)의 저면과 접하되 구멍(21)을 완전히 폐색하지는 않도록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물 중계 유닛(40)의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멍(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물 중계 유닛(40)의 표면을 따라 소량씩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 중계 유닛(40)의 상단은 상부 물통(20)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어 구멍(21)을 적절한 압력으로 막는다. 또한, 물 중계 유닛(40)의 하단은 상측 거치대(31)에 걸린 복수의 증발포(33)의 상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져 구멍(21)을 통해 배출되고 물 중계 유닛(40)의 표면을 통해 소량씩 흐르는 물을 증발포(33)로 중계하여 증발되게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iameter of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is increased, the water relay unit 40 is devised so that water is not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large hole 21. That is, in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lay unit 4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while the upper end thereof blocks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but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hole 21. At least the surfac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bsorbency. In other words, at least the surface of the water relay unit 40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o tha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es 21 can flow out in small amounts along the surface of the water relay unit 40.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lay unit 40 is pressuriz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2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to close the hole 21 at an appropriate pressure.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lay unit 40 is made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 33 caught in the upper cradle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21 and a small amount through the surface of the water relay unit 40 The flowing water is relayed to the evaporation cloth 33 to be evaporated.

한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부 물통(20)의 물이 줄어들면 그만큼 구멍(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압도 줄어들어, 물 중계 유닛(40)의 상단이 구멍(21)을 막는 힘이 일정하다면 물의 공급 속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물 중계 유닛(40)은 상부 물통(20)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이므로, 상부 물통(20)의 물이 줄어들면 줄어든 물의 무게만큼 물 중계 유닛(40)의 상단에 가해지는 압력도 줄어들고 그에 따라 구멍(21)을 막는 압력도 줄어들게 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압 저하 및 공급 속도 저하를 상쇄하게 되어, 별도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구멍(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공급 속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물통(20)의 상단 외주부에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22)가 프레임(10)의 상단에 가로로 배치되어 있는 ㄱ자형 빔들(12a)의 상면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물통(20) 및 그 안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따라 상부 물통(20)이 자연스럽게 물 중계 유닛(40)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decreases over tim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es 21 decreases, so that if the for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lay unit 40 to block the holes 21 is constan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supply speed of water may fall with time. However, since the water relay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uriz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2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the water relay unit 40 as much as the weight of the reduced water when the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is reduced (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40) is also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blocking the hole 21, thereby offsetting the decrease in water pressure and supply speed over time, thereby naturally opening the hole 21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eed rate) can be kept constant. In view of this,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s 22 protruding laterally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bucket 20 are not caught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shaped beams 12a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It is desirable t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ucket 20 has a structure capable of naturally pressing the water relay unit 40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20 and the water stored therein.

본 실시형태에서 물 중계 유닛(40)은, 중계 블록(41), 중계 접시(43) 및 이들을 감싸는 중계포(42,44)로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relay unit 40 includes a relay block 41, a relay dish 43, and relay cloths 42 and 44 surrounding them.

중계 블록(41)은 상부 물통(20)의 구멍(21)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구멍(21)을 막는 구성요소이다. 중계 블록(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21)을 완전히 폐색하지는 않도록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 예컨대 스펀지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중계 블록(41) 자체는 흡수성이 없는 스티로폼과 같은 가벼운 재료로 이루어지고, 중계 블록(41)의 외표면을 흡수성을 가지는 중계포(제1 중계포(42))로 감싸서 제작할 수도 있다. 제1 중계포(42)로는 전술한 증발포(33)와 동일한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lay block 41 is a component disposed directly below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to block the hole 21. The relay block 4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t least a surface absorbent, such as a sponge, so as not to completely occlude the hole 21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lay block 41 itself is made of a light material such as styrofoam having no absorptivity, and has a water absorbent relay cloth (first relay cloth 42). You can also wrap it with As the first relay fabric 42,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paper, or the lik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described evaporation cloth 33 can be use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블록(41)의 상부 표면에는, 상부 물통(20)의 구멍(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움푹 들어간 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1a)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중계 블록(41)에 의한 구멍(21)을 막는 힘 및 그에 따른 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보조적인 수단이다. 즉, 이 홈(41a)이 없더라도 중계 블록(41) 및 그 표면에 감싸진 제1 중계포(42)에 의해 구멍(21)을 적절한 압력으로 막을 수 있지만, 이 홈(41a)은, 장기간 사용에 의해 중계 블록(41)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중계포(42)가 눌려서 흡수성이 저하되어 구멍(21)을 과도한 압력으로 막거나(결과적으로 물의 공급 속도가 저하되거나), 반대로 구멍(21)을 막는 힘이 저하되어 물의 공급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완충하여,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하고, 구멍(21)을 통해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41, the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41a) is formed. This groove 41a is not essential but is an auxiliary means of controlling the force blocking the hole 21 by the relay block 41 and thus the rate of supply of water. That is, even if the groove 41a is not present, the hole 21 can be closed at an appropriate pressure by the relay block 41 and the first relay cloth 42 wrapped on the surface thereof, but this groove 41a is used for a long time. Presses the first relay 42 positioned above the relay block 41 to desorb absorbent to block the hole 21 with excessive pressure (as a result, the supply speed of water decreases) or, conversely, the hole 21 The damping force is lowered to cushion the increase in the supply speed of water, thereby providing a constant pressing force, and temporarily stor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e 21.

중계 접시(43)는 중계 블록(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중계포(42)에 감싸진 중계 블록(41)을 수용하면서 그 하단이 복수의 증발포(33)의 상단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접시 또는 쟁반 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중계 접시(43)는 구멍(21)을 통해 배출되어 중계 블록(41)의 외표면을 감싼 제1 중계포(42)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일시 저장함으로써 물의 공급 속도의 증감을 완충하는 기능과 함께, 공급되는 물을 복수의 증발포(33)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중계 접시(43)는 그 외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중계포(제2 중계포(44))로 감싸진다. 제2 중계포(44)로는 전술한 증발포(33)와 동일한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접시(43)는 복수의 증발포(33) 전체에 물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중계 접시(43)의 Y축 방향 길이가 상측 거치대(31)의 Y축 방향 길이 이상이 되도록 설정된다.The relay dish 43 is disposed under the relay block 41 to receive the relay block 41 wrapped in the first relay cloth 42, and the lower end 43 is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33. It is a component in the form of a dish or tray. The relay plate 43 temporarily buffer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e 21 and flows down through the first relay cloth 42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41 to buffer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ater supply speed. At the same time, the water to be supplied is spread evenly over the entire evaporation cloth 33. To this end, the relay dish 43 is wrapped in a relay cloth (second relay cloth 44) whose outer surface is absorbent. As the second relay fabric 44,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paper, or the lik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described evaporation cloth 33 can be used. In addition, the relay dish 43 is set so that at least the Y-axis length of the relay dish 4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Y-axis length of the upper cradle 31 so that the water can diffuse into the entir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33. do.

한편, 중계 블록(41)에 의해서 물의 공급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물을 복수의 증발포(33)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면, 중계 접시(43)는 생략해도 된다. 다만, 이 경우, 중계 블록(41)의 Y축 방향 길이는 상측 거치대(31)의 Y축 방향 길이 이상이 되도록 그 크기가 설정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s long as the feed rate of water is kept constant by the relay block 41 and the water can be evenly spread over the entire evaporation cloth 33, the relay dish 43 may be omitted. In this case, however, the size of the relay block 41 should be set so that the length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relay block 4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upper holder 31.

한편, 이상과 같은 물 중계 유닛(40)의 구성에 의해 상부 물통(20)의 구멍(21)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는데, 그렇더라도 구멍(21)의 직경을 과도하게 크거나 과도하게 작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구멍(21)의 직경이 과도하게 크면 물 중계 유닛(40)이 가압하면서 막는다고 하더라도 구멍(21)을 통한 물의 배출 속도(공급 속도)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반대로, 구멍(21)의 직경이 과도하게 작으면 물의 응집력과 물 중계 유닛(40)의 가압력에 의해 물의 배출 속도가 과도하게 떨어지거나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 물때 등에 의해 구멍(21)이 막힐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구멍(21)의 직경은 1~7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이 구멍(21)의 직경은 가습기의 전체 크기나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relay unit 40 as described above can be made relatively large in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even if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small It is not desirable. If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water relay unit 40 is blocked while pressing, the discharge rate (supply rate) of water through the hole 21 may be excessively large. On the contrary, if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excessively small, the discharge speed of the water may drop excessively or may not be discharged due to the cohesion force of the water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water relay unit 40. It may be block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diameter of the hole 21 is preferably 1 to 7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However, the diameter of the hole 2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verall size or capacity of the humidifie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멍(21)을 상부 물통(20)의 중앙에 하나 뚫은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가습기, 즉 상부 물통(20)의 크기가 큰 경우 복수의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멍(21)의 직경은 구멍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e 2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ucket 20, but when the size of the humidifier, that is, the upper bucket 20 is large, a plurality of holes can be drilled. The diameter of the holes 21 can be appropriately reduc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les.

이와 같이, 상부 물통(20)의 밑면에 뚫려 있는 구멍(21)의 직경이나 개수는 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인데, 가습기의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구멍(21)의 직경이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공급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diameter or number of holes 21 dri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is an important factor in controlling the supply speed of wat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control the supply rate of water by adjusting the diameter or number of.

이를 위해, 상부 물통(20)의 밑면에,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구멍을 뚫어 놓고, 가습기의 사용시 이 복수의 구멍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물통(20)의 밑면에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구멍을 여러 개 뚫어 놓고, 시행착오를 거쳐 최적의 물의 공급 속도를 얻을 수 있는 조합을 선정한 다음, 그 조합에 속하지 않는 구멍들을 접착 테이프로 막아 폐색하는 것이다. 또는 각각의 구멍에 맞는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진 마개를 제공하여 상기 최적의 조합에 속하지 않는 구멍들을 마개로 막아 폐색할 수도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hole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may be drill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and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when the humidifier is use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holes having various diameters are drill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20, and a combination for obtaining an optimum water supply rate through trial and error is selected, and then holes not belonging to the combination are adhesive tapes. To block it. Alternatively, a stopper made of, for example, rubber for each hole may be provided to block and block holes not belonging to the optimum combina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는 증발포 유닛(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물통(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물통(50)은 복수의 증발포(33)를 따라 흘러내려 미처 증발되지 못한 물을 받는 물통으로서, 증발되지 못하고 흘러내린 물이 실내의 바닥까지 적시는 것을 막기 위한 요소이다. 다만, 복수의 증발포(33)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모두 증발되는 경우나, 실내의 바닥에 약간의 물이 흐르더라도 괜찮은 경우에는 이 하부 물통(50)을 생략해도 된다.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bucket 50 disposed below the evaporation cloth unit 30. The lower bucket 50 is a bucket that receives water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by flowing along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33, and is an element for preventing water that has not evaporated and flowed down to the floor of the room. However, when all the water which flowed along the some evaporation cloth 33 evaporates, or when some water may flow to the floor of the room, this lower bucket 50 may be abbreviate | omitted.

한편, 하부 물통(50)을 구비한 경우, 복수의 증발포(33)는 그 하단부(33a)가 하부 물통(50)의 바닥까지 닿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부 물통(20)의 물이 모두 소진되고 증발포(33)를 적셨던 물까지 모두 증발한 뒤에는, 하부 물통(50)에 고인 물을 증발포(33)로 끌어올려 증발시킴으로써, 미미하지만 추가적인 가습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when provided with a lower bucket 50,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an 33 may be such that the lower end (33a) to reach the bottom of the lower bucket (50). This is a slight but additional after the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is exhausted and all the water evaporated by the evaporation can (33),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bucket (50) by lifting the evaporator (33) to evaporate, This is to obtain a humidification effect.

이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습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기재된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Next,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본 실시예의 가습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고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양으로 제작하였다.The humidifier of this example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to 5 and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as manufactured to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1) 프레임(10)(1) frame (10)

두께 1mm 정도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레이저 절단 및 절곡 가공하여, 일변의 폭이 15mm인 단면 ㄱ자형 빔을 만들고, 이 ㄱ자형 빔들을 리벳으로 연결하여 프레임(10)을 제작하였고, 전체 크기는 가로(X축 길이): 300mm, 세로(Y축 길이): 240mm, 높이(Z축 길이): 700mm로 하였으며, 하단에서 100mm 높이에 하측 중간 ㄱ자형 빔(12c)을 설치하고, 상단에서 100mm 낮은 높이에 상측 중간 ㄱ자형 빔(12b)을 설치했다.Laser cutting and bending the stainless steel sheet of about 1mm thickness to make a cross-section A-shaped beam having a width of 15mm on one side, and made the frame 10 by connecting the L-shaped beams with rivets. Shaft length): 300mm, length (Y-axis length): 240mm, height (Z-axis length): 700mm, the lower middle L-shaped beam (12c) is installed at a height of 100mm from the bottom, the upper side at a height 100mm lower from the top The middle L-shaped beam 12b was installed.

(2) 상부 물통(20)(2) upper bucket (20)

가로(X축 길이): 270mm, 세로(Y축 길이): 200mm, 높이(Z축 길이): 70mm 크기의 투명 플라스틱 통을 상부 물통(20)으로 사용하고, 밑면 중앙에 직경 4mm의 구멍(21)을 뚫었다.Horizontal (X-axis length): 270 mm, Vertical (Y-axis length): 200 mm, Height (Z-axis length): A 70 mm transparent plastic tub is used as the upper bucket (20), and a hole with a diameter of 4 mm in the bottom center (21 )

(3) 물 중계 유닛(40)(3) water relay unit (40)

가로(X축 길이): 80mm, 세로(Y축 길이): 80mm, 높이(Z축 길이): 25mm 크기의 스펀지 위에, 가로(X축 길이): 80mm, 세로(Y축 길이): 80mm, 높이(Z축 길이): 20mm 크기의 스티로폼을 적층하여 중계 블록(41)을 만들고, 제1 중계포(42)로서 광진산업㈜제 KJW시리즈의 부직포로 스펀지와 스티로폼을 함께 5회 감아서 감쌌다. 또한, 스티로폼의 상부 표면 중앙의 상기 상부 물통(20)의 구멍(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경 13mm의 반구형 홈(41a)을 형성하였다.Horizontal (X-axis length): 80 mm, Vertical (Y-axis length): 80 mm, Height (Z-axis length): On a 25 mm sponge, Horizontal (X-axis length): 80 mm, Vertical (Y-axis length): 80 mm, Height (Z-axis length): 20 mm sized styrofoam was laminated to make a relay block 41, and the sponge and styrofoam were wrapped together with a nonwoven fabric of KJW series manufactured by Kwangjin Industrial Co., Ltd. as a first intermediate cloth 42 and wrapped five times together. In addition, a hemispherical groove 41a having a radius of 13 mm wa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yrofoam.

중계 접시(43)로서 가로(X축 길이): 150mm, 세로(Y축 길이): 220mm, 턱의 높이(Z축 길이): 20mm 크기의 사각 접시를 사용하고, 제2 중계포(44)로서 제1 중계포와 동일한 부직포로 중계 접시(43)를 2회 감아서 감쌌다.As the relay plate 43, a square plate having a width (X axis length): 150 mm, a length (Y axis length): 220 mm, and a height of the jaw (Z axis length): 20 mm, was used as the second relay cloth 44. The relay dish 43 was wound twice and wrapped with the same nonwoven fabric as a 1st relay fabric.

(4) 증발포 유닛(30)(4) evaporation unit (30)

프레임(10)과 동일하게 두께 1mm의 스테인리스 강판을 레이저 절단 및 절곡 가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를 제작하였다. 이때, 상측 거치대(31) 및 하측 거치대(32)의 거치부(31a,32a)의 폭은 15mm, 거치부(31a,32a)들간의 간격은 15mm로 함으로써 세로(Y축 길이)는 225mm로 하였으며, 가로(X축 길이)는 270mm로 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the frame 10, a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 mm was laser cut and bent to produce an upper cradle 31 and a lower cradle 3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and the lower mounting bracket 32 was 15 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31a and 32a was 15 mm, so that the length (Y-axis length) was 225 mm. And the width (X-axis length) were 270 mm.

제1 중계포(42)와 동일한 부직포를 길이: 1260mm, 폭: 260mm로 재단한 것을 8장 준비하여 증발포(33)로 하고, 각 증발포(33)의 중간 부위를 상측 거치대(31)의 각 거치부(31a)에 걸어 늘어뜨리고 하측 거치대(32)의 대응하는 거치부(32a) 아래에서 증발포(33)의 양단을 스냅 단추로 성기게 결합하여 루프 형상으로 만들었다. 완성된 증발포 유닛(30)에서 상측 거치대(31)와 하측 거치대(32) 간의 거리는 약 520mm였고, 하측 거치대(32)의 거치부(32a) 아래로 늘어뜨려진 증발포(33)의 하단부(33a) 길이는 약 80mm였다.Eight pieces of the same nonwoven fabric as the first intermediate fabric 42 cut to a length of 1260 mm and a width of 260 mm were prepared to be an evaporation cloth 33, and an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evaporation cloth 33 was placed on the upper holder 31. Hanging on each mounting portion (31a) hangs under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32a) of the lower holder 32, coarse coupling of both ends of the evaporator (33) by a snap button to make a loop shap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radle 31 and the lower cradle 32 in the completed evaporation cloth unit 30 was about 520 mm, and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ion cloth 33 hanging down below the cradle 32a of the lower cradle 32 ( 33a) was about 80 mm long.

(5) 하부 물통(50)(5) Lower Bucket (50)

가로(X축 길이): 260mm, 세로(Y축 길이): 190mm, 높이(Z축 길이): 60mm 크기의 투명 플라스틱 통을 하부 물통(50)으로 사용하였다.A horizontal plastic (X-axis length): 260 mm, vertical (Y-axis length): 190 mm, height (Z-axis length): 60 mm size transparent plastic barrel was used as the lower bucket (50).

위와 같이 준비한 각 구성요소들을 조립/결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습기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부 물통(20)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22)는 프레임(10)의 상단으로부터 약 2cm 정도 높게 위치하였다.Each component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assembled / combined with a humidifier as shown in FIG. 2.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2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top of the upper bucket 20 was positioned about 2cm higher from the top of the frame 10.

위와 같이 제작한 가습기에 대하여 가습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상대습도: 약 30%, 온도: 약 20℃로 유지되는 실내에서 증발포(33)를 포함한 가습기의 모든 구성요소가 건조한 상태에서, 상부 물통(20)에 약 1.6L의 수돗물을 담고(상부 물통의 초기 수위: 30mm),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부 물통(20)에 담긴 물의 줄어든 양(줄어든 수위), 공급되는 물에 의해 증발포(33)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증발포가 적셔지는 길이, 하부 물통(50)에 고이는 물의 양(수위)을 측정하였다. 한편, 가습 효과는, 변화하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지 않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부 물통(20)에서 줄어든 물의 양(줄어든 수위)과 하부 물통(50)에 고이는 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줄어든 양만큼의 물이 증발되어 가습에 기여했다고 간주함으로써 평가하였다.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humidification effect of the humidifier produced as described abov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about 1.6 L of tap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while all components of the humidifier including the evaporator 33 were dry in a room maintained at a relative humidity of about 30% and a temperature of about 20 ° C. (The initial level of the upper bucket: 30 mm),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bucket 20 over time (decreased level), the evaporation of the evaporation can be soak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evaporation cloth 33 by the water supplied The amount (water level) of water accumulated in the length and the lower bucket 50 was measured. On the other hand, the humidification effect is not measured by measuring the changing humidity of the room, but by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reduced water level) reduced in the upper bucket 20 and the amount of water that accumulates in the lower bucket 50 over time. It was evaluated by considering that a reduced amount of water was evaporated to contribute to humidification.

실험 개시후 5분이 경과하자 중계 블록(41) 및 중계 접시(43)를 감싼 중계포(42,44)가 모두 적셔지고, 증발포(33)는 아직 적셔지지 않았다. 이후 실험 종료시(상부 물통(20)의 물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중계 접시(43)를 감싼 중계포(44)는 적셔진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중계 접시(43)에 물이 고이지는 않은 상태가 유지되었다. 이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로 정리한다.When 5 minutes had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ll of the relay fabrics 42 and 44 surrounding the relay block 41 and the relay dish 43 were wetted, and the evaporation cloth 33 was not wetted yet. After the experiment (when all the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is exhausted), the relay cloth 44 wrapped in the relay dish 43 was kept in a wet state, but the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relay dish 43 Was maintained. Hereinafter, the result measured over time is put together in the table below.

경과시간
(시간)
Elapsed time
(time)
상부 물통의 수위
(mm)
Water level of upper bucket
(mm)
증발포의 적셔진 길이
(cm)
Wet length of evaporation cloth
(cm)
하부 물통의 수위
(mm)
Water level in the lower bucket
(mm)
0.50.5 2525 5~105-10 00 1One 2323 20~2520-25 00 22 1919 40~5040-50 00 33 1616 전체(단, 최외곽에 위치한 증발포는 약 40cm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All (except for the outermost evaporation can no longer increase at about 40 cm) 00 44 1212 00 55 77 00 66 1One 00

표 1에서 보듯이 약 6시간이 경과하면 상부 물통(20)의 물이 거의 모두 소진되고, 실험 종료시까지 하부 물통(50)에는 물이 고이지 않은 점으로부터, 약 1.6L의 물이 6~7시간에 걸쳐 고르게 증발됨을 알 수 있다. 이 정도의 증발량과 증발 속도는 통상적인 초음파 가습기의 증발량과 증발 속도에 비추어 충분히 실용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when about 6 hours have elapsed, almost all of the water in the upper bucket 20 is exhausted, and since the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lower bucket 50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about 1.6L of water is about 6 to 7 hours. It can be seen that it evaporates evenly over. This amount of evaporation and the rate of evaporation can be said to be practical enough in view of the evaporation rate and evaporation rate of a conventional ultrasonic humidifier.

한편, 표 1에서 증발포의 적셔진 길이는 증발포의 위치에 따라, 특히 최외곽에 위치한 증발포가 덜 적셔지는 등 약간의 편차가 있었지만 대체로 고르게 적셔졌고, 최외곽에 위치한 증발포가 덜 적셔진 것은 최외곽의 증발포에서 가장 활발하게 증발이 이루어진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3시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증발포(33)는 하부 물통(50)의 밑바닥까지 늘어뜨려진 증발포 하단부(33a)까지 충분히 적셔졌지만, 하부 물통(50)에 고이지는 않았다. 이로부터, 증발포(33)에 의한 물의 증발 속도와 증발포(33)로의 물의 공급 속도가 거의 일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able 1, the length of the evaporation cloth was slightly we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vaporation cloth, in particular, the outermost evaporation cloth was less wet, but was generally evenly wetted, and the outermost evaporation cloth was less wet. It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ost active evaporation in the outermost evaporation cloth. In addition, when 3 hours or more passed, the evaporation bubble 33 was fully wetted to the evaporation bubble lower end part 33a hang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bucket 50, but it did not collect in the lower bucket 50.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evaporation of water by the evaporation cloth 33 and the rate of supply of water to the evaporation cloth 33 almost matched.

여기서, 물의 평균 공급 속도를 계산해 보면, 1.6L의 물이 6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공급되었다고 보았을 때, 1600ml÷360분 ≒ 4.44ml/분 ≒ 0.074ml/초가 되고, 이는 점적식 유량 조절 밸브로도 조절하기 어려운 미량임을 알 수 있다.Here,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feed rate of water, it is 1600 ml ÷ 360 minutes ≒ 4.44 ml / min ≒ 0.074 ml / second, assuming that 1.6L of water is constantly supplied over 6 hour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 drip flow control valve It can be seen that the trace is difficult to adjust.

이어서, 비교예로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의 가습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사용하되, 상부 물통(20)에는 물을 공급하지 않고 하부 물통(50)에만 동일한 양(1.6L)의 수돗물을 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줄어드는 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이 증발 속도(물이 줄어드는 속도)가, 정확한 측정이 곤란할 정도로 현저하게 떨어져(14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줄어든 물의 수위가 약 20mm 정도로, 양으로는 약 0.98L에 불과),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의 자연 증발식 가습기는 실용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Next, as a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confirm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of the same method as Patent Document 1 that supplies wat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by capillary action, 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but the upper bucket ( 20) contained the same amount (1.6L) of tap water only in the lower bucket 50 without supplying water, and measured the amount of water decreasing with time. As a result, the rate of water evaporation (the rate at which the water decreases) drops remarkably so that accurate measurement is difficult (at the time of 14 hours, the level of the reduced water is about 20 mm, the amount is only about 0.98 L).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n the same manner as 1 was not practic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가습기에 의하면, 물의 증발 속도에 맞추어 적절하고 일정한 속도로 증발포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전력 등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히 실용적인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부 물통(20)의 구멍(21)에 맞추어 물 중계 유닛(40)을 배치하고 상부 물통(20)에 물을 채우는 것만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한 부품들로만 가습기가 구성되며, 상부 물통(20)의 구멍(21)이 쉽게 막힐 정도로 작지 않아, 일반 사용자라도 특별한 문제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evaporation cloth at an appropriate and constant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evaporation rate of water, and thus a humidifier that is sufficiently practical can be provided without using extra energy such as electric power. In addition, the humid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by arranging the water relay unit 40 in accordance with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and filling the upper bucket 20 with water, and easy to clean only parts. Humidifier is configured, the hole 21 of the upper bucket 20 is not small enough to be easily clogged, even a general user can use for a long time without any particular problem.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프레임
11: 세로 배치 ㄱ자형 빔
12a~12d: 가로 배치 ㄱ자형 빔
20: 상부 물통
21: 구멍
30: 증발포 유닛
31: 상측 거치대
32: 하측 거치대
33: 증발포
40: 물 중계 유닛
41: 중계 블록
41a: 홈
42: 제1 중계포
43: 중계 접시
44: 제2 중계포
50: 하부 물통
10: frame
11: vertically arranged angled beam
12a ~ 12d: horizontally placed L-shaped beam
20: upper bucket
21: hole
30: evaporation unit
31: upper cradle
32: lower cradle
33: evaporation gun
40: water relay unit
41: relay block
41a: home
42: First Gun Cannon
43: relay dish
44: 2nd Cannon
50: lower bucket

Claims (9)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 증발식 가습기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밑면에는 직경이 1~7mm인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물이 저장되는 상부 물통;
상기 상부 물통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물통과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복수의 증발포를 포함하는 증발포 유닛; 및
적어도 표면이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며 상기 상부 물통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고, 하단은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는 물 중계 유닛을 구비하여,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 없이, 상기 상부 물통 및 이 상부 물통에 저장된 물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물 중계 유닛에 의해,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완전히 폐색하지는 않는 정도로 막아,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증발포 유닛으로 공급되는 증발용 물의 공급 속도가 상기 복수의 증발포에 의한 물의 자연 증발 속도에 맞추어 일정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As a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that doesn't use extra energy,
frame;
An upper bucke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bottom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1 to 7 mm, and storing water;
An evaporation bubbl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vaporation bubbles mounted on the frame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bucket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cket; And
At least the surface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the upper end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while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upper bucket while closing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vaporators With a water relay unit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gun,
Without the separate flow control valve, by the water relay unit pressuriz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bucket,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is blocked to a degree that does not completely block, so that the evaporation unit through the hole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rate of the water for evaporation supplied to the constant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by the plurality of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중계 유닛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 하부에 배치되는 중계 블록; 및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는 중계포를 포함하여,
상기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상단이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하단이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lay unit,
A relay block disposed below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absorbent, including a relay cloth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The upp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relay cloth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while blocking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the low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relay gun contacts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중계 유닛은,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 하부에 배치되는 중계 블록;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블록의 외표면을 감싸는 제1 중계포;
상기 중계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을 수용하는 접시 형태의 중계 접시; 및
흡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 접시의 외표면을 감싸는 제2 중계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블록의 상단이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을 막으면서 상기 상부 물통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중계포에 감싸진 상기 중계 접시의 하단이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상단과 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lay unit,
A relay block disposed below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 first relay fabric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A relay dish disposed under the relay block to accommodate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first relay cloth; And
Including a second relay cloth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absorbent,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y dish,
An upper end of the relay block wrapped in the first relay cloth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while blocking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and a lower end of the relay dish wrapped in the second relay cloth is formed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contact with the top.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블록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상부 물통의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움푹 들어간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block, a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upper bucke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포 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 및 상기 복수의 거치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거치대; 상기 상측 거치대와 동일하게 구성된 하측 거치대; 및 각각이 상기 상측 및 하측 거치대의 서로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거치부에 루프를 형성하며 걸어지는 상기 복수의 증발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vaporator unit, the upper cradle including a plurality of cradl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radles; A lower cradl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radle; And a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s each of which is formed by forming loops in a pair of moun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portion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포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poration uni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물통의 밑면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구멍이 뚫려 있어, 사용시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ttom of the upper bucket, a plurality of hole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are drilled, the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 or closed when in u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증발포를 따라 흘러내려 미처 증발되지 못한 물을 받는 하부 물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lower bucket disposed under the evaporation bubble unit, the lower bucket receiving water which has not been evaporated by flowing along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bubb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발포의 하단이 상기 하부 물통의 바닥까지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of claim 8,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evaporation cloth reaches to the bottom of the lower bucket.
KR1020160148950A 2016-11-09 2016-11-09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KR102081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950A KR102081420B1 (en) 2016-11-09 2016-11-09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950A KR102081420B1 (en) 2016-11-09 2016-11-09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162A KR20180052162A (en) 2018-05-18
KR102081420B1 true KR102081420B1 (en) 2020-02-26

Family

ID=6245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950A KR102081420B1 (en) 2016-11-09 2016-11-09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178B1 (en) * 2019-06-11 2021-05-25 김성주 Natural evaporation and horizontal type humidifier
KR20210109710A (en) 2020-02-27 2021-09-07 이종준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434A (en) * 2008-01-31 2009-08-13 Sharp Corp Humidifier
KR101172249B1 (en) * 2012-02-28 2012-08-07 이종준 Nature evaporation type humidifier
KR101513836B1 (en) * 2014-07-22 2015-04-20 강흥묵 Wet Type Air Filtering Humidifi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458A (en) 2007-05-03 2007-05-30 이종준 The wash drying humidifier
KR20110018622A (en) 2009-08-18 2011-02-24 임채린 Environmentally friendly folding humidifier
KR20110005315U (en) 2009-11-23 2011-05-31 장은지 Towel humid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434A (en) * 2008-01-31 2009-08-13 Sharp Corp Humidifier
KR101172249B1 (en) * 2012-02-28 2012-08-07 이종준 Nature evaporation type humidifier
KR101513836B1 (en) * 2014-07-22 2015-04-20 강흥묵 Wet Type Air Filtering Humid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162A (en)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79B1 (en)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KR102081420B1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US7828275B2 (en) Humidifier for use with heated air source
JP5289389B2 (en) humidifier
CN203258783U (en) Evaporative humidifier
JP5052433B2 (en) Humidifier
KR101415220B1 (en)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wall-mounted
US4738805A (en) Humidifier
KR102218691B1 (en) Air cooler with evaporative type having injector and dehumidifier
WO2014115564A1 (en) Humidification device
US8840093B2 (en) Natural evaporation humidifier
KR20210109710A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US8833740B2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JP5891356B2 (en) Humidifier and humidified air purifier
RU160861U1 (en) HUMIDIFIER FOR INSTALLATION ON A HEATING RADIATOR
CN212457249U (en) Humidifier
KR101018930B1 (en) Complex type air cleaner attached to ceiling
KR101172249B1 (en) Nature evaporation type humidifier
CN219910216U (en) Dampproofing mould proof tealeaves storehouse
JP2015059702A (en) Humidifier
CN219572145U (en) Humidifying device
KR200481746Y1 (en) Natural humidifier
KR20140003329U (en) Humidifier made of korean paper
KR102397947B1 (en) Natural vaporizing towel humidifier
CN219014512U (en) Wet curtain assembly and 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2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5

Effective date: 2020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