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69B1 -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69B1
KR102081169B1 KR1020180155418A KR20180155418A KR102081169B1 KR 102081169 B1 KR102081169 B1 KR 102081169B1 KR 1020180155418 A KR1020180155418 A KR 1020180155418A KR 20180155418 A KR20180155418 A KR 20180155418A KR 102081169 B1 KR102081169 B1 KR 10208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blocking plate
ro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택
Original Assignee
에센스인테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스인테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센스인테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폐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폐수를 상기 폐수 탱크로 배출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폐수 넘침 구멍 및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보조 탱크, 상기 보조 탱크와 결합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낮으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을 폐쇄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상기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을 개방하는 개폐 장치,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하측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된 U자형의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장치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배수관 연결부, 공동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집관 연결부,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상기 수집관 연결부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 상기 수차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기 및 상기 수차를 지난 폐수를 배출하는 수집관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WASTEWATER STORAGE APPARATUS HAVING MICOR HYDROPOWER}
본 발명은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폐수로 수차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활용이 어려운 오폐수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소수력 발전장치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층건물 등에서 오폐수를 집수조로 이동시킬 때,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오폐수로 수차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방식의 소수력 발전 장치의 경우 유지 및 운전비용이 저렴하고 조작 제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어려운 오폐수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시적으로 오폐수가 집수관을 통해 낙하하지 않는다는 환경의 특성상 발전기의 높은 운전 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높은 운전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수력 발전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운전 효울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는, 폐수 탱크,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폐수를 상기 폐수 탱크로 배출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폐수 넘침 구멍(121) 및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포함하는 보조 탱크, 상기 보조 탱크와 결합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낮으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121)을 폐쇄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상기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는 개폐 장치,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하측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된 U자형의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장치(160)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배수관 연결부(161), 공동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집관 연결부(162),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상기 수집관 연결부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63), 상기 수차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기(164) 및 상기 수차를 지난 폐수를 배출하는 수집관 배출부(1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보조 탱크 외부에 배치되는 볼탑(131), 상기 볼탑과 연결되어 상기 볼탑과 함께 상하로 유동하는 볼탑 로드(132), 일측이 상기 볼탑 로드와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 로드(136)와 결합되는 막음판 누름 로드(133),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 하측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볼탑 로드(132)와 연결되고 타측에 막음판(135)과 연결되는 개폐줄(138)이 결합되는 막음판 개폐 로드(134) 및 상기 개폐줄(138)과 연결되고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편(137)을 포함하는 막음판(135) 및 일측이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막음판(135)에 포함된 연결편(137)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 로드(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탑 로드(132)는, 상기 볼탑 로드와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 연결부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탑(131)이 하측으로 유동하면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누름 너트(1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로드(136)는, 상기 막음판(135)의 연결편(137)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 로드(136)가 하측으로 유동하면 상기 연결편(137)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막음판 폐쇄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폐수 처리 장치에 따르면, 일시적으로로 많은 양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는바 폐수롤 활용한 소수력 장치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탱크와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탑 로드와 막음판 누름 로드 및 막음판 개폐 로드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100)는 폐수 탱크(110), 보조 탱크(120), 개폐 장치(130), 흡입관(150) 및 발전 장치(16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폐수 탱크(110)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각종 폐수를 저장한다.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는 폐수 탱크(110) 하단에 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건물내 양변기나 세면기, 싱크대에서 발생된 폐수는 유입관을 통해 폐수 처리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데, 유입된 폐수는 바로 폐수 탱크(110)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고, 보조 탱크(120)에 먼저 들어간 후 폐수 탱크(110)로 유입된다.
보조 탱크(120)는 폐수 탱크(110) 내부에 구비되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일측면에 형성된 폐수 넘침 구멍(미도시) 또는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미도시)을 통해 저장된 폐수를 폐수 탱크(110) 쪽으로 배출한다.
개폐 장치(130)는 보조 탱크(120)와 결합되고, 보조 탱크(120)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미도시)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여 보조 탱크(120)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폐수가 폐수 탱크(110)로 배출되도록 한다.
개폐 장치(130)의 세부적인 구조 및 동작 상태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흡입관(150)은 폐수 탱크(110) 내부에 구비되고 하측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되며 U자형의 형상을 가진다. 폐수 탱크(110) 내부에 저장된 폐수는 흡입관(150)을 통해 유입된 후 최종적으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만, 폐수 탱크(110) 내부에 폐수가 유입되는데로 흡입관(150)을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흡입관(150)의 h1을 넘어가면 보조 탱크(120)의 폐수가 순간적으로 폐수 탱크(110) 내에 유입되어 h2까지 채워지고 폐수 탱크(110)의 폐수는 h2에서 h3의 높이가 될 때까지 폐수가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h2가 되었다면 h2에서 흡입관구의 높이 h3과의 차이만큼의 폐수가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발전 장치(160)는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로 수차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발전 장치(160)의 세부적인 구조는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탱크와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탱크(120)는 폐수 탱크(110)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폐수 넘침 구멍(121) 및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포함한다.
폐수 넘침 구멍(121)은 보조 탱크(120) 바닥면에서 기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폐수가 폐수 넘침 구멍(121)을 통해 배출되어 폐수 탱크(1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폐수 넘침 구멍(121)을 통해 배출된 폐수의 양이 누적되어,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폐수 배출 구멍(123)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 장치(130)가 동작되면서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게 된다.
폐수 배출 구멍(123)이 개방되면, 폐수 넘침 구멍(121) 높이까지 저장되어 있던 폐수가 일시적으로 폐수 탱크(110)쪽으로 유입된다.
이때,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h1이었다면, 보조 탱크(120)에서 일시적으로 배출된 폐수에 의해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h1을 초과하게 되고, h2에서 흡입구 높이 h3까지 차이만큼의 폐수가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다량의 폐수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발전 장치(160)의 수차를 가동하여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볼탑(131)은 보조 탱크(130)외부에 설치되고 물위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된다.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폐수가 볼탑(131)과 접촉하게 되면, 볼탑(131)은 위로 상승하게 된다.
볼탑 로드(132)는 볼탑(131)과 연결되어 볼탑과 함께 상하로 유동한다. 예를 들어,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볼탑(131)이 위로 떠오르게 되고 볼탑(131)과 연결된 볼탑 로드(132)도 함께 밀려 올라가게 된다.
반대로,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볼탑(131) 자체 무게에 의해 볼탑이 아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볼탑(131)과 연결된 볼탑 로드(132)도 함께 아래로 끌려 내려오게 된다.
막음판 누름 로드(133)는 일측이 볼탑 로드(132)와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 로드(136)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결 로드(136)는 막음판 누름 로드(133)와 막음판(135)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막음판 누름 로드(133)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면, 막음판 누름 로드(133)와 연결된 연결 로드(136)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 로드(136)는 막음판(135)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소정의 압력으로 막음판(135)을 아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막음판 개폐 로드(134)는 막음판 누름 로드(133) 하측에 위치하며 일측이 볼탑 로드(132)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막음판(135)과 연결되는 개폐줄(138)이 결합된다.
폐수 탱크(1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높아져, 폐수 위에 볼탑(131)이 떠오르게 되면 볼탑(131)과 연결된 볼탑 로드(132)가 위쪽 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때, 일측이 볼탑 로드(132)와 연결된 막음판 개폐 로드(134)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막음판 개폐 로드(134)와 연결된 개폐줄(138)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는 막음판(135)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막음판(135)의 위쪽으로 들려 올려지면 보조 탱크(120) 하측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이 개방되어, 보조 탱크(120)에 저장되어 있던 폐수가 폐수 탱크(110) 쪽으로 배출된다.
막음판(135)은 보조 탱크(120) 하측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막음판(135)은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편(137)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편(137)은 연결 로드(136)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막음판(135)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로드(136)에는 연결편(137)과 결합된 위치의 상측에 돌출되어 연결 로드(136)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연결편(137)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막음판 폐쇄핀(14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로드(136)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막음판(135)으로 전달하여 막음판(135)이 폐수 배출 구멍(123)을 잘 폐쇄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음판(135)은 도 3에 도시된 개폐줄(138)과 연결되고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편(137)을 포함한다. 막음판(135)은 보조 탱크(120) 하측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탑 로드와 막음판 누름 로드 및 막음판 개폐 로드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탑 로드(132)는 볼탑 로드(132)와 막음판 누름 로드(33) 연결부위의 상측에 결합되어 볼탑(131)이 하측으로 유동하면 막음판 누름 로드(133)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누름 너트(139)를 포함한다.
따라서, 볼탑(131)이 아래쪽에 유동함에 따라 볼탑 로드(132)가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게 되면, 누름 너트(139)가 막음판 누름 로드(133)에 접촉하여, 막음판 누름 로드(133)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막음판 누름 로드(133)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연결 로드(136)가 같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 로드(136)에 돌출된 막음판 폐쇄핀(141)이 연결편(137)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는 막음판(135)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보조 탱크(120) 하측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볼탑(132)이 상측으로 유동하면, 볼탑 로드(132)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볼탑 로드(132)와 막음판 개폐 로드(134) 연결 부위 하측에 결합된 개폐 로드 해제 너트(142)가 막음판 개폐 로드(134)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막음판 개폐 로드(134)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면 개폐줄(138)도 위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막음판(135)이 들려 올려져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구조를 단순화 하여 도시하였는바, 실제 폐수 처리 장치(100)의 구조와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먼저, i) 단계를 참고하면 외부에서 유입된 폐수는 먼저 보조 탱크(120)로 유입된다. 이때, 폐수 배출 구멍(123)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다. 보조 탱크(120)에 폐수가 유입됨에 따라 보조 탱크(120)의 수위가 높아져 폐수 넘침 구멍(121)까지 폐수가 차오르면,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폐수는 폐수 탱크(110)쪽으로 이동된다.
폐수 탱크(110) 쪽으로 유입된 폐수의 수위가 점점 높아져 볼탑(131)이 위치한 높이까지 차오르게 되면, ii)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탑(131)이 점점 떠오르게 된다.
볼탑(131)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3 및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음판(135)이 개방되어 보조 탱크(120)에 저장되어 있던 폐수가 일시적으로 폐수 탱크(110)쪽으로 유입된다.
보조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폐수가 일시적으로 폐수 탱크(110)쪽으로 유입되면 iii)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탱크 및 볼탑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음), 폐수 탱크(110)의 수위가 일시적으로 흡입관(150)의 높이 h1보다 높아져 h2에 이르게 된다.
이때, h2까지 높아진 폐수 탱크(110)의 수위가 다시 흡입구의 높이 h3까지 낮아질 때까지, 폐수가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폐수가 흡입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폐수롤 활용한 소수력 장치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60)는 배수관 연결부(161), 수집관 연결부(162). 수차(163), 발전기(164) 및 수집관 배출부(165)를 포함한다.
배수관 연결부(161)는 흡입관(150)과 연결되어 폐수 탱크(110)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된다. 폐수 탱크(110)에서 일시적으로 배출되는 다량의 폐수는 배수관 연결부(161)를 통해 수차(163)로 흐르게 된다.
수집관 연결부(162)는 공동 배수관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의 경우 상층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수집관 연결부(162)를 통해 유입되어 수차(163)로 흐르게 된다.
수차(1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 연결부(161)와 수집관 연결부(162)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의해 회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차(163)는 폐수와 접촉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폐수가 수차(163)의 블레이드와 접촉하게 되면 수차(163)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발전기(164)는 수차(163)가 회전하며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수차(163)를 지난 폐수는 수집관 배출부(165)를 통해 다시 공동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하층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발전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는바, 수집관 배출부(165)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는 다시 하층의 발전 장치(160)를 구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폐수 처리 장치(100)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다량의 폐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폐수 처리 장치 110 : 폐수 탱크
120 : 보조 탱크 121 : 폐수 넘침 구멍
123 : 폐수 배출 구멍 130 : 개폐 장치
131 : 볼탑 132 : 볼탑 로드
133 : 막음판 누름 로드 134 : 막음판 개폐 로드
135 : 막음판 136 : 연결 로드
137 : 연결편 138 : 개폐줄
139 : 누름 너트 141 : 막음판 폐쇄핀
142 : 개폐 로드 해제 너트 150 : 흡입관
160 : 발전 장치 161 : 배수관 연결부
162 : 수집관 연결부 163 : 수차
164 : 발전기 165 : 수집관 배출부

Claims (3)

  1. 폐수 탱크(110);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상기 폐수를 상기 폐수 탱크로 배출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폐수 넘침 구멍(121) 및 하측면에 형성된 폐수 배출 구멍(123)을 포함하는 보조 탱크(120);
    상기 보조 탱크와 결합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높이보다 낮으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121)을 폐쇄하고, 상기 폐수 탱크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가 상기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폐수 배출 구멍(123)을 개방하는 개폐 장치(130);
    상기 폐수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하측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된 U자형의 흡입관(150);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 장치(160)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장치(160)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배수관 연결부(161);
    공동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집관 연결부(162);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상기 수집관 연결부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63);
    상기 수차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기(164); 및
    상기 수차를 지난 폐수를 배출하는 수집관 배출부(165)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보조 탱크 외부에 배치되는 볼탑(131);
    상기 볼탑과 연결되어 상기 볼탑과 함께 상하로 유동하는 볼탑 로드(132);
    일측이 상기 볼탑 로드와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 로드(136)와 결합되는 막음판 누름 로드(133);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 하측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볼탑 로드(132)와 연결되고 타측에 막음판(135)과 연결되는 개폐줄(138)이 결합되는 막음판 개폐 로드(134); 및
    상기 개폐줄(138)과 연결되고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편(137)을 포함하는 막음판(135); 및
    일측이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막음판(135)에 포함된 연결편(137)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 로드(136)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탑 로드(132)는,
    상기 볼탑 로드와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 연결부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탑(131)이 하측으로 유동하면 상기 막음판 누름 로드(133)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누름 너트(1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로드(136)는,
    상기 막음판(135)의 연결편(137)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 로드(136)가 하측으로 유동하면 상기 연결편(137)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막음판 폐쇄핀(141)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 장치.
KR1020180155418A 2018-12-05 2018-12-05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KR10208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18A KR102081169B1 (ko) 2018-12-05 2018-12-05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18A KR102081169B1 (ko) 2018-12-05 2018-12-05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169B1 true KR102081169B1 (ko) 2020-02-25

Family

ID=6964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18A KR102081169B1 (ko) 2018-12-05 2018-12-05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997A (ja) * 1995-02-23 1996-09-13 Fujita Corp 排水利用発電装置
KR20090107477A (ko) * 2009-09-23 2009-10-13 김용수 소수력 발전장치와 하수정화처리기
CN103104009A (zh) * 2013-02-02 2013-05-15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水势能发电和热回收系统
JP2014148843A (ja) * 2013-02-01 2014-08-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取水口遮断ゲ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997A (ja) * 1995-02-23 1996-09-13 Fujita Corp 排水利用発電装置
KR20090107477A (ko) * 2009-09-23 2009-10-13 김용수 소수력 발전장치와 하수정화처리기
JP2014148843A (ja) * 2013-02-01 2014-08-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取水口遮断ゲート装置
CN103104009A (zh) * 2013-02-02 2013-05-15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水势能发电和热回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540B1 (ko) 사이펀을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CN201218165Y (zh) 楼宇水力发电系统
EP2108820A2 (en) Wind turbine
CN105275717A (zh) 一种雨水管道集水发电系统及其发电方法
CN205591334U (zh) 一种雨污分离装置
KR101769080B1 (ko) 수도시설의 배관 내에 설치되는 감압장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CN109372682A (zh) 一种适用于点浮式波浪能发电装置的自动排水系统及方法
KR102081169B1 (ko) 소수력 발전 장치를 구비한 폐수 처리 장치
CN102561273B (zh) 一种自调节取水装置
CN209165021U (zh) 一种自平衡水封式浮球阀
CN101368400A (zh) 分段式冲洗节能水箱配件
CN101761443A (zh) 非对称虹吸循环发电装置
CN110608142B (zh) 水能转换装置及水利发电机组
KR101354868B1 (ko) 수문 개폐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장치
CN204716450U (zh) 楼宇排水管发电装置及系统
CN104747357A (zh) 一种利用高层建筑排污水驱动发电机发电的发明
US20240110539A1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9631598B2 (en) High building power generation device
CN114909248B (zh) 潮汐发电装置与用于容置发电设备的容器组件
CN214063197U (zh) 一种基于转轮叶片的生活污水发电装置
CN216690127U (zh) 一种快速排水装置
CN217813745U (zh) 一种新型水力发电装置
CN220486615U (zh) 一种楼层雨水废水收回利用装置
KR20010027971A (ko) 건물의 배수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CN216111089U (zh) 高层楼房分段式污水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