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591B1 -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591B1
KR102079591B1 KR1020130087166A KR20130087166A KR102079591B1 KR 102079591 B1 KR102079591 B1 KR 102079591B1 KR 1020130087166 A KR1020130087166 A KR 1020130087166A KR 20130087166 A KR20130087166 A KR 20130087166A KR 102079591 B1 KR102079591 B1 KR 10207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cable
monitor
compute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935A (ko
Inventor
서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은테크
Priority to KR102013008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와 컴퓨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및 USB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은, 모니터로부터 전송되어온 USB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에 장착된 통합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USB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합잭;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영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합잭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잭;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합잭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USB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CABLE FOR CONNECTING A MONITOR}
본 발명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점차 그 수행하는 기능이 증가됨에 따라 컴퓨터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수가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로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모뎀, 음성 카드, 스캐너, USB메모리 및 게임기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가 계속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의 수는 컴퓨터의 슬롯에 꽂을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수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USB 단자의 숫자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복수의 USB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USB허브가 컴퓨터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컴퓨터에는,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인 영상전송 케이블(DVI케이블), 컴퓨터 전원 케이블, 마우스 케이블, 키보드 케이블, 프린터 케이블 등 다수의 케이블 등이 장착된다. 따라서, 컴퓨터 주변 환경은, 상기 케이블들로 인해 매우 복잡해 진다.
또한, 상기 모니터에 상기 USB허브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전송 케이블(DVI케이블) 이외에, 상기 USB허브와 상기 컴퓨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추가 USB케이블이, 상기 컴퓨터와 상기 모니터 사이에 연결되어야 함으로, 상기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 사이 역시, 케이블들로 인해 복잡해 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와 컴퓨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및 USB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은, 모니터로부터 전송되어온 USB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에 장착된 통합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USB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합잭;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영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합잭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잭;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합잭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USB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전송 케이블(DVI케이블)과 USB케이블이 단일화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컴퓨터 및 모니터 주변의 환경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에서 USB 단자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에, 모니터의 일반적인 기능인 영상출력 기능 이외에, USB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햐면, 사용자는 모니터의 USB 단자와 컴퓨터를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이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모니터와 컴퓨터에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모니터에 연결되는 통합 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이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모니터와 컴퓨터에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모니터에 연결되는 통합 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이 이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퓨터(300), 상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모니터(200), 상기 컴퓨터(300)와 상기 모니터(200)를 연결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200)로 수신된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 상기 모니터에 장착되어 있는 USB 단자에 연결되어 이용되는 키보드(400) 및 상기 모니터에 장착되어 있는 USB 단자에 연결되어 이용되는 마우스(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은, 상기 컴퓨터(30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200)로 전송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모니터(200)에 장착된 상기 USB 단자에,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주변기기가 장착된 경우,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전송되어온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선, 상기 컴퓨터(30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PC)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3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오 그래픽 카드(VGA Card : Video Graphics Array Card)에 연결되어 있는 영상 단자(310) 및 USB 카드(Universal Serial Bus Card)에 연결되어 있는 USB 단자(3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영상 단자(310) 및 상기 USB 단자(320)에는,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의 영상잭(130) 및 USB잭(14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비데오 그래픽 카드, 상기 영상 단자(310), 상기 USB 카드 및 상기 USB 단자(320)는 종래의 일반적인 컴퓨터에 적용되는 구성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컴퓨터(300)는 종래에 이용되는 컴퓨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모니터(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 USB 단자(2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200)는,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를 통해 수신된 USB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합 단자(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 및 상기 통합 단자(210)는 상기 모니터(200)의 메인 보드(26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모니터(200)는, 상기 메인 보드(260) 및 상기 메인 보드(26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패널 모듈(2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째, 상기 패널 모듈(290)은,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액정패널(LCD) 또는 유기발광패널(OLED) 또는 플라즈마패널(PDP)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용 패널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이 액정패널(LCD)인 경우에는 상기 패널에 영상데이터 및 스캔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와 백라이트 유닛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이 유기발광패널(OLED) 또는 플라즈마패널(PDP)인 경우에는, 상기 유기발광패널(OLED) 또는 상기 플라즈마패널(PDP)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액정패널이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보텀, 광원, 도광판 및 광학시트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은 입광면을 가지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광면에 대면하도록 상기 커버보텀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광원으로부터,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이러한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 광원은 상기 커버보텀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은 직광형 백라이트 유닛이라 한다. 상기 직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으로는, 형광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이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발광효율, 전력소비량, 두께 등을 고려하여, 발광다이오드(LED)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평면광으로 변환시켜, 상기 액정패널에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상기 메인 보드(260)는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패널 모듈(290)의 상기 패널 구동부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패널 구동부에서 이용될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패널 모듈(290)과 상기 메인 보드(2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는, 플렉서블기판(FPCB)(270) 등을 통해 상기 패널 모듈(29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2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 상기 통합 단자(210) 및 상기 플렉서블기판(FPCB)(270)과 상기 메인 보드(260)를 연결하는 메인 보드 커넥터(250) 등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260)에는 USB 허브 기판(280)이 탈착형으로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USB 허브 기판(28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 USB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400) 및 마우스(500)와 같은 주변기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컴퓨터에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는 각종 주변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주변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USB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가 유선으로 상기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는 무선을 통해 상기 주변기기(400, 5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 단자(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영상 선로(240)를 통해 상기 메인 보드 커넥터(25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핀들(211) 및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들과 연결되어 있는 USB 선로(230)를 통해 수신된 USB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로 전송하기 위한 USB핀들(212)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은,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200)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모니터(200)에서 수신된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20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200)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110), 상기 케이블(100)의 일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200)에 장착된 상기 통합 단자(210)에 연결되어 상기 USB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합잭(120), 상기 케이블(110)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300)에 장착된 상기 영상 단자(310)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300)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통합잭(120)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잭(130) 및 상기 케이블(110)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300)에 장착된 상기 USB 단자(320)에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200)로부터 상기 통합잭(120)과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기 위한 USB잭(14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통합잭(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200)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비주얼 연결핀들(121) 및 상기 모니터(200)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모니터 USB 단자(2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컴퓨터(300)로 전송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USB 연결핀들(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잭(120)은, QHD해상도(2,560x1,600)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 25개의 비주얼 연결핀(121)들 및 4개의 USB 연결핀(122)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영상잭(130)은, 상기 컴퓨터(3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영상 단자(31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단자(31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그래픽 카드로부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잭(130)을 통해 상기 케이블(110)로 전송되며, 상기 케이블(11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통합잭(120)을 통해 상기 모니터(200)의 상기 메인 보드(260)로 수신된다.
상기 영상잭(130)은, DVI(Digital Visual Interface)로 이용되고 있는 DVI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잭(120)이 QHD해상도(2,560x1,600)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영상잭(130)은, 25개의 비주얼 연결핀(DVl듀얼링크핀(24핀+1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잭(130)은 상기 통합잭(120)과 동일하게, 25개의 비주얼 연결핀들 및 4개의 USB 연결핀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4개의 USB 연결핀들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상기 USB잭(140)은, 상기 컴퓨터(3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USB 단자(320)와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200)로부터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USB 단자(32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USB 카드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USB잭(140)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USB잭이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USB잭(140)과 상기 통합잭(120)의 상기 USB 연결핀들(122)을 연결시키는 USB선로들 및 상기 영상잭(130)과 상기 통합잭(120)의 상기 비주얼 연결핀(121)들을 연결시키는 영상선로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잭(13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영상데이터들은, 상기 케이블(110)의 상기 영상선로들을 통해 화상표A 방향으로 전송되어, 상기 통합잭(120)의 상기 비주얼 연결핀(121)들을 거쳐, 상기 통합 단자(210)의 상기 영상핀(211)들을 통해 상기 패널 모듈(29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통합 단자(210)의 상기 USB핀(212)들을 통해, 상기 통합잭(120)으로 전송된 상기 USB 데이터들은, 상기 케이블(110)의 상기 USB선로들을 통해 화살표B 방향으로 전송되어, 상기 USB잭(140)과 상기 USB 단자(320)를 통해 상기 컴퓨터(300)의 상기 USB 카드로 전송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200 : 모니터
300 : 컴퓨터 400 : 키보드
500 : 마우스

Claims (2)

  1. 모니터로부터 전송되어온 USB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에 장착된 통합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USB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합잭;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영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합잭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잭;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합잭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USB잭
    을 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잭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25개의 비주얼 연결핀들; 및
    상기 모니터에 장착되어 있는 USB 단자와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USB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4개의 USB 연결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잭은
    상기 25개의 비주얼 연결핀들과 상기 4개의 USB 연결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USB 연결핀들은 이용되지 않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USB 잭과 상기 통합잭의 USB 연결핀들을 연결시키는 USB 선로들과 상기 영상잭의 비주얼 연결핀들과 상기 통합잭의 비주얼 연결핀들을 연결시키는 영상선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잭의 비주얼 연결핀들을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선로들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통합잭의 비주얼 연결핀들을 거쳐 상기 모니터로 전송되고,
    상기 통합잭의 USB 연결핀들로 전송되어온 USB 데이터는
    상기 USB 선로들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USB 잭을 거쳐 상기 컴퓨터로 전송되는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2. 삭제
KR1020130087166A 2013-07-24 2013-07-24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KR10207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166A KR102079591B1 (ko) 2013-07-24 2013-07-24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166A KR102079591B1 (ko) 2013-07-24 2013-07-24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35A KR20150011935A (ko) 2015-02-03
KR102079591B1 true KR102079591B1 (ko) 2020-02-21

Family

ID=5248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166A KR102079591B1 (ko) 2013-07-24 2013-07-24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957A (ko) * 2006-01-11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35A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604B2 (en)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signal
US10665646B2 (en) Splic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210116749A1 (en) Display device
US7354275B2 (en) Graphics card connector module, and motherboard device having the same
US20110075443A1 (en) Light emitting unit,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230119332A1 (en) Usb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 and related usb extender
KR10261873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2846084A1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US8537096B2 (en) Connector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846330B2 (en) Display panel, display module and display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090131403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WI582477B (zh) 光學纜線模組及其製造方法
WO2011159039A2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9591B1 (ko) 모니터 연결용 케이블
JP2008228041A (ja) 信号伝送装置及び送信モジュール
TWI408444B (zh) 液晶顯示器及其訊號傳輸裝置
JP4345652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TWI442654B (zh) 低電壓差分信號介面電路
KR102558842B1 (ko) 표시장치
CN220935246U (en) HDMI optical fiber signal transmission cable, HDMI receiving equipment and video matrix switch
US11157048B2 (en) Memory module with screen and motherboard module
US20140063218A1 (en) Endoscope with universal series bus signal transmission
WO2022219801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0891646B1 (ko) 양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도트라인 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11349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