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71B1 -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 Google Patents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71B1
KR102078971B1 KR1020190096538A KR20190096538A KR102078971B1 KR 102078971 B1 KR102078971 B1 KR 102078971B1 KR 1020190096538 A KR1020190096538 A KR 1020190096538A KR 20190096538 A KR20190096538 A KR 20190096538A KR 102078971 B1 KR102078971 B1 KR 10207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decorative member
cover
fixed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선자
김미화
Original Assignee
염선자
김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선자, 김미화 filed Critical 염선자
Priority to KR102019009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매트리스 커버는 커버 부재 및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매트리스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탄성체로 고정된다.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고정 및 분리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2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A mattress cover for detachable decoration member}
본 발명은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커버하는 매트리스 커버의 노출된 측면에 디자인성을 제공하는 장식 부재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매트리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침대는 서양 문화의 점유로만 여겨왔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동양에서도 수면에 필수적인 물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침대는 과거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매트리스에 중심이 되어 나머지 프레임은 단지 이 매트리스를 구조적으로 지지해 주는 역할에만 집중되었다면, 최근에는 이 프레임을 평상 구조의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원목 재질의 가구 형태로 제작한 다음, 그 평상 위에 매트리스를 단순히 올려놓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 건강 상태, 수면 습관 등을 분석 연구하여 다양한 종류가 연구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매트리스에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단순 커버만 씌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060호(발명의 명칭; 매트리스 커버)에 일부 유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수면을 마친 후 이불을 개서 별도로 보관할 경우에는 단순 커버만 씌어진 매트리스가 노출, 특히 밋밋한 측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정말 보기 안 좋게 되고, 또 이를 해결하고자 이불을 그대로 깔아놓을 경우에는 수면을 취하지 않는 동안 계속적으로 주위 이물질로부터의 오염에 이불이 노출되어 더 안 좋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용 매트리스를 커버하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측면에 외관적으로 디자인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식 부재를 탈착할 수 있는 매트리스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는 커버 부재 및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매트리스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탄성체로 고정된다.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고정 및 분리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2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단부의 길이는 상기 장식 부재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1:0.3 내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지퍼(zipp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velcro)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단추(butto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는 후크(hoo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들 중 사용자의 머리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매트리스를 외부 오염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매트리스 커버에 추가적으로 디자인성이 구현된 장식 부재를 고정부를 통해서 탈부착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매트리스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안, 예컨데 이불을 게워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 두는 동안 외관상 보기 좋게 상기 디자인성이 제공된 장식 부재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통해서 쉽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 부재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사용자의 디자인적 기호를 얼마든지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에서 장식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에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에서 장식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커버(100)는 커버 부재(200) 및 장식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200)는 다수의 다리(20)들에 의해 지지되는 평상 구조(30) 상, 즉 침대는 가구라는 이미지가 부각된 구조에 단순히 놓여진 매트리스(10)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부재(200)는 단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임에 상기 매트리스(10)가 놓여질 경우에도 상기 매트리스(10)를 커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트리스(10)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구성을 위해서 직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매트리스(10)를 쉽게 커버링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체(400)를 박음질해서 단순 씌우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매트리스(10)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리스(10)가 놓여지는 평상 구조(30) 중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매트리스(10)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평상 구조(30)로부터 연장된 헤드 구조(4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구조(40)는 대부분 어느 한 벽면에 접하도록 배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으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디자인성을 제공하는 장식 부재(300)는 상기 헤드 구조(40)에 대응해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300)는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500)를 통해서 고정 및 분리된다. 상기 장식 부재(300)는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식 부재(300)에는 레이스와 후릴로 구성되어 있거나, 하트 또는 리본과 같은 장식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장식 부재(300)는 기본적으로, 직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 구조(40)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고정부(500)는 지퍼(zipp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500)는 상기 매트리스(10)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을 따라 한번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 각각을 따라 개별적으로 고정 및 분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한 군데에서도 상기 고정부(5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장식 부재(300)를 다수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할 경우, 각 장식 부재(300)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지퍼 구조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늘어진 장식 부재(300)들을 간결하게 잡아 줌에 따라 외관상 더욱 깔끔하게 보이는 추가적인 디자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장식 부재(300)를 상기 지퍼 구조의 고정부(500)를 통해서 상기 커버 부재(200)에 고정 및 분리시킴으로써, 이들을 더욱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시키고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 부재(300)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들 중 사용자의 머리와 대응되는 부위, 즉 상기 헤드 구조(40)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식 부재(300)는 하나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세군데를 외둘러서 고정될 수 있고,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의 개수로 구분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장식 부재(300)는 상기 고정부(500)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약 2 내지 5㎜의 두께(t)를 갖는 원단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두께(t)는 통상적인 직물 구조가 약 0.7㎜ 이내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두꺼운 구조로, 상기 고정부(500)를 통해서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에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에 형성되어 있는 레이스 또는 리본과 같은 장식물을 더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단부(310)가 약 2 내지 5㎜인 이유는, 상기의 두께(t)가 약 2㎜ 미만일 경우에는 실제로 직물 구조의 두께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너무 얇아 상기의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약 5㎜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체 무게가 너무 증가해서 오히려 상기 안정화 기능보다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로부터 처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단부(3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누비 원단 또는 샌딩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단부(310)가 상기 장식 부재(300)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구조와 이유로 상기 장식 부재(300)와 함께 상기 커버 부재(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상기 원단부(310)는 상기 안정화 기능을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그 무게로 인해 처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길이(L1)도 상기 장식 부재(300)의 전체 길이(L2)에 대비하여 약 1: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를 외부 오염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에 추가적으로 디자인성이 구현된 상기 장식 부재(300)를 상기 고정부(500)를 통해서 탈부착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동안, 예컨데 이불을 게워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 두는 동안 외관상 보기 좋게 상기 디자인성이 제공된 상기 장식 부재(300)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300)가 상기 고정부(500)를 통해서 쉽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 부재(30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사용자의 디자인적 기호를 얼마든지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매트리스 커버(100)에서 상기 장식 부재(300)를 상기 커버 부재(200)로 장착할 때 사용되는 수단인 고정부(5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경우, 고정부(50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제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삭제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부재(300)를 커버 부재(20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00)는 일명 "찍찍이"로 통용되는 벨크로(velcro)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00)는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600)는 단순히 부착하는 동작만으로 너무나도 쉽게 고정할 수 있다는 현저하게 탁월한 장점이 있지만, 그 고정력이 다른 고정 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그 부착하는 면적을 상기 장식 부재(300)의 사이즈와 무게에 따라 비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600)는 상기 도 3의 지퍼 구조의 고정부(도 3의 5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식 부재(300)를 다수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할 경우, 각 장식 부재(300)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벨크로 구조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커버에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부재(300)를 커버 부재(20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00) 단추(butto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700)는 일반적인 단추(710)와 삽입홀(720)을 갖는 구조로, 상기 장식 부재(300)의 외부에서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부재(200)에 상기 단추(710)를 장착하고, 상기 장식 부재(300)에 상기 단추(710)가 삽입되는 삽입홀(7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도 3의 지퍼 구조의 고정부(도 3의 500) 및 상기 도 4의 벨크로 구조의 고정부(도 4의 6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식 부재(300)를 다수 상기 세 군데 모서리 영역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할 경우, 각 장식 부재(300)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단추 구조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800)는 후크(hoo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후크 구조의 고정부(800)는 실제 도 5에서의 단추 구조의 고정부(도 5의 700)와 동일한 부위에 형성되어 그 고정 방식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800)는 일 예로, 다양한 후크 구조들 중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가 간편한 스냅 단추(snap button)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냅 단추 구조의 고정부(800)는 일명 "똑딱이"이라고 통용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암수를 더 맞물려서 소정의 강한 힘으로 서로를 압착하면 단단하게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고정된 어느 한 모서리 부분을 들게 되면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후크 구조의 고정부(800)는 실제 더욱더 간단한 고리 형태로 고정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매트리스 100 : 매트리스 커버
200 : 커버 부재 300 : 장식 부재
310 : 원단부 400 : 탄성체
500, 600, 700, 800 : 고정부 710 : 단추
720 : 삽입홀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매트리스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탄성체로 고정 및 분리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 및 분리되며, 0.1 내지 0.7㎜ 두께의 직물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2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누비 원단 재질의 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부의 길이는 상기 장식 부재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1:0.3 내지 0.7이며,
    상기 고정부는 지퍼(zipper)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2. 삭제
  3. 삭제
  4.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매트리스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탄성체로 고정 및 분리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 및 분리되며, 0.1 내지 0.7㎜ 두께의 직물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2 내지 5㎜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과 면접하는 누비 원단 재질의 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부의 길이는 상기 장식 부재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1:0.3 내지 0.7이며,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velcro)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5.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매트리스를 상부와 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탄성체로 고정 및 분리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를 통해서 상기 커버 부재에 고정 및 분리되며, 0.1 내지 0.7㎜ 두께의 직물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디자인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부위가 2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누비 원단 재질의 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부의 길이는 상기 장식 부재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1:0.3 내지 0.7이며,
    상기 고정부는 단추(button)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6. 삭제
KR1020190096538A 2019-08-08 2019-08-08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KR10207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538A KR102078971B1 (ko) 2019-08-08 2019-08-08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538A KR102078971B1 (ko) 2019-08-08 2019-08-08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971B1 true KR102078971B1 (ko) 2020-02-19

Family

ID=6967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538A KR102078971B1 (ko) 2019-08-08 2019-08-08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15A (ko) * 2021-07-07 2023-01-16 전영걸 매트리스 커버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416Y1 (ko) * 2003-02-04 2003-05-16 박용섭 레이스의 착탈이 가능한 침대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416Y1 (ko) * 2003-02-04 2003-05-16 박용섭 레이스의 착탈이 가능한 침대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15A (ko) * 2021-07-07 2023-01-16 전영걸 매트리스 커버구조
KR102529233B1 (ko) * 2021-07-07 2023-05-03 전영걸 매트리스 커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325B1 (en) Method for fitting bedding to a mattress
US8117693B1 (en) Bedclothes apparatus
US8950024B1 (en) Covering
US20100058537A1 (en) Bedding system and method
US3996633A (en) Waterbed bedclothes
US20080104751A1 (en) Combination comforter and sheet
US8495773B2 (en) Bed sheet
US7818833B2 (en) Transformable and removable bed covering
KR102078971B1 (ko) 장식 부재 탈착형 매트리스 커버
KR101024063B1 (ko) 3면 지퍼를 구성한 상하 분리형 침대매트리스 커버
US20190350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mattress topper covers and method therefore
KR102078972B1 (ko) 매트리스의 분리형 커버 구조물
KR20090000743U (ko)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US20170099966A1 (en) Multi- Pieced Bedding Cover
KR101046760B1 (ko)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
US20220395116A1 (en) Thread-fit fitted sheet for mattresses
US20210401195A1 (en) Fitted Sheet with Label
US20170318990A1 (en) Multi-pieced bedding cover
KR102078973B1 (ko) 장식 커버가 일체화된 매트리스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56063Y1 (ko) 전기매트용 커버
KR20030220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KR200471508Y1 (ko) 이불
KR200495419Y1 (ko) 위생 기능을 가지는 매트리스 침구
KR20210026737A (ko) 측면 장식물 적용한 매트리스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07836B1 (en) Bedd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