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21B1 -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 Google Patents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21B1
KR102078921B1 KR1020180082169A KR20180082169A KR102078921B1 KR 102078921 B1 KR102078921 B1 KR 102078921B1 KR 1020180082169 A KR1020180082169 A KR 1020180082169A KR 20180082169 A KR20180082169 A KR 20180082169A KR 102078921 B1 KR102078921 B1 KR 10207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c strike
movable
terminal piec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261A (ko
Inventor
우 성-젠
Original Assignee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08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릴레이(1)는, 전자석(10)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반송 접점(11)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반송 접점(12)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구비한다. 고정 반송 접점(11)과 가동 반송 접점(12)을 대응하도록 설치하고,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대응하도록 설치한다. 특징으로서는, 릴레이(1)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반송 단자편(16)을 더 포함하고, 가동 반송 접점(12)을 가동 반송 단자편(16)에 설치하고,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에 설치한다. 그중,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에 비해 작게 마련하며, 한편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가동 반송 단자편(16)이 함께 작동한다. 전자석(10)의 전자기 효과에 의해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Relay}
릴레이는 전자 제어 부품으로서, 자동 제어 회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작은 전류로 대전류를 제어하는 부품이다.
그러나, 아크가 발생시, 전기 접점이 아크의 고온으로 용융되어 탄화되거나 손상됨으로써, 릴레이가 소손될 수 있다.
아크 현상에 의해 릴레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당업자들은 릴레이에 소호(消弧) 구조를 설치하여, 작동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를 최대한 제거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고압 및 대전류를 견딜 수 있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릴레이가 작동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를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제거하고, 릴레이 또는 그에 접속하고 있는 부하회로의 소손 또는 폭발을 방지하여, 릴레이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반송 접점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반송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하나의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반송 접점과 상기 가동 반송 접점을 대응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대응하도록 설치한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를 제공한다.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적어도 하나의 반송 단자편을 더 포함하고, 가동 반송 접점을 반송 단자편에 설치하고,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에 설치한다. 그 중,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가동 반송 접점보다 작게 마련되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반송 단자편은 함께 작동한다. 전자석의 전자기 효과에 의해 가동 반송 접점과 고정 반송 접점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되기 전에,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은 이미 서로 접촉한 상태를 이루고 있도록 구성된다.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가동 반송 접점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릴레이의 이미 가지고 있는 공간에서 소호할 수 있는 여유(clearance)를 최대한 제공하고, 작동시에 발생되는 아크를 안정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릴레이의 부피를 소형화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용을 보여주는 도면(그의 1)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용을 보여주는 도면(그의 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용을 보여주는 도면(그의 1)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용을 보여주는 도면(그의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내용의 더욱 나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 1b 및 도 2a ~ 2b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도와, 측면도와, 각각의 작용도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있는 릴레이(1)이다. 릴레이(1)는, 전자석(10)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반송 접점(11)과, 그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반송 접점(12)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그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구비한다.
릴레이(1)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가동 반송 단자편(16)을 더 포함한다. 가동 반송 접점(12)이 가동 반송 단자편(16)에 설치되고,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이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에 설치되어있다. 그중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이 가동 반송 접점(12)이 비해 작게 마련되어 있고, 한편,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가동 반송 단자편(16)이 함께 작동한다.
전자석의 전자기 효과에 의해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이루고 있도록 구성된다.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에 비해 작게 설계하는 것과,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이 서로 접촉하는 구동 조건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더 나은 소호 효과를 달성하고, 따라서, 대전전류 및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매우 높은 에너지 아크를 제거하고 릴레이(1)가 작동할 때 아크의 발생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 릴레이(1)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공지 기술과 분명히 다른 점은, 릴레이(1)의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의 구조보다 작게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아크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틈새(clearance)를 최대한 제공함과 더불어, 더 좋고 안정적인 소호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아크가 주로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 사이에 발생하기 때문에, 아크를 순조롭게 제거하는 여유는,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가동 반송 접점(12)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로 가동시에 발생하는 아크가 계속 존재하고, 또한 인접한 접점에 영향을 주며, 소호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현재 대부분의 릴레이는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가동 반송 접점(12)과의 거리를 증대시키는 설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즉, 양자의 거리를 멀리하는 설계 개념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 따르면 릴레이는 더 큰 설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릴레이의 부피도 크게 증가한다. 특히 릴레이가 동시에 여러 부하 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위의 소호 구조 때문에 큰 공간을 미리 확보하여야 하며, 이것도 릴레이 부피를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과제는 지금까지와 같은 릴레이 소호 구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극복할 수 없는 과제이며, 릴레이 높은 소호 효과를 유지하면서,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은 양립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릴레이(1)은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에 비해 작게 마련하는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여, 큰 공간을 채택하지 않고,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가동 반송 접점(12)과의 거리를 벌려 릴레이(1)의 한정된 공간에 더 좋고, 안정적인 소호 효과를 제공하고 릴레이(1)의 소형화 요구에 대응하고, 릴레이(1)의 체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설치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릴레이(1)는, 베이스(17)와 단자편(18)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17)는 단자편(18)과 앞에 서술한 각 부재의 설치를 위해 제공된다. 전자석(10)에 전기 도통한 후, 전자기 효과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 구조와 이동 단자편(18)과의 연동에 의해,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고정 반송 접점(11)에 대하여 이동하는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포함한다. 또한,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에는 사용 수명 연장을 도모하기 위해, 높은 용융점과 더 나은 에너지 허용 강도를 갖는은(銀)·텅스텐 합금 재료가 선택된다. 또한,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은 더 나은 전도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은(銀)· 니켈 합금 등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의 폭을 반송 단자편(16)보다 작게 마련하여, 더 나은 아크 스트라이크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아크의 제거는,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게 설계하는 한편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이 먼저 접촉된 상태를 이루고 있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릴레이(1)을 보호하고 폭발 등의 위험 상황을 방지한다. 또한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의 폭을 반송 단자편(16)보다 작게 설계한 구조에 의해,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과의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는 소호하는 틈새를 증가시켜, 아크가 발생한 후,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의 폭을 반송 단자편(16)보다 작게 마련해서 제공한 틈새를 소호에 이용하여, 아크에 의해 손상될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아크가 오래 체류하여 반송 단자편(16)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더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밖에,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나란히 병렬로 설치하여 피아노 키와 같은 배열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고정 반송 접점(11)에 대해 상하로 대응하여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방향 배열에서 여러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은 경사부(151)를 가지고,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경사부(151)에 마련하며, 경사부(151)가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로 인해,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서로 접촉하고 있게 된다. 이 밖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의 두께를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두껍게 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작동 양태를 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적용시에는, 도 2a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10)을 통전 한 후, 전자기 효과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단자편(18)을 끌어 당겨서, 연동하여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고정 반송 접점(11)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와 서로 폐합하는, 즉,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 도통 상태를 형성한 것에 더해,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이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게된 구조에 의해 형성된 틈새를 이용하여, 전기 전도의 순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제거한 후,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과를 폐합하여 안정적인 전기 회로가 형성된다. 전자 구조의 자력이 소실했을 때, 단자편(18)의 자력 흡인력이 소실하여,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분리된다. 이 때,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분리되기 전에,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가 상호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그 후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분리된 순간,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는 계속 접촉하여 전기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을 분리할 때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이 분리될 때 발생하는 아크는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은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통한 틈새에 의해 소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릴레이(1)는,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과 아크 에너지에 의해 소손되거나, 또는 릴레이(1)가 폭발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3, 도 4 및 도 5a ~ 5b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입체도와 평면도 및 각 응용 형태 도면을 참조한다. 여기에는 제 1 실시 예의 내용과 동일한 기술 특징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복수로 설치할 때, 각 반송 단자편(16)은 2개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각 반송 단자편(16)은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이에 의해, 릴레이(1)가 작동하여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자기 흡인력에 의해 분리 또는 폐합될 때까지,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의 상호 접촉 상태에서는 각 반송 단자편(16)이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이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게 설치된 구조를 이용한 틈새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 아크 불꽃이 발생한 후,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각 고정 반송 접점(1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틈새를 통해 아크를 소거하여, 단락에 의한 폭발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끼움설치(挾設) 방식의 형태가 저절로 방폭 및 소호 보호 효과를 발생, 아크 스트라이크, 소호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배열 구조에는, 릴레이(1)에서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각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영구 자석 등의 자성체(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자기 작용을 이용하여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각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에서 발생한 아크에 영향을 미치고 아크가 소거되기까지 빠르게 늘린다. 특히 고압에 적용할 경우, 추가 설치된 자성체로 아크를 확실하게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양한 수요에 따라, 2개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사이에 끼워지는 각 반송 단자편(16)을 같은 전도성 회로로하여 개폐 세트(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릴레이(1)는 필요에 따라 여러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으로부터 구성된 개폐 세트(A)를 설치하여, 매우 좋은 소호 효과를 형성한다. 릴레이(1)에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와 반송 단자편(16)을 설치한 개폐 세트(A)를 구성하는 경우, 릴레이(1)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9)를 더 포함한다. 인접한 임의의 2개의 개폐 세트(A) 사이에 끼워져서, 다른 개폐 세트(A)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이 전기 전도했을 때의 간섭 현상을 방지한다. 스페이서(19)는 베이스(17)와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릴레이(1)에 2개의 개폐 세트(A)와 하나의 스페이서(19)를 예시하고있다.
이 밖에, 두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사이에 끼이게 설치되는 각 반송 단자편(16)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여 설치하는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와 반송 단자편(16)과의 거리보다 크다. 이에 따라, 두 반송 단자편(16)의 거리를 크게 늘려서, 전류 반송하는 각 반송 단자편(16)이 도통하는 때에 발생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게 설치하고,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의 폭을 반송 단자편(16)보다 작게 한 구조는, 비록 전술한 각 반송 단자편(16)의 거리를 늘려도 릴레이(1)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품시장에서의 릴레이(1)에 대한 미세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적용 시, 도 5a ~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10)를 통전한 후, 전자기 효과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단자편(18)을 흡입하고,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은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과 고정 반송 접점(11)쪽으로 이동된다. 이 때, 가동 반송 접점(12)과 고정 반송 접점(11)이 서로 폐합할 때까지,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대응하는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서로 접촉하여 전기 도통 상태를 형성하고, 전기가 도통한 순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거한 다음, 계속해서 이동하고,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대응하는 각 고정 반송 접점(11)이 폐합하여 안정된 전기 도통 회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개폐 세트(A)에서 각각의 부하 회로를 제어할 수있다. 전자 구조가 비(非)통전 상태가 되어 자력이 소실되고 단자편(18)의 자력 흡인력이 소실되어,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각 고정 반송 접점(11)을 분리한다. 이 때,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대응하는 각 고정 반송 접점(11)을 분리하기 전에,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대응하는 각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상호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그러면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각 고정 반송 접점(11)이 분리된 순간,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각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은 또한 서로 접촉하고, 전기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각 가동 반송 접점(12)과 각 고정 반송 접점(11)이 분리될 때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후,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과 각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을 분리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는 각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은 각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에 의해 소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를 참조한다. 물론 전술한 구조 설치 형태 이외에, 릴레이(1)에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을 복수로 설치한 경우,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을 두 반송 단자편(16)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여 배치하고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각 반송 단자편(16)을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도 발생되는 아크의 불꽃을 효과적으로 소거하고, 단락에 의한 폭발 현상을 피할 수 있으며, 아크 스트라이크와 소호 요구를 달성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배열 상태에서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사이의 거리를 인접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과의 거리보다 크게 마련하여, 짧은 거리에 의한 폭발 현상을 방지한다. 기타 상세한 기술 특징은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하며,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실시 예에서,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및/또는 반송 단자편(16)을 복수 마련할 때, 각 반송 단자편(16)과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은 번갈아 나란히 배치하고, 한편,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각 반송 단자편(16)을 가로 방향으로 병렬 설치된다. 환언하면,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을 복수 설치하고 반송 단자편(16)은 하나만 설치해 각 반송 단자편(16)을 각각 단자편(15) 사이에 교대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 또는 반송 단자편(16)을 복수 설치하고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을 하나만 설치해 각 반송 단자편(16) 사이에 교대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 혹은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과 반송 단자편(16)과 복수 설치하고 교대로 나란히 배열하여 설치한 상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릴레이(1)가 작동할 때 아크 불꽃을 효과적으로 소거할 수 있다.
릴레이(1)의 작동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5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석(10)의 도통 상태에 대응하여, 반송 단자편(16)과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이 고정 반송 접점(11)과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3)에 대해 이동된다. 다른 점은 각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15) 및 각 반송 단자편(16)의 배열 위치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개시된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1)는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을 가동 반송 접점(12)보다 작게 한 구조설계를 이용하여, 릴레이(1)의 한정된 공간에서 최대한의 소호 효과를 달성하고 소호의 안정성을 실현하고 더 나은 소호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릴레이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고압, 대전류의 적용에 의한 아크 에너지는 일반형보다 훨씬 크다. 이 때, 전술한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14)의 기술 특징을 이용하면, 아크를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소거할 수 있으며, 릴레이(1)을 사용할 때에 아크에 의한 손상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며, 릴레이(1)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수요와 릴레이(1)의 사용 효율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전술한 각 실시예에 비견되는 실시 내용에 따라, 릴레이(1)의 배열 설치 상태를 변화시켜 더 나은 아크 스트라이크 효과를 실현할 수있다.
1 : 릴레이 10 : 전자석
11 : 고정 반송 접점 12 : 가동 반송 접점
13 :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 14 :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
15 :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151 : 경사부
16 : 반송 단자편 17 : 베이스
18 : 단자편 19 : 스페이서
A : 개폐 세트

Claims (10)

  1. 전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반송 접점과,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반송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하나의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반송 접점과 상기 가동 반송 접점을 대응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대응하도록 설치한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나란히 설치됨과 더불어 이격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송 단자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반송 접점을 상기 반송 단자편에 설치하고,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에 설치하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은 상기 가동 반송 접점보다 작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 단자편은 함께 작동하되,
    상기 전자석의 전자기 효과에 의해 상기 가동 반송 접점과 상기 고정 반송 접점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구동되기 전에,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과 상기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이루고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의 폭이 상기 반송 단자편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 단자편이 서로 인접하여 있고, 또한 가로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및 상기 반송 단자편을 복수로 설치한 경우, 상기 반송 단자편을 2개의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하고,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 단자편을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하는 상기 반송 단자편이 동일한 전도성 회로에 형성된 개폐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하는 2개의 상기 반송단자편의 거리는,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단자편과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세트를 복수로 설치할 때 상기 스페이서를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개폐 세트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 및/또는 상기 반송 단자편을 복수로 설치할 때, 상기 반송 단자편과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이 교대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 단자편은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기 반송 단자편을 복수로 설치할 때,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의 각각을 2개의 상기 반송 단자편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고, 또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과 상가 반송 단자편을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스트라이크 단자편이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을 상기 경사부에 설치, 상기 경사부를 상기 고정 아크 스트라이크 접점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KR1020180082169A 2018-07-16 2018-07-16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KR10207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69A KR102078921B1 (ko) 2018-07-16 2018-07-16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69A KR102078921B1 (ko) 2018-07-16 2018-07-16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61A KR20200008261A (ko) 2020-01-28
KR102078921B1 true KR102078921B1 (ko) 2020-02-18

Family

ID=6937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69A KR102078921B1 (ko) 2018-07-16 2018-07-16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52B1 (ko) * 2003-07-24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크손상방지용 접점구조를 가진 릴레이
KR101888275B1 (ko) * 2016-12-23 2018-08-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릴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61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36908B (zh) 具有永磁体灭弧的开关装置
EP2197009B1 (en) Contact bridge with blow magnets
KR10158118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직류 양방향 스위칭 장치
CN105810515B (zh) 用于高压车载电气网络的开关和保护装置
US10727008B2 (en) Contact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 and electrical switch
CN103548110A (zh) 电磁接触器
CN107533927B (zh) 接触器组件
US9373468B2 (en) Arc control for contactor assembly
CN103515154A (zh) 在介电液体中使用的接触器装置
US20160012997A1 (en) Electric Switch
US10176953B2 (en) Weld resistant contactor
KR19980032645A (ko) 회오리형 아크 소멸기구를 갖는 전류 스위칭 장치
US10727015B2 (en) High-voltage large-current relay
KR102078921B1 (ko) 고압 및 대전류에 견딜 수 있는 릴레이
US20170133184A1 (en) Electromechanical circuit breaker
JP2020009570A (ja) 高圧及び大電流に耐えるリレー
EP1471553B1 (en) Air circuit breaker
KR100507652B1 (ko) 아크손상방지용 접점구조를 가진 릴레이
EP3624156B1 (en) Improved contactor device structure with improved auxiliary switch
TWI677894B (zh) 可耐高壓暨大電流之繼電器
JP5566251B2 (ja) 継電器
KR102055068B1 (ko) 가동단자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US11651916B2 (en) Switching device or contactor with high arc extinguishing capabilities
EP3511969B1 (en) Contactor device
CN105895465A (zh) 包括提高触点跳动水平的电流通路几何形状的电路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