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60B1 -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60B1
KR102078560B1 KR1020190005884A KR20190005884A KR102078560B1 KR 102078560 B1 KR102078560 B1 KR 102078560B1 KR 1020190005884 A KR1020190005884 A KR 1020190005884A KR 20190005884 A KR20190005884 A KR 20190005884A KR 102078560 B1 KR102078560 B1 KR 10207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drop
signal
senso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사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사운드
Priority to KR102019000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사용자의 접속 신호를 감지하여 마이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력 방향으로 위치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1 낙하 신호 및 회전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2 낙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중력 방향의 위치 변위 또는 회전에 따른 변위를 수신하여 비교 분석하여 마이크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의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음향 송출 또는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비교판단부를 통해 센서부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 낙하 신호 및 상기 제2 낙하 신호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를 통해 마이크의 음향 송출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마이크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A Microphone having a function of drop detection for preventing noise and abnormal sound}
본 발명은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마이크의 회전과 낙하 속도를 감지하여 마이크 낙하시간 동안에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에 대한 Data를 비교하여 설정된 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출력부를 제어하여 마이크 낙하에 따른 이상음이 송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소리를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마이크 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마이크를 사용하면서, 사람이 귀로 청취하는 소리의 정도는 일반적인 크기의 소리를 송출한다.
그러나, 마이크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마이크를 손에서 떨어뜨릴 경우에, 마이크의 소리를 증폭시키는 앰프와 스피커를 통하여 마이크가 바닥에 떨어져 큰 이상음이 발생하여 불편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 낙하에 따라 이상음 송출을 방지하고 주위 사람의 귀로 전달할 때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하 한다.
1. 낙하 탐지 장치 및 시스템(DROP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특허등록번호 제10-1935145) 2. 낙하 검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특허공개공보 10-2007-0085668)
본 발명은 마이크 낙하시 이상음 송출의 위험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마이크의 회전과 낙하 속도를 감지하여 마이크 낙하시간 동안에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에 대한 Data를 비교하여 설정된 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출력부를 제어하여 마이크 낙하에 따른 이상음이 송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는 사용자의 접속 신호를 감지하여 마이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력 방향으로 위치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1 낙하 신호 및 회전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2 낙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중력 방향의 위치 변위 또는 회전에 따른 변위를 수신하여 비교 분석하여 마이크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의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음향 송출 또는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의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마이크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접촉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 센서부, 상기 접촉 센서부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마이크 낙하에 따라 회전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 및 상기 접촉 센서부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마이크 낙하에 따른 속도를 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의 상기 비교 판단부는 센서부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 낙하 신호 및 상기 제2 낙하 신호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를 통해 마이크의 음향 송출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마이크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는 마이크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마이크의 회전과 낙하 속도를 감지하여 마이크 낙하시간 동안에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에 대한 Data를 비교하여 설정된 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출력부를 제어하여 이상음이 송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상음 발생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는 접촉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마이크 접촉신호에 따른 이탈 여부를 감지를 통해 마이크 낙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어 마이크의 낙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이크의 음향 송출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는 자이로센서를 통하여 송출되는 각속도와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가속도의 변화 데이터를 통해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차단부를 통해 음향 송출을 차단하여 이상음 송출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인 마이크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유선 마이크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상태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마이크 센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유선 마이크의 상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이크의 상태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유선 마이크는 마이크 헤드부, 마이크 바디부, 마이크 선부, 마이크 플러그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마이크 헤드부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한 외부 소리 및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마이크 바디부는 사용자의 접촉신호를 감지하고, 그 내부에 이상음 방지를 위한 제반적인 구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 선부는 마이크 바디부와 마이크 플러그와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마이크 플러그부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연동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 바디부는 센서부, 제어부 등 회로부가 구비되어 마이크 낙하시 회전과 떨어지는 속도를 감지하여 마이크 낙하 시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마이크 선부와 마이크 플러부로 이상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마이크는 크게 마이크 헤드부, 마이크 바디부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 헤드부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한 외부 소리 및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마이크 바디부는 사용자의 접촉신호를 감지하고, 그 내부에 이상음 방지를 위한 제반적인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 바디부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각도의 크기를 산출하고,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마이크 바디부는 통신부를 구비하여 I2C 및 SPI 통신을 수행하는데, I2C 통신은 SCL(Serial Clock), SDA(Serial Data)의 2개 통신 라인을 구비하고,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은 SCK(Serial Clock), SI(Slave), SO(Slave OUT), CS(Chip Select)의 4개의 통신라인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마이크 센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는 크게 제어부(10), 설정부(20), 센서부(30), 비교판단부(40), 통신부(50), 차단부(60) 및 출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0)는 마이크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마이크의 회전과 낙하 속도를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하도록 하여 마이크 낙하시간 동안에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에 대한 Data를 비교 판단부를 통해 비교하여 설정된 데이터 이상일 경우에 출력부를 제어하여 마이크 낙하에 따른 이상음이 송출되지 않도록 마이크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설정부(2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마이크 낙하에 따른 회전과 속도의 변화에 대해 임계치를 설정하여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에 대한 값을 설정 데이터의 초과 여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30)는 접촉센서부(31), 자이로 센서부(33) 및 가속도 센서부(35)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마이크 접촉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접촉 센서부(31)을 통해 감지하고, 접촉 센서부(31)의 감지 여부에 따라 미접속시 해당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되고, 자이로 센서부(33)를 통해 마이크의 낙하에 따라 회전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하고, 가속도 센서부(35)를 통해 마이크 낙하에 따른 속도를 탐지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전송하여 설정부(20)를 설정된 임계치를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를 산출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30)는 사용자의 접속 신호를 감지하여 마이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력 방향으로 위치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1 낙하 신호 및 회전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2 낙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즉, 사용자의 마이크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접촉 신호를 접촉 센서부(31)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접촉 센서부(31)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상기 자이로 센서부(33)를 통해 마이크 낙하에 따라 회전의 변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탐지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 센서부(31)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부(35)를 통해 마이크 낙하에 따른 중력 방향의 위치 변위에 대한 속도를 탐지되도록 한다.
상기 비교 판단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센서부(30)를 통해 전송되는 중력 방향의 위치 변위 또는 회전에 따른 변위를 비교 분석하여 마이크의 낙하 여부에 따른 설정부(20)에 설정된 임계치를 기준으로 회전과 속도의 변화량를 비교하여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 판단부(40)는 센서부(30)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중력 방향으로 위치 변위에 따른 제1 낙하 신호 및 회전의 변위에 따른 제2 낙하 신호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60)를 통해 음향 송출을 차단하여 상기 출력부(70)를 통해 마이크의 음향 송출이 되지 않도록 마이크의 동작을 정지하여 동작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통신부(50)는 마이크의 내부 구성 및 외부 장치와 연동되도록 I2C 및 SPI 통신을 구비되는데, I2C 통신은 SCL(Serial Clock), SDA(Serial Data)의 2개 통신 라인을 구비하고,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은 SCK(Serial Clock), SI(Slave), SO(Slave OUT), CS(Chip Select)의 4개의 통신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6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 판단부(40)에 전송되는 속도에 따른 변위 및 회전에 따른 변위의 차가 설정부(20)를 통해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이상 여부에 판단에 따라 임계값 이상인 경우 마이크를 통해 음향 송출을 차단하여 이상음이 출력부(70)를 통해 송출되지 않도록 음향을 차단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제어부
20 : 설정부
30 : 센서부
31 : 접촉 센서부 33 : 자이로 센서부
35 : 가속도 센서부
40 : 비교 판단부
50 : 통신부
60 : 차단부
70 : 출력부

Claims (3)

  1. 사용자의 마이크 접촉 여부를 접촉 센서부(31)로 접속 신호를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부(33)를 통해 접촉 센서부(31)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마이크 낙하에 따라 회전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거나, 가속도 센서부(35)를 통해 접촉 센서부(31)의 마이크 미접속 신호에 의해 마이크 낙하에 따른 속도를 탐지하여 마이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력 방향으로 위치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1 낙하 신호 및 회전의 변위(displacement)에 따른 제 2 낙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30),
    상기 센서부(30)의 중력 방향의 위치 변위 또는 회전에 따른 변위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1 낙하 신호 및 상기 제2 낙하 신호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값에 따라 마이크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40);
    상기 비교 판단부(40)의 소정의 임계값에 따라 마이크의 낙하 여부의 송출신호에 따라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단부를 통해 마이크의 음향 송출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마이크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5884A 2019-01-16 2019-01-16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KR10207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84A KR102078560B1 (ko) 2019-01-16 2019-01-16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84A KR102078560B1 (ko) 2019-01-16 2019-01-16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560B1 true KR102078560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84A KR102078560B1 (ko) 2019-01-16 2019-01-16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68A (ko) * 2005-04-22 2006-10-27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낙하 검출 장치
KR100817603B1 (ko) * 2006-12-26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낙하 오인식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82573A (ja) * 2011-02-28 2012-09-20 Daiichikosho Co Ltd 過大音声出力防止機能を有するマイクロホ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68A (ko) * 2005-04-22 2006-10-27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낙하 검출 장치
KR100817603B1 (ko) * 2006-12-26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낙하 오인식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82573A (ja) * 2011-02-28 2012-09-20 Daiichikosho Co Ltd 過大音声出力防止機能を有するマイクロホン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낙하 탐지 장치 및 시스템(DROP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특허등록번호 제10-1935145)
2. 낙하 검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특허공개공보 10-2007-008566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1979A1 (en) Sensing device for sensing emergency situation having acceleration sensor and method thereof
US20190342651A1 (en) Wireless Ear Buds
WO2020124022A3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enhanced fall detection features
KR101135064B1 (ko)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KR102020630B1 (ko) 차량용 근접 장애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E602006021325D1 (de) Kommunikation in zweiprotokoll-umgebungen
US6834219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locomotive with tilt sensor
JP2013092923A5 (ko)
WO2020098670A1 (zh) 自移动设备、自移动设备的报警模块及其报警方法
WO2021017402A1 (zh) 一种无线耳机及其佩戴检测系统及方法
TW201432413A (zh) 防摔控制系統
KR102078560B1 (ko) 이상음 방지를 위한 낙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장치
WO2021015761A1 (en) Audio headset position detection
KR101984557B1 (ko) 헤드셋 및 이의 충돌 경고 방법
KR101853618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에 사용되는 졸음 방지용 필기구
TWI660714B (zh) 咀嚼檢測裝置
KR101767829B1 (ko) 목 자세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21989A1 (en) Contextual Audio System
KR102417290B1 (ko)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무선 이어폰
RU2006113127A (ru) Детектор чрезвычайной ситуации
KR100817603B1 (ko) 휴대 단말기의 낙하 오인식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EP3326604A1 (en) Spatial detection device
WO2020083347A1 (zh) 穿戴设备数据控制、处理方法及系统
JP6896210B2 (ja) 電池駆動式人体検知装置
KR20140081945A (ko) 청각기의 상태를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