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52B1 -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52B1
KR102078052B1 KR1020190109348A KR20190109348A KR102078052B1 KR 102078052 B1 KR102078052 B1 KR 102078052B1 KR 1020190109348 A KR1020190109348 A KR 1020190109348A KR 20190109348 A KR20190109348 A KR 20190109348A KR 102078052 B1 KR102078052 B1 KR 10207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ness
pass band
resistor
directio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승우
김보훈
백상구
오명록
신도승
Original Assignee
(주)명스타
주식회사 에프투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스타, 주식회사 에프투앤디 filed Critical (주)명스타
Priority to KR102019010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1/0067Means or methods for compens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unable filters
    • H03H2210/01Tuned parameter of filte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unable filters
    • H03H2210/02Variable filter component
    • H03H2210/028Res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is inserted between a band-pass filter of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amplifier to stabilize the flatness of an output signal.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es: a forced matching resistance unit which performs impedance matching between an input terminal, wherein the input terminal is a rear end of the band-pass filter, and an output end, wherein the output end is a front end of the power amplifier; a directionality determination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ance unit to determine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passband and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band; a flatness adjustment unit which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a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band within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band that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ity determination unit; a resonator circuit unit which determines a frequency at which a loss value of the passband becomes minimum; and a matching unit which performs impedance matching between a first part consisting of the forced matching resistance unit, the directionality determination unit, and the flatness adjustment unit and a second part consisting of the resonator circuit unit.

Description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variable resistor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본원은 통신 시스템 내에 삽입되어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주파수 특성에 적응가능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tabilizing flatness inser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that is adaptable to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system.

통신 시스템 등에서 제한된 주파수 자원 사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필터는 수동소자들을 이용하여 구현하며, 이들 아날로그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유전체(Dielectric) 공진기(Resonator), LC 공진기 등의 공진 구조를 이용하여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대역 소거 필터(Band Reject Filter) 등의 형태로 구현된다.Analog filters, which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ing limited frequency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s, are implemented using passive elements, and these analog filters generally use resonant structures such as dielectric resonators and LC resonators. The low pass filter, a low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 band pass filter, and a band reject filter are implemented.

이러한 아날로그 필터들을 구현함에 있어서, 통과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 특성 상 모든 필터들은 리플과 평탄도를 고려하여 설계되며, 평탄도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게, 또는 적용하고자 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주파수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는 것은 필터의 구현에 있어서 큰 제약으로 작용한다.In implementing these analog filters, all the filters are designed with ripple and flatness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frequency band, and the flatness is adapted to the user's requirements o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to be applied. Optimization is a big constrai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filter.

특히, 현재의 4G 환경에 있어서는 사용 주파수 대역이 5G에 비해 넓지 않으므로, 평탄도는 그다지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5G 환경에 있어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인해, 평탄도가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urrent 4G environment, since the frequency band used is not as wide as that of 5G, flatness is not so much a problem, but in the 5G environment, due to the wide frequency band, the flatness is a big issu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 사용 주파수 대역(a)과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b) 부근에서 급격한 평탄도 변화가 발생하여 삽입손실이 그래프가 위로 볼록한 호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급격한 평탄도 변화는 주파수 별로 통신 품질을 다르게 할 뿐만 아니라 전력 손실의 원인이 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in the case of a band pass filter, a sudden flatness change occurs in the vicinity of a used frequency band (a) and an unused frequency band (b), and an arc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loss is convex upward. Will be achieved. Such a sudden change in flatness not only changes the communication quality for each frequency but also causes power los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날로그 필터로서 복수 개의 아날로그 필터들을 추가하여 평탄도를 개선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 필터의 대역에 대응되는 두 개의 대역을 가지는 필터를 물리적으로 배열하여 통신 신호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세 개의 필터를 배열하여 통신 신호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평탄도가 개선되도록 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mproving flatness by adding a plurality of analog filters as an analog filter is also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2, in the case of a band pass filter, filters having two bands corresponding to the band of the filter are physically arranged so that communication signals pass sequentially, or (b) of FIG. By arranging three filters arranged in sequence as shown in Fig. 2), the communication signals pass sequentially, thereby improving flatness as shown in FIG. 2 (c).

하지만, 복수 개의 필터들을 배열하는 이와 같은 종래의 평탄도 개선 방법은, 반사손실 특성이 나빠지게 되고 그 결과 전력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필터들을 사용하게 되면, 전체적인 필터의 부피나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평탄도 개선 방법은, 전체 필터의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 개의 필터들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성분과 인덕턴스 성분, 즉 복수 개의 필터들에 포함된 임피던스 성분에 따른 변화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임피던스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워, 주파수 특성 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필터의 대역에 따라 광범위한 임피던스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입력단과 출력단에 아이솔레이터를 부착하는 경우, 전체 필터의 크기와 제작 비용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atness improvement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filters, the reflection loss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resulting in power loss. In addition, the use of a plurality of filters, there is a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overall volume or cost of the filter.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latness improvement method, variations in capacitance and inductanc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lters in the pass frequency band of the entire filter, that is, the impedanc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not consta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change of impedan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wide range of impedance change occurs according to the band of the filter that the user wants to use for each frequency characteristic.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entire filter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종래의 아날로그 필터는 통신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대체로 사용 주파수 대역과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서 급격한 평탄도 변화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동일 통신 시스템임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파수 특성도 변하게 되므로, 최초에 삽입된 공진기를 평탄도 개선을 위해 계속해서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나 비용상승도 또한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analog filter show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udden flatness change occurs in the frequency band used and the frequency band not used, and the frequency with the same communication system over time. Since the characteristics are also changed, the first inserted resonator must be continuously replaced to improve the flatnes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lso causes difficulty in work or a cost increas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5353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35353 국제공개공보 WO 02/35716 A2(2002. 05. 02.)International Publication WO 02/35716 A2 (2002. 05. 0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86893(2005. 10. 13.)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86893 (October 13, 20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의 평탄도를 개선하면서 반사손실 특성의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ance of a new concep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egradation of the reflection loss characteristics while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fil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to minimize the change in impedance in the pass frequency ban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종래의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의 주파수 특성 변화에 따라 평탄도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삽입된 공진기를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나 비용 상승을 줄일 수 있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physically replace the existing resonator when the flatness needs to be improved by chang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 th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using a conventional analog filter. It is to provide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work or increase in cos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필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작 비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can reduce the size of the filter and reduce the rise in manufacturing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 신호의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입력단 - 상기 입력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후단임 - 과 출력단 - 상기 출력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단임 -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강제 매칭 저항부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상기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부와, 상기 방향성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평탄도 조절부와, 상기 통과 대역의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 상기 방향성 결정부 및 상기 평탄도 조절부로 구성되는 제1 파트와, 상기 공진기 회로부로 구성되는 제2 파트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is inserted between the bandpass filter and the power amplifie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o stabilize the flatness of the output signal, the input stage-the An input is a rear end of the band pass filter-and an output end-the output is a front end of the power amplifier-and a forced matching resistor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pass band and determining a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and varying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ithin a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terminer And a flatness control unit including a variable resistor for determining the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And a matching part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resonator circuit part, the first part including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part,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part and the flatness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part consisting of the resonator circuit part. It is do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제2 강제 매칭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의 중간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 및 상기 방향성 결정부가 T자형 회로를 이룰 수 있다.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may include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a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may form a T-shaped circuit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node of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for mak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a right upwar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인덕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inductor for caus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the left upwar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탄도 조절부, 상기 매칭부 및 상기 공진기 회로부는 차례대로 직렬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latness adjusting unit, the matching unit and the resonator circuit unit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 신호의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입력단 - 상기 입력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후단임 - 과 출력단 - 상기 출력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단임 -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강제 매칭 저항부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 -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와 함께,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호형상 나타나도록 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와,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평탄도 조절부와, 상기 통과 대역의 제1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제1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 내의 나머지 회로부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인덕터와, 상기 통과 대역의 제2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제2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 내의 나머지 회로부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is inserted between the band pass filter and the power amplifie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o stabilize the flatness of the output signal, the input stage-the An input is a rear end of the band pass filter, and an output stage, the output is a front end of the power amplifier, and a forced matching resistor for impedance matching, and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to determin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A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for directing directionality and a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part for direc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a left upward direction; With the circuit par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displayed as arc shape. In addition,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the flatness control unit including a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for mak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showing a right upward direction, and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And a first resonator circuit portion for determining a first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and a first impedance matching portion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first resonator circuit portion and the remaining circuit portions in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The upward directional circuit section includes a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for caus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be left upward, a second resonator circuit section for determining a second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and the second resonator circuit section. And the impedance between the remaining circuit portions in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pedance matching section for matching the sca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는 상기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 또는 상기 방향성 결정 인덕터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평탄도 조절부의 가변저항은, 상기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 또는 상기 방향성 결정 인덕터에 의해 결정된 상기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시킨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cision capacitor or the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and the variable resistance of the flatness control unit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cision capacitor or the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varied within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일 실시예에 따라,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제2 강제 매칭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강제 매칭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강제 매칭 인덕터 사이의 제1 노드 및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강제 매칭 인덕터 사이의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중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가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직렬로 연결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the variable resistor,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nd a forced matching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wherein the right-up directional circuit portion includes a first node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to any one of a second node between a resistor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wherein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is serially connected to a node to which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of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is not connected; Connected.

본 발명은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필터의 평탄도를 개선하면서도 반사손실 특성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thereby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filter, and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reflection loss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은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change in impedance in the pass frequency band by providing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또한, 본 발명은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의 주파수 특성 변화에 따라 평탄도 개선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삽입된 공진기를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나 비용 상승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필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when the flatness is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a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using a conventional analog filter to physically replace the existing resonator inserted Since the work is required, this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work or the increase in cos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filter.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필터의 평탄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평탄도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과 전력 증폭기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회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공진기의 기본적인 등가회로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에 의한 평탄도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특히 좌우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통과 대역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통과 대역 특성이고, (b)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통과 대역 특성이고, (c)는 우측 및 좌측 조합으로 기울어진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평탄도 조절부, 100)가 통신 시스템(10)의 대역 통과 필터 후단과 전력 증폭기(30)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구체적인 등가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통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도 10의 (b)에 대응되는 통과 대역 특성으로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낮춘 경우(a)와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b)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구체적인 등가 회로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통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도 13의 (b)에 대응되는 통과 대역 특성으로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낮춘 경우(a)와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b)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의 블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의 등가 회로도의 구체적인 등가 회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통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낮춘 경우(a)와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b)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flatness of a conventional analog filter,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tabilizing flatness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ching circuit for impedance matching is inserted betwee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amplifier,
4 is a basic equivalent circuit of the resonator,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provement of the flatness by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o explain the basic content of the passb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6 is a graph showing passband characteristics without apply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ssband characteristic inclined to the right, and (b) is inclined to the left True passband characteristics, (c) is a graph showing passband characteristics inclined in a right and left combina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flatness control unit 100) is inserted between a rear end of a band pass filte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0 and the power amplifi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passband characteristic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9 is applied;
FIG. 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educed to a minimum as a pass band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FIG. 10B in the application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9 (a) and the variable resistor Rt. (B) is a graph showing the passband characteristics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aised to the maximum,
12 shows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passband characteristic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12 is applied;
FIG. 1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educed to a minimum as a pass band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FIG. 13B in the application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12 (a) and the variable resistor Rt. (B) is a graph showing the passband characteristics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aised to the maximum,
15 is a block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pecific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assband characteristic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16 is applied;
FIG. 18 illustrates the passage of the case w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minimized (a)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maximum (b)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of FIG. 16 is applied. A graph showing band characteristic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섬령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들(특히, 도 1, 2, 5, 10, 13, 17)에서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 또는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are simplified and illustrated with the intentio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drawings (particularly, FIGS. 1, 2, 5, 10, 13, and 17)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는 통신 시스템 내에 삽입되는 공진기의 기본적인 등가회로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공진기는 저항(R), 인덕터(L) 및 커패시터(C)의 수동 소자들로 등가회로화될 수 있으며, R-L-C 직렬(a), R-L-C- 병렬(b),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진회로들로 필요로 하는 적절한 공진 주파수를 만들어낸다.4 shows the basic equivalent circuits of a resonator inserted into a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4, the resonator can be basically equivalent circuited into passive elements of resistor R, inductor L and capacitor C, and RLC series (a), RLC-parallel (b) ,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These resonant circuits produce the proper resonant frequency nee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에 의한 평탄도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특히 좌우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 즉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평탄도 조절부)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좌상향인 경우, 우상향인 경우, 그리고, 좌상향과 우상향의 조합된 경우 각각에 대하여는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provement of the flatness by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orm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that is,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latness) FIG. 10 is a diagram for briefly explaining basic contents of a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when the controller is not applied. Each of the case where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is left upward, right upward, and a combination of left upward and right upwar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평탄도라 함은, 통과 주파수 대역 내 주파수 각각의 값에 대응하는 손실 값의 균일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평탄도를 개선한다는 것은, 통과 주파수 대역 내 주파수 각각의 값에 대응하는 손실 값의 상호간의 차이를 줄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 내에서 평탄도도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In general, in a communication system, flatness means a uniform degree of a loss value corresponding to a value of each frequency in a pass frequency band, and accordingly. Improving flatness means reducing the mutual difference between the loss values corresponding to the values of the frequencies in the pass frequency band, and flatness is also used in this sense.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 내의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은 좌상향과 우상향이 조합된 형태로서 아래로 볼록한 특성을 보인다(도 5의 (a) 좌측).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의 평탄화도를 안정화하기 위해 도 5의 (a)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을 보이는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평탄도 조절부)를 삽입함으로써, 도 5의 (b) 및 도 5의 (c)에서 차례대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탄도가 안정화된다. 즉,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평탄도 조절부)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과 반대의 주파수 특성을 보이는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5의 (c)와 같은 안정화된 평탄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pass filt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convex downward as a combination of left upward and right upward (left side of FIG. 5A). In order to stabilize the flatness of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by insert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flatness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As shown in turn b) and in FIG. 5C, the flatness is stabilized. That is, by insert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show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pposite to the pass 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flatness adjus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finally, as shown in FIG. The stabilized flatness can be realiz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a), (b) 및 (c) 각각에서 보라색으로 나타낸 것들(g1, g2, g3)이 본 발명의 미적용 상태에서의 통과 대역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는 우측으로 기울어진(이하, '좌상향 방향성' 으로 약칭함)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고, (b)는 좌측으로 기울어진(이하, '우상향 방향성' 으로 약칭함)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고, (c)는 우측 및 좌측 조합으로 기울어진(이하, '복합적 방향성' 으로 약칭함)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이들 각각의 케이스에 대응되게 적절하게 방향성을 상쇄시킴으로써, 평탄도 안정화 장치 전체의 물리적 교체 없이도, 예컨대, 도 5의 (c)와 같이 평탄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6 is a graph illustrating passband characteristics when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is not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g1, g2, g3) shown in purple in each of FIGS. 6 (a), (b) and (c) simulate the passband characteristics in the unappli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i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band inclined to the right (hereinafter abbreviated as 'upward directional'), and (b) is inclined to the left (hereinafter abbreviated as 'upward directional') (C)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pass band inclined by a right and left combina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complex directionality'). Accordingly, the flatness stabil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ilizes flatness without, for example, physical replacement of the whole flatness stabilizing device by appropriately canceling the directional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cases. You ca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평탄도 조절부, 100)가 통신 시스템(10)의 대역 통과 필터 후단과 전력 증폭기(30)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7에서 편의상 통신 시스템(10)을 저잡음 증폭기와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로 간략하게 표시하였고, 전력 증폭기(30)는 최후단에 별도로 표시하였으나, 전력 증폭기(30)도 또한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뿐만 아니라, 통신 시스템(10)에서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은 통신 시스템(10)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나, 기본적으로는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편의상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이후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으로 언급한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flatness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a rear end of a band pass filte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0 and the power amplifier 30. In FIG. 7, the communication system 10 is briefly represented as a low noise amplifier and a band pass filter for convenience, and the power amplifier 30 is separately indicated at the end, but the power amplifier 30 is also us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d configuration. 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0,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is also affected by other component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0, but is basically the most affected by the bandpass filter, so for convenience the bandpass filter Refers to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after passing through.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는 대역 통과 필터의 후단이면서 전력 증폭기(30) 사이에 삽입되어,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 평탄도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power amplifiers 30 while being the rear end of the band pass filter, and serves to stabilize the flatness in the pass 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구체적인 등가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통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도 10의 (b)에 대응되는 통과 대역 특성으로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낮춘 경우(a)와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b)의 통과 대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passband characteristic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9 is applied, and FIG. 11 corresponds to FIG. 10 (b) in apply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FIG. 9. As the pass band characteristics, the graph shows the pass band characteristics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educed to the minimum (a)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aised to the maximum (b).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매칭 저항부(110), 방향성 결정부(120), 평탄도 조절부(130), 공진기 회로부(150), 및 매칭부(140)를 포함한다. 방향성 결정부(120), 평탄도 조절부(130), 매칭부(140) 및 공진기 회로부(150)는 이 순서로 차례대로 직렬로 연결된다.First, referring to FIG. 8,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ching resistor unit 110, a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a flatness control unit 130, a resonator circuit unit 150, and a matching unit 140. ).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120, the flatness adjusting unit 130, the matching unit 140, and the resonator circuit unit 150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this order.

강제 매칭 저항부(110)는,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강제 매칭 저항부(110)는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에서 입출력을 강제 매칭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존과 같이 입출력단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별도의 필터와 매칭회로를 삽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110 is a component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110 is for forcibly matching the input / output i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insert a separate filter and a matching circuit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s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방향성 결정부(120)는, 강제 매칭 저항부(110)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를 결정한다.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은, 커패시터, 인덕터 또는 이들의 적절한 결합에 의해, 우상향 방향성, 좌상향 방향성 및 복합적 방향성 중 하나로 결정되며, 이에 관하여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는 도면들에서 y축으로 표시되는 신호의 세기(또는 손실로도 표시되며, 단위는 dB)를 의미하는 것이다.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110 to determine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and to determine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determined by one of the right upward direction, the left upward direction and the complex direction by means of a capacitor, an inductor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means the strength (or loss, also expressed in units of dB) of the signal represented by the y-axis in the drawings.

평탄도 조절부(130)는 방향성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를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한다.The flatness control unit 130 is a component for varying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ithin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and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therefor.

공진기 회로부(150)는 통과 대역의 손실 최소값 주파수(신호 세기의 최대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공진기 회로부(150)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sonator circuit unit 150 is a component for determining the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signal strength). The resonator circuit 150 may be implemented in series, in parallel, or a suitable combination of inductors and capacitors.

매칭부(140)는 공진기 회로부(150)로 구성되는 제2 파트와 그 이외의 회로부, 즉 강제 매칭 저항부(110), 방향성 결정부(120), 평탄도 조절부(130)로 구성되는 제2 파트와의 자체적인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matching unit 140 may include a second part including the resonator circuit unit 150 and a circuit unit other than the second part, that is,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110,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and the flatness adjusting unit 130. It is a component for self impedance matching with 2 parts.

도 9를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강제 매칭 저항부(110)는,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R1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1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8,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11 and a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1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

방향성 결정부(120)는, 제1 강제 매칭 저항(R1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12)의 중간 노드에 연결되어 제1 강제 매칭 저항(R11), 제2 강제 매칭 저항(R12) 및 방향성 결정부(120)가 T자형 회로를 이루도록 한다.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node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1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12 to form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11,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12, and the directionality. The determination unit 120 forms a T-shaped circuit.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미적용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삽입되는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는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향성 결정부(120)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해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11)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강제 매칭 저항(R1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12)이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강제 매칭 저항(R1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12)의 중간 노드에 방항성 결정 커패시터(C11)가 연결된다. 그리고,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11)에 직렬로 연결된 평탄도 조절부(130)는, 고정 저항(R13)과 가변저항(Rt)이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고정 저항(R13)은 기존의 매칭 회로 또는 공진기 회로에서도 기본적으로 신호 세기의 진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고정 저항(R13)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는 단일하므로, 고정 저항(R13)만으로 통과 대역의 다양한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기는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변저항(Rt)을 삽입하여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방향성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어,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주파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다. 9 to 11 are applied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ndicates the left upward direction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nd the inserted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shows the right upward direction. It should be configured to Therefore,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C11 in order to make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show a right upward direction. Referring to FIG. 9,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hav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pass band showing a right upwar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1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12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IN and an output terminal. The anti-determination capacitor C11 is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node of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1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12 by being connected in series between OUTs. In addition, the flatness adjusting unit 130 connected in series to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C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ed resistor R13 and the variable resistor Rt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fixed resistor R13 basically plays a role of determining the amplitude of signal strength even in a conventional matching circuit or a resonator circuit. However, since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determined by the fixed resistor R13 is single, the fixed resistor ( Only R13) makes it difficult to cope with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Therefore, by inserting the variable resistor Rt to adjust the resistance value, it is possible to vary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ithin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thereby providing a communication system. It can correspond to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그리고, 매칭부(140)를 이루는 매칭 커패시터(C12)는 상측의 회로들(제1 파트)와 하측의 공진기 회로부(150)(C13, L11)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역할을 한다. 공진기 회로부(150)는 커패시터(C13)과 인덕터(L11)의 L-C 병렬 회로로 이루어져 있으나,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직렬 또는 직렬과 병렬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손실 최소값 주파수는, 도 10의 (b)에서 맨 우측에 해당되는 주파수이다.The matching capacitor C12 constituting the matching unit 140 serves to match the impedance between the upper circuits (first part) and the lower resonator circuit units 150 (C13 and L11). The resonator circuit unit 150 is composed of the L-C parallel circuits of the capacitor C13 and the inductor L11, but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series or a combination of series and parallel 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oss minimum frequency. Here, the loss minimum frequency i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ar right in Fig. 10B.

도 10에서 (a)와 같이,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미적용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반대의 우상향 방향성을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예컨대, 도 9의 회로도)을 통해 도 10의 (c)와 같이 평탄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10,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ndicates left upward directionality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the reverse of the opposite direction is illustrated in FIG.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flatness as shown in FIG. 10C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circuit diagram of FIG. 9)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upward direc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회로도와 같이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구현한 경우에 있어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한 경우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완만한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며(g11),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완만한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때, (a)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을 최소값에 가깝게 낮추어서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기울기를 갖는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며(g12),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급격한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때, (b)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값에 가깝게 높임으로써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는 사용하는 가변저항(Rt)에 따라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9,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minimized, as shown in (a), it is relatively gentle. (G11), and when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exhibits a relatively gentle leftward directionality, as shown in (a), the variable resistor Rt is lowered to a minimum value to stabilize flatness. Can be. On the contrary,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aised to the maximum, as shown in (b), it shows a right upward direction with a sharp slope (g12). Thus,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relatively sharp. When indicating the upward direction, the flatness can be stabilized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close to the maximum value as in (b). The range of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or Rt used.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미적용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삽입되는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는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향성 결정부(120)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해 방향성 결정 인덕터(L21)를 포함한다.12 to 14 are applied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when the non-applied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right upward direction, the inserted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100 shows a left upward direction. It should be configured to Therefore, the directional decision unit 120 includes a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L21 in order to make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show the upward direction.

도 12를 참조하여, 좌상향 방향성을 보이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강제 매칭 저항(R2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22)이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강제 매칭 저항(R2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22)의 중간 노드에 방항성 결정 인덕터(L11)가 연결된다. 그리고, 방향성 결정 인덕터(L11)에 직렬로 연결된 평탄도 조절부(130)는, 고정 저항(R23)과 가변저항(Rt)이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 저항(R23)은 기존의 매칭 회로 또는 공진기 회로에서도 기본적으로 신호 세기의 진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고정 저항(R23)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는 단일하므로, 고정 저항(R23)만으로 통과 대역의 다양한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기는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변저항(Rt)을 삽입하여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방향성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어,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주파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hav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pass band showing a left upward direc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2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22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The anti-determination determination inductor L11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node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2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22 by being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OUT. In addition, the flatness adjusting unit 130 connected in series to the directional inductor L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ed resistor R23 and the variable resistor Rt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mentioned above, the fixed resistor R23 basically serves to determine the amplitude of the signal strength even in the existing matching circuit or the resonator circuit, but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determined by the fixed resistor R23 is Since it is singl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with only the fixed resistor R23. Therefore, by inserting the variable resistor Rt to adjust the resistance value, it is possible to vary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ithin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20, thereby providing a communication system. It can correspond to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그리고, 매칭부(140)를 이루는 매칭 커패시터(C21)는 상측의 회로들(제1 파트)와 하측의 공진기 회로부(150)(C22, L22)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역할을 한다. 공진기 회로부(150)는 커패시터(C22)와 인덕터(L22)의 L-C 병렬 회로로 이루어져 있으나,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직렬 또는 직렬과 병렬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손실 최소값 주파수는, 도 13의 (b)에서 맨 좌측에 해당되는 주파수이다.The matching capacitor C21 constituting the matching unit 140 serves to match impedance between upper circuits (first part) and lower resonator circuit units 150 (C22 and L22). The resonator circuit unit 150 is composed of the L-C parallel circuit of the capacitor C22 and the inductor L22, but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series or a combination of series and parallel 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oss minimum frequency. Here, the loss minimum frequency i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ar left in Fig. 13B.

도 13에서 (a)와 같이,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100)의 미적용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반대의 좌상향 방향성을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예컨대, 도 12의 회로도)을 통해 도 13의 (c)와 같이 평탄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13,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ndicates a right upward direction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the opposite of left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flatness as shown in FIG. 13C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circuit diagram of FIG. 12) showing the upward direction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회로도와 같이 평탄도 안정화 장치를 구현한 경우에 있어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한 경우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완만한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며(g21),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완만한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때, (a)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을 최소값에 가깝게 낮추어서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기울기를 갖는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급격한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낼 때, (b)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값에 가깝게 높임으로써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는 사용하는 가변저항(Rt)에 따라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2,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minimized, as shown in (a), it is relatively gentle. (G21), and when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exhibits a relatively gentle rightward directionality, as in (a), the variable resistor Rt is lowered to a minimum value to stabilize flatness. Can be. In contrast,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aised to the maximum, as shown in (b), it exhibits a left upward directionality with a sharp slope, so that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has a relatively sharp upward upward directionality. As shown in (b), the flatness can be stabilized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close to the maximum value. The range of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or Rt used.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 신호의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to 18 illustrate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is inserted between a band pass filter and a power amplifier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stabilize flatness of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도 15 내지 도 18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좌상향 방향성과 우상향 방향성이 조합된 복합형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적용하여,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15 to 18, flatness can be stabilized by applying to a case where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represents a complex directionality in which the left upward direction and the right upward direction are combined.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는,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강제 매칭 저항부(210), 강제 매칭 저항부(210)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 강제 매칭 저항부(210)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 방향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260b)를 포함한다.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와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260b)는 함께 작용하여,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특성이 호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가 미적용된 경우의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위로 볼록한 호 형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가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도록 구성하게 되면, 최종 출력 신호의 평탄도가 안정화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5,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using the variable resis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210 and forced matching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It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unit 210, and connected to the right-up directional circuit section 260a and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210 so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indicates the right direction,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A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260b for indicating left upward directionality.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260a and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260b work together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exhibit an arc shape.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is convex upward,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hibit the pass 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rc convex downward. If so, the flatness of the final output signal can be stabilized.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31)와,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Rt)을 포함하는 평탄도 조절부(R33//RT)와, 통과 대역의 제1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공진기 회로부(C34, L32)와, 제1 공진기 회로부(C34, L32)와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 내의 나머지 회로부(C31, R33, Rt)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1 임피던스 매칭부(C32)를 포함한다. 제1 공진기 회로부(C34, L32)는 L-C 병렬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의 회로도 가능하며, 필요로 하는 제1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피던스 매칭부(C32)는 하나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있다.The right-up directional circuit section 260a is a flat panel including a directional decision capacitor C31 for causing the directiv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the right direction, and a variable resistor Rt for varying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he degree adjusting part R33 // RT, the first resonator circuit parts C34 and L32 for determining the first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the first resonator circuit parts C34 and L32 and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art 260a. And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C32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remaining circuit units C31, R33, and Rt in the circuit. Although the first resonator circuits C34 and L32 are configured as L-C parallel circuits, other types of circuits are possible and may be configured as circuits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first loss minimum frequency required. In addition,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C32 is composed of one capacitor.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260b)는,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인덕터(L32)와, 통과 대역의 제2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공진기 회로부(C35//L33)와, 제2 공진기 회로부(C35, L33)와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260b) 내의 나머지 회로부(L32, R34)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2 임피던스 매칭부(C33)를 포함한다. 제2 공진기 회로부(C35, L33)는 L-C 병렬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의 회로도 가능하며, 필요로 하는 제2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임피던스 매칭부(C33)는 하나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있다.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section 260b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inductor L32 for caus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left upward, and a second resonator circuit section C35 for determining the second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 L33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part C33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second resonator circuit parts C35 and L33 and the remaining circuit parts L32 and R34 in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art 260b. Although the second resonator circuit parts C35 and L33 are configured as L-C parallel circuits, other types of circuits are possible and may be configured as circuits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required second loss minimum frequency. In addition,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C33 includes one capacitor.

여기서,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또는 손실, dB)의 범위는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31)와 방향성 결정 인덕터(L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평탄도 조절부를 구성하는 가변저항(Rt)의 경우, 그 저항값을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시키게 되면,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31)와 방향성 결정 인덕터(L32)에 의해 결정된,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 내에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Here, th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or loss, dB) of the pass band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cision capacitor C31 and the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L32, and in the cas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constituting the flatness controller.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appropriately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within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directional decision capacitor C31 and the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L32 is determined. The slope of can be varied.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는,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R3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32)을 포함하고, 제1 강제 매칭 저항(R31)과 제2 강제 매칭 저항(R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강제 매칭 인덕터(L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는 제1 강제 매칭 저항(R31)과 강제 매칭 인덕터(L31) 사이의 제1 노드 및 제2 강제 매칭 저항(R32)과 강제 매칭 인덕터(L31) 사이의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260b)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중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260a)가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using the variable resis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31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n input terminal IN and an output terminal OUT. It includes a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32), and includes a forced matching inductor (L31)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31)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32). In addition,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260a includes a first node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R31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L31 and a second node between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R32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L31.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260b may be serial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nodes to which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260a is not connected.

도 17에서 (a)와 같이, 본 발명의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의 미적용시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위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반대인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예컨대, 도 16의 회로도)을 통해 도 17의 (c)와 같이 평탄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17,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exhibits an upwardly convex arc-like frequency characteristic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s shown in FIG. 17 (b). The flatness can be stabilized as shown in FIG. 17C through th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circuit diagram of FIG. 16)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convex downwardly convex shap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의 회로도와 같이 평탄도 안정화 장치(200)를 구현한 경우에 있어서,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소로 한 경우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완만하게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g31),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완만하게 위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낼 때, (a)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을 최소값에 가깝게 낮추어서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로 높인 경우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하게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이 비교적 급격하게 위로 볼록한 호 형상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낼 때, (b)에서와 같이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을 최대값에 가깝게 높임으로써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가변저항(Rt)의 저항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는 사용하는 가변저항(Rt)에 따라서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가변저항(Rt)에 의해 조절되는 범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C31; 도 16) 또는 방향성 결정 인덕터(L32; 도 16)에 의해 결정된 상기 통과 대역의 신호 세기의 범위로 제한된다.As shown in FIG. 18, when the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16,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minimized, as shown in (a) (G31) When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on system exhibits a relatively gentle convex frequency characteristic, the variable resistance as in (a) The flatness can be stabilized by lowering (Rt) close to the minimum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is raised to the maximum, as shown in (b), the arc-shaped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rapidly convex, and thus,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relatively high. When exhibiting an arc-shaped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is suddenly convex, flatness can be stabilized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close to the maximum value as in (b). The range of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t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or Rt used, and the range controlled by the variable resistor Rt may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t is limited to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of the pass band determined by the capacitor C31 (Fig. 16) or the directional decision inductor L32 (Fig. 16).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별도의 매칭회로나 공진기 등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삽입함이 없이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평탄도를 안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기울어짐의 모양을 원하는 형태(좌상향 방향성, 우상향 방향성, 복합형 방향성)로 구현하여, 물리적인 교체작업 없이도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에 대응되게 평탄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정제파비를 확보하여 통신 시스템 내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하며, 일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the variable resistor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abov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tabilized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without periodically replacing or inserting a separate matching circuit or resonator. In other words,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the shape of the inclination is realized in the desired shape (left upward direction, right upward direction, complex direction), thereby stabilizing flatness corresponding to the pass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ithout physical replacement work. You can. In addition, by securing a minimum refinement ratio, it is easy to match impeda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can be used consistently.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4G에 비해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5G 환경에서 비용 절감이나 평탄도 안정화의 용이성에 있어서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As mentioned above,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the variable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in the cost reduction or ease of flatness stabilization in a 5G environment with a wider frequency bandwidth than 4G.

100 :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110 : 매칭 저항부
120 : 방향성 결정부
130 : 평탄도 조절부
140 : 매칭부
150 : 공진기 회로부
160a :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
160b :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
100: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110: matching resistor
120: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130: flatness adjustment unit
140: matching unit
150: resonator circuit portion
160a: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160b: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Claims (8)

통신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 신호의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로서,
입력단 - 상기 입력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후단임 - 과 출력단 - 상기 출력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단임 -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강제 매칭 저항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부 -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은, 통과 대역의 주파수를 X축 그리고 주파수 별 신호 세기를 Y축으로 하여 표현한 그래프이며,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은, 상기 그래프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좌상향 방향성, 상기 그래프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우상향 방향성, 및 상기 그래프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과 좌측으로 기울어진 것의 조합인 복합적 방향성 중 어느 하나임 - ;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서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평탄도 조절부;
상기 통과 대역의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기 회로부; 및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 상기 방향성 결정부 및 상기 평탄도 조절부로 구성되는 제1 파트와, 상기 공진기 회로부로 구성되는 제2 파트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is inserted between a band pass filter of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amplifier to stabilize flatness of an output signal,
A forced matching resistor section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an input stage, the input being a rear stage of the band pass filter, and the output stage, the output being a front end of the power amplifier;
Directional decis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pass band is expressed by the frequency of the pass band as the X axis and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frequency as the Y axis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a combination of a left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graph is tilted to the right, an upward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graph is tilted to the left, and a graph in which the graph is tilted to the right and to the left. One of complex directionality;
A flatness control unit including a variable resistor for changing a slope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A resonator circuit portion for determining the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And
And a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first part consisting of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part,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part, and the flatness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part consisting of the resonator circuit part. Flatness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제2 강제 매칭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의 중간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 및 상기 방향성 결정부가 T자형 회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 may include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a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node, wherei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form a T-shaped circu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for direc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the upward directionalit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결정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방향성이 좌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directional determination unit includes a directional determination inductor for caus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a left upward directionalit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탄도 조절부, 상기 매칭부 및 상기 공진기 회로부는 차례대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ness control unit, the matching unit and the resonator circui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통신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 신호의 평탄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로서,
입력단 - 상기 입력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후단임 - 과 출력단 - 상기 출력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단임 -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강제 매칭 저항부;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 -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은, 통과 대역의 주파수를 X축 그리고 주파수 별 신호 세기를 Y축으로 하여 표현한 그래프임 - 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 및
상기 강제 매칭 저항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좌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 -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와 함께,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호 형상을 나타내도록 함 - ; 를 포함하며,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상기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커패시터와,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의 기울기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평탄도 조절부와, 상기 통과 대역의 제1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제1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 내의 나머지 회로부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상기 좌상향 방향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 결정 인덕터와, 상기 통과 대역의 제2 손실 최소값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제2 공진기 회로부와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 내의 나머지 회로부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A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is inserted between a band pass filter of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power amplifier to stabilize flatness of an output signal,
A forced matching resistor section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an input stage, the input being a rear stage of the band pass filter, and the output stage, the output being a front end of the power amplifi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unit-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a graph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pass band is expressed as the X-axis and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frequency as the Y-axis. A right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for making it visible; And
A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forced matching resistor to show a left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is inclined to the right-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art together with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art and the frequency of the pass band; Make the characteristic exhibit an arc shape; Including;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A flatness adjusting unit including a directional determination capacitor for caus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show the upward directionality,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and a first loss of the pass band. A first resonator circuit portion for determining a minimum value frequency, and a first impedance matching portion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first resonator circuit portion and the remaining circuit portions in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The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portion,
A directional determination inductor for caus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to exhibit the left upward directionality, a second resonator circuit portion for determining a second loss minimum frequency of the pass band, the second resonator circuit portion and the left upward directionality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part f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remaining circuit parts in the circuit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평탄도 조절부의 가변저항은, 상기 통과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서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ariable resistance of the flatness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varying the slope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pass band,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a variable resis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제2 강제 매칭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강제 매칭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제1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강제 매칭 인덕터 사이의 제1 노드 및 상기 제2 강제 매칭 저항과 상기 강제 매칭 인덕터 사이의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좌상향 방향성 회로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중 상기 우상향 방향성 회로부가 연결되지 않은 노드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평탄도 안정화 장치.



The flatness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the variable resistor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a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nd a forced matching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
The right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to any one of a first node between the first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and a second node between the second forced matching resistor and the forced matching inductor; And a left up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is connected in series to a node of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to which the right upward directional circuit unit is not connected.



KR1020190109348A 2019-09-04 2019-09-04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KR102078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348A KR102078052B1 (en) 2019-09-04 2019-09-04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348A KR102078052B1 (en) 2019-09-04 2019-09-04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052B1 true KR102078052B1 (en) 2020-02-18

Family

ID=696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348A KR102078052B1 (en) 2019-09-04 2019-09-04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16A2 (en) 2000-10-27 2002-05-02 Broadband Innov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band ripple from band-pass filter responses
JP2005286893A (en) 2004-03-30 2005-10-13 Murata Mfg Co Ltd Passband flatness compensation circuit and filter
KR101735353B1 (en) 2015-11-23 2017-05-1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pole bandpass filter using closed loop reson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16A2 (en) 2000-10-27 2002-05-02 Broadband Innov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band ripple from band-pass filter responses
JP2005286893A (en) 2004-03-30 2005-10-13 Murata Mfg Co Ltd Passband flatness compensation circuit and filter
KR101735353B1 (en) 2015-11-23 2017-05-1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pole bandpass filter using closed loop reson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018B2 (en) Acoustically coupled resonator notch and bandpass filters
JP4998550B2 (en) Frequency variable band elimination filter
KR101980032B1 (en) High-frequency filter,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9780760B2 (en) Variable filter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6076092A1 (en) Variable filter circuit, rf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9787277B2 (en) Variable filter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5087894A1 (en) Variable-frequency filter
JP6460196B2 (en) Variable filter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149817A1 (en) Micro-acoustic bandstop filter
JP4725537B2 (en) Variabl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ilter
KR102078052B1 (en) Apparatus for stabiling flatness using a variable resistor
RU156095U1 (en) BAND ROTARY FILTER
JP2002009573A (en) Tunable filter
JP2005286893A (en) Passband flatness compensation circuit and filter
JP2016219867A (en) Variable filter circuit, and high frequency module
CN215300592U (en) Band-pass filter circuit
KR102228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ripple control
KR101993141B1 (en) Variable filter improved reflection loss and frequency suppression characteristic
WO2023026353A1 (en) Frequency selecting/switching circuit
JP2011244187A (en) Band variable filter
EP1453196A1 (en) Analog bandpass filter
JPS6177408A (en) Polar type low-pass filter
JP2005512379A6 (en) Analog bandpass filter
JP2005341279A (en) Voltage control filter, band blocking type filter, band-pass filter,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30115773A (en) Filter with tuning quality fa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