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24B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8024B1 KR102078024B1 KR1020130110923A KR20130110923A KR102078024B1 KR 102078024 B1 KR102078024 B1 KR 102078024B1 KR 1020130110923 A KR1020130110923 A KR 1020130110923A KR 20130110923 A KR20130110923 A KR 20130110923A KR 102078024 B1 KR102078024 B1 KR 1020780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substrate
- polarizing plate
- display device
- crystal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기판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합착함으로써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2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편광판의 상부로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만큼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배치된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은 제1경사면과 제1수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제2경사면과 제2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1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은 합쳐져 상기 제2편광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평탄한 단면의 블레이드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liquid crystal panel by placing and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to face each other; Attaching a first polarizing pl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size protruding by a first width along an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positioning a cutting blade un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ti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long a position of a second width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ward. Is composed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the first part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horizontal surface, the second par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and the first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are combined to form a blade tip having a flat cross-sec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s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ore beautiful appearance design.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 및 박형이면서 미려한 디자인으로 구현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lightweight and thin yet beautiful desig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표시장치(display device)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 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information age, the display field has also rapidly developed, and in respons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dvantages of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di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s excellent performance and is widely used.
여기서,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및 핸드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Her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which is actively used in TVs, monitors, and mobile phones because it is advantageous for moving picture display and has a large contrast ratio, is an optical anisotropy and polarization of liquid crystal. It shows the principle of imaging by polarization.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panel) bonded by interposing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wo substrates (substrate)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electric fiel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o chang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to realize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do.
하지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이 내장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배치된다.However, since the liquid crystal panel does not have a light emitting element, a separate light source is required to display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as an image, and for this purpose,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측면형(Edge Type)으로 구분되는데,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측면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광원을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간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Here, the backlight unit is classified into a direct type and an edge ty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In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directly disposed by placing the light source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A method of supplying to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cklight unit of a side type method indirectly injects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by using refraction and reflection in the light guide plate by placing a light guide plate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placing a light sourc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t is a method of supplying to a liquid crystal panel.
이때 측면형 백라이트 유닛은 LED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줄여 슬림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At this time, the side type backlight unit not only can reduce the number of LEDs,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slimming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s a popular trend.
이러한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서포트메인과 커버버툼에 의해 액정표시모듈로 모듈화된 후, 전방과 후방 각각에서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하는 프론트 커버와 리어버커 그리고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어 표시영역을 보호하는 커버글라스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제품화된다.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are modularized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by a support main and a cover bottom, and then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rear cover, and front cover for sto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o protect the display area. It is finally finished product by cover glass.
한편,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 그 사용영역이 다양해지면서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경량, 박형의 미려한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고 장치화하는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wide display area as the use area of the portable computer as well as the desktop computer monitor and wall-mounted television is diversified, and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to realize a light and thin beautifu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too many components to modularize and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특히, 액정표시장치를 장치화하는 구성요소들 중 프론트 커버의 경우 전방에서 액정표시모듈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며 액정표시모듈을 완제품화하기 때문에 비표시영역을 더욱더 넓히며 표시영역을 좁히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Particularly, among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front cover borders the ed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rom the front and complet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hereby making the non-display area wider and narrowing the display area. .
또한,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며 표시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글라스도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액정표시장치의 경량 및 박형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In addition, it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and the cover glass for protecting the display area is also made of tempered glass, which acts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lightweight and thin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를 장지화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경량 및 박형의 구성이 가능하며,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eautiful desig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weight and thin structure by omitting some of the components that ma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ong. Is doing.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기판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합착함으로써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2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편광판의 상부로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만큼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배치된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은 제1경사면과 제1수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제2경사면과 제2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1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은 합쳐져 상기 제2편광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평탄한 단면의 블레이드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ositioning and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ubstrate so as to face each other. Forming a panel; Attaching a first polarizing pl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size protruding by a first width along an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positioning a cutting blade un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ti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long a position of a second width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ward. Is composed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the first part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horizontal surface, the second par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and the first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are combined to form a blade tip having a flat cross-sec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s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여기서, 상기 제1폭과 상기 제2폭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width may be the same.
또는, 상기 제1폭보다 상기 제2폭이 더 넓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width may be wider than the first width.
상기 제2편광판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부착되고, 상기 컷팅 단계 후에는,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된 제2기판 표면의 상기 점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adhesive, and after the cutting step, further comprising removing the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expos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평탄한 단면을 가지는 블레이드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utting blad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ade tip having a flat cross section.
이때, 상기 컷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편광판의 각 모서리가 스트레이트(straight) 형상, 챔버(chamfer) 형상 및 라운드(round) 형상 중 하나를 가지도록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이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cut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oving the cutting blade unit such that each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has one of a straight shape, a chamber shape, and a round shape.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기판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합착함으로써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2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편광판의 상부로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만큼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하는 단계;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서포트메인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단계; 커버버툼을 구비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서포트메인을 지지하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는 전면방향으로 형성된 안착홈에 시스템보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버툼의 하부에 리어커버를 배치하고 상기 리어커버를 커버버툼과 체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는 바닥부와 서포트메인의 측부를 감싸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의 바닥부와 측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서포트메인을 지지하고 시스템보드가 배치되는 안착홈을 구비한 커버버툼; 및 상기 커버버툼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버툼과 체결되는 리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는 바닥부와, 측부와, 상기 서포트메인의 측부를 감싸는 수직부 및 상기 서포트메인의 배면과 체결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의 바닥부와 측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liquid crystal panel by placing and bond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ubstrate to face each other; Attaching a first polarizing pl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size protruding by a first width along an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sitioning a cutting blade unit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ting an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long a position of a second width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ward; Disposing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ing a support main to support the liquid crystal panel; A cover bottom is provided to receive a backlight unit, support a support main, and place a system boar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front direction toward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rranging a rear cover under the cover bottom and fastening the rear cover with the cover bottom, wherein the rear co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of the support main,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rear c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s are connected roundly.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panel; A backlight unit disposed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to supply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 support main support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 cover bottom having a se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backlight unit, supporting the support main, and placing a system board; And a rear cover engaged with the cover bottom at the bottom of the cover bottom, wherein the rear co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a vertical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main body, and a horizontal portion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ain body. It comprises a support m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cover are connected in a roun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종래 프론트 커버와 커버글라스를 생략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편광판을 제2기판에 비해 큰 크기로 제작하여 부착한 후에 원하는 폭으로 테두리를 컷팅함으로써 제2편광판이 제2기판 상에 보다 정확하게 정렬된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front cover and cover glass are omitted,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is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n attached to a desired width. By cutting, it is possible to make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ppear to be more accurately aligned on the second substrate. This has the effect of having a more beautiful appearance design.
또한, 나아가 프론트 커버에 따른 비표시영역의 폭을 제거하여 표시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경량 및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by removing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along the front cover, a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ightweight and th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때,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이용하여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해 냄으로써 레이저장치를 이용한 컷팅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열적 영향에 의한 제2기판과 제2편광판의 손상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잘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by cutti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by using the cutting blade unit, the damage to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due to thermal effects that may be caused by the cutting using the laser device is prevented, and in various forms desired by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being cut of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
도 4a는 도 3d의 비교예로서 레이저장치의 적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레이저장치 적용에 따라 제2기판에 가해지는 손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영역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및 도 5c의 컷팅 블레이드를 통한 컷팅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anufacturing step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laser device as a comparative example of Figure 3d.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damage to the second substrat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aser device of Figure 4a.
Figure 5a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view showing the area AA of FIG. 5A in more detail.
Figure 5c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cutting shape through the cutting blades of FIGS. 5A and 5C.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모듈화하는 서포트메인(130)과 커버버툼(150), 그리고 이들을 최종적으로 완제품화 하기 위한 시스템보드(170) 및 리어커버(rear cover: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액정패널(1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112, 114)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1기판(112)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 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된다.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ixel is defined by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intersec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기판이라 불리는 제2기판(114)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와,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그리고 이들을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공통전극은 제1기판(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제1 및 제2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편광판(118, 119)이 각각 부착된다.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polarizing
여기서, 제1편광판(118)은 제1기판(1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데, 이때 제1기판(112)의 일 가장자리, 비표시영역을 제외한 표시영역을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편광판(118)은 제1기판(112)의 표시영역을 덮으며 제1기판(112)의 일 가장자리, 비표시영역 일부와 중첩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polarizing
제2편광판(119)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보게 되는 부분으로, 보다 미려한 디자인과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제2기판(114)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편광판(119)은 제2기판(114)의 네 변을 기준으로 0.1mm 내지 0.4mm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polarizing
한편, 이 같은 액정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TCP)와 같은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이 연결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17)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1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50)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10)은, 인쇄회로기판(117)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구동회로의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데이터 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Accordingly, the
이러한 액정패널(110)의 배면에는, 투과율의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백라이트 유닛(120)은 커버버툼(150)의 일 내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광원과, 반사판(125)과, 이러한 반사판(1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21)을 포함한다.The
광원으로는 LED(129a)를 사용하는데, 다수의 LED(129a) 각각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LED인쇄회로기판(LED Printed Circuit Board:LED PCB)(129b)에 장착됨으로써 LED 어셈블리(129)를 이룬다. The
이때, LED인쇄회로기판(129b)은 다수의 LED(129a)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기능을 구비한 메탈코어인쇄회로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MCPCB)에 해당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D printed
이러한 LED 어셈블리(129)는 다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광판(123)의 입광부에 대면되도록 접착 등의 방법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The position of the
이에 따라, LED 어셈블리(129)의 다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광판(123) 내로 입사되어 도광판(123)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0)에 공급되게 된다.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여기서, LED 어셈블리(129)의 배면으로는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LED하우징(149)이 구비된다. Here, the
이때, LED하우징(149)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져 LED 어셈블리(129)와 커버버툼(150) 사이에 위치하며, LED인쇄회로기판(129b)의 배면과 다수의 LED(129a) 일측을 감싸도록 수직 절곡된 ㄴ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반사판(125)은 사각판 형상으로 도광판(123)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10)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The
도광판(123)은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도광하여 보다 고품질의 면광원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도광판(123)은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때, 패턴은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도광판(123)의 하부면에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attern can be variously configured such as an elliptical pattern, a polygonal pattern, a hologram pattern, etc. to guide the light incident into the
이를 위한 도광판(12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폴리스틸렌(polystyren: PS)이 혼합된 폴리메타크릴스틸렌(polymethacrylstyrene: MS)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러한 도광판(123)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21)은 도광판(123)에 의해 면광원으로 변환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11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되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이러한 다수의 광학시트들(121)은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 상에는 두 장의 광학시트만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전술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서포트메인(130) 그리고 커버버툼(150)을 통해 모듈화된다. The above-described
서포트메인(130)은 사각테 형상을 가지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싼다. The support main 13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urrounds the edge of the backlight unit.
이때, 서포트메인(130)은 액정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를 구분하는 돌출부(131)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main 130 supports the rear edge of the
여기서, 액정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서포트메인(130)의 돌출부(131)의 전면으로는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의 역할과 액정패널(110)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접착패드(180a, 180b)가 구비된다. 이러한 접착패드(180a, 180b)에 의해 액정패널(110)이 서포트메인(130)에 고정된다. Here, the front of the
액정표시모듈 전체 기구물의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50)은 사각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의 가장자리가 소정높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을 가지며 백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하고 서포트메인(130)의 배면에서 서포트메인(130)을 지지한다. The
또한, 커버버툼(150)은 이의 배면으로부터 액정패널(110)을 향하는 전면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52)을 구비하며, 이러한 안착홈(152)에 시스템보드(170)가 안착된다. 이때, 도면 상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안착홈(152)의 깊이를 시스템보드(17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더 깊게 형성하여 시스템보드(170)가 안착홈(152)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액정표시장치(100)의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장자리가 사각테 형상인 서포트메인(130)으로 둘려진 상태로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과 측면을 덮는 커버버툼(150)이 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130)을 매개로 일체화되어 모듈화된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모듈화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20)의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123)의 입광부로 입사된 후, 그 내부에서 액정패널(110)을 향해 굴절되며, 반사판(125)에 의해 반사된 빛과 함께 다수의 광학시트들(121)을 통과하는 동안 보다 균일한 고품위의 면광원으로 가공되어 액정패널(110)로 공급되게 된다.As it is modularized as described above, light e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이러한 액정표시모듈은 시스템보드(170)와 리어커버(190)를 통해 최종적으로 장치화되며 완제품으로 구현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s finally deviced through the
여기서, 시스템보드(170)는 액정표시모듈의 배면, 즉 커버버툼(150)의 배면에 형성된 안착홈(152)에 안착된다. Here, the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스템보드(170)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혹은 음성신호를 받아 액정패널(110)이나 스피커 등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나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A/D(analog/digital) 변환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인 LED(129a)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화면 조정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OSD(on screen display) 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액정표시장치(100)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어답터(adapter) 및 각종 케이블 등의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시스템보드(170)가 장착된 액정표시모듈의 후방으로는 리어커버(190)가 결합된다. The
리어커버(190)는 액정표시모듈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 두르며 액정표시모듈과 함께 시스템보드(170)를 수납하며, 서포트메인(130)과 볼트 등의 체결수단(197)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고정된다. The
이를 위한 리어커버(190)는 액정표시모듈의 배면을 덮는 바닥부(192)와, 액정표시모듈의 측면을 둘러싸며 액정패널(1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측부(194)로 구성되는데, 바닥부(192)와 측부(194)의 연결에 있어서 내부적으로는 상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부(196)를 포함하고, 외부적으로는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The
여기서, 지지부(196)는 서포트메인(130)의 측면을 두르는 수직부와, 이에 수직하며 서포트메인(130)의 배면을 지지하며 체결수단(197)을 통해 서포트메인(130)과 결합하기 위한 수평부로 구성되어 내부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리어커버(190)와 서포트메인(130)이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또한, 리어커버(190)는 바닥부(192)와 측부(194) 간을 라운드지게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인 기구물인 리어커버(190)가 보다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리어커버(190)의 측부(194) 끝은 액정패널(110)의 제2편광판(119)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2기판(114)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100)를 정면에서 보면, 표시부와 차단부(140)로 구분할 수 있는데, 표시부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110), 즉 제2편광판(119)의 영역에 대응되고, 차단부(140)는 불필요한 영역을 차단하는 비표시영역에 대응된다. When the liquid
여기서, 차단부(140)는 불투명색으로 구현되어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키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 어셈블리(미도시)는 차단부(140) 상에 위치하는 키부(미도시)와, 차단부(140)의 배면으로 배치되며 키부(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키 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 구동부(미도시)는 일예로,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키부(미도시)로 빛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키의 선택 또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block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종래 프론트 커버와 커버글라스를 생략하며, 제2편광판(119)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에 의한 비표시영역을 없애며 베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글라스 및 프론트 커버의 생략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경량 및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함과 동시에 전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10)에 특징적인 구성이 있으므로 액정패널(110)의 제조 방법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 this time,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E are process sectional views of manufacturing step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어레이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제1기판(112)과, 제1기판(1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컬러필터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제2기판(114) 각각을 제작한 후,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4)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킨다. 그리고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4)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을 개재한 상태에서 두 기판(112, 114) 중 어느 하나의 기판 가장자리를 따라 씰패턴을 형성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2, 114)과 제2기판을 합착한다(s11). First, after manufacturing each of the
이때, 제2기판(114)의 일 가장자리로 노출된 제1기판(112)의 가장자리(비표시영역)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TCP)와 같은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도 1의 117)이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flexible circuit board or a tape carrier package (TCP) along the edge (non-display area) of the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12)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118)을 부착한다(s12). Next, as shown in Figure 3b, the first
여기서, 제1편광판(118)은 제2기판(114)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기판(112)의 비표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이러한 제1편광판(118)은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4)의 측단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일 가장자리에서부터 부착할 수 있는데, 제1편광판(118)은 제1기판(1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액정표시장치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The first
이때, 제1편광판(118)의 일면에는 부착을 위한 점착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점착제는 광경화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PSA)일 수 있다. In this case, an adhesive for attachment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이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114)의 바깥면에 편광판(119a)을 부착한다(s13). Next, as illustrated in FIG. 3C, a
여기서, 편광판(119a)은 제2기판(114)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데, 제2기판(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w1)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진다. 이때, 편광판(119)의 일면에는 부착을 위한 점착제, 일예로 광경화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PSA)가 구비된 상태일 수 있다. Here, the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19a)의 상부에 컷팅 블레이드(210)를 포함한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을 위치시키고,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을 통해 편광판(119a)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제2폭(w2)만큼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따라 한바퀴 돌면서 제2기판(114)의 외측으로 노출된 편광판(119a)의 가장자리(119b)를 잘라(s14)냄으로써 제2기판(114)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제2편광판(119)을 형성한다. 이때, 제2편광판(119)의 잘린 단면은 챔퍼(chamf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3D, the
여기서,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은 컴퓨터 수치제어(computer numerical control:CNC)방식으로 컷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컷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에 포함되는 컷팅 블레이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변경 또는 조절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210)는 평탄한 단면을 가지는 블레이드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Here, the
이에 따라,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은 컴퓨터 수치제어 방식에 의해 미리 설정된 편광판(119a)의 컷팅라인, 즉 편광판(119a)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w2)만큼 이동된 위치를 따라 한바퀴 돌면서 제2기판(114)의 외측으로 노출된 편광판(119a)의 가장자리(119b)를 컷팅한다. Accordingly, the
여기서, 제2폭(w2)은 제1폭(w1)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1폭(w1)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편광판(119)과 제2기판(114)의 측단이 서로 일치하도록 컷팅하거나 또는 제2편광판(119)의 외측으로 제2기판(114)이 소정 부분, 일예로 0.1 내지 0.4mm 정도가 노출되도록 컷팅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width w1 or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w1. That is, the side ends of the secon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인 제2편광판(119)은 제2기판(114)보다 큰 크기로 제작되어 제2기판(114) 상에 부착된 후에 원하는 만큼의 가장자리 제2(w2)폭이 컷팅 블레이드 유닛(200)에 의해 잘라진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기판(114)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제2편광판을 제2기판 상에 정렬 및 부착하는 공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제2편광판이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특히,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제2편광판을 제2기판보다 아주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제작하여 제2기판 상에 부착할 경우에 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를 좀더 설명하면, 제2편광판이 제2기판보다 작을 경우 정렬이 보다 힘들게 되며 이로 인해 부착 불량이 발생되고 나아가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manufactured in a very finely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substrate according to the user's option, it is easy to attach when attached to the second substrate. To explain this more, i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ubstrate, alignment becomes more difficult, which causes adhesion failure and further decrease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proces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편광판(119)을 제2기판보다 큰 크기로 제작하여 제2기판 상에 부착한 후에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통해 제2편광판에서 원하는 만큼의 가장자리 폭을 컷팅하여 제거할 경우, 컷팅 폭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보다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nufacturing the second
한편, 제2편광판(119)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기판(114)의 표면에는 편광판(119a)에 의한 점착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 Meanwhi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the
이에 따라, 제2기판(114)의 가장자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점착제를 제거(s15)함으로써,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을 완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removing the adhesive exposed on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4 (s15), the liquid crystal panel can be completed as shown in FIG. 3E.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을 완성한 후에는 커버버툼 상에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모듈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서포트 메인(130)을 통해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일체화하여 액정표시모듈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시스템보드와 리어커버(170)를 결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fter completing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components of the backlight unit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cover bottom and the modula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integrate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through the support main 130 to integrate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finally combining the system board an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컷팅 블레이드 유닛과 이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로서 레이저장치를 예를 들어 컷팅에 따른 차이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for example, a laser device as a comparative example for comparing with the cutting blad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는 도 3d의 비교예로서 레이저장치의 적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레이저장치 적용에 따라 제2기판에 가해지는 손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laser device as a comparative example of FIG. 3D,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damage to the second substrat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aser device of FIG. 4A.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판(19)의 상부에 레이저장치(20)를 위치시키고, 레이저장치(20)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제2편광판(19)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제2폭(w2)만큼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위치를 따라 제2기판(14)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19b)를 잘라낼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이때 레이저장치(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발진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출력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14)상에 홈 또는 굴곡을 야기시키며 제2기판(14)이 평탄하지 못한 표면을 가지도록 하고, 나아가 기판의 강성을 저하시키며 크랙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편광판(19)이 레이저빔의 열에 의해 손상되어 옐로우 색을 띠게 되는 옐로우 밴드(yellow band)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만약, 제2기판(14) 및 제2편광판(19)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빔의 출력을 낮추면 컷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장치를 적용한 컷팅은 제2편광판(19)과 함께 제2기판(14)의 표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열 손상을 가하며 액정패널의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cutting by applying a laser device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s the surface of the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레이저장치와 달리 칼날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2기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열적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제2기판을 보호하며 컷팅을 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On the other hand, the cutting bla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lade unlike a laser device, and does no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second substrate, so it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and cutting the second substrate.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 유닛의 컷팅 블레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utting blade of the cutting bla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영역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및 도 5c의 컷팅 블레이드를 통한 컷팅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A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view showing the AA area of FIG. 5A in more detail, and FIG. 5C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nd FIGS.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cutting shape through the cutting blades of FIGS. 5A and 5C.
우선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컷팅 블레이드(210)는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제1부분(201)은 제1경사면(201a)과 제1길이의 제1수평면(201b)을 가지고, 제2부분(203)은 제2경사면(203a)과 제2길이의 제2수평면(203b)을 가진다. The
여기서, 제1경사면(201)과 제2경사면(203) 간을 연결하는 중심선(OL)을 기준으로 중심선(OL)과 제1경사면(201) 간의 제1각도(θ1)와 중심선(OL)과 제2경사면(203) 간의 제2각도(θ2)는 서로 동일한 45도를 이룬다. Here, the first angle (θ1) and the center line (OL) between the center line (OL) and the first
또한, 제1부분(201)의 제1수평면(201b)과 제2부분(203)의 제2수평면(203b)이 합쳐짐으로써 제3길이의 평탄한 단면을 가지는 블레이팁(205)이 형성된다. 이때, 제3길이는 1cm이하, 보다 정확하게는 0.66mm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블레이드팁(205)은 컷팅 대상부, 즉 제2편광판(도 3c의 119a)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도 3d의 119b)를 잘라내는 구성부이다. The
이러한 블레이드팁(205)은 평탄한 단면을 가짐으로써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도 3d의 119b)를 잘라냄에 있어서 제2편광판((도 3d의 119) 하부에 위치된 제2기판(도 3d의 114) 상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각을 조절하여 편광판의 절단형상이 자유자재로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한다. The
이러한 컷팅 블레이드(210)에서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3)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각도(θ3)를 이룬다. 즉, 제2부분(203)의 평면은 제1부분(201)의 평면에 대해 제3각도를 이루며 형성된다. 이때, 제3각도는 15도임이 바람직하다. In the
이러한 컷팅 블레이드(210)는 텅스텐카바이드(trngsten carbide)에 티타늄(titanium)을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컷팅 블레이드(210)를 컷팅 블레이드 유닛(도 3d의 200)에 적용함으로써 컷팅 대상부인 제2편광판(도 3e의 119)의 잘린 모서리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straight) 형상,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chamfer) 형상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round)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컷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약, 블레이드팁이 뽀족하거나,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이루는 각의 조건이 전술한 바와 달라질 경우, 원하는 형상으로 컷팅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By applying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only exemplar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freely de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ppended claim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100: 액정표시장치 110: 액정패널
112: 제1기판 114: 제2기판
118: 제1편광판 119: 제2편광판
200: 컷팅 블레이드 유닛 210: 컷팅 블레이드
205: 블레이드팁100: liquid crystal display 110: liquid crystal panel
112: first substrate 114: second substrate
118: first polarizing plate 119: second polarizing plate
200: cutting blade unit 210: cutting blade
205: blade tip
Claims (16)
상기 제1기판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2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편광판의 상부로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만큼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배치된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분은 제1경사면과 제1수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제2경사면과 제2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1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은 합쳐져 상기 제2편광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평탄한 단면의 블레이드팁을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orming a liquid crystal panel by positioning and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ubstrate to face each other;
Attaching a first polarizing pl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size protruding by a first width along an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sitioning a cutting blade un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ti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long a position of a second width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ward,
The cutting blade unit is composed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arranged based on a center line, the first part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horizontal surface, and the second par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are combined to form a blade tip having a flat cross-sec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s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상기 제1폭과 상기 제2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width are the same.
상기 제1폭보다 상기 제2폭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dth is wider than the first width.
상기 제2편광판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부착되고,
상기 컷팅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된 제2기판 표면의 상기 점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using an adhesive,
After the cutting step,
And removing the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expos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은
평탄한 단면을 가지는 블레이드팁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 blad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lade tip having a flat cross-section.
상기 컷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편광판의 각 모서리가 스트레이트(straight), 챔퍼(chamfer) 및 라운드(round) 형상 중 하나를 가지도록 상기 컷팅 블레이드 유닛이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 ste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the cutting blade unit so that each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has one of straight, chamfer and round shapes.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blade tip is 1 cm or less.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formed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45 degrees.
상기 제1기판의 바깥면에 제1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폭만큼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2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편광판의 상부로 컷팅 블레이드 유닛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폭만큼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를 컷팅하는 단계;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서포트메인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단계;
커버버툼을 구비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서포트메인을 지지하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는 전면방향으로 형성된 안착홈에 시스템보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버툼의 하부에 리어커버를 배치하고 상기 리어커버를 커버버툼과 체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는 바닥부와 서포트메인의 측부를 감싸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의 바닥부와 측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orming a liquid crystal panel by positioning and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ubstrate to face each other;
Attaching a first polarizing pl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ttaching a second polarizing plate having a size protruding by a first width along an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sitioning a cutting blade unit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nd cutting an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long a position of a second width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ward;
Disposing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ing a support main to support the liquid crystal panel;
A cover bottom is provided to receive a backlight unit, support a support main, and place a system boar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front direction toward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It consists of a step of disposing a rear cover under the cover bottom and fastening the rear cover with the cover bottom,
The rear cov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surround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main, and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cover are round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서포트메인을 지지하고 시스템보드가 배치되는 안착홈을 구비한 커버버툼; 및
상기 커버버툼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버툼과 체결되는 리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는 바닥부와, 측부와, 상기 서포트메인의 측부를 감싸는 수직부 및 상기 서포트메인의 배면과 체결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의 바닥부와 측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panel;
A backlight unit disposed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to supply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 support main support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 cover bottom having a se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backlight unit, supporting the support main, and placing a system board; And
It is composed of a rear cover that is engaged with the cover bottom at the bottom of the cover bottom,
The rear co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 side portion, a vertical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main, and a support portion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ain, and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cover are connected in a round ma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1기판과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에 각각 부착되는 제1편광 및 제2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편광판의 가장자리는 제2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정된 폭으로 이격된 액정표시장치.
The liquid crystal panel of claim 11,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nd a first polarization plate and a second polarization plat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respectively.
The edg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to a set width.
1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rear cover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ma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pad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support main.
1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claim 11, wherein an end of the rear cover has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0923A KR102078024B1 (en) | 2013-09-16 | 2013-09-16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0923A KR102078024B1 (en) | 2013-09-16 | 2013-09-16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359A KR20150032359A (en) | 2015-03-26 |
KR102078024B1 true KR102078024B1 (en) | 2020-04-08 |
Family
ID=5302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0923A Active KR102078024B1 (en) | 2013-09-16 | 2013-09-16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80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4087B1 (en) | 2016-06-24 | 2023-1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2682304B1 (en) | 2016-12-02 | 2024-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
KR102416550B1 (en) * | 2017-04-28 | 2022-07-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Polarizing layer,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
CN113625487A (en) * | 2021-07-05 | 2021-11-09 | 叶嘉峻 | Novel Mini-LED quantum dot structure backlight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
CN113568198A (en) * | 2021-07-08 | 2021-10-29 |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 Laminating method of polaroid and display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47307A1 (en) * | 2001-11-08 | 2008-11-28 | Sharp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part a glass substrate, liquid crystal panel,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liquid crystal panel |
KR101841714B1 (en) * | 2011-10-05 | 2018-03-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3
- 2013-09-16 KR KR1020130110923A patent/KR10207802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359A (en) | 2015-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9604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TWI647678B (en) | Borderless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 |
JP5933509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8870401B2 (en) |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EP2423565A1 (en) |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KR10210599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WO2017190380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adhesive-free fram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 |
KR10207802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 |
WO2011111444A1 (en) | 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 |
WO2013129244A1 (en) |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KR20100138215A (en) | LCD Display | |
KR102039362B1 (en) | Mobile device includ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udle | |
KR102001855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166050B1 (en) | Bl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40026187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inimized bezzel | |
KR102210604B1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10120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113631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132767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70077721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WO2014007136A1 (en) |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 |
KR101333267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15042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08267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130071925A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ulding backligh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