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29B1 -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29B1
KR102077729B1 KR1020190158070A KR20190158070A KR102077729B1 KR 102077729 B1 KR102077729 B1 KR 102077729B1 KR 1020190158070 A KR1020190158070 A KR 1020190158070A KR 20190158070 A KR20190158070 A KR 20190158070A KR 102077729 B1 KR102077729 B1 KR 10207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e
ticket
purchase
discount
discount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045A (ko
Inventor
윤동환
이수지
정성희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은, 영화 티켓(Ticket)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기 정해진 영화를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WATCHING A MOVIE ACCORDING TO DISCOUNT PURCHASING OF MOVIE TICKET}
본 발명은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영이 확정되지 않은 영화에 대하여 기 정해진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는 경우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 관람이 가능한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경제적 및 문화적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영화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전의 영화 제작과 다르게 최근의 영화 제작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블록버스터 영화부터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영화들이 한 달에 몇 편 이상씩 꾸준히 개봉되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제작됨으로써 일반 관람객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고 활발한 홍보 활동 및 다수의 상영관 확보까지 가능한 블록버스터 영화와 다르게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는 해당 영화에 대해 관심 있는 관람객들이 있다 하여도 상영관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다수이며, 어렵게 상영관을 확보한다 하여도 관람객 확보에 따른 상영관의 수익이 블록버스터 영화에 비해 현저히 적기 때문에 평일 오전 또는 매우 늦은 시간으로 상영 시간을 배정받아 관람객들의 관람까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뿐만 아니라 작품성을 인정 받았으나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일부 영화들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영화들은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나 영화를 관람한 관람객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 후발적으로 관심을 받게 되는 영화들인바, 관심을 받게 되는 시점에 해당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상영관을 찾기는 매우 어렵다.
상영관의 스케쥴로 인해 조기 종영한 영화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영관은 수익 발생을 최우선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영화 상영 스케쥴을 결정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관람객의 확보가 가능해 보이는 영화라 할지라도 블록버스터 영화가 개봉하게 된다면 상영 스케쥴을 넘겨주고 조기 종영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영화들에 대한 관람객의 관람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상영관의 수입까지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Model)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5383호(2009.02.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 작품성을 인정 받았으나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영화 및 상영관의 스케쥴로 인해 조기 종영한 영화 등에 대하여 관람객의 관람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상영관의 수입까지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은, 영화 티켓(Ticket)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기 정해진 영화를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받은 영화의 관람이 가능한 할인 티켓을 구매하는 단계 및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결과를 반영한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받은 영화의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에 대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를 백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받은 영화의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와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따른 할인 티켓 구매 요구 수를 커서와 함께 막대 그래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또는 구매수를 커서와 함께 막대 그래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막대 그래프는, 상기 커서를 기준으로,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 이하의 현재 구매율 또는 구매수는 제1 색으로,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초과하는 현재 구매율 또는 구매수는 제2 색으로 상기 막대 그래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막대 그래프는, 상기 커서를 기준으로,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 이하의 현재 구매율 또는 구매수는 제1 색으로 출력하되, 상기 현재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의 80% 이상이 되는 현재 구매율 또는 구매수는 제3 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다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관람객의 단말에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 달성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하여 구매한 할인 티켓을 자동으로 환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하여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한 취소 및 환불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할인 티켓을 구매하지 않은 일반 관람객들은 일반 티켓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기 정해진 영화와 상기 영화가 방영되는 상영관을 선택 받는 오퍼레이션,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 작품성을 인정 받았으나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영화 및 상영관의 스케쥴로 인해 조기 종영한 영화 등에 대하여 관람객의 관람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음과 동시에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영관의 입장에서도 관람객의 상영관 방문을 유인할 수 있으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영화 상영이 취소되기 때문에 무의미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의 핵심적인 단계만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의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관람객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를 선택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영화에 대하여 3개의 상영관이 매칭되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할인 티켓 결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할인 티켓 구매율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한 영화에 대한 예매가 가능한 별도의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관람객이 관람을 원하는 영화를 추천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버"는 네트워크, 보다 자세하기는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하며, 관람객은 자신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관람객 단말을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의 핵심적인 단계만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할 모든 단계는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인 영화 티켓 구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컴퓨터를 통해 영화 티켓 구매 사이트에 접속하여 티켓 구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홈페이지 UI(User Interfa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의 설명에선 관람객 단말이 스마트폰이라는 전제 하에,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영화 티켓 구매 애플리케이션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어 "구매율"이란 구매 가능한 전체 수에 대한 현재 구매 완료된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할 구매율은 "구매수"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우선,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기 정해진 영화를 선택 받는다(S2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에 있어서, 영화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 작품성을 인정 받았으나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영화 및 상영관의 스케쥴로 인해 조기 종영한 영화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종영하였으나 재개봉 요청이 많은 영화나 상영관에 미 배정되어 개봉하지 못한 영화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영화라 할지라도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기 정해져 있어야 한다.
여기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은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제한 시간을 의미하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은 구매한 할인 티켓을 이용하여 실제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 달성되어야 하는 최소 판매 개수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후술하겠지만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달성되지 못한다면 기 구매한 할인 티켓은 자동으로 환불된다.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대해 한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에 할인 티켓의 구매가 가능한 영화가 A 내지 D와 같이 4개가 준비되어 있을 때, A라는 영화에 대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금주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금주 일요일 오후 11시 59분까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30%, B라는 영화에 대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금주 목요일 오전 11시부터 차주 월요일 오후 11시 00분까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50%, C라는 영화에 대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금주 화요일 오전 11시부터 금주 토요일 오후 10시 59분까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40%, D라는 영화에 대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금주 월요일 오전 11시부터 금주 목요일 오후 11시 30분까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20% 등과 같이 준비된 영화 모두에 대하여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기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영화라 할지라도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은 상기 예시와 다르게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A 내지 D 모두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금주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금주 일요일 오후 11시 59분까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30%일 수 있으며, 이는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 운영자가 상영관과 협의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나, 어느 경우에나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은 영화 상영 시간 이전까지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화 상영 시간은 기본적으로 상영관의 스케쥴에 따를 것이나, 상영관과 협의하여 비수기 시즌 주말에 회차로 영화 상영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의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의 운영자는 독립 소유의 상영관까지 함께 운영하며 해당 상영관에서 상영하는 영화에 대한 티켓 구매가 자신이 운영하는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수행되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경우 별도의 외적인 협의는 요구되지 않을 것이며, 각각을 담당하는 부서간의 협의만 내부적으로 진행되면 족할 것이다.
도 3에는 관람객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영화 A 내지 C중에서 A라는 영화를 선택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후,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한다(S220).
여기서,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선택 받는 영화가 상영되는 상영관 역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과 마찬가지로 상영관의 스케쥴에 따를 것이나, 1개의 영화에 대하여 n개의 상영관을 매칭시킴으로써 관람객에게 선택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라는 영화에 대하여 청담, 상암, 왕십리 등과 같이 3개의 상영관을 매칭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1개의 영화에 대하여 서울,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및 경북 각 지역에 1개 내지 3개 정도에 매칭시키는 것으로 시작하여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상영관 개수를 추후 확대할 수도 있다.
할인 티켓 구매율은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하여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출력되는바, 할인 티켓 구매율에 영향을 미치는 할인 티켓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할인 티켓은 말 그대로 영화를 할인된 가격으로 볼 수 있는 티켓을 의미하며, 할인 티켓 자체로 원하는 좌석까지 바로 선택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할인 티켓 자체만 먼저 구매하고 할인 티켓 구매율이 달성되었을 때 별도의 좌석 선택이 가능하게끔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A라는 영화에 대하여 청담, 상암, 왕십리 등과 같은 3개의 상영관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각각의 상영관 밑에는 핫딜쿠폰 구매라는 항목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핫딜쿠폰은 할인 티켓을 의미하며, 핫딜이라는 단어 자체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달성된 경우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일정한 티켓 구매율이 달성된 경우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티켓이라 한다면 명칭에 관계 없이 모두 본 발명의 할인 티켓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관람객은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할인 티켓을 구매한다(S221). 여기서 할인 티켓 구매는 통상적인 영화 티켓의 구매 프로세스와 동일한바, 관람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인 티켓의 수량, 카드번호, 유효기간, 비밀번호, 생년월일 등을 입력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할인 티켓은 앞서 설명한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독립적으로 구매 가능하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한 할인 티켓 자체로 원하는 좌석까지 바로 선택 가능한 경우에는 S221 단계에서 곧바로 좌석 선택까지 가능하다.
할인 티켓을 구매했다면, 할인 티켓 구매 결과를 반영한 할인 티켓 구매율이 출력된다(S222). 여기서 할인 티켓 구매율은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관람객에 따라서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의 달성 가능성이 높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관람객들이 할인 티켓을 이미 많이 구매한 영화에 대하여 할인 티켓을 구매하고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구매한 할인 티켓이 자동으로 환불 처리되고, 영화를 관람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할인 티켓 구매율 역시 할인 티켓 구매와 마찬가지로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독립적으로 출력된다.
S221 내지 S222 단계에 따라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하여 할인 티켓 구매가 완료되었으며, 그에 따른 할인 티켓 구매율이 출력된다. 여기서 할인 티켓 구매율은 할인 티켓을 구매하려는 관람객이 현재 구매율 상황을 알아보기 용이하게 출력되어야 하는바, 이는 UI(User Interface)적인 요소를 반영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일부 차이는 있으나 모두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율이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중간의 막대 그래프 좌측 하단에 특정 숫자가 AB/CD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AB는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를 의미하며, CD는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AB/CD가 95/150으로 출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95가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를 의미하며, 150이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 AB 글자의 크기를 CD 글자의 크기 보다 크고 굵게 출력함으로써 관람객으로 하여금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숫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중간의 막대 그래프 우측 하단에 특정 숫자와 퍼센테이지 기호(%)가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숫자는 S2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에 대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가 95,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가 150이므로, 막대 그래프 좌측 하단에는 95/150*100을 통해 계산된 백분율인 63이 퍼센테이지 기호(%)와 함께 출력되고 있다. 이 역시 글자의 크기를 크고 굵게 출력함으로써 관람객으로 하여금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에 대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의 백분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중간의 막대 그래프 상에 특정 숫자가 커서와 함께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숫자는 관람객이 구매한 할인 티켓을 통해 영화를 관람하는데 요구되는 할인 티켓 구매율(%)인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막대 그래프 상에 표시된 커서 위에 30%라고 출력되고 있는바, 여기서 30%가 해당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다.
한편, 막대 그래프 상에 특정 숫자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아니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따른 할인 티켓 구매 요구 수로 커서와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막대 그래프 상에 표시된 커서 위에 62장이라고 출력되고 있는바, 여기서 62장이 해당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따른 할인 티켓 구매 요구 수이다.
막대 그래프 상에 특정 숫자가 관람객이 구매한 할인 티켓을 통해 영화를 관람하는데 요구되는 할인 티켓 구매율(%)인 경우, 관람객은 막대 그래프 우측 하단에 표시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구매 가능한 전체 할인 티켓 수에 대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의 백분율과 비교하여 할인 티켓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막대 그래프 상에 특정 숫자가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따른 할인 티켓 구매 요구 수인 경우, 관람객은 막대 그래프 좌측 하단에 표시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로 현재 구매 완료된 할인 티켓 수와 비교하여 할인 티켓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서로 연관성 있는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 인해 관람객의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함에 있어서 특정 숫자와 커서를 막대 그래프 상에 함께 출력함으로써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지만, 더 나아가 막대 그래프 자체를 통해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막대 그래프 상에 출력되고 있는 커서를 기준으로, 막대 그래프가 특정 색상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은 제1색, 우측은 제2색 및 제3색으로 출력되고 있으며, 도 7의 경우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은 제1색 및 제3색, 우측은 제3색으로 출력되고 있고, 도 8의 경우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은 제1색, 제4색 및 제3색, 우측은 제3색으로 출력되고 있다. 이는 일정한 규칙으로 볼 수 있다. 규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이하의 현재 구매율은 제1색으로,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초과하는 현재 구매율은 제2색으로, 잔여 좌석으로 인해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부분은 제3색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이 제1색으로 출력되고 있으므로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이미 달성한 상태이며, 커서를 기준으로 우측이 제2색으로 출력되고 있으므로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초과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색 우측에 제3색이 출력되고 있으므로 구매 가능한 할인 티켓이 남아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을 참조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색과 제3색이 동시에 출력되고 있으므로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못미치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색, 제4색 및 제3색이 함께 출력되고 있으므로 제3색에 의해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임을 알 수 있지만 도 6 및 도 7에 출력되지 않은 제4색이 커서 좌측에 출력되고 있으므로 제4색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야 한다. 도 7과 마찬가지로 도 8 역시 커서 좌측에 제3색이 출력되고 있으므로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이지만, 도 7에 비하여 도 8의 경우 커서 좌측에 제3색으로 출력되고 있는 부분이 매우 적다. 이는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매우 근접한 상태로 볼 수 있는바, 제4색은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막대 그래프는 그 자체의 독자적인 색상 표시로 인해 관람객으로 하여금 현재 구매율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막대 그래프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막대 그래프뿐만 아니라 다른 시각적인 수단을 통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게 구현할 수도 있으며, 선택된 하나의 영화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막대 그래프가 혼합되어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내용들뿐만 아니라, 별도의 식별 표시를 더 부가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중간의 막대 그래프 좌측 상단에 삼각형 모양으로 식별 표시가 내부에 핫딜 성공, 핫딜 진행중, 핫딜 임박이라는 글씨와 함께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구매율을 달성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인바, 식별 표시의 색상을 현재 구매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의 색상과 동일하게 출력하여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초과한 상태인 제2색이므로, 식별 표시를 동일한 제2색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못미치는 상태인 제1색이므로, 식별 표시를 동일한 제1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에 못미치나 매우 근접한 상태인 제3색이므로, 식별 표시를 동일한 제3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S220 단계에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함과 동시에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을 별도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 상단에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시: 분: 초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일종의 카운트 다운으로 볼 수 있으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했다면 0: 0: 0으로 출력될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S210 단계 내지 S220 단계는 각각 영화를 선택 받고, 이에 대한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하는 것인바, 영화의 선택은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가 복수 개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성립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가 1개만 준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S210 단계는 생략되고 곧바로 S220 단계에 따라 해당 영화에 대한 상영관 및 상영 시간 별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할인 티켓 구매율이 출력된 이후,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는지 판단한다(S230).
이는 관람객이 구매한 할인 티켓을 실제 영화 관람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써, S230 단계에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다면 관람객의 단말에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달성 사실을 통지한다(S240).
여기서 통지는 이는 관람객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에 회원 가입 시 선택한 통지 방식, 예를 들어, LMS, 애플리케이션 푸쉬 알림, e-mail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통지될 수 있을 것이다.
관람객의 단말에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달성 사실이 통지되었다면,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하여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S250).
여기서 전자 티켓은 앞서 S220 단계에서 설명한 할인 티켓이 그 자체로 원하는 좌석까지 바로 선택 가능한 경우에는 상영관 입구에서 직원이 확인 가능한 전자 확인증의 형식이 될 것이며, 할인 티켓 자체만 먼저 구매하고 할인 티켓 구매율이 달성되었을 때 별도의 좌석 선택이 가능하게끔 한 경우에는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이후부터 실제 영화 상영 시간 이전까지 좌석을 선택하여 예매가 가능한 쿠폰의 형식이 될 것이다.
한편,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는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다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이후에는 이미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한 취소 및 환불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미 할인된 가격으로 티켓을 구매한 상태, 일종의 공동 구매 방식으로 구매하였으며, 상영관의 수익에 따라 해당 영화의 상영이 확정된 상태기 때문이다. 그러나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이내에는 설사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다 하더라도 자유롭게 취소 및 환불이 가능하다.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이후에 이미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한 취소 및 환불이 불가능함과 별개로,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이내에 할인 티켓을 구매하지 못한 일반 관람객들은 일반 티켓의 구매가 가능하다.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을 놓쳤지만, 해당 영화의 관람을 원하는 일반 관람객들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한 영화에 대한 예매가 가능한 별도의 페이지를 마련하여 일반 관람객들로 하여금 예매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230 단계에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할인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들에 대하여 구매한 할인 티켓을 자동으로 환불 처리한다(S260).
할인 티켓을 이용한 영화 관람이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미 구매한 할인 티켓을 환불 처리하는 것이며, 환불 처리는 관람객이 할인 티켓을 구매할 때 결재에 이용한 수단을 취소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예산 독립, 다큐 및 예술 영화, 작품성을 인정 받았으나 개봉 초기에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영화 및 상영관의 스케쥴로 인해 조기 종영한 영화 등에 대하여 관람객의 관람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음과 동시에 할인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영관의 입장에서도 관람객의 상영관 방문을 유인할 수 있으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영화 상영이 취소되기 때문에 무의미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210 단계 이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들로부터 관람을 원하는 영화를 추천 받는 단계(S2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천 횟수에 따라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를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 받는 영화는 상영관 및 상영 시간이 다른 동일 영화나 아예 서로 상이한 영화 등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 프로세서(11)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4) 및 시스템 버스(15)를 포함하는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200)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 및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이 기 정해진 영화와 상기 영화가 방영되는 상영관을 선택 받는 오퍼레이션,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을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을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
11: 프로세서
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 메모리
14: 스토리지
15: 시스템 버스
200: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

Claims (2)

  1.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가 관람객 단말에 설치된 영화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Ticket)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 종영된 영화들 중 독립 영화, 다큐 영화 또는 예술 영화로 분류되는 영화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상기 목록의 영화들 중 관람을 원하는 영화를 추천 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천 횟수에 따라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정된 영화들에 대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표시하여 상기 관람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기 정해진 영화와 상기 영화가 상영되는 상영관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영화 티켓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2.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미 종영된 영화들 중 독립 영화, 다큐 영화 또는 예술 영화로 분류되는 영화들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목록의 영화들 중 관람을 원하는 영화를 추천 받으며, 상기 추천 횟수에 따라 할인 티켓 구매가 가능한 영화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영화들에 대해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표시하여 제공하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과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가 기 정해진 영화와 상기 영화가 상영되는 상영관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영화에 대한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출력하며, 상기 할인 티켓 구매 가능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관람객의 할인 티켓 구매율이 상기 할인 티켓 이용 가능 구매율 또는 구매수를 달성했는지 판단하는 오퍼레이션들을 수행하는, 영화 티켓 할인 구매 서버.
KR1020190158070A 2019-12-02 2019-12-02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KR10207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70A KR102077729B1 (ko) 2019-12-02 2019-12-02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70A KR102077729B1 (ko) 2019-12-02 2019-12-02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25A Division KR20190001589A (ko) 2018-12-10 2018-12-10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45A KR20190137045A (ko) 2019-12-10
KR102077729B1 true KR102077729B1 (ko) 2020-02-14

Family

ID=6900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070A KR102077729B1 (ko) 2019-12-02 2019-12-02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383A (ko) 2007-08-08 2009-02-12 (주) 엘지텔레콤 Cbs를 이용한 영화티켓 구매서비스방법
KR20120006905A (ko) * 2010-07-13 2012-01-19 유미경 다수의 사용자 추천에 의한 공동구매 쇼핑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0040B1 (ko) * 2010-12-06 2012-10-12 (주)큐앤솔브 공동구매 기반 영화 할인예매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20122363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공동 구매 방법 및 공동 구매 서버
KR101698364B1 (ko) * 2015-01-16 2017-01-20 김동휘 웹 사이트를 이용한 단체 할인 티켓 구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체 할인 티켓 구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45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9611B2 (en) Multi-stage automated auctions
US6912039B2 (en) Method for staging motion picture content by exhibitor
US6839880B1 (en) Electronic property viewing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tours via a public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of exchanging the same
US20120226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cket selection and transactions
US20080091479A1 (en) Methods and system for preferred vendor pre-transaction bidding
US200800914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ferred vendor pre-transaction bidding
US20130159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mass market messages over a network of screens
WO201114634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acquisition and exchange of media content in communications network
TW448438B (en) Image information appl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977668B2 (en) Management assistance device, management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038839B2 (ja)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US20110302060A1 (en) Order processing and benefit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077729B1 (ko)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US20040059643A1 (en) Viewing previously run movies in theaters
US11410222B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 for management of seller partner services
KR20160086243A (ko)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한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37617A1 (en) Electronic transaction terminal, electronic transa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WO2004059545A1 (ja) コンテンツ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
US2013009095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interactive application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interactive application system
JP6529572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CN113095860A (zh) 资源投放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KR20190001589A (ko) 티켓 할인 구매에 따른 영화 관람 방법 및 서버
KR100831096B1 (ko) 온라인 전자출판 서비스 방법
US20140379533A1 (en) Story based selling of products
US79536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value of a portion of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