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46B1 -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 Google Patents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546B1 KR102077546B1 KR1020180146184A KR20180146184A KR102077546B1 KR 102077546 B1 KR102077546 B1 KR 102077546B1 KR 1020180146184 A KR1020180146184 A KR 1020180146184A KR 20180146184 A KR20180146184 A KR 20180146184A KR 102077546 B1 KR102077546 B1 KR 102077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eight
- exercise machine
- braking
- coupl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동 기능을 구비한 액티브 운동 머신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일정 중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바퀴가 달린 본체에 올라타거나 본체를 밀거나 끌면서 운동 훈련을 하되 본체에 제동 기능이 구비되어 주행 중인 본체를 제동하면서 보다 다양한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액티브 운동 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exercise machine having a brak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exercise training while riding or pushing or dragging the main body with wheels while securing a certain weight, the main body being provided with a braking function It relates to an active exercise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variety of exercise training while braking.
현대인의 식생활이 개선되고 여가가 늘어나면서 과거에 비교해 자연스럽게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As the diet of modern people improves and leisure time increases, interest in health and healing naturally increases compared to the past.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힐링을 동시에 이루게 해주는 것이 바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운동을 하면 행복감을 주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나 엔도르핀이 증가되어 운동 그 자체만으로도 심리적, 정신적 힐링으로 이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쾌감을 얻는 것도 심리적, 정신적 힐링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과 혈압, 혈중 지질, 체지방 등을 감소시켜 만성질환 개선에 도움이 된다. Physical,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ing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can be called exercise. Exercise increases serotonin or endorphins, the hormones that give you happiness, and exercise alone leads to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ing. Furthermore, getting pleasure from a variety of sporting activities can help with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ing. In addition, regular exercise reduces blood sugar, blood pressure, blood lipids, body fat, etc., and helps improve chronic diseases.
걷기, 조깅과 같이 별도의 도구 없이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도 물론 건강에 도움이 되나, 전체적인 체력 향상은 물론 근력,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 강화를 위하거나 특정 근육의 발달을 위해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 훈련방법이 공개되고 있다. Doing aerobic exercise without extra tools like walking and jogging is of course good for your health, but it is not only for improving your overall fitness but also for strengthening your strength, quickness, endurance, agility, or using a variety of exercise equipment to develop specific muscles. Training methods are open to the public.
이러한 운동기구는 자전거, 러닝머신과 같은 장치를 비롯하여 바벨, 덤벨, 폼롤러와 같은 소도구를 활용한 방법까지 다양한 운동 방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기구 역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Such exercise equipment has various exercise methods, such as bicycles and treadmills, and methods using bar tools, dumbbells, foam rollers, and the like, and accordingly, exercise equipments are being develop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공지의 운동기구는 고정식으로 특정 장소에 배치되어 기능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는데, 이 경우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 훈련방법이 한계가 있어 예를 들어 피트니스 센터 등에서는 여러 운동기구를 구비되어야 하는 환경에 직면한다.Known exercise equipment is fixedly placed in a specific place to be able to exercise a specific body part according to the function, in which case there is a limit to exercise training method through a single exercise equipment, for example, in a fitness center, etc. Fac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ppliance must be provided.
국내 특허 제 1858081호 등의 스미스 머신과 같이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여러 운동 훈련을 할 수 있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역시 장치 자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정적인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근력 강화 이외에 순발력이나 민첩성 등을 훈련하기 힘들고 이와 같은 순발력이나 민첩성 운동 훈련은 상대적으로 운동비용이 많이 드는 트레이너의 도움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따랐다.Device such as Smith machine, such as domestic patent No. 1858081 has been disclosed that can be used to exercise a variety of exercises through a single exercise device, this also performs a static exercise in a fixed state of the device itself,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strength and quickness It is difficult to train or agility, and such quickness and agility exercise training is accompanied by a problem that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help of a relatively expensive exercise trainer.
따라서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다양한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되, 특히 운동기구 자체에 주행성 및 제동력을 부여하여 주행 중인 운동기구를 통해 보다 다이내믹하고 동적인 다양한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운동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 training through a single exercise device, in particular, new and advanced to give a variety of dynamic and dynamic exercise training through the exercise equipment to give the driving ability and braking power to the exercise equipment itself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device is a realit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동 훈련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제동능력을 보유하여 보다 다양한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운동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variety of exercise training by running while the exercise trainer is on board while having a braking ability.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 머신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어 근력 운동 시 근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is that can adjust the weight of the exercise machine can be strengthened during strength trai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간편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means for adjusting the braking forc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민첩성과 순발력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e means for further enhancing agility and quickn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동 기능을 구비한 액티브 운동 머신은, 바퀴가 구비되어 주행이 가능한 본체; 상기 바퀴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동장치;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로 기립되어 바벨을 끼워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조절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tive exercise machine with a br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is provided with a body capable of traveling; A brak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braking force to the wheel; A hand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weight adjustment rod that stands on at least on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djust a weight by fitting a barbell.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가 장착된 부위의 대향 측에 추가로 장착된 보조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uxiliary handl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on which the handle is mounted.
더불어, 상기 중량조절봉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거나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adjustment ro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r position adjust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 둘레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상기 난간 내의 상기 본체 상면에 바벨을 거치할 수 있는 중량 부여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ailing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weight giving space for mounting a barbe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handrail,
본 발명에 따른 제동 기능을 구비한 액티브 운동 머신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active exercise machine with a br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주행이 가능한 운동 머신에 운동 훈련자가 올라타거나 한 발을 걸친 상태에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1) The exercise trainer can ride on a running machine or can carry out various exercises with one foot,
2) 주행 중인 운동 머신의 제동이 가능하며,2) It is possible to brake the running exercise machine,
3) 중량 조절이 가능하여 근력 강화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eight not only can perform strength training,
4) 순발력과 민첩성을 강화하는 운동 훈련법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4) provide exercise training that enhances quickness and agility,
5) 중량의 쏠림 문제를 스스로 파악하여 이를 운동 훈련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5) It has the effect of grasping the problem of weight deflection by itself and informing the exercise tr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조절봉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에 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 상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에 대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n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weight adjus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late of FIG. 5.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운동 머신을 직접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사람을 운동 훈련자라 명명하고, 이 운동 훈련자를 감독/코치하는 사람을 트레이너라 명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ho exercises using th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is called an exercise trainer, and a person who supervises / coaches the exercise trainer is called a trainer.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은 본체(100)와, 이 본체(100)에 장착된 손잡이(110), 중량조절봉(120) 및, 본체(100)의 주행 시 본체(100)를 제동하는 제동장치(2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s 1 and 2,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본체(100)는 운동 훈련자가 탑승, 예를 들어 올라타거나 발을 딛거나 더 나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상면)을 확보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측에는 본체(100)의 주행성 확보를 위하여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양 측에 4개의 바퀴(130)가 장착되어 있다.The
이 본체(10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의 측에는 손잡이(110)가 역시 좌우로 1쌍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110)는 운동 훈련자가 본체(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양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거나 운동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손잡이(110)에는 후술하겠지만 제동장치(2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40)의 일 실시예인 레버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On one side of the
이 손잡이(110)는 공지의 운동 머신과 같이 본체(100)의 폭보다 넓은 너비를 확보한 상태에서 파지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깥 방향으로 휘어진 인체공학적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The
더불어, 손잡이(110)는 반드시 본체(100)의 전단/후단 중 어느 하나에만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한데, 특히 운동 훈련자에게 보다 액티브한 운동을 훈련시킬 때 이와 같이 본체(100)의 전단/후단 각각에 모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중량조절봉(120)은 본체(10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도 1에서는 2개)로서 기립된 봉으로서, 이에 바벨(150)을 끼워 본 발명의 운동 머신의 전체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추가적으로, 본체(1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일 측에는 본체(100)의 주행 거리를 한정할 수 있도록 로프가 걸리는 고리(14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제동장치(200)는 본체(100)의 바퀴(140)의 회전을 제동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의 자전거와 같이 바퀴 주변에 브레이크 패드를 설치하고 이를 바퀴에 접촉/후퇴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축에 연결된 바퀴를 둘러싸는 디스크 패드의 구동을 통해 바퀴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등으로 다양한 제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도 2를 예로서 유압 브레이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braking device 200 serves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동장치(200)는 2개의 축(210,220)과 체인(250) 및 유압 브레이크(230)와, 제어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2, it can be seen that the brak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2개의 축은 구동축(210)과 종동축(22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구동축(210)은 본체(1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1쌍의 바퀴(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을 의미한다. 이때, 구동축(210)의 위치에 따라 전륜 제동 또는 후륜 제동이 될 수 있다. 이 구동축(210)에는 체인 링(221)이 장착되어 있다.The two shafts are composed of a
종동축(220)은 구동축(2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동축(210)과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 체인 링(211)이 장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프라켓(221)이 장착되어 있다.The driven
체인(250)은 이 체인 링(211)과 스프라켓(221)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다시 말해 구동축(210)에 제동력 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유압 브레이크(230)는 유압을 통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유압 브레이크(230)는 주지관용기술로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기에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유압 브레이크(230)는 종동축(220)에 장착된 디스크 또는 드럼을 매개로 종동축(220)을 눌러 종동축(220)을 제동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본체(100)의 일 측에 위치한 브레이크 박스(101)에 유압실린더(231)와 리저브 탱크(232)가 구비되어 브레이크 파이프(233)를 통해 유체를 디스크 또는 드럼에 전달한다.The
제어부(240)는 이 유압 브레이크(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유압 브레이크(230)의 ON/OFF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240)는 레버, 페달과 같은 기계적 수단으로 구현되거나 아니면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전자적 수단으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The
특히, 제어부(240)가 기계적 수단으로 이루어질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에 장착된 레버로 구현될 수 있고 아니면 본체의 상면에 푸시 페달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이러한 제어부(240)는 제동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 조절 수단은 본체(100)의 일 측에 노출된 스로틀 앤드 체크 밸브(유량조절밸브)(241)를 구비하여 이 유량조절밸브(24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량조절밸브(241)에 연결된 샤프트(242)를 전진/후진시키는 작용으로 마치 수도꼭지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돌릴수록 입구가 개방되어 유압실린더(241)의 속도가 빨라지며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입구가 좁아져 유압실린더(242)의 속도가 느려지는 원리로 유압실린더(241)의 전진, 후퇴 시 유량을 교축해서 유압실린더(241)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은 제동 장치 이외에 구동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equipped with a drive device in addition to the braking device.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는 종동축(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를 장착하고 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00)를 자율 구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ing apparatus may autonomously drive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체(100)에는 바퀴가 장착되어 내리막길에서는 중력에 의해 자유 이동할 수 있고 앞쪽이나 뒤쪽에서 트레이너를 통해 밀거나 끌면 해당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주행성을 보장한 본체(100)에 운동 훈련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주행 또는 정지 시 균형 감각을 훈련하거나 민첩성, 순발력 등 다양한 운동 감각은 물론 근력 배양 운동을 훈련할 수 있다. 이때, 운동 훈련자는 본체(100) 상면에 온 몸을 의지하여 탑승하거나 아니면 일부만 탑승시킨 상태에서 탑승된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하체나 코어 운동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발 운동은 물론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본체(100)를 밀거나 끌면서 손 운동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exercise trainer is trained on the
더불어, 본체(100)에 탑승한 운동 훈련자는 손잡이(110)를 이용하여 본체(100)가 유동되거나 주행될 때 신체의 균형을 잡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중량조절봉(120)에 본체(100)에 바벨(150)을 장착시켜 본체(100)의 중량을 차등 처리하여 운동 훈련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 수 있다.In addition, the exercise trainer boarding the
또한, 고리(140)에 로프를 건 상태에서 운동 훈련자가 한 발은 본체(100)에 다른 한 발은 지면에 딛고 상체 운동 내지 측부 운동을 수행하거나, 로프의 길이에 따라 본체(100)의 주행 거리를 한정시켜 안정성을 보장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rope is attached to the
이 과정에서 본체(100)의 주행 시 가속이 붙어 본체의 주행을 제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 레버, 페달, 리모컨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40)를 통해 운동 훈련자 자신 또는 트레이너가 유압 브레이크(230)를 작동시켜 본체(100)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if it is necessary to brake the driving of the main body by accelerating the running of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은 공지의 고정식 운동기구와 달리 주행성을 기반으로 하면서 중량 조절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동 기능까지 갖추어 보다 다양하면서 액티브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known in the art, can not only perform weight control based on driving characteristics but also have a braking function to provide a more diverse and active exercise. .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조절봉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weight adjus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중량 조절봉(12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중량 조절봉(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할 수 있지만 제 1,2 봉(121,122)의 조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3, the
제 1 봉(121)은 제 2 봉(122)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제 2 봉(122)의 중공 내에 삽입되어 제 2 봉(122)의 길이(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이 제 1,2 봉(121,122)의 외주 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통공(123)이 관통되고 이 통공(123)에 체결되는 스토퍼(124)를 구비하여 제 1 봉(121)의 노출 높이를 조절한 다음 해당 통공(123)에 스토퍼(124)를 체결하여 제 1 봉(121)이 움직이지 않도록 제 2 봉(1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스토퍼(124)의 외주 면 및 통공(123)의 내주 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양자가 나사산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더 나아가, 중량 조절봉(120)은 본체(10)의 상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이 역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제 1 실시예로서 본체(100)의 상면에 위치를 달리 하여 복수 개의 체결공(102)을 관통 형성시키고, 이에 중량 조절봉(1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is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as a first embodiment by varying the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2 실시예로서, 본체(100)의 상면을 없앤 상태에서 본체(100) 측면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고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본체(100)의 상부 일부를 덮으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패널을 구비하고 이 슬라이딩 패널에 중량 조절봉(120)이 장착된다. 더불어, 슬라이딩 패널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불필요한 움직임을 막기 위해 스토퍼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슬라이딩 패널은 본체(100)의 상부에서 2 내지 4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본체(100)의 상부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데 운동 훈련자가 슬라이딩 패널 상에 탑승하도록 하여 보다 강화된 균형감각을 유지하는 훈련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a second embodiment, the guide rail is mounted inside the sid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에 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체(100)의 중량 조절은 중량조절봉(120)에 바벨(150)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본체(100)는 둘레를 따라 난간(160)을 설치하여 이 난간(160) 내에 발생한 공간에 바벨(150)이나 덤벨 등의 중량 부여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난간(160)은 상술한 중량조절봉의 높이 조절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난간(160)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상면에는 일정 영역으로 복수 개로 본체(100) 상면을 구획하도록 기립된 구획벽이 형성되고 이 구획벽 내에 중량 부여체를 안착시킴으로써 난간(160) 내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된 중량 부여체가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control of the
더 나아가, 본체(100)의 상면에는 일정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함입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이 함입부에 바벨(150) 등의 중량 부여체를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중량 부여체가 난간(160)에 비해 본체(100)의 주행 시 불필요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 상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의 상면 일부 영역에는 탄성을 구비한 서포터(300)를 매개로 본체(100) 상면에 안착된 플레이트(17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5,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플레이트(170) 상에 운동 훈련자가 한 발을 올려놓거나 아니면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본체(100)를 구동시키면 버티는 근력과 균형감각을 동시에 훈련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exercise trainer puts one foot on the
이 플레이트(170)와 본체(100) 상면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서포터(300)가 장착되어 플레이트(17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00) 상면에 탄성 안착시키는데, 이 서포터(300)는 용수철과 같이 탄성을 가진 탄성 기능을 구비한다.A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서포터(300)는 접촉부(320)와 커넥터(310)로 이루어져 있다.In detail, the
커넥터(310)는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체로서, 일 실시예로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10)가 스프링인 경우 지지부의 탄성 회동(흔들림이나 진동 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플레이트(170)와 본체(100) 상면 사이 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직경과 두께를 가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부(320)는 커넥터(310)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며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플레이트(170)의 저면과 본체(100)의 상면 각각에 부착된 것으로서, 커넥터(310)가 미끄러지지 않고 플레이트(17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기반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서포터(300)는 플레이트(170)에 가해진 진동 및 충격을 커넥터(310)의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170)가 불필요하게 과잉 탄성 회동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플레이트(170)와 본체(100)의 상면의 균일한 폭을 유지하는 특성을 제공한다.The
이 서포터(300)는 플레이트(170)의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한 균형감각 훈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보조 커넥터(3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부(320) 각각의 대향 면에는 볼록체(330)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볼록체(330)는 접촉부(32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아니면 접촉부(320)와 일체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볼록체(330)는 외견상 볼록한 형상을 가지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로 연장된 복수 개의 평탄면(331)이 조합되어 있고, 각각의 평탄면(331)에는 결합공(332)이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결합공(332)은 후술할 보조 커넥터(340)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로써 결합공(332) 내에 보조 커넥터(34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332)의 내주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역시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 커넥터(340)와 나사산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Coupling
본 발명의 보조 커넥터(340)는 바(bar) 형상으로 일정 길이, 즉 양 측의 결합공(332) 사이 길이만큼 연장된 것으로 커넥터(310)의 탄성 지지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조 커넥터(340)는 가급적 잘 휘어지지 않는 강체 또는 상황에 따라 커넥터(310)에 상응하는 탄성계수로 이루어진 탄성체로 이루어져 커넥터(310)의 지지 기능을 적절히 보조하도록 한다.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170)가 어느 일 측으로 기울거나 무게 또는 외력이 쏠리는 부위를 특정하여 이 부위에 보조 커넥터(34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310)의 탄성에 의하여 또 다른 진동과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특히, 볼록체(330)가 다양한 기울기를 가진 평탄면(331)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중 특정 기울기를 가진 평탄면(331)을 선택하여 이에 보조 커넥터(340)를 체결함으로써 하중이 쏠리는 위치와 부위에 보다 탄력적이면서 보조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다만, 결합공(332)의 형상 및 관통 부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도 볼록체(330) 사이에 보조 커넥터(340)를 끼우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커넥터(310)는 탄성체인데 보조 커넥터(340)가 휨성/탄성이 없거나 적은 강체일 경우 오히려 커넥터(310)의 탄성 지지력을 발현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따를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커넥터(340)가 강체라도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동되어 보조 지지력 제공은 물론 커넥터(310) 본연의 탄성 지지력을 방해하지 않는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lthough the
이를 위하여, 결합공(332)의 직경(또는 체적)은 보조 커넥터(340)의 체결 단 직경(또는 체적)보다 커서 결합공(332) 내에 보조 커넥터(340)의 체결 단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 커넥터(340)가 결합공(332)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앞서 말한 보조 커넥터(340)의 보조 지지력과 커넥터(310)의 탄성 지지력을 동시에 유지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diameter (or volume) of the
다시 말해, 보조 커넥터(340)가 외력에 대응하여 결합공(332)에서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연장 상태를 유지하거나 아니면 결합공(332)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 때,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볼록체(330)의 결합공(332)과 우측에 위치한 볼록체(330)의 결합공(332)의 체적과 직경 차이를 두어 보다 다양한 유동 범위를 제공할 수 있고, 결합공(332)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걸림 문제없이 보조 커넥터(340)가 미끄러지듯 결합공(332) 내에서 유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물론, 보조 커넥터(340)가 계속적으로 결합공(332) 내에서 유동되는 것은 아니고, 외력에 의해 커넥터(310)가 수축된 다음 복원되려 할 때 결합공(332)의 특정 위치를 찾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더욱 보조하기 위하여, 결합공(332) 내에는 복수 개의 안착 홈이 함입되어 이에 보조 커넥터(34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보조 커넥터(34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면서 보조 커넥터(340)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도 6은 도 5의 서포터에 대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er of FIG.
도 6의 이격 가이드(350)는 보조 커넥터(340)가 결합공(332)에서 원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막으면서 일정 궤적과 경로로 유동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 경사 기립부(351)와 연장부(352)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결합공(332) 양 측 주변에서 ㄷ 자 형상으로 결합공(332)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격 가이드(350)는 결합공(332)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 결합공(33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지만, 선택된 특정한 결합공(332) 주변에만 장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경사 기립부(351)는 상기 평탄면(331) 표면에서 결합공(332) 양측 부위 각각에서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된 것으로, 이와 같이 경사 기립되는 이유는 후술할 연장부(352)의 면적/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inclined standing
연장부(352)는 양측의 경사 기립부(351)의 상단을 잇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결합공(332)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관통된 슬릿(353)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슬릿(353)은 보조 커넥터(340)가 지나는 경로와 수용 공간을 제공하면서 결합공(332)의 유동 범위를 한정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더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경사 기립부(351)와 평탄면(331)의 결합 부위에는 일정 각도만큼 회동성을 보장하는 힌지가 장착되어 이격 가이드(350) 자체가 회동되어 보조 커넥터(340)의 유동 범위를 보다 폭넓게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inge portion which guarantees the rotational ability by a predetermined angle is mount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clined standing
정리하면, 이러한 이격 가이드(350)에 의하여 보조 커넥터(340)의 불필요한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보조 커넥터(340)의 안정적인 유동성을 보장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In summary, the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중량 조절봉(120), 선반(160) 내, 함입부 등에 결합 내지 안착되는 바벨(150)/덤벨 등의 매체를 중량 부여체라 하는데, 이 중량 부여체는 그 표면에 RFID(151)를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RFID(151)는 식별 정보와 중량 정보를 포함하는바, 식별 정보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컨트롤러(400)에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중량 정보는 중량 부여체의 중량 수치를 컨트롤러(400)에서 인식하도록 한다.The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액티브 운동 머신은 컨트롤러(400)를 구비하는바, 컨트롤러(400)는 제동장치(200) 내지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 및 기능 이외에, 상기 RFID(151)의 리더 기능을 포함한 상태에서 증가 중량 파악모듈(410), 중량 편중 파악모듈(420)을 추가로 구비한다,Correspondingly, the activ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400. The controller 400 functions as a reader of the
증가 중량 파악모듈(410)은 무신 통신 기능에 의하여 중량 부여체에 부착된 RFID(151) 각각으로부터 중량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중량 수치를 합산함으로써 중량 부여체에 의하여 가중된 중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crease weight grasping module 410 receives weight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즉, 증가 중량 파악모듈(410)은 중량 부여체에 의하여 증가된 중량을 손쉽게 계산하여 운동 훈련의 종류에 따라 중량 부여체를 추가로 적재할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반을 제공한다.That is, the increase weight grasping module 410 easily calculates the weight increased by the weight giver and provides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add a weight giver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training.
중량 편중 파악모듈(420)은 각각의 RFID(151)의 식별 정보 및 중량 정보를 종합하여 특정 부위에서의 무게 쏠림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반(160) 내에 안착된 중량 부여체의 일 측 방향으로 무게 쏠림 내지 중량 편중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중량 편중 파악모듈(420)은 중량부여체가 선반(160)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안착되었을 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weight-biasing grasp module 42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weight is pulled at a specific site by comb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eight information of each
다시 말해, 각각의 중량 부여체에 따른 차등 중량 및 해당 중량 부여체의 위치 정보를 통해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서 중량이 가중되었거나 예를 들어 본체를 소정 구획으로서 12 분할하였을 때 특정 구획에서 중량이 편중되었거나 가볍다는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중량 부여체가 어느 일 측으로 쏠림으로써 본체의 안전한 주행을 방해하거 아니면 운동 훈련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미리 파악하여 일 측 쏠림이 있을 경우 중량 부여체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기반을 부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eight is biased in a specific compartment when, for example, the weight is weighted in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differential weight according to each weighting body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ighting body, or when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12 predetermined compartments, for example.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eight carrier in case there is one side pull by grasping the state such as the weight or the light weight to prevent the safe driving of the main body o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xercise trainer. It can give a basis to adjust.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 기능을 구비한 액티브 운동 머신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ctive exercise machine with br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01: 브레이크 박스
102: 체결공 110: 손잡이
120: 중량 조절봉 121: 제 1 봉
122: 제 2 봉 123: 통공
124: 스토퍼 130: 바퀴
140: 고리 150: 바벨
151: RFID 160: 난간
170: 플레이트 200: 제동장치
210: 구동축 211: 체인 링
220: 종동축 221: 스프라켓
230: 유압 브레이크 231: 유압실린더
232: 리저브 탱크 233: 브레이크 파이프
240: 제어부 241: 유량조절밸브
242: 샤프트 250: 체인
300: 서포터 310: 커넥터
320: 접촉부 330: 볼록체
331: 평탄면 332: 결합공
340: 보조 커넥터 350: 이격 가이드
351: 경사 기립부 352: 연장부
353: 슬릿 400: 컨트롤러
410: 증가 중량 파악모듈 420: 중량 편중 파악모듈100: main body 101: brake box
102: fastener 110: handle
120: weight adjustment rod 121: first rod
122: second rod 123: through hole
124: stopper 130: wheels
140: ring 150: barbell
151: RFID 160: handrail
170: plate 200: braking device
210: drive shaft 211: chain ring
220: driven shaft 221: sprocket
230: hydraulic brake 231: hydraulic cylinder
232: reserve tank 233: brake pipe
240: control unit 241: flow control valve
242: shaft 250: chain
300: supporter 310: connector
320: contact portion 330: convex body
331: flat surface 332: coupling hole
340: auxiliary connector 350: separation guide
351: inclined standing part 352: extension part
353: Slit 400: Controller
410: increase weight grasp module 420: weight bias grasp module
Claims (13)
바퀴가 구비되어 주행이 가능한 본체;
상기 바퀴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동장치;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로 기립되어 바벨을 끼워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 조절봉;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플레이트가 안착되되,
상기 플레이트는, 탄성이 있는 서포터를 매개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As an active exercise machine with a braking function,
A main body provided with wheels and capable of traveling;
A brak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braking force to the wheel;
A hand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weight adjusting rod that stands on at least on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djust a weight by fitting a barbell.
The plate is se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plate is an active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via an elastic supporter.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가 장착된 부위의 대향 측에 추가로 장착된 보조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nd an auxiliary handle additionally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on which the handle is mounted.
상기 본체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일 측에는,
로프가 걸리는 고리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 The method of claim 1,
On either sid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Active rope movement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ok.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 측에 체인링이 장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된 것으로 일 측에 스프라켓이 장착된 종동축 및,
상기 체인링과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종동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유압 브레이크와,
상기 유압 브레이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를 매개로 상기 유압 브레이크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동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device,
The drive shaft and the chain ring is mounted on one side by connecting the wheel,
A driven shaft having a sprocket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drive shaft;
A chain connecting the chainring and the sprocket,
A hydraulic brak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n shaft;
Consists of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hydraulic brake,
The control unit,
And braking control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the hydraulic brake via a valve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 측에 체인링이 장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된 것으로 일 측에 스프라켓이 장착된 종동축 및,
상기 체인링과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종동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유압 브레이크 및,
상기 유압 브레이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 머신은,
상기 종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device,
The drive shaft and the chain ring is mounted on one side by connecting the wheel,
A driven shaft having a sprocket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drive shaft;
A chain connecting the chainring and the sprocket,
A hydraulic brak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n shaft,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ydraulic brake,
The exercise machine,
And a drive device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n shaft.
상기 중량 조절봉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adjustment rod,
Active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height adjustment possible.
상기 중량 조절봉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adjustment rod,
An active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면 둘레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상기 난간 내의 상기 본체 상면에 바벨을 추가로 거치할 수 있는 중량 부여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Railings are installed,
An active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weight giving space that can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in the handrail.
상기 서포터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및 상기 본체의 상면 각각에 접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탄성 연결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진 복수의 평면이 조합되어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평면 각각에는 결합공이 함입 형성되고,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상기 결합공에 바 형상의 보조 커넥터가 체결되되,
상기 결합공은 보조 커넥터의 결합 단 직경보다 커서 상기 보조 커넥터가 상기 결합공 내에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er,
It consists of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or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portion,
A plurality of plan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are combined to form a convex shape, and each of the planes has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Bar-shaped auxiliary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facing each other with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coupling hole is larger than the coupling end diameter of the auxiliary connector so that the auxiliary connector can flow in the coupling hole.
상기 평면에는,
상기 결합공 양 단을 ㄷ자의 유사 형상으로 연결하는 이격 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이격 가이드는,
상기 결합공 양 측에서 서로 폭이 넓어지게 경사 기립된 경사 기립부와, 상기 보조 커넥터가 지나도록 일정 길이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경사 기립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0,
On the plane,
Is provided with a spaced guide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coupling hole in the U-like shape,
The spacing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tanding portion inclined to widen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inclined stand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a slit penetrate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auxiliary connector passes. , Active exercise machine.
상기 바벨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중량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ID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운동 머신은,
상기 RFID와 통신하여, 각각의 바벨의 상기 중량 정보를 통하여 상기 바벨에 의해 가중된 총 중량을 파악하는 증가 중량 파악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8,
The barbell i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RFID including weigh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ctive exercise machine,
And a controller having an incremental weight grasping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RFID for grasping the total weight weighted by the barbells via the weight information of each barbell.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RFID의 식별 정보 및 중량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상기 바벨에 의한 중량이 특정 부위로 쏠림 여부를 파악하는 중량 편중 파악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운동 머신.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ler,
And a weight bias determining module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RFID to determine whether the weight by the barbell is directed to a specific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184A KR102077546B1 (en) | 2018-11-23 | 2018-11-23 |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184A KR102077546B1 (en) | 2018-11-23 | 2018-11-23 |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7546B1 true KR102077546B1 (en) | 2020-02-14 |
Family
ID=6951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6184A KR102077546B1 (en) | 2018-11-23 | 2018-11-23 |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5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06097A1 (en) * | 2020-07-02 | 2022-01-06 | Sahm Bazargan | Adjustable resistance weight sled with bias correction, wheel skid control, and omni-directional motion |
EP3991812A3 (en) * | 2020-10-08 | 2022-08-10 | Torque Fitness, LLC | Stowable wheeled weight training sle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62548A (en) * | 1961-08-02 | 1962-11-06 | John P Foster | Athlete's training cart |
JP2011136131A (en) * | 2010-01-04 | 2011-07-14 | Nec Corp | Training contents detecting device and weight training apparatus |
US20140221131A1 (en) * | 2010-12-29 | 2014-08-07 | Marty Gilman, Inc. | Skis and handlebar accessories for athletic training sleds |
US20180326247A1 (en) * | 2016-02-05 | 2018-11-15 | Torque Fitness, Llc | Weight training sled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6184A patent/KR1020775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62548A (en) * | 1961-08-02 | 1962-11-06 | John P Foster | Athlete's training cart |
JP2011136131A (en) * | 2010-01-04 | 2011-07-14 | Nec Corp | Training contents detecting device and weight training apparatus |
US20140221131A1 (en) * | 2010-12-29 | 2014-08-07 | Marty Gilman, Inc. | Skis and handlebar accessories for athletic training sleds |
US20180326247A1 (en) * | 2016-02-05 | 2018-11-15 | Torque Fitness, Llc | Weight training sled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미국 특허공보 US3062548(1962.11.6.) 1부.* |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4/0221131호(2014.8.7.) 1부.*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36131호(2011.7.14. 공개) 1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06097A1 (en) * | 2020-07-02 | 2022-01-06 | Sahm Bazargan | Adjustable resistance weight sled with bias correction, wheel skid control, and omni-directional motion |
EP3991812A3 (en) * | 2020-10-08 | 2022-08-10 | Torque Fitness, LLC | Stowable wheeled weight training sled |
US11957958B2 (en) | 2020-10-08 | 2024-04-16 | Torque Fitness, Llc | Stowable wheeled weight training sl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0577B2 (en) | Pendulous exercise device | |
US7645215B2 (en) | Exercise device | |
US6387015B1 (en) | Exercise apparatus employing counter-resistive treading mechanism | |
US20140011645A1 (en) | Multiple position exercise device | |
US5226866A (en) | Trimodal exercise apparatus | |
US7935027B2 (en) | Spontaneous symmetrical weight shifting trainer device | |
US8128536B2 (en) | Verticle exercise cycle | |
EP2818209B1 (en) | Exercise assisting device | |
US10357689B2 (en) | Selectable speed bag support apparatus | |
KR102077546B1 (en) | Active training machine with function of brake | |
KR20150117460A (en) | Brain Functions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Equipment Using Bicycle | |
US20200222749A1 (en) | Treadmill with Continuous Pull Force on User | |
US20070184937A1 (en) | Spontaneous symmetrical weight shifting trainer device | |
EP1020205B1 (en) | A sub-aqua bicycle | |
US4693468A (en) | Exercise machine having pedals which extend radially against resistive means | |
US20200330818A1 (en) |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Exercises | |
CN207221195U (en) | A kind of horseback riding body-building car | |
CN105597266A (en) | A rearward pedaling exercise frame | |
CN106823250A (en) | Climb training aids | |
CN206613086U (en) | Climb training aids | |
JP5213086B1 (en)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US20220047913A1 (en) | Full Body Workout Device | |
US8202201B2 (en) | Stationary exercise scooter | |
KR101634065B1 (en) | Exercising apparatus for reinforce strength of legs | |
CN110917571A (en) | Fitness equipment and exercis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