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990B1 - 분진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990B1
KR102076990B1 KR1020190145446A KR20190145446A KR102076990B1 KR 102076990 B1 KR102076990 B1 KR 102076990B1 KR 1020190145446 A KR1020190145446 A KR 1020190145446A KR 20190145446 A KR20190145446 A KR 20190145446A KR 102076990 B1 KR102076990 B1 KR 10207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pace
space portion
disposed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이희성
박형욱
Original Assignee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공간부(10), 제2 공간부(20), 제3 공간부(30) 및 제4 공간부(40)가 본체(1)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진 집진장치로서, 제1 공간부(10)에 배치된 제1 필터(110)를 갖는 제1차 필터링부(100); 제2 공간부(20)에 배치된 제2 필터(210)를 갖는 제2차 필터링부(200); 제3 공간부(30)에 배치된 제3 필터(310)를 갖는 제3차 필터링부(300); 및 제4 공간부(40)에 배치된 송풍부(400)를 포함하며,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본체의 유입부(11)로 유입되어,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 후 송풍부(4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진 집진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차 필터링 내지 제3차 필터링을 거치는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는 연마기에 의해 연마작업된 잔여물, 쇠가루 등과 같은 잔여물이 작업장 바닥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분진이 작업장 바닥에 쌓여 있을 경우, 바깥의 오염은 물론, 분진물을 밟고 다니면, 미세한 분진 가루는 공기중에 혼입되어 작업자의 기관지를 통해 인체내로 흡입되어져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인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는 페인트 성분이 부유하게 되며, 작업자들이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페인트와 같은 점액성분의 경우, 인체 내에 다량이 흡입되면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고상, 가루 또는 액상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998316호와 같은 분진 집진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필터가 분진에 의해 쉽게 막혀서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효과적인 분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활성탄 등의 필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활성탄이 조금씩 아래로 눌려되면서, 필터에서 활성탄이 미존재하는 영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98316호(2019.07.03)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순차적인 필터링을 통해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둘째, 필터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셋째, 필터내부에서 필터부재의 하향이동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제3 공간부 및 제4 공간부가 본체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진 집진장치로서, 제1 공간부에 배치된 제1 필터를 갖는 제1차 필터링부; 제2 공간부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갖는 제2차 필터링부; 제3 공간부에 배치된 제3 필터를 갖는 제3차 필터링부; 및 제4 공간부에 배치된 송풍부를 포함하며,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본체의 유입부로 유입되어,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 후 송풍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에서, 제1 필터는 개구부가 본체 유입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1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제1 필터의 각 개구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오염공기는 제1 필터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필터는 부직포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는 제1 필터 플레이트 상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에 인출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토퍼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가 탄성 스토퍼를 통과하면, 탄성 스토퍼가 제1 필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필터링부에서, 제2 필터는 개구부가 제3 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2 공간부는 제1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며, 제1 공간부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2 공간부로 이동된 후, 제2 필터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필터는 헤파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공간부와 제3 공간부의 경계에는 제2 필터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이 배치되며, 제2 필터는 제2 필터 삽입공에 삽입배치되며, 제2 필터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가 필터 안착단의 상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차 필터링부에서, 제3 필터는 개구부가 제2 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3 공간부는 제2 공간부와 상호 밀폐되며, 제3 필터의 개구부는 제2 필터의 개구부와 연통 결합되어, 제2 필터의 내부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3 필터의 내부로 이동된 후, 제3 필터의 내부에서 외부의 제3 공간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공간부와 제3 공간부의 경계에는, 제3 필터 삽입돌기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이 배치되며, 제3 필터의 하부에는 개구부와 연통되는 통공 및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제3 필터의 안착홈에 필터 안착단의 제3 필터 삽입돌기가 삽입되면서 제3 필터가 필터 안착단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필터의 필터 측벽은 통공 내벽 및 이격된 통공 외벽으로 구비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필터부재 수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부재 수납공간에는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필터의 상측은 탈착가능한 상부커버로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커버의 외연부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플렌지가 구비되며, 필터부재는 상부커버의 상단까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부재 수납공간은 상광 하협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부재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상부커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필터부재 낙하방지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에서, 제4 공간부는 제3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며, 제3 공간부에 위치한 정화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제1 필터링부 내지 제3 필터링부를 거치면서 필터링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 필터 내지 제3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3 필터의 필터부재 수납공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수납공간 내부에 낙하방지턱을 구비하여, 필터부재가 하향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본체에 제1 필터, 제2 필터 및 제3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필터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 측벽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탄성 스토퍼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필터링부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차 필터링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가 각각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a의 실시예에서, 오염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12a는 제3 필터의 수납공간에 필터부재가 적절하게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필터부재가 하향이동되어 필터부재가 부재한 공간이 발생된 상태(B)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는 필터부재 수납공간의 상단에 플랜지를 구비한 상태(C)를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3 필터에서 필터부재 수납공간이 상광하협 구조를 가지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3 필터에서 필터부재 수납공간 내부에 낙하방지턱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5c는 낙하방지턱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집진장치는 제1 공간부(10), 제2 공간부(20), 제3 공간부(30) 및 제4 공간부(40)가 본체(1)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진 집진장치로서, 제1 공간부(10)에 배치된 제1 필터(110)를 갖는 제1차 필터링부(100); 제2 공간부(20)에 배치된 제2 필터(210)를 갖는 제2차 필터링부(200); 제3 공간부(30)에 배치된 제3 필터(310)를 갖는 제3차 필터링부(300); 및 제4 공간부(40)에 배치된 송풍부(400)를 포함한다.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본체의 유입부(11)로 유입되어,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 후 송풍부(4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진은 고상, 가루, 액상 등 다양한 형태의 분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차 필터링부(100), 제2차 필터링부(200) 및 제3차 필터링부(3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순차적 배치'는 도 10a의 종방향 배치 및 도 10b의 횡방향 배치 모두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서는 주로 종방향 배치를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100)는 제1 공간부(10)에 배치되어, 본체(1)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최초로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차 필터링부(100)에 있어서, 제1 필터(110)는 개구부(111)가 본체 유입부(11)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필터, 제2 필터 및 제3 필터 모두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쇄된 중공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형상, U형상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개구부를 가진 폐쇄 중공구조'로 지칭한다.
제1차 필터링부(100)에 있어서, 제1 공간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제1 필터(110)의 각 개구부(111)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오염공기는 제1 필터(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110)는 오염공기가 제2 필터(210)에 유입되기 전에 초벌 필터링을 하는 의미를 가진다. 제2 필터(210)의 필터링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110)는 부직포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필터(110)는 자주 교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필터(110)가 복수개 배치된 제1 필터 플레이트(120)를 본체(10)에 서랍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110)는 제1 필터 플레이트(120) 상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120)는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2)에 인출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복수의 제1 필터(110)가 구비된 제1 필터 플레이트(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좌우로 구분하여 좌측은 적층배치, 우측은 단층배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필터 플레이터(120)는 슬라이딩 레일(12)을 통해 본체(1) 내부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삽입이 되면, 제1 필터 플레이트(120)는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6a의 도면부호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12)의 일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토퍼(13)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120)가 탄성 스토퍼(13)를 통과하면, 탄성 스토퍼(13)가 제1 필터 플레이트(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필터링부(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필터링부(200)는 제2 공간부(20)에 배치되어, 제1차 필터링부(10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다시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차 필터링부(200)에서, 제2 필터(210)는 개구부(211)가 제3 필터(31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도 2 및 도 1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공간부(20)는 제1 공간부(10)와 상호 연통되며, 제1 공간부(10)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2 공간부(20)로 이동된 후, 제2 필터(2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될 수 있다(도 12 참조).
제2 필터(210)는 제1 필터(110)에 의해 1차 필터링된 오염공기를 2차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페인트 분진 가스 및 이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필터링하기 위하여, 헤파필터(Hepa Filter)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필터링부(200)를 용이하게 안착하기 위하여, 각 제2 필터(210)를 삽입하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공간부(20)와 제3 공간부(30)의 경계에는 제2 필터 삽입공(22)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21)이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제2 필터(210)는 제2 필터 삽입공(22)에 삽입배치되며, 제2 필터(210)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220)가 필터 안착단(2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차 필터링부(3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차 필터링부(300)는 제3 공간부(30)에 배치되어, 제2차 필터링부(20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다시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제3차 필터링부(300)에서, 제3 필터(310)는 개구부(311)가 제2 필터(21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도 2 및 도 10 참조).
제3 공간부(30)는 제2 공간부(20)와 상호 밀폐되며, 제3 필터(310)의 개구부(311)는 제2 필터(210)의 개구부(211)와 연통 결합되어, 제2 필터(210)의 내부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3 필터(310)의 내부로 이동된 후, 제3 필터(310)의 내부에서 외부의 제3 공간부(30)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될 수 있다(도 1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3 필터링부(300)를 용이하게 안착하기 위하여, 전술한 필터 안착단(21)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간부(20)와 제3 공간부(30)의 경계에는, 제3 필터 삽입돌기(31)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필터(310)의 하부에는 개구부(311)와 연통되는 통공(331) 및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332)이 형성되어, 제3 필터(310)의 안착홈(332)에 필터 안착단(21)의 제3 필터 삽입돌기(31)가 삽입되면서 제3 필터(310)가 필터 안착단(21)에 안착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이하에서는, 제3 필터(310)의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필터(310)의 필터 측벽(312)은 통공 내벽(312a) 및 이격된 통공 외벽(312b)으로 구비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이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3 필터(310)는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에 필터부재를 충전시키고, 필요시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재는 활성탄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필터부재가 사용가능하다.
필터부재의 교체를 위해, 제3 필터(310)의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은 폐쇄될 수 있다.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단 및 하단은 탈착가능한 상부커버(340) 및 하부커버(330)로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최초에 필터부재를 충전하면, 도 12a의 상태(A)와 같이,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단까지 필터부재가 충전된다. 특히, 필터내부의 공기는 전진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단을 통해 다수의 공기가 제3 필터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될 것이다. 제3 필터(310)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제3 필터 외부로 이동하면서 필터부재를 거치며 필터링이 된다.
그런데,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에 충전된 필터부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체 하중 등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다. 필터부재가 아래로 이동되면, 도 12b의 상태(B)와 같이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에 필터부재가 없는 공간이 발생된다. 이 경우, 제3 필터(310)의 내부 공기는 필터부재가 없는 공간(B)을 통해 외부로 이동되며, 제3차 필터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를 제시한다.
제1 실시예로서, 도 13a와 같이,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플렌지(341)를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상부커버(340)의 외연부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플렌지(341)가 구비되며, 필터부재는 상부커버(340)의 상단까지 충전될 수 있다.
최초 충전시에는 플렌지(341)가 구비된 위치까지도 필터부재가 충전된다(도 13a 참조). 플렌지 위치에 충전되는 필터부재는 향후 자체 중량 등으로 필터부재가 하향이동하여도,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에는 지속적으로 필터부재가 존재하도록 하는 예비용 필터부재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터부재가 하향 이동되어 필터부재가 하향이동하면, 플렌지 위치에 있던 필터부재도 하향이동하게 된다(도 13b 참조)
제2 실시예로서,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형상을 상광하협으로 구비하여, 필터부재가 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상부의 폭(w1)보다 하부의 폭(w2)이 좁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의 하부로 필터부재가 하향이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실시예로서, 필터부재 수납공간(313) 내부에 상부커버(34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필터부재 낙하방지턱(313a)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재 수납공간(313)에 충전된 필터부재가 아래로 낙하되지 않도록 낙하방지턱(313a)이 구비되면, 필터부재의 낙하가 명확하게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동되는 공기는 필터부재와 접촉되어야 하므로, 낙하방지턱(313a)는 도 15c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4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400)는 제4 공간부(40)에 배치되며, 제3차 필터링부(300)를 거쳐 최종 필터링이 완료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한다. 제4 공간부(40)는 제3 공간부(30)와 상호 연통되며, 제3 공간부(30)에 위치한 정화된 공기를 본체(1)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각 필터들이 배치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도 9 및 도 10 참조).
먼저, 제1 필터(110)가 본체의 제1 공간부(10)에 슬라이딩 삽입방식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9의① 참조). 다만, 제1 필터(110)는 제2 필터 및 제3 필터와 독립적으로 배치가능하므로, 추후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필터(210)가 본체 내부에 구비된 필터안착단(21)에 형성된 제2 필터 삽입공(22)에 삽입된다(도 9의② 참조).
다음으로, 제3 필터(310)가 제2 필터(210) 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필터안착단(21)에 형성된 제3 필터 삽입돌기(31)에, 제3 필터(310)의 하부커버(330)에 형성된 안착홈(332)이 삽입되면서 배치된다(도 9의③ 참조). 제3 필터와 제2 필터는 밀폐 결합되므로, 제2 필터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제3 필터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체
10 : 제1 공간부 11 : 유입부
12 : 슬라이딩 레일 13 : 탄성 스토퍼
20 : 제2 공간부 21 : 필터 안착단
22 : 제2 필터 삽입공
30 : 제3 공간부 31 : 제3 필터 삽입돌기
40 : 제4 공간부 41 : 유출구
100 : 제1차 필터링부 110 : 제1 필터
111 : 개구부 120 : 제1 필터 플레이트
200 : 제2차 필터링부 210 : 제2 필터
211 : 개구부 220 : 테두리부
300 : 제3차 필터링부 310 : 제3 필터
311 : 개구부 312 : 필터측벽
312a : 통공내벽 312b : 통공외벽
313 : 필터부재 수납공간 313a : 낙하방지턱
320 : 필터부재 330 : 하부커버
331 : 통공 332 : 안착홈
340 : 상부커버 341 : 플렌지
400 : 송풍부

Claims (17)

  1.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제3 공간부 및 제4 공간부가 본체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진 집진장치로서, 제1 공간부에 배치된 제1 필터를 갖는 제1차 필터링부; 제2 공간부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갖는 제2차 필터링부; 제3 공간부에 배치된 제3 필터를 갖는 제3차 필터링부; 및 제4 공간부에 배치된 송풍부를 포함하며,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본체의 유입부로 유입되어,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 후 송풍부를 통해 배출되며,
    제3 필터의 필터 측벽은 통공 내벽 및 이격된 통공 외벽으로 구비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필터부재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 수납공간은 상광 하협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2.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제3 공간부 및 제4 공간부가 본체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분진 집진장치로서, 제1 공간부에 배치된 제1 필터를 갖는 제1차 필터링부; 제2 공간부에 배치된 제2 필터를 갖는 제2차 필터링부; 제3 공간부에 배치된 제3 필터를 갖는 제3차 필터링부; 및 제4 공간부에 배치된 송풍부를 포함하며,
    분진을 포함한 오염공기는 본체의 유입부로 유입되어, 제1차 필터링부, 제2차 필터링부 및 제3차 필터링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 후 송풍부를 통해 배출되며,
    제3 필터의 필터 측벽은 통공 내벽 및 이격된 통공 외벽으로 구비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필터부재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상부커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필터부재 낙하방지턱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차 필터링부에서,
    제1 필터는 개구부가 본체 유입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1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제1 필터의 각 개구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오염공기는 제1 필터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필터는 부직포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필터는 제1 필터 플레이트 상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에 인출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토퍼가 구비되며,
    제1 필터 플레이트가 탄성 스토퍼를 통과하면, 탄성 스토퍼가 제1 필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차 필터링부에서,
    제2 필터는 개구부가 제3 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2 공간부는 제1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며,
    제1 공간부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2 공간부로 이동된 후, 제2 필터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필터는 헤파필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공간부와 제3 공간부의 경계에는 제2 필터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이 배치되며,
    제2 필터는 제2 필터 삽입공에 삽입배치되며, 제2 필터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된 테두리부가 필터 안착단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제3차 필터링부에서,
    제3 필터는 개구부가 제2 필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중공구조로 구비되며,
    제3 공간부는 제2 공간부와 상호 밀폐되며,
    제3 필터의 개구부는 제2 필터의 개구부와 연통 결합되어, 제2 필터의 내부에 위치한 오염공기가 제3 필터의 내부로 이동된 후, 제3 필터의 내부에서 외부의 제3 공간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 공간부와 제3 공간부의 경계에는, 제3 필터 삽입돌기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필터 안착단이 배치되며,
    제3 필터의 하부에는 개구부와 연통되는 통공 및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제3 필터의 안착홈에 필터 안착단의 제3 필터 삽입돌기가 삽입되면서 제3 필터가 필터 안착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 수납공간에는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필터의 상측은 탈착가능한 상부커버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외연부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플렌지가 구비되며, 필터부재는 상부커버의 상단까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부에서,
    제4 공간부는 제3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며,
    제3 공간부에 위치한 정화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집진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90145446A 2019-11-13 2019-11-13 분진 집진장치 KR10207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46A KR102076990B1 (ko) 2019-11-13 2019-11-13 분진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46A KR102076990B1 (ko) 2019-11-13 2019-11-13 분진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990B1 true KR102076990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46A KR102076990B1 (ko) 2019-11-13 2019-11-13 분진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07B1 (ko) 2020-03-23 2020-06-22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102240092B1 (ko) 2021-01-26 2021-04-1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여과 흡착에 의한 집진장치
KR102526250B1 (ko) 2023-01-07 2023-04-27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자동차 열처리 도장건조 부스용 집진장치
KR200497178Y1 (ko) 2023-01-27 2023-08-21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분진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물질 처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901U (ja) * 2005-01-19 2005-06-02 呉羽テック株式会社 塗装ブース用バッグフィルター
KR101195218B1 (ko) * 2011-04-22 2012-10-29 김동기 자동교체식 슬라이딩필터를 갖는 공기정화기
KR101611953B1 (ko) * 2015-02-13 2016-04-29 조영서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KR101901847B1 (ko) * 2018-04-09 2018-09-28 (주)스마트코리아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 및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필터 적층방법
KR101998316B1 (ko) 2019-02-12 2019-07-09 고대동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901U (ja) * 2005-01-19 2005-06-02 呉羽テック株式会社 塗装ブース用バッグフィルター
KR101195218B1 (ko) * 2011-04-22 2012-10-29 김동기 자동교체식 슬라이딩필터를 갖는 공기정화기
JP2017537294A (ja) * 2014-11-28 2017-12-1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空気清浄機
KR101611953B1 (ko) * 2015-02-13 2016-04-29 조영서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901847B1 (ko) * 2018-04-09 2018-09-28 (주)스마트코리아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 및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필터 적층방법
KR101998316B1 (ko) 2019-02-12 2019-07-09 고대동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07B1 (ko) 2020-03-23 2020-06-22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102240092B1 (ko) 2021-01-26 2021-04-1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여과 흡착에 의한 집진장치
KR102526250B1 (ko) 2023-01-07 2023-04-27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자동차 열처리 도장건조 부스용 집진장치
KR200497178Y1 (ko) 2023-01-27 2023-08-21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분진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물질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990B1 (ko) 분진 집진장치
EP1100650B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staubabsaugung
KR102152984B1 (ko)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오염물질 집진장치
JP4789040B2 (ja) ダストガス除去ユニットのバグフィルタ取付機構
AU2002301860A1 (en) Vacuum Cleaner
KR102129529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101923795B1 (ko) 흡기 필터 장치, 흡기 필터 장치의 필터 교환 방법, 및 가스 터빈
KR100874991B1 (ko) 지하생활공간용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JP2008237951A (ja) 粉塵の捕集装置
KR20220029021A (ko) 오염공기 및 유해분진의 통합처리를 위한 집진장치
WO2024087715A1 (zh) 一种空气过滤车
KR101056687B1 (ko) 악취 처리 장치
KR100956016B1 (ko) 배기장치가 구비된 간이 실험대
US2823762A (en) Dust collector
ITMO20110116A1 (it) Apparato di raccolta di materiali aspirati per apparecchi aspirapolvere
KR102240092B1 (ko) 여과 흡착에 의한 집진장치
JPH022603B2 (ko)
CN107339751A (zh) 一种便于检查维修的空气净化装置
KR101963797B1 (ko) 습식집진기
JP6073592B2 (ja) 空気清浄化装置のフィルタ装着機構
KR20170015598A (ko) 유동이 개선된 가습공기청정기
CN204601891U (zh) 一种移动式散装水泥罐除尘器
KR20090044479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CN104841235B (zh) 一种可拆卸的粉尘净化设备
CN213966662U (zh) 一种方便使用的病理玻片净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