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32B1 -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32B1
KR102076732B1 KR1020180122003A KR20180122003A KR102076732B1 KR 102076732 B1 KR102076732 B1 KR 102076732B1 KR 1020180122003 A KR1020180122003 A KR 1020180122003A KR 20180122003 A KR20180122003 A KR 20180122003A KR 102076732 B1 KR102076732 B1 KR 10207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lte
stream
wireless network
str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님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님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님버스
Priority to KR102018012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i-Fi 무선망을 통해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송수신하고, 동시에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LTE/5G 모뎀본딩없이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거리 동영상 전송을 제공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 영상 송신과 HEVC 트랜스코더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VIDE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WO KINDS OF WIRELESS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메라 영상 송신과 HEVC 트랜스코더 접속을 제공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Wi-Fi 무선망을 통해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고, 동시에 LTE/5G 모뎀본딩없이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거리 동영상 전송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송신 시스템은 H.264 인코딩 기술을 기반으로 Wi-Fi 무선망 또는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영상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높은 전송율과 저지연의 특징을 갖는 Wi-Fi 영상 송수신기는 송수신 범위가 가시거리 1.5km 이내로 한정되고 가시거리 1.5km 이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송수신 거리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한편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영상을 송수신하는 장치는 무선통달 거리의 제한을 없지만, LTE/5G 모뎀에서 기지국까지 한정된 업링크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영상 송신시 송신 대역폭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에서 복수 개의 영상을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보내지만, 수신하는 측에서는 기지국 대역폭의 한계로 인해 복수 개의 영상을 원활하게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692430호(2016.12.28.) 2.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8318호(2013.04.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Wi-Fi 무선망을 통해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고, 동시에 LTE/5G 모뎀본딩없이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거리 동영상 전송을 제공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HEVC 트랜스코더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낮은 대역폭으로 LTE/5G 무선망에 스트리밍할 수 있는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를 운용할 때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가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단일의 영상 수신기가 AP 모드로 동작하여, 영상 수신기가 소정 개수의 안테나로 구성되고, station 모드로 동작하는 HEVC 트랜스코더와 접속을 제공하는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를 운용할 때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선택된 영상 스트림만을 트랜스코딩하는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Wi-Fi 무선 전송을 위해 인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릴레이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는 영상 수신기 및 상기 영상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전달받아 트랜스코딩하고,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여 LTE/5G 무선공중망으로 송신하는 HEVC 트랜스코더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 영상 송신과 HEVC 트랜스코더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는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영상 수신기는 AP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기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1개의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HEVC 트랜스코더로 릴레이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영상 수신기에서 1대1로 방송촬영용 카메라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로부터 Wi-Fi 무선망을 통해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특정 방송촬영용 카메라의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는 단계; 스마트폰에서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무선공중망으로의 원활한 송신을 위해 동일 화질 대비 낮은 대역폭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 H.264 신호를 H.265 신호로 변환해주는 HEVC 트랜스코더를 활용하여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트랜스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로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LTE/5G 무선공중망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Wi-Fi 무선망을 통해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고, 동시에 LTE/5G 모뎀본딩없이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거리 동영상 전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H.264로 압축된 영상을 WI-Fi로 송신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동시에 LTE/5G 공중무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여러 개의 LTE 모뎀을 본딩하지 않고, 특히 공중무선망 사용비용을 줄이면서 공중무선망으로도 끊김 없이 HD 동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또는 애플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H.264/H.265 트랜스코더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저속 및 저지연의 HD 동영상을 지구상 임의의 곳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에 HEVC 트랜스코더의 접속을 제공하지 않고, 단일의 영상 수신기에 HEVC 트랜스코더와 접속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함으로써, 경제적으로 HEVC 트랜스코더의 개수와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선택된 영상 스트림만을 트랜스코딩함으로써, LTE/5G 모뎀에서 기지국까지 한정된 업링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송 에러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실시간 라이브 방송 솔루션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가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단일의 영상 수신기가 AP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영상 수신기의 설계와 구현이 간단해 지고,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영상촬영용 카메라와 영상 송신기가 운용되고, 영상 수신기가 AP 모드로 운용됨으로써, 여러 명의 촬영 관계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영상 수신기에 Wi-Fi 무선망으로 동시에 접속할 수 있고, 여러 명의 촬영 관계자 촬영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기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영상 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촬영용 카메라(100)의 촬영 영상을 Wi-Fi 무선망(50)과 HEVC 트랜스코더(410)를 이용한 LTE/5G 무선공중망(60)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송수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 단일의 영상 수신기(300) 및 HEVC 트랜스코더(4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영상 송신기(200)는 1대1로 방송촬영용 카메라(100)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Wi-Fi 무선 전송을 위해 인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며, 패킷화된 영상 스트림을 영상 수신기(300)로 전송한다.
영상 송신기(200)는 인코더 및 Wi-Fi 송신기(220)를 포함하고, 인코더는 오디오 인코더(211) 및 H.264 비디오 인코더(212)를 포함한다. 오디오 인코더(211)와 H.264 비디오 인코더(212)는 방송촬영용 카메라(100)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저지연으로 실시간 압축하여 인코딩한다.
Wi-Fi 송신기(220)는 압축된 영상의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Wi-Fi 무선 전송을 위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로 패킷화하여 전송한다.
이때의 Wi-Fi 송신기(220)는station 모드로 동작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 수신기(300)에 접속된다. 즉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는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영상 수신기(300)는 AP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메라 영상 송신 환경에서 Wi-Fi 인프라스트럭쳐 구성의 AP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 송신기(200)를 station 모드로 운용하고, Wi-Fi 인프라스트럭쳐 구성의 station 모드로 동작하는 Wi-Fi 비디오 수신기를 AP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를 안테나의 추가 없이 단일의 영상 수신기(300)로 수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에 대응하여 영상 수신기(300)를 페어로 구성하였으므로,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의 Wi-Fi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 설치가 필요하고, 수신 안테나 간의 RF 신호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 설치시 수신 안테나 간의 일정한 이격거리를 고려한 설치가 필요하며, 특히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 단일의 영상 수신기(300)로 설계할 때 영상 송신기(200) 안테나 수의 N배 안테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는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영상 수신기(300)는 AP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경우에 영상 송신기(200) 안테나 수의 1배 안테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영상 송신기(200) 안테나 설계와 구현이 간단해지고, 제품 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영상 수신기(300)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Wi-Fi 수신기(310),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릴레이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는 스트림 선택기(320) 및 Wi-Fi 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HEVC 트랜스코더(410)로 릴레이 스트리밍하는 릴레이 스트리밍 서버(330)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기(300)는 스트림 선택기(320)의 제어에 대응하여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거나,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610)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는 오디오 디코더(341) 및 H.264 비디오 디코더(342)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1과 도 2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에서 특정 스트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차이점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 선택기(320)는 설정된 스트림 조건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 특정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동시에 디코더와 릴레이 스트리밍 서버(330)로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코더는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610)로 출력한다. 설정된 스트림 조건은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관리자가 영상 수신기(300)에 부착된 DIP 스위치 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 선택기(320)는 설정된 스트림 조건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디코더로 제공하고, 디코더 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610)로 출력하며, 스트림 선택기(32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로(610)부터 스트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스트림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릴레이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스트림을 선택할 수 있다. 스트림 선택 신호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로(610)를 운용하는 관리자의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영상 수신기(300)에 접속된 제어/관리용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스트림 선택기(320)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1개의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HEVC 트랜스코더(410)로 릴레이 스트리밍할 수 있다.
HEVC 트랜스코더(410)는 스마트폰(400)에 내장되고, 스마트폰(400)은 Wi-Fi 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영상 수신기로부터 H.264 압축 신호인 RTSP 스트리밍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보여주기 위한 화면 및 수신된 영상을 특정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또는 H.265 인코딩 레이트로 설정하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HEVC 트랜스코더(410)는 영상 수신기(300)로부터 선택된 영상 스트림인 H.264 압축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H.265 트랜스코더로 다시 인코딩한다.
HEVC 트랜스코더(410)는 프레임 레이트와 H.265 코딩 레이트를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고, 프레임 레이트와 H.265 코딩 레이트를 설정된 개수의 프로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H.264로 디코딩된 영상을 H.265로 압축하기 위해 특정의 프로파일을 호출시켜 프레임 레이트와 H.265 코딩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400)의 HEVC 트랜스코더(410)는 프로파일 형태로 프레임 레이트와 H.265 코딩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저지연의 영상 스트림을 트랜스코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400)의 프로그램의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400)은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LTE/5G 무선공중망(60)을 송신하기 위한 LTE/5G 모뎀(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송수신 시스템은 LTE/5G 무선공중망(60)으로부터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620)로 출력하는 HEVC 디코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VC 디코더(500)는 LTE/5G 무선공중망(60)으로부터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LAN 인터페이스(510),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511) 및 압축된 H.265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하는 HEVC 비디오 디코더(512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영상 수신기(300)는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지 판별하고, 단일의 영상 송신기(200)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 스트림의 번호 검출과 디코딩을 수행하며, 수신된 영상 스트림을 스마트폰(400)에 내장된 HEVC 트랜스코더(410)로 릴레이 스트리밍한다.
영상 수신기(300)의 스트림 선택기(320)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면,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특정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디코딩하거나,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하는지 관리자의 입력 또는 설정된 스트림 조건 명령에 대응하여 단일 스트림 출력 조건을 결정한다.
스트림 선택기(320)는 단일 스트림 출력으로 결정하면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 특정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동시에 디코더와 릴레이 스트리밍 서버(330)로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코더는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610)로 출력한다.
스트림 선택기(320)는 복수 스트림 출력으로 결정하면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디코더로 제공하고, 디코더 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610)로 출력하며, 스트림 선택기(32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비디오 스위처로(610)부터 스트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스트림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릴레이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스트림을 선택할 수 있다.
HEVC 트랜스코더(410)는 영상 수신기(300)로부터 선택된 영상 스트림인 H.264 압축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H.265 트랜스코더로 다시 인코딩함으로써, 트랜스코더 접속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EVC로 인코딩된 NAL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LTE/5G 모뎀(420)을 통해 패킷화된 HEVC 영상 스트림을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의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기를 도시한 예로서, 방송촬영용 카메라(100)는 캠코더, CCTV, ENG 카메라 또는 스위처 출력단일 수 있다. 영상 송신기(200)와 영상 수신기(300)는 Wi-Fi 통신을 수행하고, 방송국 자체의 스튜디오 등 로컬 지역에 구축되거나, 원격 지역에 구축될 수 있다.
영상 수신기(3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610)로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또는 단일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610)는 LCD TV, LED TV, SDI 모니터, 프로젝터 또는 비디오 스위처일 수 있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으며, 영상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지역에서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와 영상 수신기(300)를 운용할 때 영상 수신기를 AP로 운용하여 여러 명의 촬영 관계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영상 수신기(300)에 Wi-Fi로 동시에 접속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촬영 영상을 여러 명이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원격지에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200)가 운용되고, HEVC 트랜스코더(410)가 각각의 영상 송신기(200)에 설치하면 각각의 HEVC 트랜스코더(410)의 화면이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수신측에서 선택된 화면만 LTE/5G 무선공중망(60)으로 송출할 필요가 있을 때 불필요하게 복수 개의 HEVC 트랜스코더(410)가 각각의 LTE/5G 송신 대역을 사용하여 LTE/5G 송신 대역 사용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영상 수신기(300)와 HEVC 트랜스코더(410)의 접속을 제공하도록 하여 HEVC 트랜스코더(410)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400)에 내장된 H.264/H.265 트랜스코더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VC 디코더(500)는 스마트폰(400)은 LTE/5G 무선공중망(60)으로부터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620)로 출력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6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620)와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i-Fi 무선망을 통해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고, 동시에 LTE/5G 모뎀본딩없이 LTE/5G 공중무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거리 동영상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50: Wi-Fi 무선망 60: LTE/5G 무선공중망
100: 방송촬영용 카메라 200: 영상 송신기
300: 영상 수신기 400: 스마트폰
500: HEVC 디코더 610: 제1 디스플레이 장치
620: 제2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4)

  1.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Wi-Fi 무선 전송을 위해 인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릴레이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는 영상 수신기 및
    상기 영상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전달받아 트랜스코딩하고,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여 LTE/5G 무선공중망으로 송신하는 HEVC 트랜스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수신기는 스마트폰의 HEVC 트랜스코더와의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HEVC 트랜스코더와 LTE/5G 모뎀을 내장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Wi-Fi 무선망과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LTE/5G 무선공중망을 사용하고, LTE/5G 모뎀본딩없이 한정된 업링크의 대역폭으로 동영상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며, 이종 무선망 간의 릴레이 스트리밍과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는 station 모드로 동작하고, 영상 수신기는 AP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기는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1개의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여 HEVC 트랜스코더로 릴레이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4. 영상 수신기에서 1대1로 방송촬영용 카메라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영상 송신기로부터 Wi-Fi 무선망을 통해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 중에서 특정 방송촬영용 카메라의 영상 스트림을 선택하는 단계;
    스마트폰에서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무선공중망으로의 원활한 송신을 위해 동일 화질 대비 낮은 대역폭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 H.264 신호를 H.265 신호로 변환해주는 HEVC 트랜스코더를 활용하여 선택된 영상 스트림을 트랜스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로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LTE/5G 무선공중망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수신기는 스마트폰의 HEVC 트랜스코더와의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HEVC 트랜스코더와 LTE/5G 모뎀을 내장하여,
    복수 개의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Wi-Fi 무선망과 트랜스코딩된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LTE/5G 무선공중망을 사용하고, LTE/5G 모뎀본딩없이 한정된 업링크의 대역폭으로 동영상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며, 이종 무선망 간의 릴레이 스트리밍과 실시간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80122003A 2018-10-12 2018-10-12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03A KR102076732B1 (ko) 2018-10-12 2018-10-12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03A KR102076732B1 (ko) 2018-10-12 2018-10-12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32B1 true KR102076732B1 (ko) 2020-02-12

Family

ID=6956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03A KR102076732B1 (ko) 2018-10-12 2018-10-12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149A (ko) * 2003-10-24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내 레거시 단말기로의 mms 메시지 전송을위한 mms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38318A1 (en) 2011-08-09 2013-0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c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95142A (ko) * 2014-02-12 2015-08-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및 이의 영상 스트리밍 제공 방법
KR101692430B1 (ko) 2015-02-27 2017-01-03 대한민국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KR20180003711A (ko) * 2016-06-30 2018-01-10 주식회사가나이엔지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데이터 및 영상 전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149A (ko) * 2003-10-24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내 레거시 단말기로의 mms 메시지 전송을위한 mms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38318A1 (en) 2011-08-09 2013-0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c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95142A (ko) * 2014-02-12 2015-08-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및 이의 영상 스트리밍 제공 방법
KR101692430B1 (ko) 2015-02-27 2017-01-03 대한민국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KR20180003711A (ko) * 2016-06-30 2018-01-10 주식회사가나이엔지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데이터 및 영상 전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0926B (zh) 用于处理视频通信差错的方法和装置
CN100527833C (zh) 按照运动图像专家组标准编码的流的代码转换方法
KR102012037B1 (ko) Ip 기반의 cctv 카메라 영상 및 음성데이터의 트랜스코딩 및 암호화 전송 처리 장치
KR101682982B1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및 전송시스템
KR20110124161A (ko) 계층 부호화 영상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67970B1 (ko) 서버 장치, 단말,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화면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70005495A (ko) 포맷 및 프로토콜 변환을 갖는 콘텐트 통합 플랫폼
US11943493B2 (en) Remote master control room monitoring
US20100046639A1 (en) Time shift and tonal adjustment to support video quality adaptation and lost frames
CN111386700A (zh) 多功能接收设备和会议系统
US10623807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TV signals using WIFI
KR20060040429A (ko) 무선-랜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201435786Y (zh) 便携式卫星数据语音视频综合应用通信终端
CN106303750A (zh) 一种移动导播平台
US11582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data
US10341673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transcoding bitstreams using first and second transcoders
KR102076732B1 (ko) 이종 무선망 기반의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3428493A (zh) 轻型化高清视频无线传输系统
JP4373182B2 (ja) 伝送システム
KR102128904B1 (ko) HEVC 트랜스코더 기술을 이용하여 Wi-Fi 무선망과 LTE/5G 공중무선망에 동시 적용이 가능한 변환시스템 및 방법
US11729442B2 (en) Multiplexed place shifting device
CN211047098U (zh) 一种无线信号传输系统
KR100858444B1 (ko)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 무선통신기반 웹 카메라시스템
CN220457482U (zh) 一种无线音视频信号传输延长器
CN217825146U (zh) 应用压缩算法的超高清视频无线发送装置、无线接收装置及无线传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