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155B1 - Leakage of piping detector - Google Patents

Leakage of piping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155B1
KR102076155B1 KR1020180074727A KR20180074727A KR102076155B1 KR 102076155 B1 KR102076155 B1 KR 102076155B1 KR 1020180074727 A KR1020180074727 A KR 1020180074727A KR 20180074727 A KR20180074727 A KR 20180074727A KR 102076155 B1 KR102076155 B1 KR 10207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tection device
signal
leak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1783A (en
Inventor
김우철
최윤수
구기동
하태백
김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8007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1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 및 외관, 상기 내관 및 상기 외관 사이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배관에 구비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관의 재질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구비되는 희생전극, 상기 희생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및 상기 신호송출부와 상기 내관을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he pipe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surface, the insulato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disposed on top of the insulator, the material of the inner pipe A sacrificial electrode provided with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a pipe leakage detect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crificial electrode, and including a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leak signal and a wire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inner tube do.

Description

배관 누수 검출 장치{Leakage of piping detector}Leakage of piping detector

실시예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금속간 전위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갈바닉 부식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전류를 이용하여 누수 신호를 송출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current using the principle of galvanic corrosion generated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dissimilar metals, and sends a leak signal using the generated current.

종래의 이중 관은 지역난방공사나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열이나 스팀 등을 수송할 때 온도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보온재인 폴리우레탄을 발포하고, 내관 손상으로 인한 누수(설)를 감지하고 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온재 내부에 감지선이 삽입된 형태이다.Conventional double pipe foams polyurethane, which is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between inner tube and exterior to prevent temperature loss when transporting heat or steam produced by district heating or cogeneration plant, and leaks due to internal tube damage. The sensing line is inserted inside the insulation to detect and check its position.

종래의 이중 관이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중 관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A conventional double tube is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 관은 내관(10), 외관(20),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형성된 보온재(30) 그리고 보온재(30)에 삽입되어, 내관(10)이 손상되어 보온재(30)로 흡수된 물과 접촉한 경우 쇼트가 발생함에 따라 외관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선(31)이 보온재(30)에 삽입된 형태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double pipe is formed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formed by foaming polyurethane between the inner pipe 10, the exterior 20, and the inner pipe 10 and the exterior 20. When the inner tube 10 is damaged and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absorb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a detection line 31 for detecting damage to the external appearance is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as a short occurs.

하지만, 종래의 이중 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선(31)이 보온재(30)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내관이 손상되어 내관의 물질이 누수(설)되는 경우 외관이 손상되어 외부의 물이 들어올 경우, 물이 보온재(30)에 흡수된 후, 감지선(310)과 접촉하기 때문에 그만큼 감지선(310)이 내관 또는 외관의 손상에 따른 누수(설) 또는 유입수를 탐지하는데 시간이 지연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ouble tube, as the sensing line 31 is inserted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as shown in FIG. 1, when the inner tube is damaged and the material of the inner tube is leaked (installed), the exterior is damaged and When water enters, since water is absorb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the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line 310, so that the sensing line 310 takes a long time to detect a leak or inflow due to damage to the inner tube or the exteri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elayed and cannot take action quickly.

또한, 이러한 감지선(31)을 이용한 방식은 누수 위치를 특정할 수 없어 별도의 위치 탐지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detection line 3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location of the leak and requires a separate position detection.

실시예는 희생전극을 이용하여 배관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누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a leak while preventing corrosion of a pipe by using a sacrificial electro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관 및 외관, 상기 내관 및 상기 외관 사이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배관에 구비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관의 재질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구비되는 희생전극; 상기 희생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및 상기 신호송출부와 상기 내관을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pipe provid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surface, comprising: an insulato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 sacrificial electrode disposed on the insulator and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a material of the inner tube; A signal transmit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crificial electrode and transmitting a leak signal; And an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inner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희생전극의 외측면에는 물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of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s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tube.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는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내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관은 철 원소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절연체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tube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n iron element, the insulat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송출부는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ifferent sign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a pipe is leaked by using the signal of the receiv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최초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상태를 유지하고, 이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관의 누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termination unit may maintain a warning state whe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generated, and may determine that the leakage of the pipe when the secondary signal is received.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위치나 구간에서 배관의 누수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detect the leakage of the pipe at a specific position or section.

또한,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여 보수나 수리를 위한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for repair or repair by specifying the exact location.

또한, 희생금속을 이용하여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배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leakage occurs using the sacrificial metal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rrosion of the pipe.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이중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은 도 2의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배관의 일 영역에서 누수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uble tube struct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leaked in one region of a pip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exampl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of another element, it is on (up) or down (on). or under) includes both two elements being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1 to 5 clearly show only the main features in order to conceptually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It doesn't have to b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은 도 2의 배관 누수 검출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ipe leak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pipe leak detecting apparatus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the pipe leak detecting apparatus of FIG.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내관(10) 및 외관(20), 내관(10) 및 외관(20) 사이에 보온재(30)가 구비되는 배관에 설치된다.2 to 4, the pipe leakage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insulating material 30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outer tube 20, the inner tube 10 and the outer tube 20. It is installed in the pipe provided.

내관(10)은 주로 집단난방이나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온수나 스팀 등을 통해 열원이 공급될 수 있다. 내관(10)은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철 원소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내관(10)은 탄소강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tube 10 may be supplied with a heat source mainly through hot water or steam produced in a group heating or cogeneration plant. Inner tube 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i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containing an iron element. In one embodiment, the inner tube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of carbon steel.

외관(20)은 내관(10)과 함께 이중관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외관(20)은 내관(10)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내관(10)보다 반지름이 큰 동심원으로서, 내관(10)으로 이송되는 온수나 스팀 등의 물질이 수송과정에서 열손실이 없도록 한다.The exterior 20 may be provided with a double tub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10. In one embodiment, the outer tube 20 has the same center as the inner tube 10 and has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tube 10, so that hot water or steam, which is transferred to the inner tube 10, loses heat during transportation. Do not.

보온재(30)는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형성되며, 열원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온재(30)는 폴리우레탄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원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재질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3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exterior 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at loss generat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heat source. In one embodiment, the insulating material 30 may be a polyurethane material, it may be modified to various materials to prevent the loss of the heat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절연체(110), 희생전극(120), 신호송출부(130), 전선(140), 수신부(160) 및 판단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sulator 110, a sacrificial electrode 120, a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a wire 140, a receiver 160 and the determination unit 170. can do.

절연체(110)는 내관(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희생전극(120)과 철원소를 포함하는 내관(10)과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체(110)는 희생전극(120)의 저면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되어 희생전극(120)이 내관(10)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절연체(110)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 차단을 위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sulator 11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 to preven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and the inner tube 10 including the iron element. The insulator 110 may be larger than the bottom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to prevent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from contacting the inner tube 10. In one embodiment, the insulator 110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aterials for electrical blocking.

또한, 절연체(110)는 자석(1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를 내관(10)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로, 자석(111)은 절연체(110) 하부에 부착되거나, 절연체(110)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or 110 may include a magnet 111. This is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the pipe leakage detection apparatus 100 to the inner tube (10). In one embodiment, the magnet 111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ulator 110 or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insulator 110.

희생전극(120)은 절연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관(10)의 재질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희생전극(120)은 전선(140)을 통해 내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실시예로, 내관(10)이 Fe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희생전극(120)은 Fe보다 금속의 이온화 경향이 높은 Al, Mn 또는 Zn이 사용될 수 있다.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is disposed above the insulator 110 and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the material of the inner tube 10.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tube 10 through the wire 140. In one embodiment, when the inner tube 10 is made of Fe material,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may be Al, Mn or Zn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of the metal than Fe.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배치되는 희생전극(120)은 내관(10) 또는 외관(20)이 파손되어 물이 유입되는 경우, 내관(10)의 재질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희생전극(120)은 물과 접촉하여 전자를 방출하게 된다.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outer tube 20 is a sacrificial electrode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the material of the inner tube 10 when water is introduced due to breakage of the inner tube 10 or the outer tube 20. 120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o emit electrons.

방출된 전자는 신호송출부(130)와 연결된 전선(140)을 통해 내관(10)으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전류가 생성되어 신호송출부(130)로 흐르게 된다. The emitted electrons move to the inner tube 10 through the wire 140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through which current is generated and flows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또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재질의 보온재(30)가 삽입되는데, 폴리우레탄은 물을 흡수하지 못하며, 물이 틈새를 타고 흐르게 된다. 이 경우, 물이 희생전극(120)과 반응할 시간이 없이 아래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희생전극(120)의 외측면에는 물흡수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exterior 20 is generally inserted into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30 made of polyurethane, polyurethane does not absorb the water, the water flows through the gap. In this case, water may flow down without time to react with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water absorbing memb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물흡수부재(150)는 스펀지와 같은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물흡수부재(150)는 희생전극(120)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관의 파손으로 물이 새는 경우 물을 흡수하여 미새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희생전극(120)이 물과 반응할 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The water absorbing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absorbing water such as a sponge. The water absorbing member 15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When the water leaks due to breakage of the pipe,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may react with the water even if water leaks. Can be given.

신호송출부(130)는 희생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신호송출부(130)는 희생전극(120)의 일측과 연결되며, 일 영역에서 전선(140)이 신호송출부(130)와 내관(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and may transmit a leak signal. The signal transmitter 1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and the wire 14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ignal transmitter 130 and the inner tube 10 in one region.

신호송출부(130)는 희생전극(120)에서 이온화된 전자의 이동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누수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지하에 매립되는 배관의 특성상 전기송출부는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전기송출부는 RFID가 사용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130 may transmit the leakage signal to the outside by us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ovement of electrons ionized by the sacrificial electrode 120. Due to the nature of the pipes buried underground, the electric transmitter may us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transmitter may use RFID.

신호송출부(130)는 복수로 마련되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물이 상부에서 새는 경우, 물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흐르게 된다. 이때, 신호송출부(130)는 내관(10)의 외주면에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신호송출부(130)는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에 설치되는 지점 및 동일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신호송출부(130)의 신호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배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 각각에 구비되는 신호송출부(130)는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신호송출부(130)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부(170)는 배관 누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tter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transmit a signal. If water leaks from the top, water flows down by gravity.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 to transmit a plurality of signal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tters 130 may transmit different signals. In this case, a signal installed at a pipe and a signal of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tters 130 installed at the same point may be set different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ip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provided in each of the pip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may have different signals. Can be sent. The determination unit 17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ipe leakage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30.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내관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복수의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연결부(200)로 연결되어 내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관 누수 검출 장치(100)는 일정간격으로 연결부(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200)는 내벽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pip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 The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100 may be disposed at the connection part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nection part 200 may facilitate assembly on the inner wall.

또한, 누수 검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내관(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내관(10)의 외측면 전체에 누수 검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관(10)과 외관(20) 사이 공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누수된 물을 중력에 의해 아래로 모이게 된다. 이 경우, 하방으로 흐르는 물은 내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수 검출 장치와 반응하게 되며, 이를 통해 누수 검출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른 누수 미감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tube (10). This will increase the cost of installing the leak detection device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1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leak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exterior 20, the leaked water is collected by gravity. In this case, the water flowing downward reacts with the leak dete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inner tube 10, and thus, the problem of non-leak det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may be solved.

수신부(160)는 지상에서 신호송출부(13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판단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부(160)는 복수의 신호송출부(13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er 16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30 on the ground and transmit it to the determiner 170. The receiver 160 may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s 130.

판단부(170)는 수신부(160)의 신호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e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pipe leaks using the signal of the receiver 160.

판단부(170)는 신호송출부(130)로부터 송출되는 최초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상태를 유지하고, 이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관의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70 may maintain a warning state whe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occurs, and may determine a leakage of the pipe when a secondary signal is received.

배관이 지하에 매립되는 경우, 배관 내부의 수분에 의해 신호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배관의 누수가 아닌 경우에도 발생 될 수 있으며,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경우 정상적인 배관을 수리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f the pipe is buried underground, a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water inside the pipe. Such a signal may be generated even when the pipe is not leaked, and when a wrong judgment is made, a problem of repairing a normal pipe occurs.

판단부(17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로 배치되는 신호송출부(130)로부터 서로 다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배관에 누수가 발생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termination unit 170 may determine that leakage occurs in the pipe when different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130 arranged in plural.

도 5는 배관의 일 영역에서 누수가 발생 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a leak occurs in one region of the pipe.

도 5를 참조하면, 배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물은 제3 신호송출부(130)를 지나가면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후, 물이 아래로 흐르게 되고, 내관(10)과 외관(20)에 사이 공간을 지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신호송출부(130)에서 또 다른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물이 차는 경우, 제2 신호송출부(130) 및 제3 신호송출부(130)에서 지속적인 신호가 발생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a leak occurs in the pipe, the water passes the third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and transmits a signal. Thereafter, water flows downward, and another signal is generated in the fourth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disposed below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0 and the outer tube 20. Then, when the water is filled, the continuous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130 and the third signal transmitter 130.

이와 같이 판단부(170)는 배관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물이 아래로 모이는 특성을 이용하며,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수 판단의 오류를 줄여 신뢰도를 증기회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the determination unit 170 may use the characteristic that water is collected downward when a leak occurs in the pipe,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leak is based on a plurality of signals. This can reduce the error of leak determination and reduce the steam recovery costs.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내관
20 : 외관
30 : 보온재
100 : 배관 누수 검출 장치
110 : 절연체
111 : 자석
120 : 희생전극
130 : 신호송출부
140 : 전선
150 : 물흡수부재
160 : 수신부
170 : 판단부
200 : 연결부
10: inner tube
20: appearance
30: insulation
100: pipe leak detection device
110: insulator
111: Magnet
120: sacrificial electrode
130: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wires
150: water absorbing member
160: receiver
170: judgment unit
200: connection

Claims (8)

내관 및 외관, 상기 내관 및 상기 외관 사이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배관에서 상기 내관과 상기 보온재 사이에 배치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관의 재질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으로 구비되는 희생전극;
상기 희생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및
상기 신호송출부와 상기 내관을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희생전극과 물의 접촉으로 상기 희생전극에서 생성되는 전류가 상기 신호송출부로 이동하여 누수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In a pipe leak detec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pipe provid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n insulator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 sacrificial electrode disposed on the insulator and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a material of the inner tube;
A signal transmit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crificial electrode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 leak signal; And
An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inner tube;
Including;
When leakage occurs in the pipe,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sacrificial electrode is mov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by the contact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and water to transmit the leak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전극의 외측면에는 물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Piping leak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absorp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electr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내관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t least one of th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ipe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는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내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철 원소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절연체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tube is provided with a material containing an iron element,
The insulator is a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누수 검출 장치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 누수 검출 장치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신호송출부는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eak detection device of the pip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pe,
The signal leaking unit provided in the pipe leak detection device, respectively, the pipe leak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ifferent signals.
제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신호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receiver which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tters; A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eakage of the pipe using the signal of the receiver;
Piping leak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최초 누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상태를 유지하고, 이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관의 누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누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first lea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occurs, the warning state is maintained, and when the secondary signal is received, the pipe leak de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leak the pipe.
KR1020180074727A 2018-06-28 2018-06-28 Leakage of piping detector KR102076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27A KR102076155B1 (en) 2018-06-28 2018-06-28 Leakage of piping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27A KR102076155B1 (en) 2018-06-28 2018-06-28 Leakage of piping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83A KR20200001783A (en) 2020-01-07
KR102076155B1 true KR102076155B1 (en) 2020-02-11

Family

ID=6915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27A KR102076155B1 (en) 2018-06-28 2018-06-28 Leakage of piping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15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7783A (en) * 1998-04-01 1999-10-19 Sekisui Chem Co Ltd Damage detection method of piping
KR20060125151A (en) * 2005-06-02 2006-12-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tecting water leakage of saddle ferrule
KR20090047274A (en)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Pipelin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water in the pipe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83A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3258B (en) Leak detector
US20100096021A1 (en) Method for Providing Leak Detection in Pre-Insulated Piping
KR101803453B1 (en)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KR101696675B1 (en)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US20180024024A1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US20240117916A1 (en) Monitoring of Lined Pipeline
KR20140113005A (en) Pre-insulation pipe having multi-signal water leakage sensing device
US20200338958A1 (en) Leakage Sensor, Heating Unit, Absorption Cooling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Absorption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6461133A (en) Sealing sleeve with leakage detection
KR101562625B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of specipic position of underground pipe and method thereof
KR100933063B1 (en) Leakage checking pipe
KR102076155B1 (en) Leakage of piping detector
WO2015118326A1 (en) Sensor system
KR101103311B1 (en) Sytem for damage sensing of insulated double pipe
KR101341898B1 (en) An oil leaking detect system for oil tank
KR20160116919A (en) sensing device of pipe frange for chemical substances leakeage
KR101179456B1 (en) System for monitering duplex pipe line
KR101895441B1 (en) Water leak sensing system of double watertight pipe
US20130248171A1 (en) Subsea multiple annulus sensor
JP2005077327A (en) Buried pipe monitoring system
WO2018185338A1 (en) Sensor system
KR101101579B1 (en) tape for self checking water leakag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52874B1 (en) Pipe for detecting water leakage attached housing of clamp
CN207621692U (en) A kind of Remote Pipe leakage monitoring device
KR20120001146A (en) Pipe for detecting water lea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