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91B1 -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91B1
KR102076091B1 KR1020170110430A KR20170110430A KR102076091B1 KR 102076091 B1 KR102076091 B1 KR 102076091B1 KR 1020170110430 A KR1020170110430 A KR 1020170110430A KR 20170110430 A KR20170110430 A KR 20170110430A KR 102076091 B1 KR102076091 B1 KR 10207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emory
positive rate
impai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961A (ko
Inventor
서상원
김시은
김선우
우숙영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11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euro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은,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POSITIVE RATE OF AMYLOID PET TEST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
본 발명은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Amyloid PET)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정보,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 언어적기억력 및 시각적기억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및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는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의 전조 단계로 생각되고 있다. aMCI 의 병리학적 타당성은 비록 이질성이 관찰된다고 하더라도 2년간의 추적조사에서 aMCI 의 치매 전환율이 60%보다 크다는 이전 연구 결과를 통해 뒷받침된다. 모든 aMCI 가 AD에서 기인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AD가 발병될 aMCI 환자의 생체 지표 또는 특성을 찾는 것이 환자와 가족이 치료 계획을 세우고 관리할 수 있도록 예측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지금까지, AD 생체 지표를 사용하여 aMCI 가 AD로 전환되는 것을 예측하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가장 보편적으로 연구된 AD 생체 지표에는 구조적 자기 공명 영상(MRI) 기반의 부피 측정, 아밀로이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신경 영상에 의해 결정되는 cerebrospinal fluid (CSF) Ab42, levels, CSF total (t-tau) and phosphorylated (p-tau) tau levels, fluorodeoxyglucose (FDG) PET, hippocampal atrophy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아밀로이드 PET은 점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기억력 검사에서의 사용은 수년에 걸쳐 극적으로 증가해왔다. MCI의 예후 예측에서 아밀로이드 PET의 가치는 많은 조사를 통해 연구되어 왔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aMCI 환자의 대다수 중 양성 아밀로이드 PET은 AD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지만 아밀로이드 음성 환자에 있어서 AD 치매로 진행하는 위험성은 상당히 낮다. 또한, 아밀로이드 양성인 환자는 일찍 AD에 걸리기 쉽고 아밀로이드 PET 이미지의 사용은 어떤 환자가 특정 질환의 치료로 혜택을 받을지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모든 PET 기술과 같이 아밀로이드 PET의 의료 실무 상 임상적 유용성은 제한적이다. 경제적 요인(비용), 사회적 요인(가용성), 환자 또는 간병인의 태도(예컨대, 안전, 환자 및 간병인 부담 및 방사선 노출)와 같은 비의학적 요인들이 임상적 반복에 있어서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와 효과적인 비용 활용을 고려할 때 임상의(clinician)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생체 지표의 존재 위험이 높은 자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개발되어 임상시험에 들어가나 대부분은 실패하고 있다. 대상자가 해당 연구에 적합한지 여러 검사를 수행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을 스크리닝이라고 하는데, 스크리닝 실패율이 높기 때문이다. 즉,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에서 아밀로이드 양성률이 실제로 45~60% 밖에 되지 않아, 스크리닝 과정에서 등록되지 못한 탈락자 수가 많은 것이 임상시험 실패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아밀로이드 양성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선별하는 것이 임상시험 등록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의 양성률을 예측하는 것이 임상시험에서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619호 (2016.6.23 등록)
예측 모델로서 노모그램은 유용한 도구이다. 노모그램은 숫자 관계 또는 그래픽 계산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이것은 임상의와 환자가 질병의 구체화된 특성에 기반하여 위험을 평가하고 치료의 결과를 예측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시각화되어 있고 이해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복잡하고 바쁜 임상 환경속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노모그램은 종양학이나 심장학에서는 10년이상 사용되어 왔지만 치매 분야에서의 개발과 활용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임상적 그리고 신경심리적 측정 기준이 아밀로이드 PET 양성의 예측가능한 기준이 될 것인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2차적인 목표로 아밀로이드 PET 양성을 예측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유용한 노모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은,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값에 따라 미리 각각 상이하게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될 수 있다.
제 2 정보는 환자가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보유하고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 3 정보는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미리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될 수 있다.
제 4 정보는 환자가 재인 기억력 장애가 없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장애가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에서는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의 값을 합산하고, 소정의 합산 결과값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양성률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추정할 수 있다.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의 예측에는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 상호간의 변수 관계에 따른 각각의 지표값을 나타내기 위한 노모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는,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CDR-SOB 정보획득부,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유전자형 정보획득부,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및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기 위한 양성률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신경심리학적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손쉽게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에서는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정보,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 언어적기억력 및 시각적기억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및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간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노모그램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모그램은 CDR-SOB, 언어적/시각적 기억력, 인식 기억력 및 APOE ε4 를 포함하는 4가지 예측 요소들을 이용하여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고, 이러한 계산 결과는 환자를 상담하는 임상의에게 도움이 될 수 있고 aMCI 환자들 각각을 관리할 수 있는 더 많은 계획 수립 및 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제 1 정보인 (a)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값에 따라 미리 각각 상이하게 할당된 점수, 환자가 (b)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제 2 정보 값, (c) 제 3 정보인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미리 할당된 점수, (d) 환자의 재인 기억력 장애 여부에 따른 제 4 정보 값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기준값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에 사용될 예시적인 노모그램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방법의 환자 식별 능력에 관한 검증 결과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제 1 정보인 (a)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값에 따라 미리 각각 상이하게 할당된 점수, 환자가 (b)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제 2 정보 값을 내고, (c) 제 3 정보인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미리 할당된 점수, (d) 환자의 재인 기억력 장애 여부에 따른 제 4 정보 값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기준값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에 사용될 예시적인 노모그램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방법의 환자 식별 능력에 관한 검증 결과를 나타낸다.
치매의 초기 단계와 MCI 간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 짓기가 쉽지 않으므로 임상적으로는 인지 기능의 저하 수준보다 오히려 인지 기능 저하로 인 한 일상 생활에서의 기능 장애 유무가 MCI와 초기 치매를 판별하는 주요 요인으로 활용한다. 근래들어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의 박스 총점(Sum of Boxes: SOB)(CDR-SOB)을 사용하여 MCI와 경도의 치매를 판별해볼 수 있다는 연구가 제시되었다. CDR은 인지 수준과 일상 생활 기능 정도를 함께 평가하여 전반적인 치매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 척도로서 환자 및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서 기억력(Memory), 지향성(Orientation), 판단력과 문제해결 능력(Judgment and problem solving), 사회적 활동(Community affairs), 일상생활 및 취미생활(Home and hobbies), 개인보건(Personal care)의 6가지 영역에 대하여 7점 척도로 평가한다. CDR 점수는 기억력 점수를 기준으로 결정(예컨대, CDR 점수(CDR-Global Score: CDR-GS))되거나 6가지 영역 각각의 점수를 모두 더한 총점으로 산출(예컨대, CDR 박스총점(CDR-Sum Of Boxes: CDR-SOB))될 수 있다. CDR-GS는 0부터 5까지 7단계로 평가되며 MCI는 대부분 0.5 (치매가 의심스러운 정도)로 분류된다. CDR-GS가 0.5라면 CDR-SOB는 0.5 내지 4.0의 범위에 속하는 점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0.5, 1, 1.5, 2, 2.5, 3, 3.5, 4점의 범위에 속하는 점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CDR-SOB만을 이용한 치매 여부의 판단은 환자 및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수행한다는 점에서 실제 환자들의 인지능력 차이 등을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MCI의 표준 진단 기준은 임상적 및 신경심리학적 기준에 기반한다. MCI는 정상적인 노화로 인한 인지 변화와 치매의 초기 특징 사이의 전이단계이며, AD의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PET 검사를 이용한 아밀로이드 부하에 대한 정보는 아밀로이드 (+) PET가 MCI 환자에 있어서 AD로의 전환 위험이 더 높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예후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밀로이드 치료법의 개발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PET 검사는 AD 위험에 처한 환자의 선별을 향상시키고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정맥주사의 주입이 필요하며 알려진 위험레벨보다 훨씬 적은 레벨임에도 불구하고 방사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료 행위로써 이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임상의들은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아밀로이드 생체지표를 가지고 있는 고위험군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는 알츠하이머 병의 병리적 소견인 아밀로이드가 뇌 피질에 축적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PET CT 검사이다. 치매 전단계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환자에서는 아밀로이드 페트 양성일 경우 향후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검사 비용이 비교적 고가로 검사를 진행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의 양성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신경심리검사(SNSB) 검사 결과와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 유전자인 아포지질단백 E4 결과를 바탕으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의 양성률을 예측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은,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S100),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S200),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S300),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S400) 및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값에 따라 미리 각각 상이하게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서와 같이 CDR-SOB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할당된 점수는 CDR-SOB 정보획득부(1100)를 통하여 제 1 정보로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는 환자가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보유하고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와 같이, 환자가 Apo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0점인 값이 제 2 정보로서 유전자형 정보획득부(120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정보는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미리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될 수 있다. 도 2의 (c)에서와 같이, 언어적기억력 장애만이 있다면 제 3 정보로써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1300)에 의하여 17점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시각적기억력 장애만이 있다면 제 3 정보로써 0점이 획득될 수 있고,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가 모두 있다면 제 3 정보로써 59점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억력 장애여부는 신경심리검사(예컨대, 서울신경심리검사) 등을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제 4 정보는 환자가 재인 기억력 장애가 없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장애가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d)에서와 같이 환자가 재인 기억력 장애가 있다면 35점이 제 4 정보로써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1400)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인기억력 장애여부는 신경심리검사(예컨대, 서울신경심리검사) 등을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S500)에서는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의 값을 합산하고, 소정의 합산 결과값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양성률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이 1이라면 제 1 정보로써 17점이 획득되고, 이러한 환자가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다면 제 2 정보로써 79점에 획득되며, 언어적기억력에만 장애가 있다면 제 3 정보로써 17점이 획득되고, 재인기억력에 장애가 있다면 제 4 정보로써 35점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가 획득되면, 양성률 추정부(1500)에서는 도 4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기준값에 기초하여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의 값을 모두 합산하면 148점이 산출될 수 있는데, 도 4의 표를 참조하면 기준값 145는 양성률이 60%로 추정되므로, 합산 148점의 값을 갖는 환자는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이 60% 이상일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의 예측에는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 상호간의 변수 관계에 따른 각각의 지표값을 나타내기 위한 노모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와 같은 노모그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임상의 등 사용자는 도 4와 같은 노모그램을 사용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빠르고 직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1000)는,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CDR-SOB 정보획득부(1100),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유전자형 정보획득부(1200),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1300),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1400) 및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기 위한 양성률 추정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 및 도면에 기재된 수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피츠버그 화합물 B 및 18F-florbetaben PET을 마친 246명의 aMCI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환자들은 아밀로이드 (-) aMCI (N=119) 및 아밀로이드 (+) aMCI(N=127)로 분류되었다. 수집된 환자 정보에 대하여 인구통계학적, 임상적 특성 및 신경심리적검사 결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MCI 환자를 위한 베타 아밀로이드 PET 양성 예측을 위한 도 5와 같은 노모그램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246명의 aMCI 환자 중 아밀로이드 (+) 환자는 127명(51.6%)였다. 단계적 회귀 모델에서, 아밀로이드 PET 양성이 CDR-SOB (OR 1.42, 95% CI 1.05-1.92, p=0.023), 인식 문제 (OR 2.06, 95% CI 1.05-4.04, p=0.036) 및 기억력의 감퇴양상 (예컨대, 시각 기억 및 언어 기억, OR 3.41, 95% CI 1.30-8.95, p=0.009)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APOE4 대립 유전자 (OR 5.23, 95% CI 2.88-9.49, p=<.0001)의 존재는 아밀로이드 PET 양성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타당한 식별값(c-statistics≥0.75)을 보여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 인자를 사용하여 도 4의 노모그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통하여 신경심리검사와 APOE4 대립 유전자의 존재가 아밀로이드 PET 양성을 예측하고, 아밀로이드 PET 검사없이 노모그램을 사용하는 aMCI 환자에게 최적의 임상 치료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검증참여자군
2009년 2월부터 7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에서 aMCI 기준을 만족하는 246명의 환자를 평가하였고, 그 중 38명의 환자에게는 [11C]PiB PET, 208명의 환자에게는 [18F]florbetaben (FBB) PET 검사를 실시하였다. MCI의 기준은 종래의 가이드라인(예컨대, Petersen et al에 의해 제안된 가이드라인)에 기반하였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도로 하였다: (1) 환자 또는 정보 제공자에 의한 주관적 기억 불편, (2) 다른 인지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활동, (3) 일상 생활에서의 정상적인 활동 (ADL), (4) 언어적 또는 시각적 기억력 검사에 있어서 -1.0 SD 이하로의 객관적인 기억력 감소 및 (5) 치매가 아니어야 함
모든 환자는 신경학적 검사, 신경인지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았다. 혈액 검사에는 온혈구계산, 혈액 화학검사, 비타민 B12/엽산, 매독혈청검사 및 갑상선 기능 검사가 포함되었다.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우울 장애, 간질, 뇌종양, 뇌염 및 심한 두부 외상과 같은 현재 또는 과거의 신경 또는 정신병 환자는 제외되었다. MIR 상에서 종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수종과 같은 구조적 손상이 있는 환자도 제외되었다. 모든 참가자와 보호자에게 적절한 시기에 동의서를 제공하였고, 이러한 연구(과정)는 삼성 연구소의 심사위원회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
신경심리검사 시행 및 평가
서울신경심리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라 불리는 표준화된 신경검사가 시행되었고, 이는 주의력, 언어, Gerstmann 증후군의 4가지 요소, 시각구조적 기능, 언어적/시각적 기억력 및 전두엽/집행기능의 측정이 포함되었다. SNSB와 아밀로이드 PET 사이의 기간은 3개월이었다(95% Cl 3-4 개월). 그중에서도, 점수화할 수 있는 검사는 다음과 같다: 한국형 Boston Naming Test (K-BN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복사, 즉각회상 또는 20분 지연회상 및 인지),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즉각회상, 20분 지연회상 및 인지), phonemic and semantic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및 Stroop Test (단어 및 색상 읽기). 언어적/비언어적 학습 및 기억을 평가하기 위해 SVLT와 RCFT가 수행되었다. K-BNT와 RCFT 복사는 각각 언어와 시공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음성학적/의미론적 COWAT 및 Stroop Test는 전두엽/집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점수는 연령 및 교육 조정 기준의 -1.0 SD (16번째 백분위 수)보다 낮을 때 비정상으로 간주되었다. 모든 TEST는 임상 치매율(CDR) 척도에 따라 전개되었다. 현재 연구에서 MCI 피험자는 각각 CDR 0.5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CDR-SOB가 측정되었고, 모든 검사는 경험이 풍부하고 공인된 임상 신경 심리학자의 감독에 의해 진행되었다.
aMCI 환자 분류
기준 기억력 검사 결과에 따라 aMCI 환자들을 분류했다. SVLT 또는 RCFT에서 지연회상 점수가 연령, 성별, 교육 일치 기준에 비해 -1.0 SD 미만인 경우 기억력 기능이 비정상으로 간주되었다. 다른 인지 기능은 언어, 시공간 및 전두엽 집행기능으로 분류되었으며 해당 신경심리검사에서의 점수가 이전 연구(Seo SW, Im K, Lee JM, et al. Cortical thickness in single- versus multiple-doma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Image 2007;36:289-297)에서 설명된 16번째 백분위 수의 기준으로써 -1 이하인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를 통해 aMCI 환자들을 분류하였다. (1) 다중도 (단일 및 다중영역): 손상이 일치 진단에서의 기억력 영역만을 포함한다면 단일 영역, 손상이 기억력 영역에 더해 언어, 주의력, 실행 기능 및 시공간 처리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 있는 경우 다중 영역. (2) 단계 (초기 및 말기-단계): 연령, 성별 및 교육 일치 기준의 -1.5에서 -1.0 SD 사이에서의 수행은 초기-단계의 aMCI로 진단되며, -1.5 SD 미만의 상기 수행은 말기-단계 aMCI로 분류되었다. (3) 양상 (시각적, 언어적 및 시각/언어적): 시각기억기능장애만을 가진 시각적-aMCI, 언어기억기능장애만을 가진 언어적-aMCI 및 시각/언어기억기능장애를 모두 가진 시각/언어적-aMCI. (4) 인지 실패: RCFT에서의 시각적 인지점수 또는 SVLT에서의 언어적 인지점수가 연령 및 교육 일치 기준의 -1.0 SD보다 낮은 경우의 인지 실패.
아밀로이드-PET 결과 획득
Discovery STe PET/CT 스캐너 (GE Medical Systems, Milwaukee, WI, USA)를 이용하여 삼성서울병원에서 38명의 환자에게 11C-PiB-PET을 사용하고, 208명의 환자에게는 18F-florbetaben(FBB) PET을 사용하였다. Discovery STe PET/CT 스캐너를 통해 뇌 전체에 걸쳐 3.3mm 두께의 47개의 조각을 3D 스캐닝 모드로 검사하였다. CT 이미지는 감쇠 보정을 위해 16-slice helical CT (140 KeV, 80 mA; 3.75mm section width)를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11C-PiB-PET의 경우, 11C-PiB 주입 60분 후 30분 방출 정적 PET 스캔을 수행하였다. FBB-PET의 경우, 18F-florbetaben의 주입 90분 후 동적 모드 (4x5분 프레임으로 구성)로 20분 방출 PET 스캔을 수행하였다. 3차원 PET 영상은 OSEM (ordered-subsets expectation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x2x3.27mm voxel 크기의 128x128x48 matrix로 재구성되었다 (11C-PiB PET, iteration = 2 and subset = 20; 18F-florbetaben, iteration = 4 and subset = 20). 모든 PET 영상은 핵의학 전공자에 의해 검토되고, 양적 역치 또는 시각적 판독을 사용하여 아밀로이드 양성 또는 음성으로 이분화하였다. FBB 보유율의 전체적인 PiB가 정상대조군의 평균치보다 1.5 이상 크면, 환자는 PiB 또는 FBB 양성으로 간주되었다.
통계적 검증
기본적인 결과를 아밀로이드 PET 양성으로 구체화하였고, 연령, 성별, 교육년수, aMCI의 4가지 신경심리학적 분류(다중도, 양상, 단계, 인식 실패) 또는 잠재적 예측인자로서 APOE4와 같은 변수를 포함시켰다. 양성 아밀로이드 PET과 음성 아밀로이드 PET 사이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적인 t-test 및 χ2 검사가 이용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TATA 버전 13.0, SAS 버전 9.4(SAS Institute, Cary, NC) 및 R 3.3.2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를 이용하여 실행되었다. 노모그램은 rms 패키지에 포함된 R 3.2.2 (http://www.r-project.org)에 의한 다중변수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공식화되어 검증되었다.
예측 방법의 검증 및 유효성 평가
잠재적 예측인자와 결과의 연관성을 단일변수 로지스틱 회귀 모델로 테스트하였다. 다중변수 로지스틱 회귀 모델은 단일 변수 모델에서 유의미한 변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단계적 방법은 변수 선택을 위해 사용되었다. 변수는 모델에 입력되기 전에 0.25 레벨에서 중요하며, 모델에서의 변수는 남아있기 위해서 0.15 레벨에서 중요하다. 다중공선성은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사용하여 검사되었다. Bonferroni's method로 다중 비교가 수행되었다. 노모그램은 최종적으로 회귀 모델로부터 베타 계수를 사용한 각각의 변수에 포인트값을 할당하여 구성되었다. 총 합산값은 양성 아밀로이드 스캔의 예측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트레이닝 및 검증 세트에서 예측 모델의 식별 및 교정 기능을 평가하였다. Bootstrap 방법과 반복적 10배 교차-타당성 확인을 사용하여 내부 타당성 검사를 수행했으며, 반복적 10배 교차-타당성 확인에서 본 모델은 훈련 데이터 세트를 임의적으로 10개의 하위집합으로 나누어 9/10로 구성한 다음, 나머지 10번째를 통해 테스트를 하였다. ROC 곡성을 구성하고 노모그램의 예측 성능을 ROC 곡선하에서 AUC인 일치 지수(C-index)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예측된 확률 및 실제 치매 전환 사이의 일치 레벨을 정량화하였다. 노모그램의 교정기능은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교정 차트에 의해 평가되었다.
246명의 aMCI 환자 중 127명(51.6%)의 환자에서 아밀로이드 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아밀로이드 (+) aMCI 127명(51.6%) 및 아밀로이드 (-) aMCI 119명(48.4%)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기준선에서, 아밀로이드 (+) 및 아밀로이드 (-) aMCI 환자들은 연령, 성별 분포, 교육에 관하여 유의미한 인구통계학 및 임상적 그룹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아밀로이드 양성 및 아밀로이드 음성 aMCI 환자간에는 몇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아밀로이드 양성 aMCI 환자는 APOE ε4 운반체의 비율이 더 높았다(표1). 그리고 그들은 기준선에서 CDR-SOB 상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MMSE 상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단변량 형태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 때, '양상'(P<.0001), '단계'(P<.0001), '인식 실패'(P<.0001)는 이러한 그룹들 사이에서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변수들이다. 하지만, '다중도'(p=0.461)에서는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없었다(표 1 참조).
Figure 112017084301222-pat00001
로지스틱 회귀 모델은 잠재적 예측인자와 결과의 연관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또한, 단계적 선택 방법이 동시에 수행되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아밀로이드 양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측정법을 나타낸다: (1) CDR-SOB (임상치매척도 합산결과) (OR 1.42, 95% CI 1.05-1.92, p=0.023), (2) APOE4(아폴리포단백질E4) 유전자 (OR 2.06, 95% CI 1.05-4.04, p=0.036), (3) 시각언어적 양상 (OR 3.41, 95% CI 1.30-8.95, p=0.009), 시각/언어적-aMCI는 언어적-aMCI 및 시각적-aMCI 각각에 비해 치매 위험이 상당히 높음, (4) 인식 실패 (OR 5.23, 95% CI 2.88-9.49, p=<.0001)는 aMCI 환자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양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독립변수임(표 2 참조).
Figure 112017084301222-pat00002
이러한 회귀 분석으로부터 베타 계수에 기초한 각각의 변수에 특정한 포인트값을 매치하여 나타낸 노모그램이 도 4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포인트 값을 합한 총 포인트값은 양성 아밀로이드 PET 검사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방법의 환자 식별 능력에 관한 검증 결과를 나타낸다. 편향보정된 교정값은 1000개의 bootstrap 리샘플들을 기초로하여 내부검증으로부터 생성되었다. 편향보정된 교정 도표는 이상적인 라인으로부터 이탈이 거의 없음을 보여주었다(5%의 평균 절대 오차, 0.263%의 평균 제곱 오차의 차이). 따라서, 본 모델은 편향보정된 교정 도표가 45도를 이루는 직선에 가깝기 때문에 잘 교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검증 과정 등에서와 같이 CDR-SOB, 환자의 양상(언어적 및 시각적 기억력의 손상), 인식 실패 및 APOE4 유전자와 같은 신경심리학적 분석요소들이 아밀로이드 PET 양성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모그램을 이용한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에 의하면 임상적 특징과 신경심리학적 분석요소들을 바탕으로 양성 아밀로이드 검사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
1100: CDR-SOB 정보획득부
1200: 유전자형 정보획득부
1300: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1400: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1500: 양성률 추정부

Claims (9)

  1.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으로서,
    CDR-SOB 정보획득부가 상기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유전자형 정보획득부가 상기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가 상기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가 상기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양성률 추정부가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성률 추정부가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의 값을 합산하고, 소정의 합산 결과값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양성률 예측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 값에 따라 미리 각각 상이하게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환자가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보유하고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미리 할당된 점수로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환자가 재인 기억력 장애가 없다면 0점인 값으로 획득되고, 장애가 있다면 0점 이외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으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의 예측에는 상기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 상호간의 변수 관계에 따른 각각의 지표값을 나타내기 위한 노모그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8.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로서,
    상기 환자에 대한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CDR-SOB)을 제 1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CDR-SOB 정보획득부;
    상기 환자의 아포단백4(Apolipoprotein E4) 유전자형 보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2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유전자형 정보획득부;
    상기 환자의 언어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시각적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언어와 시각적 기억력 모두에 대한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3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언어/시각적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상기 환자의 재인(recognition) 기억력 장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4 정보로서 획득하기 위한 재인기억력 장애여부 정보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기 위한 양성률 추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성률 추정부는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 내지 제 4 정보의 값을 합산하고, 소정의 합산 결과값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양성률 예측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10430A 2017-08-30 2017-08-30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07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30A KR102076091B1 (ko) 2017-08-30 2017-08-30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30A KR102076091B1 (ko) 2017-08-30 2017-08-30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961A KR20190023961A (ko) 2019-03-08
KR102076091B1 true KR102076091B1 (ko) 2020-02-11

Family

ID=658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430A KR102076091B1 (ko) 2017-08-30 2017-08-30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6539A (ko) 2022-05-06 2023-11-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밀로이드-펫 예측 알고리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15B1 (ko) 2020-05-11 2022-07-2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인지기능 정상군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아밀로이드 양성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50497A (ko) * 2022-04-22 2023-10-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유럽-동아시아인 데이터 기반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발병 위험군 또는 조기 증상 발현 위험군,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의 발병 위험군 및/또는 아밀로이드β 침착에 대한 PET 양성 위험군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4682A1 (en) 2015-04-02 2016-10-06 Crc For Mental Health Ltd Method for predicting risk of cognitive deterio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194B1 (ko) * 2014-07-08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지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634619B1 (ko) 2016-03-14 2016-06-29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치매 인지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4682A1 (en) 2015-04-02 2016-10-06 Crc For Mental Health Ltd Method for predicting risk of cognitive deterio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승연 외 5명, ‘알츠하이머 치매 및 경도인지기능장애 환자에서 나이, 성별, 유전자형을 고려한 뇌 회백질 부피와 표준신경심리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 JKSMRM 17(4) : pp.294-307, 2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6539A (ko) 2022-05-06 2023-11-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밀로이드-펫 예측 알고리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96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ck et al. Associations of amyloid, tau, and neurodegeneration biomarker profiles with rates of memory decline among individuals without dementia
Ossenkoppele et al. Accuracy of tau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s a prognostic marker in preclinical and prodromal Alzheimer disease: a head-to-head comparison against amyloi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leisher et al.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maging with [18F] flortaucipir and postmortem assessment of Alzheimer disease neuropathologic changes
Habes et al. The Brain Chart of Aging: machine‐learning analytics reveals links between brain aging, white matter disease, amyloid burden, and cognition in the iSTAGING consortium of 10,216 harmonized MR scans
Nestor et al. Clinical utility of FDG-PE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among the main forms of dementia
Pagani et al. Early identification of MCI converting to AD: a FDG PET study
Leuzy et al. Biomarker-based prediction of longitudinal tau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Alzheimer disease
Yoshita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123I-meta-iodobenzylguanidine myocardial scintigraphy in dementia with Lewy bodies: a multicenter study
Josephs et al. [18F] AV‐1451 tau‐PET and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etersen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 due to Alzheimer disease in the community
Arbizu et al. Automated analysis of FDG PET as a tool for single-subject probabilistic prediction and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dementia
Du et al. Different regional patterns of cortical thinning in Alzheimer's disease and frontotemporal dementia
Alves et al. Progression of motor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Parkinson disease: a population-based study
Jack et al. Evidence for ordering of Alzheimer disease biomarkers
Becker et al. Amyloid‐β associated cortical thinning in clinically normal elderly
King et al. Effect of leukocyte telomere length on total and regional brain volumes in a large population-based cohort
Whitwell et al. The role of age on tau PET uptake and gray matter atrophy in atypical Alzheimer's disease
Schumacher et al. Cholinergic white matter pathways in dementia with Lewy bodies and Alzheimer’s disease
Holbrook et al. Anterolateral entorhinal cortex thickness as a new bio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Bruun et al. Impact of a clinical decision support tool on prediction of progression in early-stage dementia: a prospective validation study
KR102076091B1 (ko)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
Kim et al. Deep learning-based amyloid PET positivity classification model in the Alzheimer’s disease continuum by using 2-[18F] FDG PET
Huynh et al. Clinical and biological correlates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patients with behavioral-variant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zheimer disease
Zandifar et al. MRI and cognitive scores complement each other to accurately predict Alzheimer's dementia 2 to 7 years before clinical onset
Altomare et al. Prognostic value of Alzheimer’s biomarker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effect of age at on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