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917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917B1
KR102075917B1 KR1020130023949A KR20130023949A KR102075917B1 KR 102075917 B1 KR102075917 B1 KR 102075917B1 KR 1020130023949 A KR1020130023949 A KR 1020130023949A KR 20130023949 A KR20130023949 A KR 20130023949A KR 102075917 B1 KR102075917 B1 KR 10207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part
filter
visible
transparent state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2500A (en
Inventor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18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33642A1/en
Publication of KR2013010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5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송풍부와 필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관통 형성된 개구가 구비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필터부의 먼지포집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시부; 공기청정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능버튼과,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가시부 작동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 및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부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은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The air purifier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 blowing unit and a filter unit; A visible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through, the visible part being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or an opaque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so as to check whether dust is collected in the filter part;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ted by a user for an air cleaning operation and a visible part operating button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visible unit to be transparent or opaque when a signal is input, wherein the visible unit operation button has a function of turning on / off an operation of the visible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by the function button. When the visible par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he visible part may be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may be turned off.

Figure R1020130023949
Figure R1020130023949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Air Purifi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먼지포집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that can directly check the dust collection state of the filter.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 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cleaning contaminated air into clean air by sucking contaminated indoor air to filter dust, odor particles, etc. contained in the air with a filter.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that is, the room.

즉,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여 주위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That is,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provided to purify the ambient air by inhaling and purifying the contaminated ambient air and then discharging the clean air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공기 정청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jecting ambient ai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and a filter for filtering dust, odor particles, etc.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그러나, 종래 공기 청정기의 경우 청정기의 필터를 통하여 먼지가 포집되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사용자들은 청정기에 의한 공기 정화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whether dust is collected through the filter of the purifier, so that users have a problem about air purification by the purifier.

이러한 먼지 포집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직접 청정기의 커버를 열어 필터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dust is collected, the user needs to directly check the filter by opening the cover of the cleaner,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도 센서를 이용한 오염도 표시창을 장착하여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보여주고, 청정기가 이러한 먼지에 대하여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간접적이므로, 직접적으로 먼지가 정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ollution degree display window using a pollution degree sensor is installed to show the ambient air pollution level, and the purifier reacts to such dust.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indirect, the dust is directly purified.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show what is the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평상시에는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불투명상태로 유지되다가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의 먼지포집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inside is not normally opened, and provides an air cleaner that can visually check the dust collection process of the filter unit with a simple operation. It's ther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청정기의 여과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어 청정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that can ensure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cleaner is visually confirm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cleaner produ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송풍부와 필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관통 형성된 개구가 구비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필터부의 먼지포집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시부; 공기청정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능버튼과,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가시부 작동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 및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부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은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and the filter is provided with a housing; A visible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through, the visible part being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or an opaque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so as to check whether dust is collected in the filter part;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ted by a user for an air cleaning operation and a visible part operating button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visible portion to be transparent or opaque when a signal is input.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has a function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unction button is operated, and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o provide an air purifier.

바람직하게, 상기 가시부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불투명 상태 또는 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액정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isible por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to seal the opening, and a liquid crystal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provided to be converted into an opaque state or a transparent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hav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버튼이 연속적으로 조작되는 경우 마지막 기능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가시부를 소정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function button is continuously operated,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visible part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last function button is op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기 설정된 필터의 교체시기에 필터의 교체여부를 표시하는 필터교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filter is replaced at a predetermined filter replacement tim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교체 표시부로부터 필터의 교체시기가 표시되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switch the visible portion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filter replacement time is displayed from the filter replacement display.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필터부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수치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수치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llution degree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ilter uni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sensor, and the measurement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n this case, the visible part may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가 가동된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송풍부가 가동된 소정 시간에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time when the blower is operated, and may switch the visible part to a transparent state at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blower is opera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switch the visible portion to a transparent stat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상기 가시부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불투명상태로 유지되다가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의 먼지포집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le part may be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inside is not normally opened, and thus,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f the filter part may be visually confirmed by a simple opera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에 따라 청정기의 여과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어 청정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cleaner can be visually confirmed to obtain an effect of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cleaner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불투명상태 또는 투명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평상시에 내부투시로 인해 제품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n opaque state or a transparent state by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egraded due to the internal perspective in normal tim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illustrate an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송풍부(115)와 필터부(113)를 포함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ir cleaner 100 includes a housing 110 including a blower 115 and a filter 113.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6)가 형성된 전면커버(111)가 설치되고, 송풍부(115)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구(116)와 상기 토출구(117)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ront cover 111 having a suction port 116 for sucking indoor air is install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discharge port 117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115 to discharge purified air. Can be. However, the suction port 116 and the discharge port 117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air may be sucked and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들로 구비되는 필터부(113)와, 회전력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팬(118)이 설치되는 송풍부(115)가 포함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113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a blowing unit 115 provided with a blowing fan 118 that sucks indoor air by the rotational force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back to the room. ) May be included.

상기 필터부(113)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흡입된 실내공기는 필터부(1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필터부(113)는 프리 필터(113a), 미디엄 필터(113b), 활성탄 필터(113c), 및 헤파 필터(113d)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13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and the sucked indoor air may b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13. The filter unit 113 may include a pre-filter 113a, a medium filter 113b, an activated carbon filter 113c, and a hepa filter 113d.

프리 필터(113a)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먼지, 곰팡이, 머리카락, 애완 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미디엄 필터(113b)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 크기의 먼지,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113a)와 미디엄 필터(113b)는 상기한 필터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필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리 필터(113a)와 미디엄 필터(113b) 중 적어도 하나는 황사 필터, 유아 전용 필터, 새집 전용 필터, 헌집 전용 필터 등 기능성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The prefilter 113a may be configured using an antibacterial material, and may remove relatively large dust, mold, hair, and pet hair. The medium filter 113b may be configured using an antibacterial material, and may remove medium dust, pet hai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efilter 113a and the medium filter 113b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lter and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various filters. At least one of the pre-filter 113a and the medium filter 113b may be configured as a functional filter such as a yellow dust filter, an infant-only filter, a birdhouse-only filter, and a collector-only filter.

활성탄 필터(113c)는 석탄이나 야자각의 탈취 필터로 담배 연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 기타 악취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Activated charcoal filter 113c is a coal or coconut shell deodorizing filter that may function to adsorb and remove tobacco smok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other odorous substances.

헤파 필터(113d)는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해로운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 물질과 미립자 0.3 마이크론 크기의 오염 먼지를 99%까지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e HEPA filter 113d may cleanly remove up to 99%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harmful house dust, mites, viruses, and molds and contaminant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0.3 micron in the indoor air flowing therei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과, 가시부(130)와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to include the housing 110, the visible portion 130 and the controller 150 Can be.

상기 가시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관통 형성된 개구(131)가 구비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필터부(113)의 먼지포집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visible part 13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has an opening 131 formed therethrough. The visible part 130 is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or an opaque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thereby causing dust of the filter part 113. It may be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collection.

즉, 상기 가시부(130)는 평상시에는 불투명상태로 유지되어 청정기(100)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투명상태로 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113)에서 먼지가 포집되는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the visible part 130 is normally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interior of the purifier 100 cannot be seen, and when the transparent state is caused by the electrical signal, the user may see dust in the filter part 113. The captured state can be direct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이때,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필터부(113)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131)는 도 1에 도시된 형상과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113)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31 formed therethrough so as to check the filter portion 113. The opening 13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position shown in FIG. 1,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f the filter unit 113 may be directly confirmed through the housing 110.

상기 개구(131)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커버(1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6)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기가 여과되는 과정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pening 131 may be formed at the front cover 111 of the housing 110, an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let 116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so that the air is filtered. It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부(130)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visible unit 130 to be transparent or opaque when a signal is input.

즉, 상기 가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신호를 받으면, 불투명상태로 유지하다가 투명상태로 전환되거나, 투명상태로 변환되었을때 불투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isible unit 1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50, the visible unit 130 may be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and then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or may be converted into an opaque state when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가시부(130)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불투명상태로 유지되다가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113)의 먼지포집과정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so that the inside is not normally opened by the visible part 130, and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f the filter part 113 is performed by a simple operation.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이에 따라, 청정기의 여과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어 청정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purifier is visually confirmed to obtain an effect of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purifier product.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불투명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어, 내부투시로 인해 제품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n opaque state by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lowered due to the internal perspective.

한편, 구체적으로 상기 가시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구(131)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투명창(133)과, 상기 투명창(133)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불투명 상태 또는 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액정필름(135)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pecifically, the visible portion 13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transparent window 133 is installed to seal the opening 131, one of the transparent window 133 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attached to a side surface and provided to be converted into an opaque state or a transparent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상기 투명창(133)은 상기 개구(13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고정부재(112)를 통하여 상기 개구(13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창(133)의 결합구조나 재질에는 한정이 없으며 상기 개구(131)를 통하여 필터부(113)를 투시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133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opening 131, and may be fixed to the opening 131 through the fixing member 112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or material of the transparent window 133 is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if it can see through the filter unit 113 through the opening 131, for exampl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Can be formed.

상기 액정필름(135)은 상기 투명창(133)의 어느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투명창(133)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attached to any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133, and preferabl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window 133 to prevent wear.

상기 액정필름(135)은 상황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필름으로, 회의실이나 화장실의 유리창에 부착되는 필름이다. 이러한 액정필름(135)의 구동원리는 액정(Liquid Crystal) 분자들을 캡슐에 봉입해 액정막(Sheet)을 만든 후 전도막이 있는 투명한 필름에 부착한 특수 LCD필름을 유리판으로 접합한 것으로 투명/불투명의 전환은 전원 투입의 ON/OFF로서 결정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a film that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film is attached to the glass window of the conference room or bathroom.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to bond liquid crystal molecules into a capsule to form a liquid crystal film, and then attach a special LCD film attached to a transparent film with a conductive film by using a glass plate. The switching can be determined by turning the power on / off.

그리고, 이러한 투명/불투명의 전환은, 전류가 흐를 때(전원 ON상태)는 전기가 두 장의 전도막 사이로 흐르게 되면서 고분자 확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유리나 필름 등이 투명하게 변환되고, 반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전원 OFF상태)는 액정 알갱이가 무질서하게 난 정렬되어 빛이 투과되지 않으므로 유리나 필름 등이 불투명하게 변환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 opaque transition is such that when a current flows (power ON state), electricity flows between the two conductive films, and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glass, film, or the like is formed. When the current is not transparent (when the power is OFF), the liquid crystal grains are randomly aligned and light is not transmitted, so that glass or film is opaquely conver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액정필름(135)은, 전기적인 신호를 받는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신호에 따라 투명하게 변환되거나 불투명하게 변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film 135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transparently or opaque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have.

즉, 상기 액정필름(135)은, 평상시에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내부를 투시하지 않아 미관을 헤치지 않도록 구비되고, 사용자가 필터부(113)를 보기 원하는 경우에 수동이나 자동으로 조작하면 제어부(150)에 의해 투명한 상태로 변환되어 필터부(113)의 먼지포집상태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normally provided so as not to see the inside of the product by maintaining an opaque state so as not to spoil the aesthetics, and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filter unit 113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control unit 150 may be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so that the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filter unit 113 may be viewed.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ure 3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되는 기능버튼(171)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unction button 171 to be manipulated by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170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능버튼(171)이 조작되면 상기 액정필름(135)을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switch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unction button 171 is operated.

공기 청정기(100)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다수개의 기능버튼(171)(예를 들어, 풍량버튼, 자동버튼, 무드버튼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170)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버튼(171)을 누름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ir cleaner 1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170 including a power on / off button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171 (for example, air volume button, automatic button, mood button, etc.). In addition, the user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171 as necessary.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기능버튼(171)들이 작동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필름(135)이 투명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어부(15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70)의 무드(MOOD)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액정필름(135)이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투명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무드램프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function button 171 is op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ity to the controller 150 so that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Can send a positiv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OOD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70 is clicked, 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mood lamp may be turned on.

이에 따라, 별도로 상기 가시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청정기의 다양한 기능 작동시에 수시로 상기 필터부(113)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without an operation for operating the visible unit 130 separately, and the filter unit 113 may be frequently used when various functions of the cleaner are op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en.

상기 액정필름(135)이 투명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버튼(171) 작동시에 상기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ime at which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converted into the transparent state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50 may b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unction button 171 is operated.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능버튼(171)이 연속적으로 조작되는 경우 마지막 기능버튼(171)이 조작되면 상기 액정필름(135)을 소정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unction button 171 is continuously operated, the controller 150 may switch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last function button 171 is operated.

즉, 상기 공기 청정기(100)의 전원을 켜고 여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기능버튼(171)을 연속적으로 여러번 누르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연속적인 기능버튼(171)의 조작 중 마지막 조작시에만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171 are continuously pressed several times in order to turn on the air cleaner 100 and set various functions.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continuous function buttons 171 is performed in this case. Only during the last operation, 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power.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조작부(170)에 가시부 작동버튼(173)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173)이 조작되면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has a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liquid crystal film 135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is operated. Can be configured to transition to a transparent state.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공기 청정기(100)의 타 기능과 별도로 상기 필터부(113)의 포집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173)을 누름으로써 상기 액정필름(135)을 소정시간 투명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collection state of the filter unit 113 separately from other functions of the air cleaner 100,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predetermined by pressing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Can be converted to a time transparent state.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가시부 작동버튼(173)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즉, 사용자가 가시부 작동버튼(173)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액정필름(135)을 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intains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n a transparent state only while the user operates the visible part operating button 173, that is, only while the user presses the visible part operating button 173. It can be configured to.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가시부 작동버튼(173)이 눌리면 액정필름(135)을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고, 가시부 작동버튼(173)이 재차 눌리면 액정필름(135)을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시부 작동버튼(173)이 온/오프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50 switches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is pressed by the user, and the liquid crystal film 135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is pressed again. ) Into an opaque state. That is, one visible button operation button 173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on / off function.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가시부 작동버튼(173)이 조작되면 상기 액정필름(135)을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킨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불투명 상태로 자동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switches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73 is operated, and then automatically switches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기 설정된 필터의 교체시기에 필터의 교체여부를 표시하는 필터교체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180 indicating whether the filter is replaced at a predetermined filter replacement time.

이러한 필터교체 표시부(18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어 필터부(113)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필터의 교환시기를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필터 교환시기가 되면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교체 시기 표시와 함께 알람이 작동할 수도 있다. The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18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to receive a signal by a pollution degree sensor (not shown)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filter unit 113 to display a filter replacement time, or a predetermined time.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filter,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In addition, the alarm may be activated with an indication of when to replace the filter.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필터교체 표시부(180)로부터 필터의 교체시기가 표시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ilter replacement time is displayed from the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180, the controller 150 may switch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상기와 같이 필터교체를 표시하거나 필터교체 알람이 작동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어부(150)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액정필름(135)은 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필터부(113)를 투과함으로써, 상기 필터부(113)의 먼지포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lter replacement is displayed or the filter replacement alarm is activated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for a preset time, and the filter unit 113 is automatically turned on. By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filter unit 113 can be confirm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수치를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수치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필터교체 표시부(18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contamination sensor, and if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pollution sensor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180 It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nvert the liquid crystal film 135 to a transparent state without going through.

이를 통해, 필터부(113)의 오염 정도가 필터교체 수준에 이르면, 자동으로 액정필름(135)이 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는 가시부(130)를 통해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unit 113 reaches the filter replacement level,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through the visible unit 130. do.

여기서, 제어부(150)는 필터가 교체되기 전까지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와 불투명상태로 반복시킬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ler 150 may maintain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n a transparent state until the filter is replaced, or may repeat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n a transparent state and an opaque state.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송풍부(115)의 송풍팬(118)이 가동된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송풍팬(118)이 가동된 소정 시간에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receives the time that the blowing fan 118 of the blower 115 is operated, the liquid crystal film at a predetermined time the blower fan 118 is op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135 to a transparent state.

즉, 제어부(150)는 송풍팬(118)의 가동시간에 따른 필터부(113)의 먼지포집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송풍팬(118)의 가동시간 중에서 기 설정된 소정 시간에 액정필름(136)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heck the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filter unit 113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 of the blowing fan 118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liquid crystal film (the liquid crystal film) at a predetermined time out of the operating time of the blowing fan 118. 136) can be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여기서, 제어부(150)가 액정필름(136)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소정 시간은 필터의 수명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송풍팬(118)의 가동시간에 따른 필터교체시기에 상기 액정필름(135)이 투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for the control unit 150 to switch the liquid crystal film 136 to a transparent state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life of the filter, through which, during the filter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 of the blower fan 118 The liquid crystal film 135 may be converted into a transparent state.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액정필름(135)을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convert the liquid crystal film 135 into a transparent stat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즉, 제어부(150)는 불투명상태의 액정필름(135)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투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onvert the opaque liquid crystal film 135 into the transparent state at a time interval set by the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면, 상기 가시부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불투명상태로 유지되다가 간단한 조작으로 필터부의 먼지포집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정기의 여과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되어 청정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us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f the filter unit by a simpl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opaque state so that the inside is not normally opened by the visible part.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purifier is visually confirmed to obtain the effect of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purifier product.

그리고, 간단한 조작으로 불투명상태 또는 투명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평상시에 내부투시로 인해 제품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nd, it can be switched to an opaque state or a transparent state by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egraded due to the internal perspective in normal.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00 : 공기 청정기 110 : 하우징
113 : 필터부 130 : 가시부
133 : 투명창 135 : 액정필름
150 : 제어부 170 : 조작부
171 : 기능버튼 173 : 가시부 작동버튼
180 : 필터교체 표시부
100: air purifier 110: housing
113: filter unit 130: visible part
133 transparent window 135 liquid crystal film
150: control unit 170: operation unit
171: Function button 173: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180: filter replacement display

Claims (12)

송풍부와 필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관통 형성된 개구가 구비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필터부의 먼지포집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시부;
공기청정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능버튼과,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가시부 작동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 및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부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은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가시부 작동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가시부를 소정 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가시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공기 청정기.
A housing having a blower and a filter;
A visible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through, the visible part being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or an opaque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so as to check whether dust is collected in the filter part;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ted by a user for an air cleaning operation, and a visible part operating button provided for operating the visible part;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visible unit to be transparent or opaque when a signal is input;
Including;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has a function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unction button is operated, and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the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urns off the operation of the visible part when the visible part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Letting air freshe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불투명 상태 또는 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액정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sible portion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to seal the opening; And
A liquid crystal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provided to be converted into an opaque state or a transparent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ir purifi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버튼이 연속적으로 조작되는 경우 마지막 기능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가시부를 소정시간 동안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function button is operated continuously,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visible portion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last function button is op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필터의 교체시기에 필터의 교체여부를 표시하는 필터교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ir filt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o replace the filter at the predetermined filter replacement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교체 표시부로부터 필터의 교체시기가 표시되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a transparent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filter replacement time is displayed from the filter replacement display unit.
제1항, 제2항, 제5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의 측정수치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수치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8, and 9,
Further comprising a pollu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ilter uni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sensor and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 제2항, 제5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가 가동된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송풍부가 가동된 소정 시간에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8, and 9,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input of the time that the blower is operated,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visible portion to a transparent state at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blower is operated.
제1항, 제2항, 제5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가시부를 투명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8, and 9,
And the controller switches the visible part to a transparent state every predetermined time.
KR1020130023949A 2012-03-07 2013-03-06 Air cleaner KR102075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1845 WO2013133642A1 (en) 2012-03-07 2013-03-07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502 2012-03-07
KR20120023502 2012-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500A KR20130102500A (en) 2013-09-17
KR102075917B1 true KR102075917B1 (en) 2020-02-11

Family

ID=4945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949A KR102075917B1 (en) 2012-03-07 2013-03-06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9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25U (en) 2020-10-30 2020-11-19 코웨이 주식회사 Air treatment apparatus
KR20210131673A (en) 2020-04-24 2021-11-03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8423B1 (en) 2014-11-04 2019-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mination sensor,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6816B1 (en) * 2016-08-16 2019-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tate of fil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632B1 (en) * 1998-11-30 2001-11-22 전주범 Refrigerator with transparent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52A (en)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ir cleaner capable of confirming filter pollution level
KR100668058B1 (en) * 2005-05-27 2007-01-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632B1 (en) * 1998-11-30 2001-11-22 전주범 Refrigerator with transparent windo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673A (en) 2020-04-24 2021-11-03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00002525U (en) 2020-10-30 2020-11-19 코웨이 주식회사 Ai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500A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996B1 (en) Separable air cleaner
JP7117998B2 (en) air purifier
KR102075917B1 (en) Air cleaner
US20080216657A1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TWI679383B (en) Air cleaner
CN205717829U (en) A kind of air purifier with filter check function
KR102169296B1 (en) Air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hot air blowing
KR20060111999A (en) Air cleaner
CN201791433U (en) Air purifier
KR102151583B1 (en) Multipurpose air cleaner
JP5800617B2 (en) Air cleaner
CN105650748A (en) Indoor air detecting and purifying integrated machine
JP2007237091A (en) Air cleaner
CN209049149U (en) Heating,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filter device
WO2013133642A1 (en) Air purifier
KR20090113697A (en) Air cleaner
JP2015232433A (en) Air cleaner
KR100564496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CN210511975U (en) Intelligent multifunctional air processor
KR20050098152A (en) Air cleaner capable of confirming filter pollution level
WO2015182930A1 (en) Air cleaner using dried food adsorbent
CN201775819U (en) Full intelligent air quality monitoring type purifier
US20230201768A1 (en) Air purifying system
CN209588234U (en) A kind of gas catalyst air purifier
JP6435171B2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