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911B1 -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911B1 KR102075911B1 KR1020180123298A KR20180123298A KR102075911B1 KR 102075911 B1 KR102075911 B1 KR 102075911B1 KR 1020180123298 A KR1020180123298 A KR 1020180123298A KR 20180123298 A KR20180123298 A KR 20180123298A KR 102075911 B1 KR102075911 B1 KR 102075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material
- sensor
- composite sensor
- present
- poro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재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구비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센서에서 나노 물질에 의해 형성된 감지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ens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a structurally large surface area,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sensing unit formed by the nanomaterial in the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It is about technology to let.
최근 나노 기술의 발달에 따라, 탄소나노튜브 등의 나노 물질을 이용하여 각 종 센서를 연구 개발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 등의 나노 물질을 이용하여 센서의 감지부를 형성하는 경우, 매우 큰 표면 대 부피비 및, 나노 크기의 감지부로 인하여 정밀도가 뛰어나고 빠른 응답속도를 보이며 상온에서 작동할 뿐 아니라 소비전력이 적다. 그리고, 증착 또는 코팅 등의 공정에 의해 다른 소재로 형성된 구조체에 나노 물질을 결합시켜 감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소형으로도 제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the rat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sensors using nano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forming the sensing unit of the sensor using nano 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due to the very large surface-to-volume ratio and the nano-sized sensing unit, the precision and fast response speed are shown,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as well as operating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by forming a sensing unit by bonding a nanomaterial to a structure formed of another material by a process such as deposition or coa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감지부를 나노 물질만으로 형성하여 표면적 증대에 한계가 존재하여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forming a sensing unit using only nanomaterials, there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36454호(발명의 명칭: 비연속적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압력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는, 제1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제1층; 상기 제1층과 접촉하여 상기 제1층 상에 배치되고, 제2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영역과 이격된 2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영역의 전기전도도는 상기 제2층의 전기전도도보다 크거나 같은 압력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8-0036454 (name of the invention: a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discontinuous conductive pattern, a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pressure), the at least one having a first electrical conductivity A first layer comprising a conductive region;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and having a seco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wo or mor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at least one conductive region, where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reg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second layer. ha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구비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센서에서 나노 물질에 의해 형성된 감지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sensing unit formed by the nanomaterial in the sensor by us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a structurally large surface are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 개의 세공(pore)을 구비하는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는 다공성체에 나노소재를 코팅시켜 형성되는 센서본체; 및 상기 센서본체의 양 측에 결합하는 전극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nsor body is formed by coating a nanomaterial on a porous body formed of a porous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pore); An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hich are electrod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nsor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체는, 폴리우레탄, 분자체, 계면활성제(surfactant) 또는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을 활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세라믹, 금속 및 탄소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body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rs, ceramics, metals and carbon materials prepared using polyurethanes, molecular sieves, surfactants (blockactants) or block copolymers (block copolymers) It can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소재는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material may b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fibers,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본체는, 비양성자성 용매에 상기 나노소재를 분산시킨 분산용액에 상기 다공성체를 함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body may be formed by impregnating the porous body in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the nanomaterial is dispersed in an aprotic solv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및 초순수(DI wa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첨가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solution may include an additive solution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IPA) and ultrapure water (DI wat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액은,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 95~98 중량%, 상기 나노소재 0.1~4 중량%, 및 상기 첨가용액 0.2~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rsion solution may include 95 to 98% by weight of the aprotic solvent, 0.1 to 4% by weight of the nanomaterial, and 0.2 to 2% by weight of the addition solu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i) 상기 다공성체를 마련하는 단계; ii) 상기 나노소재, 비양성자성 용매 및 첨가용액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에 상기 다공성체를 함침하여, 상기 다공성체에 상기 나노소재를 침투시키는 단계; iii)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를 상기 분산용액에 담근 상태로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키는 단계; iv)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를 건조시켜, 상기 나노소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v) 상기 ii) 내지 iv) 단계의 공정이 반복 수행되어 상기 다공성체에 상기 나노소재가 코팅됨으로써, 상기 센서본체가 형성되는 단계; 및 vi) 상기 센서본체의 양 측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 providing a porous body; ii) impregnating the porous material with a dispersion solution including the nanomaterial, an aprotic solvent and an addition solution to infiltrate the nanomaterial into the porous material; iii) preserving the porous material in which the nanomaterial has penetrated in a pressure-reduced atmosphere while being immersed in the dispersion solution; iv) drying the porous material in which the nanomaterial has penetrated, thereby curing the nanomaterial; v) repeating the processes of steps ii) to iv) to coat the nanomaterial on the porous body to form the sensor body; And vi) coupl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both sides of the sensor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는, 0 내지 -0.2 MPa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iii), the porous material penetrated by the nanomaterial may be preserved in a reduced pressure atmosphere of 0 to -0.2 MP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는, 20 내지 100도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iv), the porous material penetrated by the nanomaterial may be dried at a temperature of 20 to 100 degre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구조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구비하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센서에서 나노 물질에 의해 형성된 감지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us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a structurally large surface area,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sensing unit formed by the nano-material in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다공성체에 나노 물질을 코팅시켜 센서를 형성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ensor by coating a nanomaterial on a porous body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ensor capable of various measurements at a low cos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체에 나노소재를 침투시키는 공정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본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를 이용한 인장 측정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를 이용한 온도 측정에 대한 이미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를 이용한 가스 측정에 대한 그래프이다.1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mage of a porou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mage of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mage for a process of infiltrating a nanomaterial to a porou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mage of a sensor main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n image for the tensile measurement us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mage of a pressure measurement us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mage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the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illustrating gas measurement us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체(101)에 대한 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에 대한 이미지이다.1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다공성체(101)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1의 (b)는 분산용액에 함침된 다공성체(101)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1의 (c)는 감압 장비(310)에 인입된 다공성체(101)에 대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1의 (d)는 나노소재가 침투된 다공성체(101)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1의 (e)는 나노소재가 침투된 다공성체(101)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는 사항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1의 (f)는 센서본체(110)에 대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1의 (g)는 센서본체(110)에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이 결합되는 사항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1의 (h)는 복합재 센서(100)에 대한 모식도이다.Specifically, Figure 1 (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도 1의 (i)는 복합재 센서(100)에 압력을 가하고 저항 측정기(320)를 이용하여 저항 값을 측정하는 실험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1의 (j)는 복합재 센서(100)에 대한 이미지이다.1 (i) is an image of an experiment of applying a pressure to the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는, 복수 개의 세공(pore)을 구비하는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는 다공성체(101)에 나노소재를 코팅시켜 형성되는 센서본체(110); 및 센서본체(110)의 양 측에 결합하는 전극인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다공성체(101)는 폴리우레탄, 제올라이트와 같은 분자체, 계면활성제(surfactant) 또는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 등을 활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세라믹, 금속, 및 탄소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폴리우레탄 소재는 고분자의 주 사슬에 우레탄 결합이 반복적으로 들어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통칭이며 소프트시그먼트와 하드시그먼트의 반복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소프트시그먼트와 하드시그먼트의 비율 조절로 폴리우레탄은 고무상의 탄성이 있는 엘라스토머에서부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을 가진 제품까지 다양한 분자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Polyurethane material is a generic name of a polymer compound in which a urethane bond is repeatedly contained in the main chain of a polymer, and may be a repetitive structure of soft and hard segments. By controlling the ratio of soft and hard segments, polyurethane can have various molecular designs, ranging from rubber-elastic elastomers to rigid products such as engineering plastics.
다공성체(101)는, 복수 개의 세공(pore)을 구비하는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는 스펀지 구조로써, 직육면체와 같은 다면체 또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단면의 형상이 원이나 다각형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공성체(101)의 외형은 평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3차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체(101)가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가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나노소재는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나노소재가 상기와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nanomaterial may b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fibers,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nanomaterial is formed of the above material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amic or metal.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서, 다공성체(101)는 형상 변화가 용이하고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전류가 제공되는 경우, 센서본체(110)의 형상이 가변함에 따라, 다공성체(101)에 코팅되는 나노소재에 포함된 각각의 나노입자 간 거리가 가변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이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본체(110)의 형상 변화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가변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하여 인장력 또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에,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그리고, 다공성체(101)에 나노소재가 코팅되어,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세공(pore)의 면에 나노입자가 코팅됨으로써, 나노소재의 코팅 표면적이 증가하여 외부 기체(또는 액체)와 나노소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전류가 제공되는 경우, 센서본체(110)에 구비된 나노입자는 외부 기체와 접촉하여 외부 기체의 온도, 외부 기체의 종류(가스 종류) 또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본체(110)가 접촉하는 기체(또는 액체)의 종류 또는 농도, 온도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가변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하여 온도 또는 가스 종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센서본체(110)는 탄성을 구비하거나, 또는, 탄성을 구비하지 않고 강성의 성질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nomaterial is coated on the
센서본체(110)는, 비양성자성 용매에 나노소재를 분산시킨 분산용액에 다공성체(101)를 함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메틸피롤리디논(methylpyrrolidinone, NMP), 및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분산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및 초순수(DI wa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첨가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양성자성 용매와 첨가용액이 혼합되어 분산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The dispersion solution may include an additive solution which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IPA) and ultrapure water (DI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aprotic solvent and the additive solution may be mixed to prepare a dispersion solution.
분산용액은, 비양성자성 용매 95~98 중량%, 나노소재 0.1~4 중량%, 및 첨가용액 0.2~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ersion solution may include 95 to 98% by weight of an aprotic solvent, 0.1 to 4% by weight of nanomaterial, and 0.2 to 2% by weight of the added solution.
나노소재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키는 경우, 나노소재의 양의 과소하여 다공성체(101)에 코팅되는 나노소재의 양이 과소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나노소재를 4 중량% 초과로 포함시키는 경우, 다공성체(101)에 코팅되는 나노소재의 두께가 증가하여 센서본체(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세공 크기가 감소하므로 나노소재의 표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nanomaterial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1% by weight, the amount of the nanomaterial is less than the amount of the nanomaterial to be coated on the
그리고, 첨가용액이 0.2 중량% 미만이거나 2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분산용액 내 나노소재의 분산율이 저하되어 다공성체(101)에 코팅되는 나노소재의 코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dition solution is less than 0.2% by weight or contained in more than 2% by weight, the dispersion rate of the nanomaterial in the dispersion solution is lowered may reduce the coating efficiency of the nanomaterial coated on the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포함하는 인장력 및 압력 측정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길이 또는 간격이 가변하는 부위에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설치하고,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에 저항 측정기(320)와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인장력 및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ensile force an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온도 측정을 요구하는 부위에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설치하고,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에 저항 측정기(320)와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포함하는 가스 측정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가스 감지를 요구하는 부위에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설치하고,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에 저항 측정기(320)와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가스의 종류 또는 농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gas measuring apparatus containing the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체(101)에 나노소재를 침투시키는 공정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본체(110)에 대한 이미지이다.4 is an image of a process of infiltrating a nanomaterial to the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분산용액에 다공성체(101)를 함침시키는 공정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4의 (b)는 감압 장비(310)에 인입된 다공성체(101)에 대한 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5의 (a)는 나노소재가 1회 코팅된 센서본체(110)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5의 (b)는 나노소재가 2회 코팅된 센서본체(110)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5의 (c)는 나노소재가 수회 코팅된 센서본체(110)에 대한 이미지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c)는 나노소재가 5회 코팅된 센서본체(110)에 대한 것이다.Specifically, Figure 4 (a) is an image of the process of impregnating the
첫째 단계에서, 다공성체(101)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둘째 단계에서, 나노소재, 비양성자성 용매 및 첨가용액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에 다공성체(101)를 함침하여, 다공성체(101)에 나노소재를 침투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셋째 단계에서,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를 분산용액에 담근 상태로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감압 장비(310)로 진공 데시케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는, 0 내지 -0.2 MPa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the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를 -0.2 MPa 미만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키는 경우, 다공성체(101)에 대한 나노소재의 침투 속도가 과대하여 나노소재의 침투가 균일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를 0 MPa 초과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키는 경우, 다공성체(101)에 대한 나노소재의 침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넷째 단계에서,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를 건조시켜, 나노소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는, 20 내지 100도(℃)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In the fourth step, the nanomaterial penetrated the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가 20도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경우, 나노소재의 건조 시간이 과대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제조 시간의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나노소재가 침투한 다공성체(101)가 100도 초과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경우, 나노소재의 급속한 건조로 인하여 나노소재와 다공성체(101)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센서본체(1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다섯째 단계에서, 상기된 둘째 단계 내지 넷째 단계의 공정이 반복 수행되어 다공성체(101)에 나노소재가 코팅됨으로써, 센서본체(1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여섯째 단계에서, 센서본체(110)의 양 측에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은 금속 또는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이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경우, 투명전극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형상 변화 방향이 3차원의 방향으로 확대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하게 용이할 수 있다. In the fifth step, the process of the second step to the fourth step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nanomaterial is coated on the
이하,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대한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한 인장 측정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한 압력 측정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한 온도 측정에 대한 이미지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센서(100)를 이용한 가스 측정에 대한 그래프이다.6 is an image of the tensile measurement using the
여기서, 도 6의 (a)는 복합재 센서(100)에 인장력 제공 전 이미지이고, 도 6의 (b)는 복합재 센서(100)에 인장력 제공 후 이미지이다. 또한, 도 7의 (a)는 복합재 센서(100)에 압력 제공 전 이미지이고, 도 7의 (b)는 복합재 센서(100)에 압력 제공 후 이미지이다. 또한, 도 8의 (a)는 복합재 센서(100)를 29℃의 환경에서 유지시킨 경우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8의 (b)는 복합재 센서(100)를 60℃의 환경에서 유지시킨 경우에 대한 이미지이다. Here, Figure 6 (a) is an image before providing the tensile force to the
[실시 예][Example]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고, 가로 길이X세로 길이X높이가 2cmX2cmX1cm인 직육면체 형상의 다공성체(101)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인 비양성자성 용매 95~98 중량%,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 및 첨가용액 0.2~2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A rectangular parallelepiped
다음으로, 다공성체(101)를 분산용액에 담근 후 그 상태로 진공 데시케이트 내부로 인입시켜 -0.1 MPa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켰다. 그 후, 탄소나노튜브가 침투된 다공성체(101)를 60℃의 온도에서 건조를 수행하여, 탄소나노튜브가 1회 코팅된 센서본체(110)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센서본체(110)를 분산용액에 담근 후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키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4회 더 반복하여, 탄소나노튜브가 총 5회 코팅된 센서본체(110)를 획득하였다. 여기서, 함침과 감압 보존 및 건조 각각의 과정에 대한 공정 조건은 상기된 바와 동일하였다.Next, the
그 다음으로, 획득된 센서본체(110)의 양 측에 구리로 형성된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을 부착하여, 복합재 센서(100)를 제조하였다.Next, the
[실험 예 1]Experimental Example 1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와 저항 측정기(320) 및 전원을 연결하고,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인장력 측정기(330)에 설치하고,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L)가 5mm 신장되도록 인장력 측정기(330)를 제어하였다. 그리고,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The
[실험 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와 저항 측정기(320) 및 전원을 연결하고,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압력 측정기(340)에 설치하고,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에 1(N)의 힘이 가해지도록 압력 측정기(340)를 제어하였다. 그리고,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The
[실험 예 3]Experimental Example 3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와 저항 측정기(320) 및 전원을 연결하고,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내부 온도 29℃인 온도 조절 챔버(350)에 설치하고,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주위 온도가 60℃가 되도록 온도 조절 챔버(350)를 제어하였다. 그리고,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The
[실험 예 4]Experimental Example 4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에 저항 측정기(320) 및 전원을 연결하고, 가스 챔버 내에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가스 챔버 내 수소(H2)의 농도(가로축)를 증가시키면서 각각의 복합재 센서(100) 저항의 변화 값(세로축)을 측정하였다.The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4]에 있어서, 초기 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각각의 실험 예에서,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초기 저항 값은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In [Experimental Example 1] to [Experimental Example 4],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itial environment, in each experiment example,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of the
[실험 예 1]과 관련하여,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인장력 측정기(330)에 최초 설치한 경우에는,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5.58Ω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를 5mm 신장시킨 경우,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12.23Ω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센서본체(110)는 탄성력을 구비하므로,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 변화와 센서본체(110)의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제공된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Experimental Example 1], as shown in FIG. 6A, when the
[실험 예 2]와 관련하여,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압력 측정기(340)에 최초 설치한 경우에는,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13. 8Ω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에 1(N)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경우,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9.55Ω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센서본체(110)는 탄성력을 구비하므로,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의 길이 변화와 센서본체(110)의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에 제공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Regarding [Experimental Example 2], as shown in FIG. 7A, when the
[실험 예 3]과 관련하여,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를 내부 온도 29℃인 온도 조절 챔버(350)에 최초 설치한 경우,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40Ω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 주위 온도가 60℃가 되도록 온도 조절 챔버(350)의 내부 온도를 60℃로 제어한 경우,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의 저항 값이 36Ω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주위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garding [Experimental Example 3], as shown in FIG. 8A, when the
[실험 예 4]와 관련하여, 도 9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소(H2) 가스의 농도 0 %로부터 16%로 증가함에 따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 센서(100) 저항의 변화 값이 23Ω으로부터 27.5Ω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재 센서(100) 주위 가스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In connection with [Experimental Example 4],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9, as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H 2 ) gas increased from 0% to 16%,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복합재 센서 101 : 다공성체
110 : 센서본체 121 : 제1전극
122 : 제2전극 310 : 감압 장비
320 : 저항 측정기 330 : 인장력 측정기
340 : 압력 측정기 350 : 온도 조절 챔버100: composite sensor 101: porous body
110: sensor body 121: first electrode
122: second electrode 310: pressure reduction equipment
320: resistance meter 330: tensile force meter
340: pressure gauge 350: temperature control chamber
Claims (12)
상기 센서본체의 양 측에 결합하는 전극인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본체는, 비양성자성 용매에 상기 나노소재를 분산시킨 분산용액에 상기 다공성체를 함침하여 형성되며,
상기 분산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및 초순수(DI wa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첨가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용액은,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 95~98 중량%, 상기 나노소재 0.1~4중량%, 및 상기 첨가용액 0.2~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
A sensor body formed by coating a nanomaterial on a porous body formed of a porous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And
An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hich are electrod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nsor body.
The sensor body is formed by impregnating the porous body in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the nanomaterial is dispersed in an aprotic solvent,
The dispersion solution includes an additive solution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IPA) and ultrapure water (DI water),
The dispersion solution is a composit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95 to 98% by weight of the aprotic solvent, 0.1 to 4% by weight of the nanomaterial, and 0.2 to 2% by weight of the addition solution.
상기 다공성체는, 폴리우레탄, 분자체, 계면활성제(surfactant) 또는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을 활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세라믹, 금속 및 탄소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body is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mer, a ceramic, a metal and a carbon material prepared by using a polyurethane, a molecular sieve, a surfactant, or a block copolymer. Composite sensor characterized by the above.
상기 나노소재는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anomaterial is a composit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fibers,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Tensile force and pressur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the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Gas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omposit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 상기 다공성체를 마련하는 단계;
ii) 상기 나노소재, 비양성자성 용매 및 첨가용액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에 상기 다공성체를 함침하여, 상기 다공성체에 상기 나노소재를 침투시키는 단계;
iii)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를 상기 분산용액에 담근 상태로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시키는 단계;
iv)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를 건조시켜, 상기 나노소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v) 상기 ii) 내지 iv) 단계의 공정이 반복 수행되어 상기 다공성체에 상기 나노소재가 코팅됨으로써, 상기 센서본체가 형성되는 단계; 및
vi) 상기 센서본체의 양 측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의 제조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ensor of claim 1,
i) preparing the porous body;
ii) impregnating the porous material in a dispersion solution including the nanomaterial, an aprotic solvent, and an addition solution to infiltrate the nanomaterial into the porous material;
iii) preserving the porous material in which the nanomaterial has penetrated in a pressure-reduced atmosphere while being immersed in the dispersion solution;
iv) drying the porous material penetrated by the nanomaterial to cure the nanomaterial;
v) repeating the processes of steps ii) to iv) to form the sensor body by coating the nanomaterial on the porous body; And
vi) combin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n both sides of the sensor body;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sensor comprising a.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는, 0 내지 -0.2 MPa의 감압 분위기에서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step iii), the porous material in which the nanomaterial penetrates is preserved in a reduced pressure atmosphere of 0 to -0.2 MPa.
상기 iv) 단계에서, 상기 나노소재가 침투한 상기 다공성체는, 20 내지 100도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센서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step iv), the porous material in which the nanomaterial penetrates, it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20 to 100 degre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298A KR102075911B1 (en) | 2018-10-16 | 2018-10-16 |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298A KR102075911B1 (en) | 2018-10-16 | 2018-10-16 |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5911B1 true KR102075911B1 (en) | 2020-02-12 |
Family
ID=6956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3298A KR102075911B1 (en) | 2018-10-16 | 2018-10-16 |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91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9467A (en) * | 2018-10-26 | 2020-05-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ti-radiation structure, temperature-pressure complex sensor with anti-radi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1713800A (en) * | 2020-07-01 | 2020-09-29 |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2158923A (en) * | 2020-09-16 | 2021-01-01 | 景德镇陶瓷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graphene-alumina porous composite material capable of being used as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
KR102387202B1 (en) * | 2020-11-20 | 2022-04-15 | 주식회사 그로우핏 | Blow detection device |
KR20230007633A (en) * | 2021-07-06 | 2023-01-1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meter including the same |
KR102510617B1 (en) * | 2022-10-05 | 2023-03-20 | 주식회사 세진에코텍 | Chain break detection and tension apparatus |
KR20230102850A (en) | 2021-12-30 | 2023-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reparing method for conductive composite, conductive composite and ppiezoresistive device using the sam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556U (en) * | 1991-08-15 | 1993-03-0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NOx sensor |
JP4318433B2 (en) * | 2001-07-27 | 2009-08-26 | ホルムベ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 Piezoelectric element and vibration transduce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KR101220887B1 (en) * | 2010-08-13 | 2013-01-1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Gas sensor comprising metallic catalyst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101466579B1 (en) * | 2012-08-08 | 2014-12-10 | (주)인디텍코리아 | Indicator for sensing temperature |
KR20180036454A (en) | 2016-09-30 | 2018-04-0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Pressure sensor comprising layer of discontinuous conductive patterns,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ressure |
KR101872376B1 (en) * | 2017-03-31 | 2018-08-0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cceleration sensor using triboelectrification and method of measuring acceleration using the same |
KR101906063B1 (en) * | 2016-10-19 | 2018-10-10 | 한국과학기술원 | Colorimetric gas sensors and the fabrication method using three dimensional porous and stretchable scaffold substrate including colorimetric dyes |
-
2018
- 2018-10-16 KR KR1020180123298A patent/KR1020759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556U (en) * | 1991-08-15 | 1993-03-0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NOx sensor |
JP4318433B2 (en) * | 2001-07-27 | 2009-08-26 | ホルムベ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 Piezoelectric element and vibration transduce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KR101220887B1 (en) * | 2010-08-13 | 2013-01-1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Gas sensor comprising metallic catalyst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101466579B1 (en) * | 2012-08-08 | 2014-12-10 | (주)인디텍코리아 | Indicator for sensing temperature |
KR20180036454A (en) | 2016-09-30 | 2018-04-0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Pressure sensor comprising layer of discontinuous conductive patterns,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ressure |
KR101906063B1 (en) * | 2016-10-19 | 2018-10-10 | 한국과학기술원 | Colorimetric gas sensors and the fabrication method using three dimensional porous and stretchable scaffold substrate including colorimetric dyes |
KR101872376B1 (en) * | 2017-03-31 | 2018-08-0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cceleration sensor using triboelectrification and method of measuring acceleration using the same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9467A (en) * | 2018-10-26 | 2020-05-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ti-radiation structure, temperature-pressure complex sensor with anti-radi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396757B1 (en) | 2018-10-26 | 2022-05-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ti-radiation structure, temperature-pressure complex sensor with anti-radi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1382244B2 (en) | 2018-10-26 | 2022-07-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nti-radiation structure, temperature-pressure complex sensor including the same and having anti-radiation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1713800A (en) * | 2020-07-01 | 2020-09-29 |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1713800B (en) * | 2020-07-01 | 2022-03-11 |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2158923A (en) * | 2020-09-16 | 2021-01-01 | 景德镇陶瓷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graphene-alumina porous composite material capable of being used as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
CN112158923B (en) * | 2020-09-16 | 2022-10-25 | 景德镇陶瓷大学 | Preparation method of graphene-alumina porous composite material capable of being used as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
KR102387202B1 (en) * | 2020-11-20 | 2022-04-15 | 주식회사 그로우핏 | Blow detection device |
KR20230007633A (en) * | 2021-07-06 | 2023-01-1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meter including the same |
KR102555533B1 (en) * | 2021-07-06 | 2023-07-1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meter including the same |
KR20230102850A (en) | 2021-12-30 | 2023-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reparing method for conductive composite, conductive composite and ppiezoresistive device using the same |
KR102510617B1 (en) * | 2022-10-05 | 2023-03-20 | 주식회사 세진에코텍 | Chain break detection and tens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5911B1 (en) | Composit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hen et al. | Flexible, conductive, and anisotropic thermoplastic polyurethane/polydopamine/MXene foam for piezoresistive sensors and motion monitoring | |
Wang et al. | Strain sensing of printed carbon nanotube sensors on polyurethane substrate with spray deposition modeling | |
Palmre et al. | Nanoporous carbon-based electrodes for high strain ionomeric bending actuators | |
Xin et al. | Laser-engraved carbon nanotube paper for instilling high sensitivity, high stretchability, and high linearity in strain sensors | |
Wang et al. | Kirigami-patterned highly stretchable conductors from flexible carbon nanotube-embedded polymer films | |
Wang et al. | Effect of dehydration on the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old-and palladium-ionomeric polymer-metal composite (IPMC) actuators | |
Sun et al. | Highly stretchable and ultrathin nanopaper composites for epidermal strain sensors | |
Zhan et al. | Electrically conductive carbon black/electrospun polyamide 6/poly (vinyl alcohol) composite based strain sensor with ultrahigh sensitivity and favorable repeatability | |
Palmre et al. |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with carbon aerogel electrodes | |
Zhang et al. | Highly stretchable porous composite hydrogels with stable conductivity for strain sensing | |
CN108328595A (en) | A kind of carbon aeroge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essure sensor | |
CN108328596B (en) | Carbon spong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essure sensor | |
Ko et al. | Green technique solvent-free fabrication of silver nanoparticle–carbon nanotube flexible films for wearable sensors | |
Yoshimura et al. | Flexible tactile sensor materials based on carbon microcoil/silicone-rubber porous composites | |
Zhang et al. | Development of a novel and flexible MWCNT/PDMS based resistive force sensor | |
JP2023036846A (en) | Piezoresponsive textile incorporating graphene | |
Zhao et al. | Preparation and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hitosan gel polymer actuator based on heat treating | |
KR101496156B1 (en) | Electroconductive composite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 |
JP2018026914A (en) | Actuator with film structure | |
Lee et al. | Development of highly sensitive/durable porous carbon nanotube–polydimethylsiloxane sponge electrode for wearable human motion monitoring sensor | |
Pyo et al. | Fabrication of carbon nanotube-coated fabric for highly sensitive pressure sensor | |
Paquette et al. | The behavior of ionic polymer–metal composites in a multi-layer configuration | |
KR101976024B1 (en) | Composite for optical tension sens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tension sensor comprising the same | |
KR102295060B1 (en) | Ink for 3D Printing, manufacturing method, 3D Printing Stretchable conductive sensor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