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25B1 -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25B1
KR102075825B1 KR1020170146682A KR20170146682A KR102075825B1 KR 102075825 B1 KR102075825 B1 KR 102075825B1 KR 1020170146682 A KR1020170146682 A KR 1020170146682A KR 20170146682 A KR20170146682 A KR 20170146682A KR 102075825 B1 KR102075825 B1 KR 10207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geographic information
geographic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250A (en
Inventor
석 김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25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공량을 포함하는 공사계획정보를 저장하는 공사정보-저장부와,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와, 공사계획정보 및 지리정보를 외부기기와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와,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서버정보처리부 및, 공사정보-저장부와 지리정보-저장부와 서버정보처리부 및 서버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구비하는 서버; 및 작업자와 장비운영자 및 현장관리자를 포함하는 현장요원으로부터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센서를 구비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지반정보 및 지형정보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정보처리부,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공사계획정보 및 지리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부와 센서부와 단말정보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단말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로 구성되어, 다수의 현장요원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 로 구성되어 단말-제어부는 서버통신부로부터 최신의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comprising: a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an earthwork amount, a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always keeping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and geographic information A server comprising a storage unit, a server-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ground information including soil and cancer classification from a field agent including an operator, an equipment operator, and a site manager,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a GPS sensor, ground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matching terrain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with server communication uni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unit, sensor unit and terminal information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processing unit, a terminal-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arried by a plurality of field personnel; The terminal-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relates to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Description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공현장 지리정보를 신속하게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에서 분석하여 전체 사업장에 공유함으로써, 토공 계획 실시간으로 개정되며, 현장 작업 요원들은 시간-장소에 상관없이 개정된 토공 계획 및 변경된 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t is revised in real time by the earthwork plan by passing the earthwork site geographic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nalyzing it on the server and sharing it to the entire work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that can identify revised earthwork plans and changed geographic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종래의 토공사 현장관리 시스템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발생 당일에 현장관리자가 확인한다. 확인된 상황을 현장 사무실에서 엑셀 혹은 워드로 작성 후 보고한다. 이와 같은 현장관리 시스템은 현장 상황을 사후 확인하고 집계하는 방법이다. 상황 발생과 대체 방안 사이에 약 1일가량의 시간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고 있으나, 이동과 공유가 용이한 디지털 정보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In the conventional earthwork site management system, the site manager confirms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at the site on the day of occurrence. Report the confirmed situation in the field office in Excel or Word. Such a site management system is a method of post-checking and counting the site situation. There is a one-day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ituation and the alternative. In addition, although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situation is stored as digital information, the situation that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digital information that is easy to move and share.

선행 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546708호 및 제10-1669029에 토공현장 계측방법 혹은 토공현장 계측데이터 기반 디지털맵 생성 등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토공현장 디지털맵을 생성하는 이유는, 디지털맵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공사관리계획 수립을 하기 위함이다. Prior Art Docume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10-1546708 and 10-1669029 disclose techniques such as earthworks measurement methods or digital map generation based on earthworks measurement data. The reason for creating earthworks digital map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using digital map.

토공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제지형과 계획도면을 비교하여 위치에 따른 토공량(성토량 및 절토량)을 계산해야 한다. 이렇게 계산된 토공량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장비의 운영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때, 지반정보 및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가 요구된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earthwork plan,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actual topography with the plan drawings to calculate the amount of earthwork (filling amount and cutting amount) according to the loc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soil volume information, the operation plan of the equipment should be prepared. At this tim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ground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is required.

지반정보는, 해당 지반이 토질 및 암의 분류를 의미한다. 해당 지반정보에 따라 절토량, 성토량이 달라지며, 따라서 장비 운영 방안 등도 변경 또는 개정될 수 있다. Geotechnical information means the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The amount of cut and fil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evant ground information. Therefore, the equipment operation plan may be changed or revised.

지형정보는, 토공사 현장의 표면 형상을 의미한다. 해당 지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계획 수립시, 건설장비(굴삭기, 도저, 휠로더, 트럭)의 이동경로를 제시하여, machine guidance 시스템하에서 장비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공사현장의 토질, 경사, 습윤도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이동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means the surface shape of the earthworks site. Based on the terrain information, when constructing a construction plan, the movement route of construction equipment (excavator, dozer, wheel loader, truck) can be sugges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can be improved under the machine guidanc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soil quality, slope and wetnes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movement route can be suggested.

또한, 토공사 현장에는 중, 대형 장비들이 설치되어있는 지역과, 각 장비들의 작업 영역들은 이동이 제한되거나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또한, 각종 자재 및 장비의 부자재들이 적재되어 있는 작업자 및 장비가 이동할 수 없는 공간들이 상존한다. 이러한 위험 또는 제한지역도 작업자 및 장비의 이동경로에서 제외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earthworks site is a region where large and large equipment is installed, and the work area of each equipment is an area where movement is limited or risks exist. In addition, there are spaces in which workers and equipment on which various materials and subsidiary materials of equipment are loaded cannot move. Such hazardous or restricted areas should also be excluded from the movement of personnel and equipment.

한편, 최근의 토공 장비는 그 작동이 반자동화되고 있으며, 우수한 가이던스 시스템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비롯한 고성능의 개인용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어, 경제활동중인 성인 대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다.Meanwhile, the recent earthwork equipment is semi-automated in operation, and excellent guidance systems are actively developed. In addition, the proliferation of high-performance personal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has expanded, and most of the economically active adults have at least one mobile device.

그러나 토공 현장에서는 소수의 현장 관리자가 여전히 수동으로 현장의 지리 정보를 정리하고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자들이 현장의 지리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공유시스템과 실시간 수집되는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계획 도면을 비롯한 공사계획정보를 개정할 수 있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at earthworks sites, few site managers still manually organize and enter geographic information for the site. Therefore, all workers can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on site using mobile devices, and can updat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plan drawings based on shared system updated in real time and geographic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Development of input systems and methods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10-154670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67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토공사 현장의 지반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현장요원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며, 이를 현장요원에게 다시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ground information of the earthworks site to the server in real time using a mobile device In addition, it provides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shared back to field personnel.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토공사의 계획도면 및 토공량을 포함하는 공사계획정보를 저장하는 공사정보-저장부와,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와, 공사계획정보 및 지리정보를 외부기기와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와,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서버정보처리부 및, 공사정보-저장부와 지리정보-저장부와 서버정보처리부 및 서버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구비하는 서버; 및 작업자와 장비운영자 및 현장관리자를 포함하는 현장요원으로부터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센서를 구비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지반정보 및 지형정보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정보처리부,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공사계획정보 및 지리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부와 센서부와 단말정보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단말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로 구성되어, 다수의 현장요원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로 구성되어, 단말-제어부는 서버통신부로부터 최신의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the plan drawing and earthwork volume of earthworks,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eographic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always maintaining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a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A server comprising a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a server-controlling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ground information including soil and cancer classification from a field agent including an operator, an equipment operator, and a site manager,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a GPS sensor, ground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matching terrain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with server communication uni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unit, sensor unit and terminal information It is composed of a terminal-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cessing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plurality of field personnel; consisting of, the terminal-control unit receive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는, 고도계를 더 구비하여, 지형정보는 고도계에서 측정된 고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timeter, so that the terrai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ltitud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ltimet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버정보처리부는,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토공사 현장의 3차원 지형 정보인 디지털맵을 생성하고,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는 디지털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generates a digital map of the three-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of the earthworks si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digital map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is preferr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는 토공사 현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유닛을 더 포함하고, 단말-제어부는 영상과 디지털맵 및 계획도면을 매칭시켜 증강현실 기법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더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of the earthworks site, and the terminal-control unit may match the image with the digital map and the plan drawing and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More preferred is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는, 방향-자세센서를 더 구비하여, 지형정보는 방향-자세센서가 측정한 방향정보 및 경사정보 기반으로 하여, 방향-경사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posture sensor, and the terrai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irection-tilt informa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inclin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rection-posture sensor.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an b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는 상기 현장요원으로부터, 토공사 현장 내의 현장요원 접근 위험지역과 자재적치상황 및 이동적합 지역정보를 포함한 상황정보를 입력받고, 지리정보는 상황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receives from the site personnel, the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ite personnel access danger zone in the earthworks site, material loading situation and mobile suitability area informa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the situation information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is possibl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는 토공사 현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황정보는 영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of the earthwork site,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xt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an imag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버정보처리부는, 서버통신부에서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계획정보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real-time planning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사계획정보가 변경되면, 서버-제어부는 공사계획정보가 변경됨을 모바일 기기로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이 바람직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s changed, the server-control unit is preferably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notifying the mobile device that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s change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현장요원은 입력부에 현장요원이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센서부에서 GPS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정보처리부에서, 지반정보 및 지형정보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통신부에서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하는 단계; 지리정보-저장부에 수신된 지리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서버정보처리부는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 및 공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공사계획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제어부는 서버통신부로부터 최신의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반정보 입력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at the field agent inputs the gr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by the field agent to the input unit; Generating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using a GPS sensor in the sensor unit; Generating, by th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geo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matching ground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Transmitting / receiv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Storing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lways maintain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unit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The terminal-control unit may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ground information input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공사 현장의 지반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현장요원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며, 이를 현장요원에게 다시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agent transmits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ground information of the earthworks site to the server in real time using a mobile device, it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hared back to the field agent.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지리정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토공 현장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서버 업데이트 및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토공 현장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작동 방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사계획투영도를 설명하는 개략도.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arthwork site for explain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of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arthwork site for explaining the server update and sharing of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lan projection diagram using augmented reality applied to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1First 실시예의Example 구성 Configu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지리정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토공 현장 개략도를 도시하였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struction site for explaining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of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작업자(11) 또는 장비운영자(12)를 포함하는 현장요원(10-1, -2, -3))들은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100, 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지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field personnel (10-1, -2, -3), including the worker 11 or the equipment operator 12) using their own mobile device (100, not shown) To transmit the ground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현장요원(10-1, -2, -3)은 각자가 작업하고 있는 위치의 지반 정보를 모바일 기기(100, 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현장요원(10-1, -2, -3)이 작업하는 각각의 지역은, 작업의 내용과 공정 진행상황 및 해당 지역의 지하 토향 구조 모두가 다를 수 있다. 현장요원(10-1, -2, -3)은 각자가 위치하고 있는 토공사 현장내 지역의 지반(1-1, 1-2)을 확인하여, 모바일기기(100, 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지반정보(111)를 전송한다.The field agents 10-1, -2, and -3 may transmit the ground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y are working to the server using the mobile device 100 (not shown). Each area where the field personnel 10-1, -2, -3 work may differ in both the content of the work, the progress of the process and the underground home structure of the area. Field agents (10-1, -2, -3) to check the ground (1-1, 1-2) of the area in the earthwork site where each is located, using a mobile device (100, not shown) server ( The ground information 111 is transmitted to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서버 업데이트 및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토공 현장 개략도를 도시하였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ite for explaining server updating and sharing of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서버(200)로 전송된 지반정보(111)가 현장요원(10-1, -2, -3)에게 다시 공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버(200)로 전송된 지반정보(111)는 각 현장요원(10-1, -2, -3)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하여 2차원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지반정보(111) 전송을 특정한 시간 또는 특정한 주기를 기준으로 반복함으로써, 토공사 현장의 공정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지반정보(111)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ground information 111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in FIG. 1 is shared again with the field agents 10-1, -2, and -3. In addition, the ground information 111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may be processed into two-dimens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field agent (10-1, -2, -3). In addition, by repe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ground information 111 based on a specific time or a specific period, it is possible to share the ground information 111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rocess of the earthworks site in real time.

따라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은, 모든 현장요원이 현장의 지반 정보를 수집함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토공사 현장의 지반정보(111) 변화를 실시간으로 정보화할 수 있다. 수집된 지반정보(111)는 수집 즉시 서버로 전송되어, 디지털 정보로 저장되어 다른 현장요원에게 공유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change of the ground information 111 of the earthworks site changes every moment by collecting the ground information of the site personnel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Collected ground information 111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mmediately after collection, has the feature that can be stored as digital information and shared to other field personne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은 현장요원(10)과 모바일 기기(100) 및 서버(2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eld agent 10, a mobile device 100, and a server 200.

현장요원(10)은 작업자(11)와 장비운영자(12)를 포함하며, 현장 관리자 및 안전관리자 및 모든 토공사 현장관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ield agent 10 includes a worker 11 and an equipment operator 12, and may include a site manager and a safety manager and all earthwork site workers.

모바일 기기(100)는 입력부(110)와 센서부(120)와 단말정보처리부(130)와 단말통신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 및 단말-제어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terminal-control unit 160.

입력부(110)는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111)를 입력받으며, 센서부(120)는 GPS센서(121)를 구비하여 위치정보(121-1)를 포함하는 지형정보(120-1)를 생성한다. 단말정보처리부(130)는 지반정보(111) 및 지형정보(120-1)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지리정보(130-1)를 생성한다. 단말통신부(140)는 지리정보(130-1) 및 공사계획정보(211)를 서버통신부(230)와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공사계획정보(211) 및 지리정보(130-1)를 디스플레이하며, 단말-제어부(160) 입력부(110)와 센서부(120)와 단말정보처리부(130)와 디스플레이부(150) 및 단말통신부(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ground information 111 including a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and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a GPS sensor 121 and includes topographic information 120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121-1. -1) Th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or 130 generat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generated by matching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terrain information 120-1.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and receiv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includes a terminal-control unit 160, an input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and a display unit. At least one of the 150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controls the operation.

서버(200)는 공사정보-저장부(210)와 지리정보-저장부(220)와 서버통신부(230)와, 서버정보처리부(240) 및 서버-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include a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a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a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and a server control unit 250.

공사정보-저장부(210)는 토공사의 계획도면(211-1)을 포함하는 공사계획정보(210)를 저장하며, 지리정보-저장부(220)는 지리정보(130-1)를 저장하한다. 서버통신부(230)는 공사계획정보(210) 및 지리정보(130-1)를 외부기기와 송수신한다. 서버정보처리부(240) 수신된 지리정보(130-1)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130-10 및 공사계획정보(211)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50)는 공사정보-저장부(210)와 지리정보-저장부(220)와 서버정보처리부(230) 및 서버통신부(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210 stores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0 including the plan drawing 211-1 of the earthworks,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220 stor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d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nd receives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0 an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with an external device.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keep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0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unit always up to date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210,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220,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0,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40.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의 단말-제어부(160)는 서버(200)의 서버통신부(230)로부터 최신의 지리정보(130-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control unit 160 of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130-1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server 200 and display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130-1 on the display unit 150. do.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토공사 현장의 영상(112-1, 미도시)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유닛(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는 영상(112-1)과 디지털맵(241) 및 계획도면(211-1)을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맵(241)과 계획도면(211-1)을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input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2 that may acquire an image 112-1 (not shown) of the earthworks site. The terminal controller may match the image 112-1 with the digital map 241 and the plan drawing 211-1 to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digital map 241 and the plan drawing 211-1 may be displayed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서버정보처리부(240)는,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토공사 현장의 3차원 지형 정보인 디지털맵을 생성한다. 또한,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리정보는 디지털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or 240 generates a digital map that is three-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of the earthworks site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terrai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gital map.

또한, 현장요원(10)은 상황정보(113)를 입력부(110)에 입력할 수 있다. 상황정보(113)는 토공사 현장 내의 접근 위험지역과 자재적치상황 및 이동적합 지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요원(10)은 영상획득유닛(112)을 이용하여, 상황정보(113)에 해당하는 장소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리정보(130-1)는 상황정보(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eld agent 10 may input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to the input unit 110. Situation information 113 may include access danger zones, material loading situation and mobile suitability area information in the earthworks site. In addition, the field agent 10 may acquire an image of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by us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2. In this ca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may further include context information 113.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120)는, 고도계(122)를 더 구비하여 고도정보(122-1)를 생성하고, 지형정보(120-1) 고도정보(1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방향-자세센서(123)를 더 구비하여, 방향과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방향-자세센서(123)는 즉, 토공사 현장에서 특정 위치의 기울기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방향-자세센서(123)는, 측정한 방향정보 및 경사정보 기반으로하여, 방향-경사 정보(123-1)를 생성할 수 있다. 지형정보(120-1)는 방향-경사 정보(12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unit 120 further includes an altimeter to generate altitude information 122-1, and further includes terrain information 120-1 and altitude information 122-1. I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posture sensor 123 to measure a direction and a posture. That is, the direction-posture sensor 123 may measure the inclina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pecific position at the earthwork site. The direction-posture sensor 123 may generate the direction-tilt information 123-1 based on the measured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slope information. The terrain information 120-1 may further include direction-tilt information 123-1.

또한, 서버정보처리부(240)는, 서버통신부(230)에서 수신된 지리정보(130-1)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계획정보(211)를 실시간으로 변경한다. 공사계획정보(211)가 변경되면, 서버-제어부(250)는 모바일 기기로 알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or 240 changes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in real time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receiv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When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is changed, the server-control unit 250 may notify the mobile device.

제 1First 실시예의Example 동작 a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작동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였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현장요원(10)은 모바일 기기(100)에 구비되는 입력부(110)에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111)를 입력한다(S01). 지반정보(111)는 정형화된 문자 정보로 입력할 수 있으며, 영상확보유닛(112)를 이용하여 비정형 영상정보로 입력할 수도 있다. 비정형 영상 정보로 입력된 지반정보(111)는 토공사 현장의 다른 현장요원(10) 또는 다른 지반 전문가가 온라인으로 판별하여 정형화 정보로 재생성 될 수 있다.First, the field agent 10 inputs the ground information 111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into the input unit 110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100 (S01). The ground information 111 may be input as standardized character information, or may be input as unstructured image information using the image obtaining unit 112. The ground information 111 inputted as the atypical image information may be reconstructed as standardized information by being identified online by another field agent 10 or another ground expert in the earthworks site.

또한, 지반정보(111) 입력시 해당 지역의 상황정보(113)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상황정보(113) 또한, 정형화된 문자 정보 및 영상획득유닛(112)을 이용하여 영상정보로 생성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ound information 111 is input, context information 113 of a corresponding region may be input together. The contextual information 113 may also be generated and input as image information using the standardized text information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2.

모바일 기기(100)에 구비된 센서부(120)부는 지형정보(120-1)를 생성한다(S02).The sensor unit 120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100 generates the terrain information 120-1 (S02).

지형정보(120-1)는 지반정보(111) 및 상황정보(113)이 입력되는 지점의 위정보(121-1)를 포함한 지형의 형상 정보이다. 지반정보(111) 및 상황정보(113)는 해당 정보가 생성되는, 즉 해당 정보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정보와 매칭되어야 한다. 위치정보(121-1)는 GPS센서(121)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terrain information 120-1 is shape information of the terrai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121-1 of the point where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are input.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should be match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that is, the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is loc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121-1 may be generated using the GPS sensor 121.

GPS센서(121)를 이용한 위치정보(121-1)는 2차원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토공사 현장은, 작업 영역에 따라서 절토 및 성토작업등 각각의 작업 내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토공사 현장의 지반정보(111) 및 상황정보(113)는 3차원적 위치정보와 매칭되어야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121-1 using the GPS sensor 121 provides two-dimensional information. However, in the earthworks site, the contents of each work such as cutting and fill work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 area. Therefore,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of the earthworks site should be matched with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모바일 기기(100)의 센서부(120)는, 고도계(122) 및 방향-자세센서(123)를 더 구비함으로써, 3차원 지형정보(120-1)를 생성할 수 있다. 고도계(122)는 기압측정방법등을 이용하여 고도정보(122-1)를 생성할 수 있다. 방향-자세센서(123)는 지자계, 또는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경사정보(123-1)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of the mobi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the altimeter 122 and the direction-posture sensor 123 to generate the 3D terrain information 120-1. The altimeter 122 may generate the altitude information 122-1 using a barometric pressure measurement method. The direction-posture sensor 123 may generate the direction-tilt information 123-1 by using a geomagnetic field or a gravity sensor.

따라서, 센서부(120)는 2차원 위치정보(121-1)와 고도정보(122-1)를 포함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방향-경사 정보(123-1)를 이용하여, 토공사 현자의 3차원 형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20 may generate 3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2D location information 121-1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122-1.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he earthwork sage can be generated using the direction-tilt information 123-1.

단말정보처리부는 지반정보(111) 및 지형정보(113)를 매칭하여 지리정보 생성한다(S03)하며, 단말통신부(140)는 지리정보(130-1) 및 공사계획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한다(S04). 또한, 서버정보처리부(240)는 지리정보-저장부(220)에 지리정보(130-1)가 저장되고, 수신된 지리정보(130-1)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220)에 저장된 상기 지리정보(130-1) 및 공사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공사계획정보(211)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한다(S05).Th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generates geographic information by matching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terrain information 113 (S03),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and receiv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S04). In addition,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or 240 stor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220 and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220.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stored i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stored i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210 is always kept up to date (S05).

모바일 기기(100)에서 생성된 지리정보(130-1)는 다수의 현장요원(10)이 각자의 작업 위치에서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지리정보(130-1)는 서버의 지리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저장된 지리정보(130-1)는 다른 현장요원(10)에 의해 전송되는 새로운 지리정보(130-1)에 의해 변경/개정될 수 있다.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100 i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field agents 10 at their respective work locations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transmitt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is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of the server. The stor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may be changed / modified by new geographic information 130-1 transmitted by another field agent 10.

또한, 공사계획정보(211)는 현장관리자를 포함하는 공사계획을 주관하는 특정한 관리자에 의해서 미리 입력될 수 있다. 공사계획정보는 계획도면 또는 절토 작업과 성토작업 일정 및 토공사장의 예상 이동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계획정보(211)는 토공사 개시 이전에 예측된 지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립될 수 있다. 토공사 진행과정에서 지반정보(111)가 예측된 지반정보와 상이하거나, 진행일정이 변경되면, 공사계획정보는 변경/개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may be input in advance by a specific manager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plan including the site manager.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may include planning drawings or cut works, schedules for filling work, and information on expected movement routes of the earthworks.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may be established based on the ground information predicted before the start of earthworks. If the ground information 111 differs from the predicted ground information or the progress schedule is changed in the course of earthworks,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may be changed / revised.

단말-제어부(160)는 서버통신부(230)로부터 최신의 지리정보(130-1) 및 상기 공사계획정보(21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S06).The terminal-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50 (S06).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정보처리부(240)는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지리정보(130-1)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정보저장부(220)에 저장된 지리정보(130-1) 및 공사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공사계획정보(211)를 변경/개정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는 변경/개정된 공사계획정보(211)를 전송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is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tha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stored in 210 is changed / modified to maintain the latest state. At this time, the mobile device 100 may receive the changed / revise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즉, 현장요원(10) 또는 모바일 기기(100)를 통하여 입력한 특정 지점의 지리정보(130-1)는 서버(200)에서 취합된다. 취합된 지리정보(130-1)는 토공사 현장 전체의 위치별 3차원 지리정보로 재생성된다. 이렇게 재 생성된 토공사 현장 전체의 3차원 지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최초 수립된 공사계획정보(211)가 변경/개정되어 최신상태를 유지한다. 현장요원(10)은 이렇게 변경/개정된 공사계획정보(211)를 수신하여, 본인의 작업과 연관된 변경사항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of a specific point input through the field agent 10 or the mobile device 100 is collected by the server 200. The collected geographic information 130-1 is reproduced as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of the entire earthworks sit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ground information of the entire earthwork site re-created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established initially is changed / revised to maintain the latest state. The on-site agent 10 can receive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changed / revis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the changes associated with his work.

또한, 각각의 현장요원(10)은 토공사 현장의 다른 작업 지점에서의 지반정보(111) 및 상황정보(113)를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장요원(10)은 서버에서 취합된 토공사 현장 전체의 위치별 3차원 지리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다. 토공사 현장의 전체의 위치별 3차원 지리정보는 디지털(digatal)화된 지도(map)정보로서 디지털맵으로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field agent 10 can not check the ground information 111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113 at different work points of the earthworks site. However, the field agent 10 can receive and confirm the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of the entire earthworks site collected from the server. The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of the earthworks site may be generated as a digital map as digitalized map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100)를 휴대하는 모든 현장요원(10)은 동일한 공사계획정보(211) 및 토공상 현장 전체의 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field agents 10 carrying the mobile device 100 share the sam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and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entire site on earthwork in real time. can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사계획투영도를 설명하는 개략도를 도시하였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lan proj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pplied to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은 토공사 현장의 지리정보(130-1)와 공사계획정보(211)를 디지털 정보로 제어한다. 또한, 지리정보(130-1)와 공사계획정보(211)는 3차원 구조 형상에 정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정보로 가공된 지리정보(130-1)와 공사계획정보(211)는 증강현실 기법으로 디스플레이부(150)에서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of the earthworks site with digit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are information o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hape.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processed as digital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즉, 토공사 현장의 지리정보(130-1)과 계획도면(211-1) 및 공사계획정보(211)를 동시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의 위치센서를 이용함으로써, 현장요원(1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의 증강 현실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geographic information 130-1 of the earthworks site, the plan drawing 211-1,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211 may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by using the posi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of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eld agent 10.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claims may be incorporated into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현장요원
11. 작업자
12. 장비운영자
100. 모바일 기기
110. 입력부
120. 센서부
130. 단말정보처리부
140. 단말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단말-제어부
200. 서버
210. 공사정보-저장부
220. 지리정보-저장부
230. 서버통신부
240. 서버정보처리부
250. 서버-제어부
10. Field Agent
11. Worker
12. Equipment operator
100. Mobile Device
110. Input section
120. Sensor
130.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50. Display unit
160. Terminal-controller
200. Server
210. Construction Information-Storage Department
220.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230. Server Communication Department
240.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50. Server Control

Claims (10)

토공사 현장에서 지리정보(Geographic Information)를 측정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공사의 계획도면 및 토공량을 포함하는 공사계획정보를 저장하는 공사정보-저장부와, 상기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와, 상기 공사계획정보 및 상기 지리정보를 외부기기와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리정보 및 상기 공사계획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서버정보처리부 및, 상기 공사정보-저장부와 상기 지리정보-저장부와 상기 서버정보처리부 및 상기 서버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구비하는 서버; 및
작업자와 장비운영자 및 현장관리자를 포함하는 현장요원으로부터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GPS센서를 구비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지반정보 및 상기 지형정보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상기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정보처리부, 상기 지리정보 및 상기 공사계획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공사계획정보 및 상기 지리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단말정보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로 구성되어, 다수의 상기 현장요원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 로 구성되어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서버통신부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센서부는, 고도계를 구비하여 상기 지형정보는 상기 고도계에서 측정된 고도정보를 포함하고, 방향-자세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지형정보는 상기 방향-자세센서가 측정한 방향정보 및 경사정보 기반으로 하여, 방향-경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현장요원으로부터, 상기 토공사 현장 내의 상기 현장요원 접근 위험지역과 자재적치상황 및 이동적합 지역정보를 포함한 상황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상황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정보처리부는, 상기 서버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공사계획정보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고,
상기 공사계획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공사계획정보가 변경됨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In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measuring geographic information at the site of earthworks,
A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a plan drawing and earthwork amount of the earthworks, a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for stor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ich keeps up-to-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information-storing unit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A server comprising a storage unit and a server-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Input unit for receiving gr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from the field personnel, including operators and equipment operators and field managers, Sensor unit for generating the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a GPS sensor, the ground information and A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matching the terrain information,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terminal-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the sensor unit, th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nsist of
The terminal-control unit receives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n altimeter and the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es altitud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ltimeter, and includes a direction-posture sensor, wherein the topographic information is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inclin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rection-posture sensor. To include direction-inclination information,
The input unit receives, from the site personnel, the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ite personnel access danger zone, material loading situation, and mobile suitability area information in the earthworks site,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es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hanges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 real time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s changed, the server-controller notifies the mobile device that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s chang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정보처리부는,
상기 지리정보 및 상기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토공사 현장의 3차원 지형 정보인 디지털맵을 생성하고,
상기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디지털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terrain information to generate a digital map of the three-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of the earthworks,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ing unit further comprises the digital ma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토공사 현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영상과 상기 디지털맵 및 상기 계획도면을 매칭시켜 증강현실 기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of the earthwork site,
And the terminal-control unit matches the image with the digital map and the plan drawing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토공사 현장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정보는 상기 영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of the earthwork site,
The contextual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the video.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의 모바일 지리정보 입력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현장요원은 입력부에 상기 현장요원이 토질 및 암의 분류를 포함하는 지반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센서부에서 GPS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정보처리부에서, 상기 지반정보 및 상기 지형정보가 매칭되어 생성되는 상기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통신부에서 상기 지리정보 및 공사계획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와 송수신하는 단계;
지리정보-저장부에 상기 수신된 지리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서버정보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리정보 및 공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공사계획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서버통신부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리정보 및 상기 공사계획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바일 지반정보 입력 시스템의 작동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input system of claim 1,
A field agent inputting, by an input unit, ground information including a classification of soil and cancer by the field agent;
Generating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using a GPS sensor in the sensor unit;
Generating, by a terminal information processor, the geo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matching the ground information with the topographic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by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Storing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unit;
Maintaining, by a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storage unit and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received geographic information at all times;
And the terminal-control unit receiving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ing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KR1020170146682A 2017-11-06 2017-11-06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KR102075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82A KR102075825B1 (en) 2017-11-06 2017-11-06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82A KR102075825B1 (en) 2017-11-06 2017-11-06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50A KR20190051250A (en) 2019-05-15
KR102075825B1 true KR102075825B1 (en) 2020-02-10

Family

ID=6657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82A KR102075825B1 (en) 2017-11-06 2017-11-06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764A (en) 2020-12-18 2022-06-2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Generating System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KR20230091551A (en) 2021-12-16 2023-06-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1709B2 (en) * 2020-01-07 2023-03-17 日立建機株式会社 Work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chine management device
KR20230046599A (en) 2021-09-30 2023-04-06 박나현 Senior's Meal
KR20230070135A (en) 2021-11-13 2023-05-22 조새로아 Milkit wrapper with freshness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33B1 (en) * 2002-01-17 2003-05-22 Baytech Korea Inc System for managing civil engineering measurement in real time
JP2004326445A (en) * 2003-04-24 2004-11-18 Reideikku:Kk Ground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08B1 (en) 2015-03-02 2015-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the excavcated soil volume using 3d scan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33B1 (en) * 2002-01-17 2003-05-22 Baytech Korea Inc System for managing civil engineering measurement in real time
JP2004326445A (en) * 2003-04-24 2004-11-18 Reideikku:Kk Ground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764A (en) 2020-12-18 2022-06-2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Generating System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KR102550510B1 (en) 2020-12-18 2023-06-3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Generating System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KR20230091551A (en) 2021-12-16 2023-06-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50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825B1 (en) Mobile Geographical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11783248B2 (en) United states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1571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relative to a worksite area
Riaz et al. SightSafety: A hybri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ystem for reducing vehicle/pedestrian collisions
CA2875184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pdating geographical data
AU2016201912B2 (en) Automated material tagging system
AU2016200721B2 (en) Monitoring an environment
AU2014274650B2 (en) Processing of terrain data
JP2017071916A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N104533528B (en) Adopt the fine mining system of surface mine and the mining methods of GNSS technology
AU2014274647A1 (en) Determining terrain model error
CN103632509A (e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digital and intelligent mine alarm linkage method and platform thereof
JP2017048646A (en) Construction management device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tunnel working face
Fahle et al. Analysis of SLAM-based lidar data quality metrics for geotechnical underground monitoring
CN116843850B (en) Emergency terrain data acquisi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863730B2 (en) Tunnel face construction management device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Pradhananga Construction site safety analysis for human-equipment interaction using spatio-temporal data
CN114365117A (en) Image-based productivity tracking system
US108249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KR101876899B1 (en) GPS based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De Graaf et al. Slope monitoring and data visualisation state-of-the-art–advancing to Rio Tinto Iron Ore’s Mine of the future™
Keskin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based disaster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platform: AYDES
Pradhananga et al. GPS-based framework towards more realistic and real-time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simulation
KR102613634B1 (en) Construction equipment mobile navigation system
Nan et al. Research on the use drones for monitoring and resources valorification in the extractiv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