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65B1 -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 Google Patents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765B1
KR102074765B1 KR1020190107070A KR20190107070A KR102074765B1 KR 102074765 B1 KR102074765 B1 KR 102074765B1 KR 1020190107070 A KR1020190107070 A KR 1020190107070A KR 20190107070 A KR20190107070 A KR 20190107070A KR 102074765 B1 KR102074765 B1 KR 10207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brow
line
semi
permanent
makeup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숙
김상래
Original Assignee
진현숙
김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숙, 김상래 filed Critical 진현숙
Priority to KR102019010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30Masks for marking lips or eyela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25Semi-permanent tattoos, stencils, e.g. "permanent make-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간과 인접한 눈썹의 내측 영역에 제1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1단계;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바깥에 위치하는 눈썹의 외측 영역에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사이의 중심 영역에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다른 제3방향으로 복수의 곡선 또는 직선을 표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Make-up Method of Eyebrow Semi-Permanently and Sticker using thereof and Tape using thereof and Practice Device using thereof and Exercise Pa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영구적인 문신과 달리, 일시적으로 눈썹 메이크업을 통하여 숱이 적은 부분을 보완하고, 보다 자연스럽고 멋스러운 눈썹의 형상이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make-up)의 사전적 의미는 ‘제작하다, 보완하다’라는 뜻으로써, 일반적 의미는 화장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장점을 부각하고 단점은 수정 및 보완하는 미적 행위이며 자신의 정체성, 가치관을 표현하기 위해 행해진다.
과거 눈썹 메이크업으로는 단순히 눈썹을 뽑거나 그리거나 다듬어서 형상 또는 색상을 변형하는 정도로 행해졌으며, 또는 얼굴 메이크업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눈썹 메이크업은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수 주에서 수 개월 마다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한 발 더 나아가 영구적인 눈썹 문신을 하는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적인 눈썹 문신은 단기간이지만 진한 색상의 눈썹을 유지해야만 했고, 눈썹의 형상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지우거나 변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눈썹 메이크업이나 눈썹 문신은 신체적으로 가진 콤플렉스를 극복하거나 또는 일부 보완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 그 목적을 공유하지만, 눈썹 메이크업의 경우 너무 단기간에 주기가 반복되어야 하고, 반대로 눈썹 문신은 거의 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양 자간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영구적이지 않으면서 눈썹 메이크업에 비하여 유지 기간이 긴 새로운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에 관한 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16-00107622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기술은 시술자의 기술 숙련도에 따라서 결과치가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눈썹을 표현하는 선 하나 하나의 기준이 모호하여 숙련 과정을 통해서도 균일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결과치를 얻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눈썹의 선 하나 하나 표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균일한 눈썹 메이크업의 결과치를 유지할 수 있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간과 인접한 눈썹의 내측 영역에 제1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1단계;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바깥에 위치하는 눈썹의 외측 영역에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사이의 중심 영역에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다른 제3방향으로 복수의 곡선 또는 직선을 표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는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곡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단계는 눈썹의 상부 선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곡선으로 연결하며, 제3단계는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곡선들 사이를 상부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평면 좌표를 기준으로 원점O(0,0)에서 A0(2,3)을 연결하는 제1선과, 상기 제1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n선(n은 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은 원점을 출발하여 A0점에서 완료되기 전에 P1(1,2)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1+n선은 상기 제1선과 인접하게 눈썹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2선과, 상기 제2선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3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3선의 종료 위치인 A3(4,3)에서 O8(8,0)을 연결하는 제4선과, 상기 제4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n선(n은 8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n선은 상기 제4선으로부터 눈썹의 바깥쪽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5선 내지 제12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선은 A3(4,3)에서 O8(8,0)까지 연결되기 전에 P2(6,2) 지점을 경유하는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O3(3,0)에서 상기 제4선과 x=5가 교차하는 위치(P3)를 연결하는 제13선과, O4(4.0)에서 상기 제4선과 x=6이 교차하는 위치(P2)를 연결하는 제14선과, O5(5,0)에서 상기 제4선과 x=7이 교차하는 위치(P4)를 연결하는 제15선 및 O6(6.0)에서 O8(8,0)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6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은 눈썹의 상기 내측 영역 및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선과 선 사이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 연결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A2(3,3)을 연결하는 제17선과, O1(1,0)에서 A3(4,3)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8선과, O2(2,0)에서 상기 P3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9선과, O3(3,0)에서 상기 P2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0선과, O4(4,0)에서 상기 P4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1선 및 O5(5,0)에서 O8(8,0)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2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형성된 선은 각 단계별로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이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에서 형성된 각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필름;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형성된 눈썹이 상기 제1필름의 일 면에 표현된 염료층 및 상기 제1필름의 타 면에 부착되는 제2필름;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를 제공한다.
상기 제1필름은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필름;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각 선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1필름 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제1필름은 일 면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 상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눈썹 인쇄층 및 상기 패드부 배면에 구비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메이크업 실습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메이크업 실습기구는 두상 또는 흉상으로 형성된 인체 모형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가 상기 인체 모형물의 눈썹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장 또는 복수장이 묶음으로 이루어진 종이 및 상기 종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상기 종이의 일 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눈썹 패턴;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메이크업 연습패드는 상기 종이와 눈썹 패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눈썹 패턴이 상기 종이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에 따르면,
첫째, 눈썹을 내측, 중심,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 마다 눈썹 선을 표현하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숙련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눈썹 선의 표현 기준을 통해 숙련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균일한 결과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셋째, 시술자 눈썹 영역의 다양한 형태나 눈썹 형상에 따라서 빠르게 적용 및 응용할 수 있고,
넷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 테이프, 실습기구 및 연습패드를 통해서 다양한 방법의 눈썹 메이크업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눈썹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눈썹 영역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의 제1단계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의 제2단계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의 제3단계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의 제4단계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눈썹의 형상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실습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눈썹 영역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은 눈썹 메이크업을 받는 대상자의 눈썹을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곡선이나 직선을 표현함으로써 눈썹과 유사한 형상의 메이크업이 완성된다.
이러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방법은 먼저, 대상자의 미간에 인접한 눈썹 내측 영역과, 내측 영역에서 보다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영역 및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사이에 배치된 중심 영역으로 눈썹을 분할한다.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각 영역 별 표현에 관한 특징은 후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대상자는 눈썹 시술을 받는 사람이고, 시술자는 눈썹 시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지칭한다.
도 1에서는 대상자의 좌측 눈썹을 일 예로 설명하며, 우측 눈썹은 좌측 눈썹과 대칭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은 전동 기구를 이용한 머신 기법과, 전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하는 엠보 기법 및 여러 가지 기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콤보 기법 등의 모든 기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통해 눈썹 시술을 하면, 약 16~22선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시술이 매우 간단하여 시술 시간이 짧고, 대상자의 표피층의 약 0.04 ~ 0.06mm 깊이로 이루어져 출혈과 통증이 적고 안전한 이점이 있다. 게다가,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방법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이를 배우는 교육 기간이 짧아 단기간에 숙련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의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은 제1단계(S110) 내지 제4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제1단계(S110) 내지 제4단계(S140)에서 각각 표현되는 눈썹을 평면 좌표(x, y)를 기준으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제1단계(S110)는 눈썹의 내측 영역에 복수의 곡선을 이용하여 눈썹을 표현하는 단계로써, 제1방향을 따라서 시술한다.
내측 영역은 대상자의 미간에 인접한 영역으로 대게 제1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눈썹이 형성된다. 제1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선단 우측을 향하여 휘어진다. 물론, 눈썹의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및 중심 영역은 눈썹의 형태나 길이에 따라서 그 높이나 각도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후기한다.
제1단계(S110)에서는 원점(0, 0)에서 A0(2, 3)를 연결하는 제1선(L1)과, 제1선(L1)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n선(n은 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단계(S110)는 n값의 최대값인 2를 적용하여 제2선(L2) 및 제3(L3)선을 포함한다. 즉, O1(1, 0)에서 A1(3, 3)을 연결하는 제2선(L2)과, O2(2, 0)에서 A2(4, 3)을 연결하는 제3선(L3)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단계(S110)가 제1선(L1) 내지 제3선(L3)을 포함하고 있으나, 눈썹의 사이즈에 따라서 선의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제1선(L1) 내지 제3선(L3)은 모두 같은 길이와 아크(Arc)를 가지고 있으며, 평면 좌표에서 설명된 각 선들은 선과 선 사이의 길이, 각도, 간격 등을 나타내기 위해 표현될 뿐, 실제 대상자의 눈썹으로 표현할 때에는 대상자의 눈썹 형상과 사이즈에 따라서 길이, 각도, 간격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단계(S110)에서 제1선(L1)은 원점(0, 0)에서 A0(2, 3)점의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P1(1, 2)점을 경유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x축을 기준으로 제1선(L1)의 각도는 시작점인 원점(0, 0)에서 경유점 P1(1, 2))까지의 크기가 P1(1, 2)에서 A0(2, 3)까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선단으로 갈수록 선이 더 휘어질 수 있다.
제2단계(S120)는 눈썹의 외측 영역에 복수의 곡선을 이용하여 눈썹을 표현하는 단계로써, 제2방향을 따라서 시술한다. 제2방향은 눈썹의 상부 선단에서 하부 선단 우측을 향하여 휘어진다. 예컨대, 제1방향과 제2방향(도 3 기준, 즉 좌측 눈썹 기준)을 연결하면 시계방향과 유사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단계(S120)에서 표현되는 눈썹의 외측 영역은 제1단계(S110)에서 표현된 눈썹의 내측 영역보다 크다. 예컨대,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의 비율은 1:2 ~ 1:5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의 비율이 약 1:3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단계(S120)는 제1단계(S110)에서 마지막 선의 종료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계(S110)에서 마지막 선이 제3선(L3)인 경우, 제3선(L3)의 종료점인 A2(4, 3)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2단계(S120)는 A2(4, 3)에서 O8(8, 0)을 연결하는 제4선(L4)과, 제4선(L4)과 동일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n선(n은 8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단계(S120)는 제1단계(S110)에 비하여 선의 수가 많고, x축 방향으로 선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영역의 크기에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단계(S120)는 n값의 최대값인 8을 적용하여 제4선(L4) 내지 제12선(L12)을 포함한다. 즉, 제4+n선은 A3(5, 3)에서 O9(9, 0)을 연결하는 제5선(L5)과, A4(6, 3)에서 O10(10, 0)을 연결하는 제6선(L6)과, A5(7, 3)에서 O11(11, 0)을 연결하는 제7선(L7)과, A6(8, 3)에서 O12(12, 0)을 연결하는 제8선(L8)과, A7(9, 3)에서 O13(13, 0)을 연결하는 제9선(L9)과, A8(10, 3)에서 O14(14, 0)을 연결하는 제10선(L10)과, A9(11, 3)에서 O15(15, 0)을 연결하는 제11선(L11)과, A10(12, 3)에서 O16(16, 0)을 연결하는 제12선(L12)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2단계(S120)가 제4선(L4) 내지 제12선(L12)을 포함하고 있으나, 눈썹의 사이즈에 따라서 선의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제4선(L4) 내지 제12선(L12)은 모두 같은 길이와 아크(Arc)를 가지며, 대상자의 눈썹 형상과 사이즈에 따라서 길이, 각도, 간격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제2단계(S120)에서 제4선(L4)은 A2(4, 3)에서 O8(8, 0)점 사이를 연결하기 전에 P2(6, 2)점을 경유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x축을 기준으로 제4선(L4)의 각도는 A2(4, 3)점에서 경유점 P2(6, 2)까지의 크기가 P2(6, 2)에서 O8(8, 0)까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단계(S120)에서 제4선(L4) 내지 제12선(L12)은 순차적으로 눈썹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고, 또한 외측 영역의 외곽(예컨대, 제4선 및 제12선)을 표현하고, 외측 영역의 내부를 균일한 간격으로 채워나가는 방법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3단계(S130)는 중심 영역에서 제3선(L3)과 제4선(L4)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운다.
제3단계(S130)는 O3(3,0)에서 제4선과 x=5가 교차하는 P3점을 연결하는 제13선(L13)과, O4(4.0)에서 제4선(L4)과 x=6이 교차하는 P2(6, 2)를 연결하는 제14선(L14)과, O5(5,0)에서 제4선과 x=7이 교차하는 P4점을 연결하는 제15선(L15)과, O6(6.0)에서 O8(8,0)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6선(L16)을 포함한다. 제3단계(S130)는 제13선(L13)에서 제15선(L15)으로 갈수록 길이가 줄어들고, 아크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제16선(L16)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3선(L13)에서 제16선(L16)으로 갈수록 길이가 줄어들고, 아크가 작아지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3단계(S130)에서 형성된 선은 제1단계(S110)에서 형성된 선에 비하여 x축을 기준으로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단계(S110) 내지 제3단계(S130)에서 형성된 각 선들은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눈썹의 하부 선단에 인접한 선이 상부 선단에 인접한 선에 비하여 x축을 기준으로 각도가 크기 때문에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각도가 작아지면서 선과 선 사이의 간격 또한 좁아지게 된다.
제4단계(S140)는 제1선(L1) 내지 제3선(L3), 제13선(L13) 내지 제16선(L16)의 각 선과 선 사이를 연결한다.
제4단계(S140)는 제1선(L1)과 제2선(L2) 사이를 연결하는 제17선(L17)과, 제2선(L2)과 제3선(L3) 사이를 연결하는 제18선(L18)과, 제3선(L3)과 제13선(L13) 사이를 연결하는 제19선(L19)과, 제13선(L13)과 제14선(L14) 사이를 연결하는 제20선(L20)과, 제14선(L14)과 제15선(L15) 사이를 연결하는 제21선(L21) 및 제15선(L15)과 제16선(L16) 사이를 연결하는 제22선(L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각 선의 서로 다른 끝을 연결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끝과 끝을 연결하지 않고, 각 선의 설정된 지점(예컨대, 시작점은 제1선의 하부 1/4 지점에서 종료점은 제2선의 상부 1/4 지점을 연결) 또는 중심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7선(L17)은 원점에서 A1(3, 3)을 연결하고, 제18선(L18)은 O1(1,0)에서 A2(4,3)을 연결하고, 제19선(L19)은 O2(2,0)에서 P3를 연결하고, 제20선(L20)은 O3(3,0)에서 P2(6, 2)를 연결하고, 제21선(L21)은 O4(4,0)에서 P4를 연결하고, 제22선(L22)은 O5(5,0)에서 O8(8,0)을 연결한다.
이때 제17선(L17) 내지 제22선(L22)은 곡선으로 연결되고, 무엇보다도 제1단계(S110) 및 제3단계(S130)에서 형성된 각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눈썹의 형상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은 다양한 형상, 크기, 위치에 따른 눈썹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a)는 표준형, 도 7(b)는 수평형, 도 7(c)는 상승형, 도 7(d)는 아치형, 도 7(e)는 처진형의 눈썹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습득하면, 이러한 다양한 눈썹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눈썹 패턴을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더불어 다양한 눈썹의 크기(Size)나 위치에 대응한 눈썹 패턴의 표현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20)는 제1필름(21)과, 제1필름(21)의 일 면 또는 타 면에 형성된 염료층(22) 및 제1필름(21)의 타 면에 부착되는 제2필름(23)을 포함한다.
제1필름(2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염료층(22)은 앞서 언급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형성된 눈썹 패턴(P)으로 제1필름(21)의 전면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점착층(미도시)이 구비된다. 제2필름(23)은 제1필름(21)을 대상자가 부착하기 전까지 제1필름(21)의 보호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필름(23)으로부터 제1필름(21)을 떼어내고, 대상자의 눈썹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화장이나 별도의 시술 없이 눈썹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눈썹이 없거나 눈썹 제모를 한 대상자가 개인적인 단점을 보완하거나, 배우로써 대상자의 눈썹으로 표현할 수 없는 특이 형상의 눈썹을 표현하고자 할 때, 눈썹 스티커(20)를 통해 이를 일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1필름(21)은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눈썹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대상자의 눈썹 위치에서 안면 골격에 대응하여 부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는 제1필름(21)의 타 면에 눈썹 패턴(P) 형상의 염료층(22)이 배치되고, 제1필름(21)의 타 면에서 염료층을 제외한 면적에 점착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염료층(22)은 헤나(Henna)에 사용되는 염료를 주 원료로 포함할 수 있다. 헤나는 염색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스티커(20)를 눈썹 위치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티커를 제거하면 피부에 눈썹 패턴(P)으로 착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눈썹 패턴(P)은 자연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30)는 일반적인 감압 테이프 구조, 또는 스카치 테이프와 같이 디스펜서에서 인출되는 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30)는 일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부(31)와, 필름부(31)를 관통하도록 앞서 언급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형성된 눈썹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통공(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눈썹 패턴이 통공(32)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통공(32)을 따라서 즉, 눈썹 패턴을 따라서 시술하면, 균일한 형상의 눈썹 패턴을 시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테이프(30)는 눈썹 패턴의 통공(32)이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어, 좌측 눈썹과 우측 눈썹을 동일한 형상으로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눈썹 패턴이 형성된 테이프(30)를 대상자가 붙이고, 헤나 염료를 도포하여 눈썹 패턴을 착색시키는 구조로 적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테이프를 종이나 보드(Board) 상에 붙이고, 눈썹 패턴으로 형성된 통공(32)을 따라서 시술자가 시술 방법을 연습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실습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실습기구(40)는 패드부(41)와 패드부(41) 상에 표현된 눈썹층(42) 및 패드부(41) 배면에 구비되는 점착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패드부(41)는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부와 같은 촉감이나 질감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합성고무나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거나 가죽 또는 합성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패드부(41)를 피부의 일부 영역처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41)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패드부(41)의 배면에는 탈부착이 용이한 점착층이 구비되거나, 점착제 없이 고무나 합성 고무와 같이 깨끗한 표면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패드부(41) 상면에는 양각이나 음각으로 이루어진 눈썹 패턴 형상의 조형물이 구비되거나, 또는 눈썹 패턴이 인쇄된 구조의 눈썹층(42)이 마련된다. 따라서 패드부를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 눈썹층의 눈썹 패턴을 따라서 시술 방법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드부(41)는 두상 또는 흉상으로 형성된 인체 모형물(43)의 눈썹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실제 시술과 같은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인체 모형물의 눈썹 위치에 패드부(41)를 부착하여 시술 방법을 연습하고, 연습이 끝나면 패드부(41)는 탈거하고 새로운 패드부(41)를 부착하여 다시 시술 방법을 연습할 수 있다. 물론, 사용된 패드부(41)는 세척에 의해 재사용할 수 있고, 대상자의 다양한 눈썹 형상으로 패드부(41)를 구비하여 눈썹 형상에 따른 시술 방법의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드부(41) 상의 눈썹층(42)을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구조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재질의 패드부(41)는 인체 모형물(43)의 눈썹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패드부(41) 상에서 눈썹층(42)만을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50)는 연습장이나 노트와 같은 종이(51)에 눈썹 패턴(P)이 인쇄된다. 이러한 연습패드(50)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눈썹 패턴(P)의 시술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연습패드(50)는 일반 연습장이나 노트와 같이 부피가 작고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기 때문에, 눈썹 패턴의 제1단계(S110) 내지 제4단계(S140)에 따른 선 연습에 효과적이고, 단기간에 숙련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습패드(50) 상에 전기한 실시예와 같은 패드부(양각이나 음각으로 이루어진 눈썹 패턴 형상의 조형물이 구비되거나, 또는 눈썹 패턴이 인쇄된 구조의 눈썹층이 구비됨, 미도시)가 구비되어 보다 실전 같은 연습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때 연습패드(50) 상의 패드부는 마주하는 면의 패드부와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서로 패드부끼리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에 따르면, 눈썹을 내측, 중심,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 마다 눈썹 선을 표현하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숙련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눈썹 선의 표현 기준을 통해 숙련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균일한 결과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술자 눈썹 영역의 다양한 형태나 눈썹 형상에 따라서 빠르게 적용 및 응용할 수 있고,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 테이프, 실습기구 및 연습패드를 통해서 다양한 방법의 눈썹 메이크업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S100 :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S110 : 제1단계
S120 : 제2단계
S130 : 제3단계
S140 : 제4단계

Claims (21)

  1. 미간과 인접한 눈썹의 내측 영역에 제1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1단계;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바깥에 위치하는 눈썹의 외측 영역에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곡선을 표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사이의 중심 영역에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다른 제3방향으로 복수의 곡선 또는 직선을 표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평면 좌표를 기준으로 원점O(0,0)에서 A0(2,3)을 연결하는 제1선과, 상기 제1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n선(n은 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하여, 상기 제1선은 원점을 출발하여 A0점에서 완료되기 전에 P1(1,2)을 경유하는 곡선이며,
    상기 제1+n선은 상기 제1선과 인접하게 눈썹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2선과, 상기 제2선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3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3선의 종료 위치인 A3(4,3)에서 O8(8,0)을 연결하는 제4선과, 상기 제4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으로 x축을 따라서 눈썹의 바깥쪽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n선(n은 8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을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는 O3(3,0)에서 상기 제4선과 x=5가 교차하는 위치(P3)를 연결하는 제13선과, O4(4.0)에서 상기 제4선과 x=6이 교차하는 위치(P2)를 연결하는 제14선과, O5(5,0)에서 상기 제4선과 x=7이 교차하는 위치(P4)를 연결하는 제15선과, O6(6.0)에서 O8(8,0)을 곡선 또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6선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곡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단계는 눈썹의 상부 선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곡선으로 연결하며, 제3단계는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된 곡선들 사이를 상부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n선은,
    상기 제4선으로부터 눈썹의 바깥쪽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5선 내지 제12선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선은 A3(4,3)에서 O8(8,0)까지 연결되기 전에 P2(6,2) 지점을 경유하는 곡선인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눈썹의 상기 내측 영역 및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선과 선 사이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 연결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원점으로부터 A2(3,3)을 연결하는 제17선과,
    O1(1,0)에서 A3(4,3)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8선과,
    O2(2,0)에서 상기 P3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9선과,
    O3(3,0)에서 상기 P2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0선과,
    O4(4,0)에서 상기 P4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1선 및
    O5(5,0)에서 O8(8,0)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22선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형성된 선은 각 단계별로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이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에서 형성된 각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눈썹의 하부 선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14. 제1필름;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형성된 눈썹이 상기 제1필름의 일 면에 표현된 염료층 및
    상기 제1필름의 타 면에 부착되는 제2필름;
    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은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스티커.
  16. 제1필름;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각 선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1필름 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
    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은 일 면에 점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테이프.
  18.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 상면에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눈썹 인쇄층 및
    상기 패드부 배면에 구비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메이크업 실습기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두상 또는 흉상으로 형성된 인체 모형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가 상기 인체 모형물의 눈썹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메이크업 실습기구.
  20. 한 장 또는 복수장이 묶음으로 이루어진 종이 및
    상기 종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으로 표현된 상기 종이의 일 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눈썹 패턴;
    을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눈썹 패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눈썹 패턴이 상기 종이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한 연습패드.
KR1020190107070A 2019-08-30 2019-08-30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KR10207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70A KR102074765B1 (ko) 2019-08-30 2019-08-30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70A KR102074765B1 (ko) 2019-08-30 2019-08-30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65B1 true KR102074765B1 (ko) 2020-02-07

Family

ID=6957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70A KR102074765B1 (ko) 2019-08-30 2019-08-30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59B1 (ko) * 2020-07-13 2021-03-30 이나라 반영구 눈썹 문신용 팩 및 이의 사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60U (ko) * 2010-06-17 2011-12-23 이영재 초박형 아이라인 테이프
KR20180003851A (ko) * 2016-07-01 2018-01-10 정훈광 눈썹 화장용 키트
KR20180134210A (ko) * 2017-06-08 2018-12-18 이민정 반영구 눈썹라인 시술방법 및 헤어라인과 동시에 진행가능한 반영구 눈썹라인 시술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60U (ko) * 2010-06-17 2011-12-23 이영재 초박형 아이라인 테이프
KR20180003851A (ko) * 2016-07-01 2018-01-10 정훈광 눈썹 화장용 키트
KR20180134210A (ko) * 2017-06-08 2018-12-18 이민정 반영구 눈썹라인 시술방법 및 헤어라인과 동시에 진행가능한 반영구 눈썹라인 시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59B1 (ko) * 2020-07-13 2021-03-30 이나라 반영구 눈썹 문신용 팩 및 이의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586B2 (en) Imprint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and method of using same
US9433277B2 (en) Eyebrow sculpting template and method
T RAY et al. Artistic relationships in surface anatomy op the face: Application to reconstructive surgery
JP5763678B2 (ja) 目の輪郭の外観を変える美容方法
US6161554A (en) Removable tattoo eyebrows
CN102159113B (zh) 蝶牌睫毛化妆护脸盖
US49363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d blending in eye shadow
EP2976963A1 (en) Makeup support device, makeup support method, and makeup support program
KR101457873B1 (ko) 전사가능한 미용부재
US20130263885A1 (en) Template for Application of Permanent Eyebrow Make-Up
KR100796238B1 (ko)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 방법
KR102074765B1 (ko)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실습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습패드
US20210282536A1 (en) Flexible Eyebrow Template
Lanteri Modelling and sculpting the human figure
JP2008289872A (ja) レンズアレイを備えた装置
EP3479728A1 (en) Stencils and methods for applying cosmetics
KR20020092155A (ko) 눈화장용 용구
US20060150844A1 (en) Imprint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9000348U (zh) 一种线雕设计及操作模型
Hatton Figure drawing
KR20140003324U (ko) 마스크 팩
KR20180003851A (ko) 눈썹 화장용 키트
KR101738677B1 (ko) 속눈썹 연장술 및 수염분장 연습용 마네킹 두상
TW200819143A (en) Method of makeup
KR20140094198A (ko) 메이크업 연습용 마네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