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917B1 -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917B1
KR102073917B1 KR1020190040402A KR20190040402A KR102073917B1 KR 102073917 B1 KR102073917 B1 KR 102073917B1 KR 1020190040402 A KR1020190040402 A KR 1020190040402A KR 20190040402 A KR20190040402 A KR 20190040402A KR 102073917 B1 KR102073917 B1 KR 10207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in body
ring
fine dus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핌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핌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핌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583 priority patent/WO2020204661A1/ko
Priority to US17/601,394 priority patent/US20220205629A1/en
Priority to CN202080027222.6A priority patent/CN11379570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 spot light distribution, e.g. for substitution of reflector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를 광원으로 하여 실내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램프로서,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Lamp for removal of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LED를 광원으로 하여 실내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램프로서,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체 건강에 큰 우려가 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를 미세먼지라고 한다.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 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코와 기도를 거쳐 기도 깊숙한 폐포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해서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을 할 수 있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는 초미세먼지로 더욱 구분한다.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한 각종 세균과 먼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음이온 발생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음이온 발생기는 공기 중에 노출된 메탈섬유를 통해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양이온 입자들이 음이온을 통해 서로 흡착 경화 및 침전되도록 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한다.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종래기술로서, 선출원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0713 (2010년03월25일 등록)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갓을 이용하여 메탈섬유 주위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렌즈갓 표면에는 광촉매 코팅층을 형성하여 흡착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LED가 발광될 때 생기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ED의 수명이 연장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양호한 먼지 흡착 제거 효과를 제공하였지만,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렌즈갓의 외부로 이탈하고 공기 중으로 부유하여 램프가 설치된 천장면에 흡착하면서 천장면을 검게 만드는 흑화(黑化)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0713 (2010년03월2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LED를 광원으로 하여 실내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램프로서,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결합용 소켓단자가 설치된 폐쇄면을 구비하고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을 통해 LED가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모듈;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광이 하부로 투광되도록 구성된 렌즈부; 상기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LED모듈 및 상기 렌즈부의 렌즈면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메탈섬유;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 결합되며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좁은 형상을 이루는 렌즈갓;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렌즈갓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렌즈갓의 내부 상측 공간이 격벽 내측 공간과 격벽 외측 공간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렌즈부의 렌즈면의 둘레를 따라 렌즈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과, 상기 렌즈면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렌즈부의 외측에 결합된 링 형상 격벽 부재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을 포함하며, 상기 링 형상 격벽 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링 형상 결합부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격벽 부재 결합부와, 상기 격벽 부재 결합부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갓은, 상기 본체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와, 상기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의 하부 둘레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된 갓 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갓 형상부의 하부 둘레를 따라 더욱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 둘레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조명 기능과 또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흡착 제거 기능을 하나의 램프로 제공하되,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본체(10)는 상부에 결합용 소켓단자(11)가 설치된 폐쇄면(부호 미도시)을 구비하고 하부면(부호 미도시)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 형상으로서, 음이온 발생기(90)와 그 하부 측에 LED 모듈(20)이 장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LED 모듈(20)의 LED(21)가 노출된다. 본체(10)는 일예로 원통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음이온 발생기(90)와 LED 모듈(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켓단자(11)가 설치된다. 상기 소켓단자(11)는 백열전구가 장착되는 기존의 소켓에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외부면에 나선형 나사가 형성된다. 소켓단자(11)가 형성된 부분의 아래쪽에는 원통 형상의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방열공(13a)이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본체 내부에 설치된 LED 모듈(2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한다.
본체(10)는 조립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부 본체(10a)와 하부 본체(10b)로 분리 구성되어, 삽입 결합 또는 나사식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a', 10b'는 각각 상부 본체(10a) 또는 하부 본체(10b)의 삽입식 결합부를 나타낸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음이온 발생기(9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19)와, LED모듈(2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또다른 설치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설치부재는 예를 들어,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압입, 융착 또는 기구적 체결을 포함한 다양한 공지의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본체(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음이온 발생기(90)가 설치된다. 음이온 발생기(90)는 음이온 회로가 형성된 기판을 포함한다.
음이온 발생기(90)는 다양한 구성이 공지된 바 있으며, 일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후술하는 메탈섬유(30)의 하단 팁(30b)을 통해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직류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콘덴서로 구성된 발진부가 발진 작동하여 일정 주파수의 출력펄스를 발생시킨다. 저항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승압부가 상기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주파수의 직류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시킨다.
다수의 콘덴서와 다이오드가 직병렬로 연결된 구성된 고전압부가 상기 승압부의 출력전압을 음이온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절연저항을 파괴하는 전압값으로 음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전압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에 의해 음이온방출부가 구동되고, 외부로 인출된 방전용 전선에 연결된 메탈섬유(30)에서 높은 음전압이 발생하여 음이온이 생성 및 방출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LED모듈(20)이 설치된다. 일예로, LED모듈(20)은 원판형의 PCB 기판의 하부면에 다수의 LED(21)가 실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LED모듈(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을 통해 LED(21)가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LED 모듈(20)의 중심 부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20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홀(20h)을 통해 후술하는 메탈섬유(30)가 본체(10) 내부의 LED 모듈(20) 상부에 위치하는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LED 모듈(20)을 관통하여 본체(10)의 하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10) 하부에는 렌즈부(140)가 설치된다. 렌즈부(140)는 상기 LED(21)로부터 조사된 광이 하부로 투광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렌즈부(140)는 볼록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 방출이 용이하도록 열전도율이 좋은 투광성 소재로 제작된다.
렌즈부(140) 중심에는 관통홀(140h) 및 가이드부(140c)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40c)를 관통하여 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 메탈섬유(30)가 렌즈부(140) 하부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된 메탈섬유(30)의 하단 팁은 렌즈갓(40) 내부에 존재하도록 그 길이가 한정된다.
상기 가이드홀(140c)은 렌즈부(140)의 저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피복된 메탈섬유(30)가 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메탈섬유(30)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90)로부터 인출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LED모듈(20) 및 상기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메탈섬유(30)는 은나노로 코팅된 다음 합성수지로 피복 처리되고, 그 끝단은 피복되지 않고 내부의 메탈섬유(30)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음이온 발생기(90)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메탈섬유(30)의 하단 팁은 미세먼지 유착시에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갓(4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 측에 결합되며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좁은 형상을 이루며, 렌즈갓(40)의 하부면(40')은 개방된다. 일예로, 상기 렌즈갓(40)은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감안하여, 상부 직경 4cm, 길이 6~7cm, 하부 직경 9~10cm 정도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갓(40)은 흡착 경화되는 먼지가 부착 오염시키지 않도록 그 표면에 이산화티타늄(TiO2)재의 광촉매 코팅층(44)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갓(40)은 매끈한 표면과 투광성이 높은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하여 LED모듈(20)에서 조사된 광에 대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측면 방향으로 투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렌즈갓(40)은,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와, 상기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의 하부 둘레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된 갓 형상부(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는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 또는 나사식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갓(40)은, 상기 갓 형상부(40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더욱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 둘레부(40c)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둘레부(40c)의 내부 공간은 LED모듈(20)로부터 더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므로 렌즈갓(40)의 중심부 공간보다 더 낮은 공기 온도를 갖게 되며,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에서 외부(A4)로 부유 이동하려는 미세먼지 입자가 낮은 온도로 인해 하부로 침전되기에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렌즈부(1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격벽(140w)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40w)에 의해 상기 렌즈갓(40)의 내부 상측 공간이 격벽 내측 공간(A1)과 격벽 외측 공간(A3)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격벽(140w)은 메탈섬유(30)의 하단 팁(30b)과 유사한 높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하향 위치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140w)은 렌즈갓(40)의 갓 형상부(40a)와 평행한 방향 또는 그보다 약간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격벽(140w)은 상기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의 둘레를 따라 렌즈부(1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140a)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140a)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140b)과, 상기 렌즈면(140b)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140w)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링 형상 결합부(140a)는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 또는 나사식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격벽(140w)이 렌즈부(14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 방식으로 렌즈부(140)의 제조 시에 격벽(140w)이 함께 형성되므로 제작 편의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는 다음과 같이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결합용 소켓단자(11)가 천장의 소켓(미도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음이온 발생기(90)가 음이온을 발생시켜 메탈섬유(30)의 하단 팁을 통해 격벽 내측 공간(A1)을 거쳐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에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에서 양이온 입자 상태로 부유 상태에 있던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들이 음이온에 흡착 경화되어 더 큰 입자를 이루게 된다. 미세먼지 입자들이 흡착되어 그 크기가 일반 먼지 입자 정도로 커지게 되면, 입자의 하중에 의해 실내 바닥으로 침전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던 미세먼지 입자가 바닥으로 침전 제거된다.
이 과정 중에 메탈섬유(30)의 하단 팁에 인접한 격벽 내측 공간(A1)의 미세먼지는 음이온을 1차적으로 근접 거리에서 접하게 되므로, 그 하부 공간에 위치한 미세먼지에 비해 흡착 경화 현상이 우선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입자 크기가 우선적으로 커지게 된다.
한편, 격벽 내측 공간(A1)은 LED(21)와 인접한 위치이므로, LED(21)의 발열이 전달되어 격벽 외측 공간(A3)보다 더 높은 공기 온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온도 상태로 인해, 격벽 내측 공간(A1)에서 음이온에 의해 더 큰 입자로 흡착되었지만 실내 바닥으로 침전하지 않고 부유중인 미세먼지 입자는 격벽(140w)을 타넘어 격벽 외측 공간(A3)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격벽 외측 공간(A3)은 격벽(140w)으로 인해 격벽 내측 공간(A1)과 공기층이 직접 연결된 상태가 아니며 LED(21)의 발열이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공기층이 격벽 내측 공간(A1)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격벽(140w)을 타넘어 격벽 내측 공간(A1)에서 격벽 외측 공간(A3)으로 부유 이동한 미세먼지 입자는 더 낮은 온도 상태의 공기층에 접어들게 되고 또한 렌즈갓(40)의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에 의해 상부가 밀폐된 공간에 머무르게 되므로, 더 상층으로 부유하지 못하고 하부로 가라 앉게 된다.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의 중간 내지 하부로 이동한 미세먼지 입자는 메탈섬유(30)의 하단 팁에서 방출하는 음이온을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흡착 경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입자 크기가 커지게 되며, 그 크기가 일반 먼지 입자 정도로 커지게 되면 입자의 하중에 의해 실내 바닥으로 침전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던 미세먼지 입자가 바닥으로 침전 제거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는 미세먼지가 침전이 가능한 입자 크기로 흡착 경화되기 전에 렌즈갓(40) 외부로 부유하여 천장면에 흡착하면서 천장면을 검게 만드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격벽(140w)이 렌즈부(140)에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240w)은 상기 렌즈부(140)의 외측에 결합된 링 형상 격벽 부재(240)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렌즈부(140)는,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140a)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140a)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1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 형상 격벽 부재(240)는, 상기 렌즈부(140)의 링 형상 결합부(140a)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격벽 부재 결합부(240a)와, 상기 격벽 부재 결합부(240a)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240w)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에는 LED(21)로부터 조사된 광이 확산되어 양호한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확산제가 코팅 처리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는 조명 기구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이므로, 확산제의 코팅 처리 과정에서 확산제의 일부가 격벽(140w)에 묻는 경우 측방향으로의 광 조사를 확산제 코팅층이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조도의 부분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확산제 코팅 처리 시에, 렌즈부(140)와 일체로 형성된 격벽(140w)에 확산제가 묻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 처리를 하거나, 아니면 확산제의 일부가 격벽(140w)에 접촉하는 것을 감수하고 코팅 작업을 해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격벽(240w)이 형성된 링 형상 격벽 부재(240)와 렌즈부(14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에 확산제 코팅 처리 시에 격벽(240w)에 확산제가 접촉할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본체
11: 소켓단자
13a: 방열공
20: LED모듈
21: LED
30: 메탈섬유
40: 렌즈갓
44: 광촉매 코팅층
90: 음이온 발생기
140: 렌즈부
140w 또는 240w: 격벽
240: 링 형상 격벽 부재

Claims (7)

  1. 상부에 결합용 소켓단자(11)가 설치된 폐쇄면을 구비하고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기(90);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을 통해 LED(21)가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모듈(20);
    상기 본체(1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LED(21)로부터 조사된 광이 하부로 투광되도록 구성된 렌즈부(140);
    상기 음이온 발생기(9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LED모듈(20) 및 상기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메탈섬유(30);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 측에 결합되며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좁은 형상을 이루는 렌즈갓(4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1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렌즈갓(40)의 내부 공간(A2)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격벽(140w 또는 240w)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140w 또는 240w)에 의해 상기 렌즈갓(40)의 내부 상측 공간이 격벽 내측 공간(A1)과 격벽 외측 공간(A3)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격벽(240w)은 상기 렌즈부(140)의 외측에 결합된 링 형상 격벽 부재(240)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140a)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140a)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140b)을 포함하며,
    상기 링 형상 격벽 부재(240)는,
    상기 렌즈부(140)의 링 형상 결합부(140a)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격벽 부재 결합부(240a)와,
    상기 격벽 부재 결합부(240a)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240w)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40w)은 상기 렌즈부(140)의 렌즈면(140b)의 둘레를 따라 렌즈부(1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결합부(140a)와,
    상기 링 형상 결합부(140a)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렌즈면(140b)과,
    상기 렌즈면(140b)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격벽(140w)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갓(40)은,
    상기 본체(10) 하부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와,
    상기 링 형상 렌즈갓 결합부(40b)의 하부 둘레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된 갓 형상부(4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갓 형상부(40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더욱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 둘레부(40c)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KR1020190040402A 2019-04-05 2019-04-05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KR10207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02A KR102073917B1 (ko) 2019-04-05 2019-04-05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PCT/KR2020/004583 WO2020204661A1 (ko) 2019-04-05 2020-04-03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US17/601,394 US20220205629A1 (en) 2019-04-05 2020-04-03 Lamp for removal of fine dust
CN202080027222.6A CN113795709A (zh) 2019-04-05 2020-04-03 用于去除微尘的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02A KR102073917B1 (ko) 2019-04-05 2019-04-05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82A Division KR20200117840A (ko) 2020-01-29 2020-01-29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917B1 true KR102073917B1 (ko) 2020-02-05

Family

ID=6951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402A KR102073917B1 (ko) 2019-04-05 2019-04-05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05629A1 (ko)
KR (1) KR102073917B1 (ko)
CN (1) CN113795709A (ko)
WO (1) WO20202046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61A1 (ko) * 2019-04-05 2020-10-08 이청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69A (ko) * 2004-12-23 2006-06-28 강성탁 음이온 발생 소켓 접속구
KR100950713B1 (ko)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101624929B1 (ko) * 2015-08-13 2016-05-30 윤재순 생육광선용 led 조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195A (ja) * 2002-06-12 2004-01-22 Kyokuto:Kk 空間快適化照明装置及び空間快適化制御システム
KR200404653Y1 (ko) * 2005-08-24 2005-12-27 주식회사 눅스 탈취제가 내장된 조명(식탁)등
KR101443594B1 (ko) *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CN205859899U (zh) * 2016-05-24 2017-01-04 赵旭 一种封闭空间或半封闭空间的照明设备
JP6857870B2 (ja) * 2017-03-07 2021-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7929786A (zh) * 2017-12-20 2018-04-20 大连达伦特工艺品有限公司 一种可转动式加热香薰器及其装配方法
KR102073917B1 (ko) * 2019-04-05 2020-02-05 주식회사 핌그린테크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69A (ko) * 2004-12-23 2006-06-28 강성탁 음이온 발생 소켓 접속구
KR100950713B1 (ko)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101624929B1 (ko) * 2015-08-13 2016-05-30 윤재순 생육광선용 led 조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61A1 (ko) * 2019-04-05 2020-10-08 이청호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661A1 (ko) 2020-10-08
CN113795709A (zh) 2021-12-14
US20220205629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17B1 (ko)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KR20210077424A (ko)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용 램프
KR20200117840A (ko) 미세먼지 제거용 램프
CN105066003A (zh) 一种新型的led灯具
KR20200030728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735A (ko) 측면식 광관 구조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0357796Y1 (ko) 조명기구
KR20200030656A (ko) 거치형 전등의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86A (ko) 벽면형 전등의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64A (ko) 거치형 전등의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80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벽면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68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730A (ko) 천정형 전등의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721A (ko)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60A (ko) 거치형 전등의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20A (ko) 천정형 전등의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55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26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665A (ko)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23A (ko) 천정형 전등의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24A (ko)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18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87A (ko)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벽면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89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벽면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734A (ko)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