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70B1 -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70B1
KR102073570B1 KR1020120093083A KR20120093083A KR102073570B1 KR 102073570 B1 KR102073570 B1 KR 102073570B1 KR 1020120093083 A KR1020120093083 A KR 1020120093083A KR 20120093083 A KR20120093083 A KR 20120093083A KR 102073570 B1 KR102073570 B1 KR 10207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racket
guide frame
circuit board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6106A (en
Inventor
송찬근
천홍문
최종철
조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70B1/en
Publication of KR2014002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키와 윈도우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및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수용부에 결합되어, 키를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corrosion of internal electrical material by a gas or a liquid flowing through a gap between a key and a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upling of a mobile terminal. An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provided inside a mobile terminal, a receiving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or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 protrusion resting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first edge on an edge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key guide fram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and the key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thereby restraining the key to the receiving portion.

Figure R1020120093083
Figure R1020120093083

Description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와 윈도우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corrosion of an internal electric material by a gas or a liquid flowing through a gap between a key and a window. It relates to a terminal.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 grip,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tending toward multimedia for pursuing more various functions.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and Internet environments.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In other word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services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speed data.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보드가 데이터 입력 장치로 등장하면서, 기존의 다수개의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 어셈블리가 생략되고, 실질적인 데이터 입력장치로서 하나의 키(key)가 구비된다. 홈키는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이다.A general portable terminal essentially includes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 speaker device, a microphone device, an antenna device, and the like. Recently,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s emerging as a data input device, and a keypad assem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existing keys is omitted, and one key is used as a practical data input device. It is provided. The home key is a data input device for inputting desired data by pressing operation.

도 1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브라켓에 결합된 키 결합장치의 구조를 브라켓의 상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키 결합장치가 브라켓의 배면에 체결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key coupling device coupled to a bracket, which is adopted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FIG. 1B is a view showing that the key coupling device shown in FIG. 1A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Top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 결합장치는 키(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11, 12)이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거나, 키(10)의 가장자리가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을 관통하여 브라켓(13)의 상면으로부터 배면에 꺾임 체결됨으로써, 키(10)가 브라켓(13)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a conventional key coupling device has a hole 11 and 12 formed at an edge of a key 10 fastened by a screw with holes 14 and 15 formed in a bracket 13. The edge of the key 10 penetrates through the holes 14 and 15 formed in the bracket 13 and is be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3 to the rear surface, whereby the key 10 is fixed to the bracket 13.

이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13)은 키(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장자리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에 홀(14, 15)을 구비하는데, 이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bracket 13 includes holes 14 and 15 in an area facing the edge area for fixing the key 10. Such a structure cause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브라켓(13)의 홀(14, 15)은 위치적으로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10) 사이의 틈에 인접한 하부에 형성되게 된다. 브라켓(13) 배면에는 메인 회로기판이나 USB 포트와 같은 전기물들이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holes 14 and 15 of the bracket 13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gap between the open portion of the window and the key 10. The back of the bracket 13 is provided with electrical objects such as a main circuit board or a USB port.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또는 가스와 같은 외부물질이 곧바로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에 침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Due to such a structure, a foreign material, such as liquid or ga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gap between the open portion of the window and the key may directly penetrate the holes 14 and 15 formed in the bracket 13.

즉, 브라켓(13) 배면에 실장된 전기물들이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전기적 구동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심각한 오류가 발생된다.That is, a serious error occurs such that electrical object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13 are corroded chemically,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ical driving.

따라서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키의 인근에 유입되는 외부 이물질로부터 내부의 전기물을 보호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의 발명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of a key coupling device that can protect an electric object from an external foreign matter flowing in the vicinity of a key without affect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내부 전기물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key coupling device that can protect the internal electrical material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liquid or gas flowing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와 조작 편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키 결합 장치의 강성을 보완하여, 휴대단말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by pursuing a simple structure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supplementing the rigidity of the key coupl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and a key guide frame having little physical or electrical influence on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윈도우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coupl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window crack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동작 시 윈도우 오픈부의 에지(edge)면에 신체가 접촉되는 느낌을 개선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coupling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feeling of body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window opening part during key opera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tter understand i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and advantages, fur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rm the subjec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및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수용부에 결합되어, 키를 상기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 coupl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key coupl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racket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key and the protrusion having a receptacle having one first engaging portion, a protrusion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t an edge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I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 guide frame for restraining the key to the receiving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면에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관통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과, 브라켓 상면에 결합되는 키 회로기판과, 관통 홀을 통해 키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키 회로기판 상에 안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오픈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및 상기 오픈부와 키 사이에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바닥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관통 홀을 오픈부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 차단하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 coupling device. A bracket including a through hol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upling portion, a key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 main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circuit boar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protrusion seated on the key circuit board. And a key hav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t an edge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a window having an open portion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between the opening portion and the key. The key guide frame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to spatially isolate the through hole from the ope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키를 브라켓의 상면 상에만 결합하여, 종래의 브라켓에 형성되었던 홀을 제외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또는 가스가 휴대단말의 내부 전기물에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key coupling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key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excluding the hole formed in the conventional bracket, the liquid or ga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internal electrical material of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which penetrates int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키 가이드 프레임은 키가 구비된 영역과 내부의 메인 회로기판이 노출된 관통 홀을 공간적으로 차단 격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patially isolate and isolate a through hole in which an area provided with a key and an internal main circuit board are exposed.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키 및 윈도우 오픈부 사이에 수직하방으로 독립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key guide frame with little physical or electrical influence on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independently coupling the key guide frame vertically downward between the key and the window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윈도우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고정하고, 탄성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비포장 낙하 시 윈도우의 상면보다 선 타격을 받게 함으로써, 윈도우 크랙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ixing the key guide frame to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and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indow crack by receiving a line strik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when the unpacked fall.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브라켓에 끼움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키 동작 시 윈도우의 에지면에 신체가 접촉될 때의 느낌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eeling when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window when the key guide frame by fastening by fitting to the bracket.

도 1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브라켓에 결합된 키 결합장치의 구조를 브라켓의 상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키 결합장치가 브라켓의 배면에 체결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상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일부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key coupling device coupled to a bracket, which is employed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Figure 1b is a top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key coupling device is fastened to the back of the bracket.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top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showing a key circuit board provided on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key and a key guide frame provided on a key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can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는 키를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시키고, 브라켓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 및 메인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 홀을 키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차단격리시킴으로써, 윈도우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이다.In the key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guide frame includes a through hole for coupling a key to an upper surface of a bracke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key circuit board and a main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upper and rear surfaces of the bracket. It is a key coupling device that can prevent corrosion of the internal electrical material by liquid or gas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window opening and the key by spatially isolating and isol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tablet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terminal, and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rminal,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rminal,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terminal,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terminal, 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EDGE) terminal, UMTS (Universal Mob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Tele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and applications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상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일부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top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showing a key circuit board provided on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key and a key guide frame provided on a key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coupl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 키 회로기판(40), 메인 회로기판(80), 키(50), 윈도우(70) 및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키(50)가 구비된 휴대단말의 국부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실시예의 키(50)는 휴대단말의 어느 부위에나 장착 및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2 to 7 illustrate a bracket 20, a key circuit board 40, a main circuit board 80, a key 50, a window 70, and a key guide fram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the local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key 50 is shown and described, the key 50 of the embodiment can be mounted and modified in any part of the mobile terminal. It will be self explanatory.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브라켓(Bracket, 20), 키 회로기판(Key printed circuit board, 40), 메인 회로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80), 키(key, 50), 윈도우(Window, 70) 및 키 가이드 프레임(key guide frame, 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20, a key printed circuit board 40, and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 80), a key 50, a window 70, and a key guide frame 60.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0)은, 키(50) 및 키(50)에 대면하는 키 회로기판(40)의 일부가 안착될 일부가 소정 깊이로 리세스(recess)된 평탄면(28)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면(28)은 돌출부(52)가 브라켓(20)에 체결되어도, 돌출부(52)의 상면이 윈도우(70)의 상면과 거의 평평하도록 충분한 깊이로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racket 20 has a flat surface 28 in which a portion to which a key 50 and a portion of a key circuit board 40 facing the key 50 is to be seated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 May be included. The flat surface 28 may be an area recessed to a sufficient depth such that even when the protrusion 52 is fastened to the bracket 20,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52 is substantially fla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window 70.

이하, 브라켓(20)의 평탄면(28)과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추후 키(50)가 체결되는 브라켓(20)의 영역을 포괄하여 수용부(22)라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lat surface 28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20 will be defined as an accommodating portion 22 encompassing an area of the bracket 20 to which the key 50 is faste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20)은, 평탄면(28) 또는 평탄면(28)에 인접한 브라켓(20)의 상면에 제1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이 평탄면(28) 둘레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racke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irst coupling portion on the flat surface 28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adjacent to the flat surface 28.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ar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flat surface 28.

제1 결합부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후크(24, 26)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24, 26)는 돌출부(52)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 홀(58, 59)과 체결됨으로써,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크(24, 26)의 높이는 돌출부(5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hooks 24 and 26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hooks 24 and 26 may be engaged with the hook holes 58 and 59 formed at the edges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s 52, thereby fixing the key 50 to the bracket 20. The height of the hooks 24 and 26 is preferably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52.

또는, 제1 결합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평평한 평면 영역(17, 1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인 평면영역(17, 18)은 테이프, 본드, 본딩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접착 성분에 의해 제2 결합부와 부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planar regions 17 and 18 having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4. The planar regions 17, 18, which are the first engagement portions,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s by at least one adhesive component of tape, bond, bonding, and combinations thereof.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20)의 상면은 키 회로기판(40)과 결합되고, 브라켓(20)의 배면은 메인 회로기판(80)과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키 회로기판(40) 및 메인 회로기판(80)과 테이프(tape), 본드(bond)와 같은 접착성분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요철구조, 후크(hook) 및 후크 홀(hook hole), 나사조립과 같은 구조적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5 and 7,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may be coupled to the key circuit board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circuit board 80. The bracket 20 may be coupled to the key circuit board 40 and the main circuit board 80 by an adhesive component such as a tape and a bond, and the uneven structure, the hook and the hook hole ( hook holes), or they may be fastened by structural coupling such as screw assembly.

한편, 브라켓(20)은 키 회로기판(40) 및 메인 회로기판(8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에 관통 홀(through hole, 30)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20)은 윈도우(70)의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로부터 관통 홀(30)을 차단시키기 위해, 수용부(22)와 소정간격 이격된 브라켓(20)의 가장자리 일 부분에 관통 홀(3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bracket 20 may include a through hole 30 on one sid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key circuit board 40 and the main circuit board 80. In particular, the bracke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lock the through hole 30 from the gas or liquid flowing through the opening 72 of the window 70,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eiving portion 22. Characterized by forming a through hole 30 in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bracket 20 spaced apart.

즉, 윈도우(70)의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전기물(9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 홀(30)을 키(50)가 체결되는 수용부(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22 to which the key 50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30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electrical material 90 by the gas or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open portion 72 of the window 70. It can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전기물(90)이란, 휴대단말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80) 및 USB 포트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 부품들을 일컬을 수 있다.Here, the electrical material 90 may refer to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ain circuit board 80 and a USB port for electrical driving of the portable terminal.

키 회로기판(4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거나 일반 하드 타입(Hard type)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의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 및 마이크로칩이 구비될 수 있고, 키 회로기판(40)의 배면은 브라켓(20)의 상면과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키 회로기판(40)은 브라켓(20)에 테이프(tape) 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후크 및 후크 홈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key circuit board 4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 general hard type printed circuit board (PCB). A plurality of circuits and microchip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 circuit board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key circuit board 40 may be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In this case, the key circuit board 40 may be fixed to the bracket 20 by an adhesive such as a tape or a bond, or may be coupled by fastening a hook and a hook groove.

키 회로기판(40)은 키(50)가 눌러짐에 따라 키(5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키 회로기판(40) 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의 회로로 전달된 상기 명령 신호는 키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회로기판(80)으로 전달될 수 있다.As the key 50 is pressed, the key circuit board 40 may receive a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50. For example, the command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a circuit formed on the key circuit board 40. The command signal transmitted to the circuit of the key circuit board 4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circuit board 40.

도 6을 참조하면, 키(50)는 중심 영역이 브라켓(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위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브라켓(2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가장자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key 50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20 and an edge reg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area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20. have.

키(50)의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 변형하였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탄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은 키(50)의 돌출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키 회로기판(4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The protrusion of the key 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so that the protrus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with a finger and then restor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nger. . Such driving enables the protrusion of the key 50 to transmit a command signal input from the user to the key circuit board 4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50)의 가장자리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브라켓(20)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대면하여 결합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dge region of the key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referred to as an area coupled to face the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bracket 20.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는 키(5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브라켓(20)과 밀착되도록 연장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제1 결합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부는 키(50)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키(50)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coupling part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50 and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edge region extend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cket 20.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art may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and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edge area.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of the key 50, and may b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about the protrusion of the key 50.

한편, 제1 및 제2 결합부의 방향에 대해서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개수나 이격 거리에 대해서도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may not be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number or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may not be limited.

제2 결합부는 도 3에 도시된 제1 결합부인 후크(24, 26)에 대응하는 후크 홀(58, 59)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부는 도 6에 도시된 제1 결합부인 접착 평면 영역(17, 18)에 대면하는 접착 평면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hook holes 58 and 59 corresponding to the hooks 24 and 26 which are the first coupling parts shown in FIG. 3. Alternatively,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plane area facing the adhesive plane areas 17 and 18 which are the first coupling parts shown in FIG. 6.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은 기존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10)를 브라켓(13)에 체결하기 위해 브라켓(13)에 뚫은 홀(14, 15)을 제외함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bracke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oles 14 and 15 drilled in the bracket 13 to fasten the key 10 to the bracket 13, as shown in FIG. 1A. It is preferable to exclude.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라켓(20)의 상면에 구비된 후크(24, 26) 및 키(50)에 구비된 후크 홀(58, 59)을 체결하여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브라켓(13)에 뚫은 홀(14, 15)을 제외할 수 있다. 또는, 후크(24, 26) 및 후크 홀(58, 59) 대신에 접착 평면 영역(17, 18)을 구비함으로써, 홀을 제외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s 50 and 2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and the hook holes 58 and 59 provided in the key 50 are fastened to the brackets 20. By fixing to the holes 14 and 15 drilled in the existing bracket 13 can be excluded. Alternatively, the holes may be excluded by providing the adhesive plane regions 17 and 18 instead of the hooks 24 and 26 and the hook holes 58 and 59.

기존의 브라켓(13)에 뚫린 홀(14, 15)은 위치적으로는 윈도우 오픈부의 하부에 형성되었고, 구조적으로는 브라켓(13)의 배면이 노출되는 홀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가스가 곧바로 침투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holes 14 and 15 drilled in the conventional bracket 13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opening part in position, and structurally formed as the holes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13 is exposed, the opening part and the key of the window are open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ter or gas flowing from the gap in between immediately penetrated.

이러한 문제에 의해 브라켓(13)의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이 상기 수분, 액체 또는 가스에 의해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전기적 구동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심각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Due to such a problem, a serious error may occur such that the electrical material 9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13 is chemically corroded by the moisture, liquid, or gas,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ical driving.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브라켓(20) 상면에 돌출된 후크(24, 26)를 키(50)에 구비된 후크 홀(58, 59)과 결합시킴으로써, 윈도우 오픈부(72)의 하부에 대면하는 브라켓(20)을 홀 없이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 가장자리의 평면 영역에 대면하는 키(50)의 접착 평면 영역을 부착시킴으로써, 브라켓(20)에 홀을 제외할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fixing the key 50 to the bracket 20, as shown in Figure 6 hooks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without forming a hole in the bracket 20 By engaging the 24 and 26 with the hook holes 58 and 59 provided in the key 50, the bracket 20 facing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opening 72 can be kept smooth without holes.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the hole may be removed from the bracket 20 by attaching the adhesive plane region of the key 50 facing the planar region of the edge of the bracket 20.

즉, 윈도우 오픈부(72)의 하부에 대면하는 브라켓(20)은, 브라켓(20)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을 윈도우 오픈부(72)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bracket 20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portion 72 may be a structure that closes the electrical material 9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20 from the window opening portion 72.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윈도우의 오픈부(72) 및 키(50) 사이의 틈으로부터 액체나 가스가 유입되어도, 브라켓(20)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을 폐쇄된 브라켓(20)에 의해 차단 격리시킴으로 인하여, 전기물(90)이 외부의 액체나 가스에 의해 부식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오작동되는 현상을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liquid or gas flows from the gap between the opening portion 72 and the key 50 of the window, the electrical material 9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20 is closed on the bracket 20. By blocking and insulating 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al material 90 from being corroded by an external liquid or gas or an electrical malfunction.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돌출부의 측면(52) 둘레를 따라 수용부(22)에 결합되어 키(50)를 브라켓(20) 상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브라켓(20)의 상면에 끼움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2 around the side surface 52 of the protrusion to fix the key 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fixed by fitt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이때, 키 가이드 프레임(60)과 접촉하는 브라켓(20)의 상면은 체결 시, 서로 틈이 없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키 가이드 프레임(60)의 바닥면이 수용부(22)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수용부(22)에 결합되기 때문에 관통 홀(30)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in contact with 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injection molded so that there is no gap with each other when fastening.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22. In addition, since the key guide frame 60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22, 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수직하방으로 브라켓(20)과 밀착 결합함으로써, 관통 홀(30)을 오픈부(72)로부터 공간적으로 차단 격리시킬 수 있다.That is, 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bracket 20 vertically and downwardly to isolate and separate the through hole 30 from the open portion 72.

따라서 관통 홀(30)은 수용부(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뿐만 아니라, 키 가이드 프레임(60)에 의해 오픈부(72)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되기 때문에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된 외부 물질의 침투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Therefore, the through hole 30 is not only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portion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is also spatially isolated from the opening portion 72 by the key guide frame 60 so that the outside flows through the opening portion 72. It can be blocked from the penetration of material.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키(50) 및 윈도우 오픈부(72) 사이에 수직하방으로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 guide frame 60 is independently coupled vertically downward between the key 50 and the window opening portion 72, the key guide frame 60 may have little physical or electrical influence on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브라켓(30)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 동작 시 윈도우(60)의 에지면(edge)에 신체가 접촉될 때의 느낌을 안정감 있게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 guide frame 60 is fixed to the bracket 30, the user may feel stable when the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window 60 during key operation.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윈도우(6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포장 낙하 시 윈도우(60)의 상면보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이 선 타격을 받음으로써, 윈도우 크랙(cr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을 가진 물질로써,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 우레탄(urethane)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 guide frame 60 is fixed to protrude relatively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60, it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the key guide frame 60 is preliminarily hit by the key guide frame 60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60 during the unpacked fall, thereby preventing the window crack phenomenon. As the elastic material, at least one of rubber, silicon, urethane,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플라스틱 수지(PC, ABS, GF, PC+GF 등)나 금속소재(SUS, Al, Mg 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key guide frame 6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plastic resin (PC, ABS, GF, PC + GF, etc.), a metal material (SUS, Al, Mg,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 키 11, 12: 키 가장자리 영역의 홀
13: 브라켓 14, 15: 브라켓의 홀
16: 키 회로기판 17, 18: 접착 평면 영역
20: 브라켓 22: 수용부
24, 26: 후크 28: 평탄면
30: 관통 홀 40: 키 회로기판
50: 키 52: 돌출부
60: 키 가이드 프레임 70: 윈도우
72: 윈도우 오픈부
10: key 11, 12: hole in the key edge area
13: Bracket 14, 15: Hole in the bracket
16: key circuit board 17, 18: adhesive plane area
20: bracket 22: receiving portion
24, 26 hook 28: flat surface
30: through hole 40: key circuit board
50: key 52: protrusion
60: key guide frame 70: window
72: window opening

Claims (14)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와 접하는 배면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외부와 접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상면보다 낮게 리세스된(recessed)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평탄면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키 회로기판;
상기 키 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평탄면을 통해 안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키;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키를 상기 수용부에 구속시키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의 오픈부를 통해 상기 돌출부 및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 및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배면까지 형성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키 회로기판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바닥면이 상기 수용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상기 관통 홀을 상기 윈도우의 오픈부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 및 차단시키고,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낙하 시, 상기 윈도우보다 선 타격을 받도록 상기 윈도우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In the key coupl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 bracket dispos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ing a rea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ccommodation portion including a flat surface recessed below the top surface and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t surface in at least some regions of the top surface of the bracket;
A key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seat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 key including a protrusion that is seated through the flat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key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to engage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 key guide frame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long a side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part to constrain the key 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expose the protruding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ding part through an open part of a window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to a rear surface of the bracke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which the key and the key guide frame are coupled.
The key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in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key guide frame is arrang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thereby spatially isolating and blocking the through hole from the opening of the window,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guide frame, the key coupl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so as to receive a line strike than the window when the portable terminal fal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키 회로기판의 일 끝단에 대면하는 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And a hole facing one end of the key circuit bo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테이프, 접착 본드, 본딩(bonding)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key bon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each other by at least one of a tape, an adhesive bond, bonding,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돌출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 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hook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hook hole engaged with the hoo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브라켓 상면에 형성된 높이가 상기 평탄면에 안착되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ook,
And a heigh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is lower than a height of a protrusion seated on the flat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플라스틱 수지, 금속소재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guide frame,
Key combina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y one of a plastic resin, a metal material and a combination thereof.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와 접하는 배면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외부와 접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상면보다 낮게 리세스된(recessed)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평탄면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키 회로기판;
상기 키 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평탄면을 통해 안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키;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키를 상기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
상기 키 및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배면까지 형성되는 관통 홀; 및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오픈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키 회로 기판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바닥면이 상기 수용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상기 관통 홀을 상기 윈도우의 오픈부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 및 차단시키고,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낙하 시, 상기 윈도우보다 선 타격을 받도록 상기 윈도우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In the mobile terminal,
A bracket disposed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bracket including a rea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flat surface recess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t surface;
A key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seat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 key including a protrusion that is seated through the flat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key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to engage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 key guide frame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long a sid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to constrain the key to the accommodating part;
A through hole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to a rear surface of the bracke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which the key and the key guide frame are coupled; And
A window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the window including an opening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key guide frame to the outside;
The key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key guide frame is arrang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thereby spatially isolating and blocking the through hole from the opening of the window,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guid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so as to receive a line strike than the window, when the portable terminal falls.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 또는, 우레탄(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key guide fram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t least one of rubber (silber), silicon (silicon), or urethane (urethane).
KR1020120093083A 2012-08-24 2012-08-24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73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en) 2012-08-24 2012-08-24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en) 2012-08-24 2012-08-24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06A KR20140026106A (en) 2014-03-05
KR102073570B1 true KR102073570B1 (en) 2020-02-05

Family

ID=5064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en) 2012-08-24 2012-08-24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52B1 (en) 2014-03-05 2020-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by using sensor
KR102264588B1 (en) 2015-03-2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101583454B1 (en) 2015-09-30 2016-01-11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ouch detection portion formed on main-board
KR102482414B1 (en) * 2016-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A key eng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072A (en) 2010-06-21 2012-01-05 Panasonic Corp Portable terminal
JP2012027592A (en) 2010-07-21 2012-02-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2178B2 (en) * 2005-06-09 2009-10-2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Pushbutton switch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1474440B1 (en) * 2008-05-28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208218B1 (en) * 2010-10-21 2012-12-04 (주) 캐치웰 Button switch assembly of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072A (en) 2010-06-21 2012-01-05 Panasonic Corp Portable terminal
JP2012027592A (en) 2010-07-21 2012-02-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06A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2072B2 (en) Mobile terminal
US200902641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and mobile phone
US20110228491A1 (en) Sliding electronic apparatus
US9853349B2 (en) Electronic device
KR102073570B1 (en) 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23554A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phone comprising the dispaly module
JP5342030B2 (en) Electronics
US8744535B2 (en) Navigation tool holder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CN111668051A (en) Key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808862B1 (en) Ground devic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50076961A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WO2003081972A1 (en) Mobile terminal device
US8054644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18307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80088775A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696425B2 (en) Key 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3178695B (en) Electronic device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US8063329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259914A1 (en) Mobile terminal having noise shiel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JP2008009904A (en) Electronic device
JP3717763B2 (en) Mobile phone equipment
CA2755092C (en) Navigation tool holder
US8227717B2 (en) Key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