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90B1 - 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90B1
KR102072590B1 KR1020180156323A KR20180156323A KR102072590B1 KR 102072590 B1 KR102072590 B1 KR 102072590B1 KR 1020180156323 A KR1020180156323 A KR 1020180156323A KR 20180156323 A KR20180156323 A KR 20180156323A KR 102072590 B1 KR102072590 B1 KR 10207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ifier
desulfurization
burner
syn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형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2Dust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83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23Heating the gasifier by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03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gas treatment
    • C10J2300/1606Combu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03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gas treatment
    • C10J2300/1618Modification of synthesis gas composition, e.g. to meet some cri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56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8Details of the gasification process, e.g. loops, autothermal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Abstract

Disclosed are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emission of pollutants by fixing sulfur and chlorine components in a gasification melting furnace, and to a hydrogen 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as furnace installed to occur a gasification reaction at high temperature; a waste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waste to the gas furnace; a fixed chemical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a desulfurizing and desalting agent to the gas furnace; at least one burner installed to heat waste and the desulfurizing and desalting agent into the gas furnace to increase an internal increase, supplying an oxidant, and melting the waste and the desulfurizing and desalting agent to form the same in a slag form; and a slag discharge device installed to discharge a slag generated in the gas furnace.

Description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방법{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기물 가스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산소가 공급되는 버너로 가스화로를 승온 및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고, 탈염 및 탈황제를 공급하면서 로내에 투입된 폐기물을 용융시킴으로써, 폐기물로부터 탈황 및 탈염이 더욱 활발히 생성되고, 황분 및 염분이 안정화된 슬래그로 배출되도록 한 로내 가스화 및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용융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gas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desulfurization and waste from waste by melting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furnace while maintaining the gasifier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temperature with a burner fed with pure oxygen, and supplying desalination and desulfurization ag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gasification furnace system incorporating in-gas gasification and melting, in which desalination is more actively generated and sulfur and salts are discharged to stabilized slag, and a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반응은 산소가 많은 분위기에서 처리하는 소각(연소) 기술과 산소가 적은 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가스화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the reaction for converting flammable waste into energy can be classified into an incineration (combustion) technique for treating in an oxygen-rich atmosphere and a gasification technique for treating in an atmosphere of low oxygen.

가스화 기술은 고체 또는 액체 연료에 공기, 산소 등의 가스화제를 단독 또는 서로 배합하여 고온에서 작용시킴으로써, 수소, 일산화탄소, 메테인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열효율이 높고 취급하기 쉬운 기체연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가스화 과정에서 생성된 합성 가스는 타르, 황화합물 성분, 염화수소 성분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된 후 추가적인 처리(예를 들면, 타르 개질 공정, 탈황 공정, 탈염 공정 등)를 거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the gasification technology, gaseous agents such as air and oxygen are mixed with solid or liquid fuel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operate at a high temperature, thereby obtaining a gaseous fuel having high thermal efficiency and easy handling. . Since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process includes tar, sulfur compound components, hydrogen chloride components, etc., it is variously utilized afte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further processed (for example, tar reforming process, desulfurization process, and desalination process). Can be.

또한, 가스화 기술 중 고정층 가스화 기술은 반응로의 상부에 투입된 폐기물을 중력을 이용하여 반응로의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 및 가스화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층 가스화는 일례로, 해양폐기물 및 사업장 폐기물 등의 저급 연료를 이용하여 고온 고정층 가스화 용융로에서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이 합성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정제하여 청정한 합성가스로 변환시키며, 이 청정 합성가스에서 정제공정 및 수소전환 분리공정을 통해 고순도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bed gasification technology of the gasification technology is made to dry and gasify the waste injec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while mov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by using gravity. Here, the fixed-bed gasification, for example, by using low-grade fuel, such as marine wastes and workplace wastes to produce a synthesis gas in a high temperature fixed bed gasification furnace, purify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into a clean syngas, High purity hydrogen and carbon dioxide can be produced through purification and hydrogen conversion separation processes in clean syngas.

반면, 이러한 가스화 과정에서 생성된 합성 가스는 타르, 황화합물 성분, 염화수소 성분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합성가스로의 추가적인 처리(예를 들면, 타르 개질 공정, 탈황 공정, 탈염 공정 등)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정층 가스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process includes a tar, a sulfur compound component, a hydrogen chloride component, etc., further treatment with the synthesis gas (eg, a tar reforming process, a desulfurization process, a desalting process, etc.) is required. Since a separate processing device is required for such additional processing, the structure of the fixed bed gasifier may be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s may increase.

일례로, 해양폐기물, 산업폐기물 및 유기성폐기물과 같이 원료 중에 염분 또는 황분이 많이 포함된 폐기물은 가스화를 통해 생산되는 함성가스에 염소화합물과 황화합물이 다량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청정한 합성가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정제공정을 거쳐야 하며, 농도가 높은 오염물질을 정제하기 위해서는 정제공정의 규모가 커지고, 정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합성가스 이용공정에 따라 ppm단위 이하까지 정제하여야 할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폐기물 가스화로에서 로내 탈염/탈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산된 합성가스 내 염화수소 및 황화합물 함량이 높아 합성가스 정제시설의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가스 중에 염화수소와 같은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정제시설 중 열회수장치를 비롯한 연결 라인의 덕트의 부식이 가속화되므로 로내에서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For example, waste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lt or sulfur in raw materials, such as marine waste, industrial waste, and organic waste, contain large amounts of chlorine compounds and sulfur compounds in the gaseous gas produced through gasification. Such contaminants must go through a purification process to use clean syngas,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becomes large to purify pollutants with high concentration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t is below ppm unit according to the synthesis gas use process. If it needs to be refined, it will be expensive. In addition, when the desalination / desulfurization in the furnace does not occur in the waste gasifier, the content of hydrogen chloride and sulfur compounds in the produced syngas is high, thereby increasing the treatment cost of the syngas purification plant. Therefore, a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uch as hydrogen chloride in the synthesis gas is higher, the corrosion of the ducts of the connection line including the heat recovery device in the refinery is accelerated,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pollutants in the furna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6837(2014.11.28.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466837 (2014.11.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8191(2014.05.27.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98191 (2014.05.27. Notific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2369(2013.10.2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22369 (October 29,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9837(2015.10.13.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559837 (August 13, 201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5094(2017.02.0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05094 (August 09, 2017.)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폐기물로부터 합성가스를 생성하면서, 가스화 용융로 내의 폐기물을 용융시켜 슬래그로 배출하도록 된 가스화와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generating a synthesis gas from the wast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tegrated with gasification and melting to melt the waste in the gasification furnace to be discharged to the slag and a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고온에서 가스화 반응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가스화로와; 상기 가스화로에 폐기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폐기물 공급장치와; 상기 가스화로에 탈황 및 탈염제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와; 상기 가스화로 내의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산화제를 공급하며,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용융시켜 슬래그화 시키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너; 및 상기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슬래그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슬래그 배출장치를 포함하 ㄹ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ification furnace installed to generate a gasification reaction at a high temperature; A waste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waste to the gasifier; An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to the gasifier; At least one burner installed to heat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to raise an internal temperature, supply an oxidizing agent, and melt and slag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And it may include a slag discharge device installed to discharge the slag generated in the gasifier.

여기서, 상기 가스화로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폐기물 공급장치와 상기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배출장치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 및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열 배출구가 상기 가스화로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는 상기 가스화로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래그 배출구는 상기 가스화로의 하단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폐열 배출구는 상기 가스화로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gasifier is formed in a "┴" shape, the inlet for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supplied from the waste supply device and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The slag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lag to the slag discharge device and the waste hea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heat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gasifier, the in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gasifier, the slag discharge port is the gasifier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furnace, the waste heat outlet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gasifier.

상기 버너는, 상기 가스화로의 일측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화로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도록 설치된 제1버너와; 상기 제1버너를 통과하여 가스화로의 타측 부위로 이동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도록 설치된 제2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rner may include: a first burn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gasifier and installed to heat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while rais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It may include a second burner installed to heat and melt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passed through the first burner to the other side of the gasifier.

또한 상기 버너는, 상기 가스화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합성가스의 개질을 위해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3버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rn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sifier,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urner for supplying an oxidant for reforming the synga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버너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연료 공급장치와; 상기 제1버너에 순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순산소 공급장치; 및, 상기 가스화로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산화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uel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fuel to the first burner; A pure oxygen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pure oxygen to the first burner;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and to control the supply of oxidant,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 공급장치의 연료 유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연료유량 제어장치와; 상기 순산소 공급장치의 순산소 유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순산소유량 제어장치; 및,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의 성분을 측정하는 합성가스 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flow rat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control the fuel flow rate of the fuel supply device; A pure oxygen flow rat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control the pure oxygen flow rate of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yngas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mponents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열회수장치와; 상기 열회수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에서 분진을 포집하도록 설치된 분진 여과집진장치와; 상기 분진 여과집진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도록 설치된 정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heat recovery device installed to recover the sensible heat of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 dust filter collector installed to collect dust from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heat recovery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to purify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상기 정제장치는, 상기 분진 여과집진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탈황 및 탈염하고, 수분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습식 정제장치와; 상기 습식 정제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도록 설치된 고도 정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ining apparatus includes: a wet refining apparatus installed to desulfurize and demineralize syn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dust collector, and to remove water; It may include an advanced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to purify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wet purification device.

또한 발명은 상기 정제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하도록 설치된 수소 전환장치와; 상기 수소 전환장치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하도록 설치된 가스 분리회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is a hydrogen conversion device installed to convert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purification device into hydroge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to extract carbon dioxide from the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여기서, 상기 탈황 및 탈염제는 소성 공정 없이 공급되는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를 포함하는 알칼리토금속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may be composed of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which are supplied without firing.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화로에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투입되고, 탈황 및 탈염 반응이 수행되어 생성된 합성가스가 수소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진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에 있어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스화로에 공급하는 공급단계(S10)와; 상기 가스화로에 산화제를 공급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생성단계(S20)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상기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하는 현열 회수단계(S30)와; 상기 합성가스 내의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단계(S40)와; 상기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정제단계(S50, S60)와; 상기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하는 수소 전환단계(S70); 및 상기 합성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분리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 which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s put into the gasifier,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to convert the generated synthesis gas to hydrogen. In the supply step (S10) for supplying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o the gasifier; A gas generating step (S20) of generating a synthesis gas by supplying an oxidant to the gasifier; A sensible heat recovery step (S30) for recovering sensible heat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 dust collecting step (S40) for collecting dust in the syngas; A purification step of purifying the syngas (S50, S60); A hydrogen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into hydrogen (S70); And a carbon dioxide separation step (S90)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the synthesis gas.

여기서,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는, 상기 가스화로에 투입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1버너로 가열하면서 산화제를 공급하여 1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후 이동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2버너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키면서 산화제를 재차 공급하여 2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as generating step (S20), the step of generating a primary synthesis gas by supplying an oxidant while heating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jected into the gasifier with a first burner, and then moved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The desalting agent may be heated and melted again with the second burner to supply the oxidant again to generate a secondary synthesis ga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와 상기 현열 회수단계(S30)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화로 내에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용융되면서 생성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로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and the sensible heat recovery step (S30), the slag generated while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s melted in the gasifier to discharge the slag to the outside of the gasifier. It may further comprise a discharge ste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를 개질하도록, 상기 가스화로 내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upplying an oxidant in the gasifier to reform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여기서, 상기 공급단계(S10)에서 상기 가스화로 내부에 공급되는 탈황 및 탈염제는, 소성 공정 없이 공급되는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를 포함하는 알칼리토금속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supplied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in the supplying step (S10) may be composed of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which are supplied without a firing process.

또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합성가스를 습식 정제하는 단계(S50)와; 습식 정제된 합성가스를 고도 정제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step, the step of wet purification of the synthesis gas (S50); It may comprise a step (S60) of highly purified wet purified syngas.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가스화로에서 합성가스를 생성하면서 폐기물을 용융시켜 슬래그 형태로 배출함으로써, 황분 및 염소성분이 슬래그에 고정화되어 합성가스의 탈황 및 탈염공정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2차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ing the waste while producing a synthesis gas in the gasifier and discharged in the form of slag, sulfur and chlorine components are fixed to the slag can reduce the processing cost of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process of the synthesis gas. In addition, it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secondary pollutants and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and operating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은 가스화로 내의 온도를 1,000℃ 이상 고온으로 유지함으로써, 종래에 수행되었던 탈황 및 탈염제의 소성 공정이 배제되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탈황 및 탈염제로 공급되는 알칼리토금속류의 용융온도가 낮아져 가스화용융 공정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process by eliminating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process previously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 the gasifi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1,000 ℃, thereby melting the alkaline earth metals supplied to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Lower temperatures can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gasification process.

그리고 본 발명은 해양폐기물 또는 음식폐기물 등과 같은 염분 또는 황분을 다량 함유된 폐기물에 대해 가스화로 내에서의 2차 이상의 가열 및 용융으로 염분 및 황분을 원천적으로 저감함으로써,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후처리하는 공정의 부담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alt and sulfur by the second heating or melting in the gasifier for the wast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lt or sulfur such as marine waste or food waste, thereby reducing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The burden on the post-treatment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내 가스화 및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내 가스화 및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schematic view of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corporating in-gas gasification and melt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corporating in-gas gasification and melt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hydrogen using the system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내 가스화 및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corporating in-gas gasification and mel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공급되는 폐기물로부터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합성가스 생성장치(Gas Generation Device; GG)와 생성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정제장치(Gas Purify device; GP)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 generation device (GG) for generating a synthesis gas from a waste to be supplied and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the generated synthesis gas ( Gas Purify device; GP).

합성가스 생성장치(GG)는 고온에서 가스화 반응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가스화로(100)와, 폐기물 공급장치(110)와,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와, 적어도 하나의 버너 및 슬래그 배출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Synthesis gas generating apparatus (GG) is a gasifier 100 installed to generate a gasification reaction at a high temperature, a waste supply device 110, a fix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at least one burner and slag discharge device 190 ) May be included.

상기 가스화로(100)는 대략 1,180℃ 정도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상기 폐기물 공급장치(110)는 상기 가스화로(100)에 해양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유기성 폐기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폐기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폐기물에는 염분 또는 황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폐기물로 합성가스를 생성하면, 일반폐기물보다 염화수소와 같은 염소화합물과, 황하수소(H2S), 이황화탄소(CS2), 황화-카르보닐(COS)과 같은 황화합물 등의 가스 발생량이 많다. The gasifier 100 is manufactured to maintain an internal temperature of about 1,180 ℃. The waste supply device 110 is installed to supply various wastes including marine wastes, workplace wastes, organic wastes, etc. to the gasifier 100. The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salt or sulfur. Therefore, when syngas is generated from this waste, the amount of gas generated from chlorine compounds such as hydrogen chloride and sulfur compounds such as hydrogen sulfide (H2S), carbon disulfide (CS2), and carbonyl sulfide (COS)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waste.

상기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는 탈황 및 탈염을 위한 고정화 약품을 가스화로(100)에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탈황 및 탈염을 위한 고정화 약품(이하, '탈황 및 탈염제'라고 한다)은 약품의 소성 공정 없이 공급되는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 등을 포함한 알칼리토금속류일 수` 있다. 이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를 통하여 가스화로(100) 내에 황분 및 염분 고정화 약품(탈황 및 탈염제)을 투입함으로써, 가스화로(100) 내에서 탈황 및 탈염 반응이 발생된다.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is installed to supply the immobilized chemical for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to the gasifier (100). Here, the immobilized chemicals for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sulfurizing and desalting agents') may be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that are supplied without the chemical firing process.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reactions occur in the gasifier 100 by introducing sulfur and salt immobilization chemicals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100 through the immobilization chemical supply device 120.

한편, 종래에는 가스화로 내부 온도가 저온이고, 탈황 및 탈염제의 온도가 낮은 상태이므로, 탈황 및 탈염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탈황 및 탈염제를 소성시킨 후 가스화로 내에 투입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가스화로는 내부온도가 대략 1,000 ~ 1,500℃, 일례로 1,300℃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탈황 및 탈염제를 소성시킬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용융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연료의 사용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알칼리토금속류는 황분 및 염분이 흡착 및 고정됨은 물론, 불연물의 염기도를 증가시켜 용융온도를 낮춰서 가스화용융 공정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황분 및 염소 성분을 슬래그에 고정화 함으로써 합성가스의 탈황 및 탈염 공정의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2차 오염 불질의 발생량을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sin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is 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s low,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s fired and then put into the gasification furn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as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 internal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000 to 1,500 ° C., for example, 1,300 ° C. or more, there is no need to fir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thereby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fuel, thereby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fuel. Can be. Therefore, alkaline earth metals can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gasification melting process by lowering the melting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basicity of the incombustibles as well as the sulfur and salt is adsorbed and fixed. In addition, by fixing the sulfur and chlorine components in the sla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eatment cost of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process of the synthesis gas, and to reduce the amount of secondary pollution. This may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and operating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상기 버너는 상기 가스화로(100) 내의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산화제를 공급하며,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용융시켜 슬래그화 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너는 제1버너(130), 제2버너(140) 및 제3버너(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rner heats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100 to raise the internal temperature, supplies an oxidizing agent, and melts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o slag. To this end, the burner may include a first burner 130, a second burner 140, and a third burner 150.

상기 제1버너(130)는 상기 가스화로(100)의 일측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화로(1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도록 설치된다. 제2버너(140)는 제1버너(130)를 통과하여 가스화로(100)의 타측 부위로 이동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도록 설치된다.The first burner 13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sifier 100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100 and is installed to heat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he second burner 140 is installed to heat and melt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burner 130 to the other side of the gasifier 100.

제3버너(150)는 가스화로(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합성가스의 개질을 위해 산화제를 공급한다.The third burne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sifier 100 and supplies an oxidant for reforming the synthesis gas.

또한, 가스화로(100)는 정면상 폭이 넓은 하부와, 높이가 높은 상부를 구비한 대략 "┴"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가스화로(100)에는 투입구(101)와, 슬래그 배출구(103) 및 폐열 배출구(105)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asifier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substantially "┴" shape having a wide bottom and a high top in front. In the gasifier 100, an inlet 101, a slag outlet 103, and a waste heat outlet 105 are formed.

상기 투입구(101)는 상기 가스화로(10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다. 이 투입구(101)를 통하여 폐기물 공급장치(110)와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에서 공급되는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가스화로(100) 내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슬래그 배출구(105)는 상기 가스화로의 하단 타측에 형성된다. 이 슬래그 배출구(103)를 통하여 가스화로(100) 내의 슬래그가 슬래그 배출장치(190)로 배출된다. 상기 폐열 배출구(105)는 상기 가스화로(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폐열 배출구(105)를 통하여 가스화로(10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된다.The inlet 10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gasifier 100.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supplied from the waste supply device 110 and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are introduced into the gasifier 100 through the inlet 101. In addition, the slag outlet 10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gasifier. The slag in the gasifier 100 is discharged to the slag discharge device 190 through the slag discharge port 103. The waste heat outlet 10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asifier 100, and heat inside the gasifier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heat outlet 105.

이때, 가스화로(100)의 상부는 폭에 대해 하부에서 폐기물이 투입되는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타측에는 슬래그 배출장치(19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서 상부가 치우친 일부위로 폐기물 및 고정화 약품이 공급되고, 제1버너(130)가 설치되며, 하부에서 그 반대인 타측에 슬래그 배출장치(190)가 설치되며, 로내에서 생성된 합성가스가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폐기물 및 고정화 약품과, 산화제가 가스화로(100)의 일부위에 집중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넓은 부위에 분포된 경우보다 가스 합성 반응은 물론 탈황 및 탈염 반응 역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gasifier 100 is located in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to the waste input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and thus may be connected to the slag discharge device 190 on the other side. Therefore, waste and immobilized chemicals are suppli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first burner 130 is installed, and the slag discharge device 190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lower part, and the syngas generated in the furnace. May be manufact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top. This is because waste and immobilized chemicals and oxidants are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gasifier 100 so that the gas synthesis reaction as well as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reactions are more concentrated than when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연료 공급장치(160), 순산소 공급장치(170) 및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 공급장치(160)는 상기 제1버너(130)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순산소 공급장치(170)는 상기 제1버너(130)에 순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가스화로(10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산화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uel supply device 160,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and the control unit 200. In this case, the fuel supply device 160 is installed to supply fuel to the first burner 130, and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is installed to supply pure oxygen to the first burner 13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is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100, and to control the supply of oxidizing agent,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그리고 가스화로(100)는 폐기물과 고정화 약품의 높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높이(양)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레벨 센서의 데이터 값이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제어부(200)에서 폐기물과 고정화 약품의 공급, 공급량 조정 및 중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화로(100)의 하부에 폐기물이 공급되고, 생성된 합성가스는 상부로 유동하게 되므로, 합성가스가 폐기물 공급장치(110) 및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로 역류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sifi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aste and the immobilized chemical, and adjusting the supply amount according to a preset height (amount). The data value of the level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djust and stop supply of waste and immobilized chemicals in the control unit 200. Here, since the waste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asifier 100 and the generated syngas flows upward, the case where the syngas flows back to the waste supply device 110 and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is avoided. Can be.

이 폐기물 공급장치(11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폐기물을 가스화로(100)에 공급, 공급량 조정 및 중지하도록 설치되고, 컨베이어, 스크류 또는 로터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The waste supply device 110 is installed to supply, adjust and stop the waste to the gasifier 100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may be manufactured including a conveyor, a screw, or a rotary.

제1버너(130)는 합성가스의 생성은 물론,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의 화학 반응을 유도 및 촉진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가스화로(100)에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1버너(130)는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공급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버너(130)는 연료와, 산화제로서 순산소를 가스화로(100)에 공급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는 연료 공급장치(160)에서, 순산소는 순산소 공급장치(170)에서 제1버너(130)로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는 가스화로(100)의 초기 온도 상승을 위하거나, 가동 도중 폐기물의 열량이 부족하여 로내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합성가스의 생산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LNG 또는 LPG가 이용될 수 있다. The first burner 130 is installed to supply the gasifier 100 with an oxidant for generating and syngas, as well as inducing and promoting chemical reaction between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he first burner 130 may be installed at a site to which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are supplied. The first burner 130 may be manufactured to supply fuel and pure oxygen to the gasifier 100 as an oxidant. Here, the fuel may be installed to be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device 160 and the pure oxygen from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to the first burner 130. And the fuel is us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synthesis ga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for the initial temperature rise of the gasifier 100 or the amount of waste heat during operation, LNG or LPG may be used.

제2버너(140)는 제1버너(130)에 의해 1차 가열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키면서 산화제를 공급하여 2차적으로 합성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버너(140)는 가스화로(100)에서 슬래그 배출을 위한 하부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버너(140)는 연료 및/또는 산화제인 순산소가 공급되도록 설치되고, 제1버너(130)와 설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때, 순산소는 순산소 공급장치(170)에서 공급되고, 연료는 연료 공급장치(160)에서 공급되며, 순산소 공급장치(170) 또는 연료 공급장치()는 각각 제1버너(130), 제2버너(140)와 제3버너(15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버너(140는 가스화로(100) 내의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용융시켜 슬래그화 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는 제2버너(140)에 의해 슬래그로 변환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second burner 140 may be installed to supply the oxidant while secondaryly generating the synthesis gas by heating and melting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first heated by the first burner 130 again. To this end, the second burner 140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for discharging slag from the gasifier 100. That is, the second burner 140 may be installed to supply pure oxygen, which is a fuel and / or an oxidant,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burner 130. At this time, the pure oxygen is supplied from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the fuel is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device 160,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or the fuel supply device () is respectively the first burner 130, One or two or more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burner 140 and the third burner 150. Here, the second burner 140 may be installed to melt and slag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100. Therefore,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s slag by the second burner 140. Can be converted to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3버너(150)는 가스화로(10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의 개질을 위해 가스화로(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제3버너에는 연료 및/또는 순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The third burner 1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sifier 100 for reformi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100. Of course, this third burner may be supplied with fuel and / or oxygen.

연료 공급장치(160)는 제1버너(130), 제2버너(140)와 제3버너(150) 중 적어도 하나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연료는 LNG 또는 LPG 중 어느 하나이고, 가스화로(100)의 초기 온도 상승을 위하거나, 가동 도중 폐기물의 열량이 부족하여 로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fuel supply device 160 is installed to supply fue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rner 130, the second burner 140, and the third burner 150. Here, the fuel is either LNG or LPG, and may be used to increase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100 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due to insufficient heat of waste during operation.

순산소 공급장치(170)는 제1버너(130), 제2버너(140)와 제3버너(150) 중 적어도 하나에 순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순산소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순산소유량 제어장치(17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순산소를 통해 합성가스 내의 황화합물 및 염소화합물의 발생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순산소는 산소 순도가 대략 93% 이상일 수 있다.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is installed to supply pure oxyge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rner 130, the second burner 140, and the third burner 150. At this time, the pure oxygen flow rate control device 171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pure oxygen may be further installed. Through this pure oxygen, the concentration of sulfur compounds and chlorine compounds in the synthesis gas can be reduced. In this case, the pure oxygen may have an oxygen purity of about 93% or more.

합성가스 측정장치(180)는 가스화로(10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 내에 포함된 황분 및 염분,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각종 오염 물질 등의 각종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이 합성가스 측정장치(180)는 가스화로(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송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syngas measuring device 180 is installed to measure various components such as sulfur and salt, hydrogen and carbon dioxide, and various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syn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100. The syngas measuring device 180 may be installed above the gasifier 100 and may be installed to transmit the measured data to the control unit 200.

슬래그 배출장치(190)는 가스화로(100)의 하부이면서 폐기물이 공급되는 위치의 반대 위치에 설치된다. 일례로, 폐기물은 가스화로(100)의 하부 일측으로 투입되어 제1버너(130)에 의해 가열 및 탈황, 탈염되고, 하부 타측으로 이동하여 제2버너(140)에 의해 재차 가열 및 용융되면서 탈황 및 탈염되고, 배출시 슬래그로 배출될 수 있다. 이 슬래그는 황분 및 염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오염물질 용출에 대해 안정적이고, 재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변한 슬래그가 슬래그 배출장치(190)를 통해 가스화로(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slag discharge device 19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gasifier 100 and opposite the position where the waste is supplied. For example, waste is introduced into one lower side of the gasifier 100, heated, desulfurized, and desalted by the first burner 130, and moved to the other lower side to be desulfurized while being heated and melted again by the second burner 140. And desalted and may be discharged into slag upon discharge. This slag is stable against sulfur and salt, so it is stable against contaminant leaching and can be recycled. The slag thus change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asifier 100 through the slag discharge device 190.

제어부(200)는 레벨 센서 및 합성가스 측정장치(180)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폐기물 공급장치(110),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 제1버너(130), 제2버너(140), 연료 공급장치(160), 연료유량 제어장치(161), 순산소 공급장치(170)와, 순산소유량 제어장치(171)를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어부(200)는 합성가스 생성장치(GG) 내의 모든 구성에 대해 제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레벨센서의 데이터를 통해 폐기물 공급장치(110) 및 고정화 약품 고정장치(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합성가스 측정장치(180)의 데이터를 통해 연료 및 순산소의 비율 및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data of the level sensor and the synthesis gas measuring device 180, the waste supply device 110,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the first burner 130, the second burner 140, The fuel supply device 160, the fuel flow rate control device 161,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170, and the pure oxygen flow rate control device 171 are installed to control the fuel supply device 160.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may be installed to control all the components in the syngas generator (GG). For exampl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te supply device 110 and the immobilized drug fixing device 120 through the data of the level sensor can adjust the supply amount of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addition, the ratio and the supply amount of fuel and oxygen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data of the syngas measuring device 180.

한편, 정제장치(GP)는 열회수장치(300), 분진 여과집진장치(310), 정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device GP may include a heat recovery device 300, a dust filter dust collecting device 310, and a purification device.

열회수장치(300)는 고온의 가스화로(100)에서 생성된 고온의 합성가스에서 열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이 열회수장치(300)는 가스화로(10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가 유입되고,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is a device for recovering heat from the high temperatur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gasifier 100.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100 flows in, and recovers the sensible heat of the syngas.

분진 여과집진장치(310)는 열회수장치(30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 내의 카본 분진을 포함한 다양한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 분진 여과집진장치(310)는 합성가스 내의 분진을 여과 집진하고, 분진에 의한 이후 장치의 유동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분진 여과집진장치(310)에서 포집된 카본 분진은 건조분말 상태로 발열량이 높으므로 로내 재순환하여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본 분진을 최종 폐기처리하더라도 폐기물의 무게가 감량되고, 세정수의 사용이 절약될 수 있다. Dust filter bag 310 is a device for removing a variety of dust, including carbon dust in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The dust filter collector 310 may filter the dust in the synthesis gas, and prevent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flow pipe of the apparatus by the dust. At this time, the carbon dust collected by the dust filter bag 310 has a high calorific value in a dry powder state, and thus can be recycled into a furnace and used as a raw material. In addition, even the final disposal of the carbon dus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waste and save the use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정제장치는 분진 여과집진장치(31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것으로서, 습식 정제장치(320), 고도 정제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ining apparatus is to purify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310, it may include a wet refining device 320, the advanced refining device 330.

습식 정제장치(320)는 분진 여과집진장치(31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의 냉각 및 잔존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 습식 정제장치(320)는 습식 탈염장치, 습식 탈황장치 및 수분제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습식 정제장치(320)는 합성가스에 잔류하는 황분 및 염분을 재차 제거할 수 있다. The wet refining device 320 is a device for cooling the residual gas and cooling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310. The wet refining device 320 may be composed of a wet desalination unit, a wet desulfurization unit, and a water removing unit. Accordingly, the wet refining apparatus 320 may remove sulfur and salt remaining in the synthesis gas again.

고도 정제장치(330)는 습식 정제장치(320)에서 유입된 합성가스에 포함된 다양한 오염물질을 고도로 정제하는 장치이다.The advanced purification device 330 is a device for highly purifying various pollutants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introduced from the wet purification device 320.

또한 상기 정제장치(GP)는 수소 전환장치(340)와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device GP may further include a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and a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상기 수소 전환장치(340)는 고도 정제장치(330)에서 유입된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소 전환장치(340)에서 배출된 가스는 가스 공급장치(350)를 통하여,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로 공급된다.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is a device for converting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introduced from the advanced purification device 330 into hydroge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is supplied to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through the gas supply device 350.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는 상기 수소 전환장치(340)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는 가스 공급장치(350)에서 유입된 가스에서 대략 순도 99.99%의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는 일례로 PSA 장치일 수 있다.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is installed to extract carbon dioxide from the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That is,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is a device for producing hydrogen having a high purity of approximately 99.99% purity from the gas introduced from the gas supply device 350.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may be, for example, a PSA device.

이후, 가스 분리회수장치(360)에서 생성된 고순도의 수소는 수소차의 수소스테이션으로 공급되거나 연료전지 발전용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분리회수장치(360)에서 추출된 이산화탄소 중 잔량은 이산화탄소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high purity hydrogen generated by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may be supplied to a hydrogen station of a hydrogen car or to a demand source for fuel cell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remaining amount of carbon dioxide extracted from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may be supplied to the carbon dioxide demand destination.

<방법><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내 가스화 및 용융이 일체화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 생성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가스화로(100)는 연료가 공급된 제1버너(130)로 인해 미리 대략 1,100 ~ 1,300℃로 가열된 상태이다. 여기서,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은 가스화로에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투입되고, 탈황 및 탈염 반응이 수행되어 생성된 합성가스가 수소로 전환되도록 한다.A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in which furnace gasification and melting are integ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Here, the gasifier 100 is heated to approximately 1,100 to 1,300 ° C in advance due to the first burner 130 supplied with fuel. Here, in th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are introduced into a gasification furnac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reactions are performed to convert the produced syngas into hydrogen.

먼저,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스화로(100)에 공급한다(S10). 이산화탄소가 공급된 폐기물을 가스화로(100)에 공급하고, 폐기물의 황분 및 염분을 흡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탈황 및 탈염제를 가스화로(100)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120)에 의해 약품의 소성 공정 없이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 등을 포함한 알칼리토금속류로 구성된 탈황 및 탈염제를 가스화로(1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는 섞어서 공급하거나 별도로 공급할 수 있다. First,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are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S10). Waste gas supplied with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for adsorbing and fixing sulfur and salts of the waste may be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For example,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composed of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may be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without the chemical firing process by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20. At this time,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may be mixed or supplied separately.

다음으로, 산화제인 순산소를 제1버너(130) 및 제2버너(140)를 통해 가스화로(100)에 공급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한다(S20). 이 가스 생성단계는 상기 가스화로(100)에 투입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1버너(130)로 가열하면서 산화제를 공급하여 1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후 이동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2버너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키면서 산화제를 재차 공급하여 2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pure oxygen as an oxidant is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through the first burner 130 and the second burner 140 to generate a synthesis gas (S20). The gas generating step is to generate the primary synthesis gas by supplying the oxidant while heating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troduced into the gasifier 100 to the first burner 130, and then moved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The desalting agent may be heated and melted again with the second burner to supply the oxidant again to generate a secondary synthesis ga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를 개질하도록, 상기 가스화로 내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upplying an oxidant in the gasifier to reform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제1버너(130)는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공급되는 위치에 산화제를 공급하여 합성가스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버너(140)는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슬래그화되는 부위에 산화제를 공급하여 합성가스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버너(150)는 가스화로(100)에 포집된 합성가스에 산화제를 공급하여 합성가스를 개질할 수 있다. The first burner 130 may supply the oxidant to a location where the waste and the desulfurization and the desalting agent are supplied to allow the synthesis gas to be generated. The second burner 140 may supply the oxidant to the site where the waste, the desulfurization, and the desalting agent slag to allow the synthesis gas to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third burner 150 may reform the syngas by supplying an oxidant to the syngas collected in the gasifier 100.

이렇게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가스화로(100)에서 반응하여 합성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합성가스 측정장치(180)로 합성가스를 측정하고, 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순산소의 공급량이 조정되어 가스화로(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합성가스가 일정하게 생산되고, 탈황 및 탈염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합성가스 내의 질소를 포함한 다양한 오염물질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Thus, waste gas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react in the gasifier 100 to generate syngas. In this case, the synthesis gas may be measured by the synthesis gas measuring device 180, and the supply amount of pure oxygen may be adjusted and supplied to the gasifier 100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Through this, the syngas is constantly produced,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ination reaction is performed smoothly, and various contaminants including nitrogen in the syngas can be adjusted to be within a preset range.

다음으로, 가스화로(10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한다(S30).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합성가스가 열회수장치(300)로 유동하고, 이 열회수장치(300)에서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할 수 있다.Next, the sensible heat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100 is recovered (S30).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flows to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and the sensible heat of the synthesis gas can be recovered from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여기서,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와 상기 현열 회수단계(S30) 사이에 수행되는 슬래그 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슬래그 배출단계는 상기 가스화로 내에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용융되면서 생성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로 외부로 배출한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lag discharge step performed betwee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and the sensible heat recovery step (S30). The slag discharge step discharges the slag generated by melting the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to the outside of the gasifier.

다음으로, 온도가 낮아진 합성가스 내의 분진을 집진한다(S40). 열회수장치(30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분진 여과집진장치(310)로 유동시켜 합성가스 내의 분진을 집진할 수 있다. 이때, 포집된 카본 분진은 가스화로(100)에 재순환시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Next, the dust in the synthesis gas is lowered temperature (S40).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heat recovery device 300 may be flowed into the dust filter bag 310 to collect dust in the synthesis gas. At this time, the collected carbon dust can be recycled to the gasifier 100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다음으로, 합성가스를 정제한다(S50, S50). 이 합성가스 정제 단계는 합성가스를 습식 정제하는 단계(S50)와, 습식 정제된 합성가스를 고도 정제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synthesis gas is purified (S50, S50). The syngas purific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wet purifying the syngas (S50) and a step of highly purifying the wet purified syngas (S60).

습식 정제단계(S50)는 분진 여과집진장치(31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습식 정제장치(320)로 유동시켜 습식으로 탈황 및 탈염시켜 정제하고,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습식 탈황장치, 습식 탈염장치 및 수분제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합성가스 고도 정제단계(S60)는 습식 정제장치(32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고도 정제장치(330)에 유동시켜 합성가스 내의 다양한 오염물질을 고도로 정제할 수 있다. In the wet refining step (S50),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310 may be flowed into the wet refining device 320 to be purified by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in a wet manner, and water may be removed. This process may consist of a wet desulphurizer, a wet desalter and a water removal device. Next, the syngas advanced purification step (S60) may flow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wet refining apparatus 320 to the altitude refining apparatus 330 to highly refine various contaminants in the syngas.

다음으로, 합성가스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한다(S70). 고도 정제장치(33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수소 전환장치(340)로 유동시켜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할 수 있다. Next,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is converted to hydrogen (S70).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advanced purification device 330 may be flowed to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to convert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into hydrogen.

끝으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한다(S80). 수소 전환장치(34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가스 공급장치(350) 및 가스 분리회수장치(360)로 유동시켜 가스 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하고, 고순도의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Finally, the carbon dioxide is separated from the gas (S80). Syn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340 may be flowed to the gas supply device 350 and the gas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360 to extract carbon dioxide from the gas, and generate high purity hydrogen.

이렇게 생성된 고순도의 수소는 수소차의 수소스테이션 또는 연료전지 발전용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The high purity hydrogen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supplied to a hydrogen station of a hydrogen car or a demand source for fuel cell power gen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GG: 합성가스 생성장치 GP: 정제장치
100: 가스화로 110: 폐기물 공급장치
120: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 130: 제1버너
140: 제2버너 150: 제3버너
160: 연료 공급장치 161: 연료유량 제어장치
170: 순산소 공급장치 171: 순산소유량 제어장치
180: 합성가스 측정장치 190: 슬래그 배출장치
200: 제어부 300: 열회수장치
310: 분진 여과집진장치 320: 습식 정제장치
330: 고도 정제장치 340: 수소 전환장치
350: 가스 공급장치 360: 가스 분리회수장치
GG: Syngas Generator GP: Purifier
100: gasifier 110: waste feeder
120: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130: first burner
140: second burner 150: third burner
160: fuel supply device 161: fuel flow control device
170: pure oxygen supply device 171: pure oxygen flow control device
180: syngas measuring device 190: slag discharge device
200: control unit 300: heat recovery apparatus
310: dust filter bag 320: wet purifier
330: high-altitude purification device 340: hydrogen inverter
350: gas supply unit 360: gas separation recovery unit

Claims (16)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있어서,
고온에서 가스화 반응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가스화로;
상기 가스화로에 폐기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폐기물 공급장치;
상기 가스화로에 탈황 및 탈염제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 상기 가스화로의 일측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화로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열하는 제1버너;
상기 제1버너를 통과하여 상기 가스화로의 타측 부위로 이동한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를 함께 가열하여 용융시켜 상기 폐기물과 함께 황분 및 염분을 고정하여 슬래그를 생성하는 제2버너;
상기 가스화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합성가스의 개질을 위해 산화제를 공급하는 제3버너; 및
상기 가스화로에서 상기 폐기물이 상기 탈황 및 탈염제와 함께 용융되어 황분 및 염분이 고정되어 생성된 슬래그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슬래그 배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화로는, 정면상 폭이 넓은 하부와 높이가 높은 상부를 포함하는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화로의 하단 일측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공급장치와 상기 고정화 약품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가스화로의 하단 타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에 황분 및 염분이 고정되어 생성된 상기 슬래그를 상기 슬래그 배출장치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 및 상기 가스화로의 상단에 배치되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열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버너, 상기 제2버너, 및 상기 제3버너 중 적어도 하나에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 공급장치를 더 구비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In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 gasification furnace installed to generate a gasification reaction at a high temperature;
A waste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waste to the gasifier;
An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to the gasifier; A first burn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gasifier to heat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while rais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A second burner which generates slag by fixing sulfur and salt together with the waste by heating and melting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burner to the other side of the gasification furnace, and melt together;
A third burn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asifier and supplying an oxidant for reforming synthesis gas; And
And a slag discharge device installed to discharge the slag generated by melting the waste together with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and fixing sulfur and salt.
The gasification furnace is formed in a "┴" shape including a wide bottom and a high top in front,
An inle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gasifier, into which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supplied from the waste supply device and the immobilized chemical supply device are introduced; A slag outlet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gasifier,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lag generated by fixing sulfur and salt to the waste to the slag discharge device; And a waste heat outle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gasifier and discharg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pure oxygen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ure oxyge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rner, the second burner, and the third bur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연료 공급장치와;
상기 제1버너에 순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순산소 공급장치; 및,
상기 가스화로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산화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fuel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fuel to the first burner;
A pure oxygen supply device installed to supply pure oxygen to the first burner; And,
And a control unit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gasifier and to control the supply of oxidant,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제1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장치의 연료 유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연료유량 제어장치와;
상기 순산소 공급장치의 순산소 유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순산소유량 제어장치; 및,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의 성분을 측정하는 합성가스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fuel flow control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uel flow rat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control a fuel flow rate of the fuel supply device;
A pure oxygen flow rat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control the pure oxygen flow rate of the pure oxygen supply device; And,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synthesis gas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mponents of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열회수장치와;
상기 열회수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에서 분진을 포집하도록 설치된 분진 여과집진장치와;
상기 분진 여과집진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도록 설치된 정제장치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eat recovery device installed to recover sensible heat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 dust filter collector installed to collect dust from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heat recovery devic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urifier installed to purify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장치는,
상기 분진 여과집진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탈황 및 탈염하고, 수분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습식 정제장치와;
상기 습식 정제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정제하도록 설치된 고도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urification device,
A wet purifier installed to desulfurize and desalte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dust filter bag, and remove water;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gh-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to purify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wet purifi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장치에서 배출된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하도록 설치된 수소 전환장치와;
상기 수소 전환장치에서 배출된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하도록 설치된 가스 분리회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hydrogen conversion device installed to convert carbon monoxide in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purification device into hydrogen;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gas separation recovery device installed to extract carbon dioxide from the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conver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 및 탈염제는 소성 공정 없이 공급되는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를 포함하는 알칼리토금속류인 것으로 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are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which are supplied without firing.
제1항, 제5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서 가스화로에 폐기물, 탈황 및 탈염제가 투입되고, 탈황 및 탈염 반응이 수행되어 생성된 합성가스가 수소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진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에 있어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가스화로에 공급하는 공급단계(S10)와;
상기 가스화로에 산화제를 공급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생성단계(S20)와;
상기 가스화로에서 배출된 상기 합성가스의 현열을 회수하는 현열 회수단계(S30)와;
상기 합성가스 내의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단계(S40)와;
상기 합성가스를 정제하는 정제단계(S50, S60)와;
상기 합성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하는 수소 전환단계(S70); 및,
상기 합성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분리단계(S90);를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In the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5 to 10, wast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are introduced into the gasifier,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reactions are performed to convert the produced syngas into hydrogen. In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A supply step (S10) of supplying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to the gasifier;
A gas generating step (S20) of generating a synthesis gas by supplying an oxidant to the gasifier;
A sensible heat recovery step (S30) for recovering sensible heat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 dust collecting step (S40) for collecting dust in the syngas;
A purification step of purifying the syngas (S50, S60);
A hydrogen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carbon monoxide in the synthesis gas into hydrogen (S70);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omprising a; carbon dioxide separation step (S90)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the synthesis ga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는,
상기 가스화로에 투입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1버너로 가열하면서 산화제를 공급하여 1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후 이동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를 제2버너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키면서 산화제를 재차 공급하여 2차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gas generation step (S20),
Generating a primary synthesis gas by supplying an oxidant while heating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troduced into the gasifier with a first burner;
Thereafter, the moved waste and the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by heating and melting again with a second burner while supplying the oxidant again to produce a secondary synthesis ga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와 상기 현열 회수단계(S30)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화로 내에서 폐기물과 탈황 및 탈염제가 용융되면서 생성된 슬래그를 상기 가스화로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t is performed betwee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and the sensible heat recovery step (S30), the slag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slag generated while melting the waste and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 in the gasifier to the outside of the gasifier further.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를 개질하도록, 상기 가스화로 내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upplying an oxidant in the gasifier to reform the syngas generated in the gas generating step (S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S10)에서 상기 가스화로 내부에 공급되는 탈황 및 탈염제는,
소성 공정 없이 공급되는 석회석, 백운석 또는 소석회를 포함하는 알칼리토금속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Desulfurization and desalting agents supplied into the gasifier in the supplying step (S10),
A hydrogen produc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lkaline earth metals including limestone, dolomite or slaked lime supplied without a calcination proc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합성가스를 습식 정제하는 단계(S50)와;
습식 정제된 합성가스를 고도 정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폐기물 가스화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urification step,
Wet purifying the syngas (S50);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a waste gasification melting system comprising the step (S60) of highly purified wet purified syngas.
KR1020180156323A 2018-10-11 2018-12-06 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725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821 2018-10-11
KR20180120821 2018-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90B1 true KR102072590B1 (en) 2020-02-25

Family

ID=6964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23A KR102072590B1 (en) 2018-10-11 2018-12-06 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082B1 (en) * 2022-11-15 2023-02-14 주식회사 우석이엔씨 Pyrolysis and gasification system and facilities for syngas gener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86A (en) * 2008-07-04 2010-01-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xed and fluidized bed water-gas shift reactor and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 by using syngas from waste gasification
KR101322369B1 (en) 2012-02-07 2013-10-29 (주)대우건설 Hot gas clean-u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in synthesis gas
KR101398191B1 (en) 2013-02-27 2014-05-27 (주)대우건설 High temperature purification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desulphurization and desalination in synthetic gas using fixed bed single reactor
KR101466837B1 (en) 2014-05-20 2014-11-28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xed bed gasifier capable of desulfurization and dechlorination
KR101559837B1 (en) 2015-03-27 2015-10-13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xed bed gasifier
KR101646764B1 (en) * 2015-10-28 2016-08-09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Method and fixed bed gasifier
KR101705094B1 (en) 2015-09-10 2017-02-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Synthesis Gas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Materi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86A (en) * 2008-07-04 2010-01-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xed and fluidized bed water-gas shift reactor and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 by using syngas from waste gasification
KR101322369B1 (en) 2012-02-07 2013-10-29 (주)대우건설 Hot gas clean-up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in synthesis gas
KR101398191B1 (en) 2013-02-27 2014-05-27 (주)대우건설 High temperature purification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desulphurization and desalination in synthetic gas using fixed bed single reactor
KR101466837B1 (en) 2014-05-20 2014-11-28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xed bed gasifier capable of desulfurization and dechlorination
KR101559837B1 (en) 2015-03-27 2015-10-13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xed bed gasifier
KR101705094B1 (en) 2015-09-10 2017-02-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Synthesis Gas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Material
KR101646764B1 (en) * 2015-10-28 2016-08-09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Method and fixed bed gas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082B1 (en) * 2022-11-15 2023-02-14 주식회사 우석이엔씨 Pyrolysis and gasification system and facilities for syngas gen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863B2 (en) Gas conditioning system
EP2167613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biofuels
AU2007275600B2 (en) A low temperature gasification facility with a horizontally oriented gasifier
AU2007247898B8 (en) A control system for the conversion of a carbonaceous feedstock into gas
JP5547659B2 (en) Gasification system with processing raw material / char conversion and gas reforming
CA2708860C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cessing co2-containing exhaust gases
US20080222956A1 (en) System for the Conversion of Coal to a Gas of Specified Composition
CA2651449C (en) A gasification facility with a horizontal gasifier and a plasma reformer
CA2610806A1 (en) A system for the conversion of carbonaceous feedstocks to a gas of a specified composition
CA2651338C (en) A control system for the conversion of a carbonaceous feedstock into gas
CA2651406C (en) A gas conditioning system
KR102072590B1 (en) Furnace system for gasification melting of waste,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7952786A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f solid dangerous waste
KR101466837B1 (en) Fixed bed gasifier capable of desulfurization and dechlorination
JP2006112715A (en) Operation method of waste melting gasifying furnace
KR2009008531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fining hydrogen from waste using plasma pyro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