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51B1 -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51B1
KR102071651B1 KR1020190089463A KR20190089463A KR102071651B1 KR 102071651 B1 KR102071651 B1 KR 102071651B1 KR 1020190089463 A KR1020190089463 A KR 1020190089463A KR 20190089463 A KR20190089463 A KR 20190089463A KR 102071651 B1 KR102071651 B1 KR 10207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ustomer
order
container
cosmetic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엽
이정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먼트
주식회사 로사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먼트, 주식회사 로사퍼시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먼트
Priority to KR102019008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으로부터 희망하는 화장품 종류와, 고객의 피부특성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고객의 피부특성을 개선할 화장품 성분을 선택하여 주문서(10)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10)를 읽어들여 상기 선택받은 화장품 성분이 표시되는 단계와; 준비된 복수개의 화장품 성분들 중 상기 선택받은 화장품 성분만 화장품용기(A)로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화장품용기(A)로 공급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을 혼합하여 화장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COSMETIC MANUFACTURING METHOD CUSTOMIZED BY CUSTOMER}
본 발명은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고객이 선택한 고객특성에 맞게 화장분성분들을 혼합하여 즉석에서 화장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통상적으로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품이다. 과거에는 여성들만의 전유물로 인식되어 화장품을 이용하는 고객층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집단의 수많은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상대방 또는 일반인에게 각인시키는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자신의 용모를 가꾸기 위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대부분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어 그 고객층이 매우 확대되었다.
또한, 화장품은 매력을 더해주는 것 외에도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크림류, 유액, 팩제 등을 통해서 피부의 보습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고, 헤어토닉, 헤어크림 등과 같은 두발용 화장품을 통해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킨다. 최근 들어, 오존층 파괴, 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또는 모발의 노화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화장품 사용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화장품들은 별도의 제조회사에서 평균적인 소비자의 기호나 피부 특성을 고려하여 대량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화장품을 구입할 수는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재료 자체 또는 이를 분쇄하여 고형화하거나 액상 형태로 제조한 다양한 화장품 원재료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고, 소비자는 자신의 피부 특성이나 헤어 성격, 취향에 맞는 화장품 원재료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선한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개인이 직접 다양한 화장품 원재료를 선택하여 구매하고, 정확한 용량을 계량하여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기에는 번거롭고 불편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의 피부특성에 맞게 화장품 원재료를 선택하여 즉석에서 화장품을 제조하여 제공하는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은, 고객으로부터 희망하는 화장품 종류와, 고객의 피부특성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고객의 피부특성을 개선할 화장품 성분을 선택하여 주문서(10)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10)를 읽어들여 상기 선택받은 화장품 성분이 표시되는 단계와; 준비된 복수개의 화장품 성분들 중 상기 선택받은 화장품 성분만 화장품용기(A)로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화장품용기(A)로 공급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을 혼합하여 화장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객의 피부특성을 입력받는 단계는 고객으로부터 고객 피부의 현재특성과 개선을 희망하는 목표특성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특성의 피부를 상기 목표특성으로 개선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과 이들 각각의 혼합량을 선택하여 주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서(10)의 하부에는 상기 현재특성과 상기 목표특성 및 상기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과 이들의 혼합량이 포함된 바코드(19)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화장품 성분들은 해당하는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수용되고, 상기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의 각 화장품성분들은 해당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을 통해 상기 혼합량만큼 화장품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문서(10)에는 고객이 희망하는 화장품의 명칭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화장품의 명칭이 인쇄된 화장품태그를 출력하려 상기 화장품용기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은 고객이 선택한 본인의 현재특성과 목표특성에 맞게 선택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들을 현장에서 화장품용기로 공급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조한다.
이에 따라 고객의 피부특성에 적합한 화장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즉석에서 화장품성분을 혼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므로 신선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의 주문서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의 화장품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의 화장품공급부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공급부의 화장품배출호퍼 측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공급부의 주문표시부에 주문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에 태그를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에 의해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입력한 고객특성에 맞게 화장품에 혼합될 화장품성분이 기재된 주문서(10)를 생성하게 하는 주문서생성부(100)와, 주문서생성부(100)를 통해 생성된 주문서(10)의 주문대로 고객이 선택한 화장품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화장품용기(A)에 공급하게 하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와, 화장품용기(A)에 단순히 투입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을 서로 혼합하는 화장품혼합부(300)와, 주문서(10)에 기재된 화장품성분만 화장품성분공급부(200)가 화장품용기(A)로 공급하도록 화장품성분공급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은 고객이 방문한 매장에서 고객으로부터 직접 본인의 피부에 대한 현재특성과 목표특성을 입력받고, 이에 기초하여 화장품에 혼합될 화장품 성분을 선택받아 주문서(10)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서(10)에 기초하여 매장에서 즉시 화장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의 취향에 부합하며, 고객의 피부에 최적화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즉시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게 되므로 신선한 화장품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은 사용자의 얼굴에 바르는 페이스제품, 몸에 바르는 바디제품, 머리카락에 바르는 헤어제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주문서생성부(100)는 고객으로부터 본인이 희망하는 화장품에 대한 종류와, 피부특성을 선택받아 주문서(10)를 생성한다. 주문서생성부(100)는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선택받을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고객에게 보여주고, 고객이 희망하는 특성을 직접 선택하게 하는 고객특성선택부(110)와, 고객특성선택부(110)에서 선택한 내용으로 주문서(10)를 출력하는 주문서출력부(120)를 포함한다.
고객특성선택부(110)는 고객 본인의 현재 특성과, 제조될 화장품을 통해 변화되고 싶은 목표 특성을 함께 선택한다. 일례로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페이스제품이면 얼굴에 대한 특성, 즉 건성/지성/중성/복합성 여부 등의 특성과, 보습정도, 트러블여부, 향, 색상 등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헤어제품이면 헤어가 직모인지, 퍼머머리인지, 짧은머리인지, 긴머리인지, 손상헤어인지, 두피손상여부 등을 선택받을 수 있다.
주문서출력부(120)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성분과, 각 특성에 맞는 화장품 성분의 함유량이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주문서출력부(120)는 고객이 선택한 현재 특성과, 목표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 특성을 목표 특성으로 변화하게 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을 자동으로 지정한다. 일례로, 사용자의 얼굴 피부의 현재 특성이 건성이고, 목표 특성이 보습인 경우, 건성피부에 보습을 인가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과, 해당 화장품 성분의 공급량이 저장된다.
각 특성별로 화장품 성분이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은 고객이 다양한 화장품성분의 효능을 모두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향이나 색상의 경우에는 고객이 직접 선택하게 할 수 있다. 향의 경우에는 매장에서 고객이 직접 다양한 향을 시향해보고, 본인이 마음에 들어하는 향을 선택할 수 있다. 색상도 본인이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고객이 선택한 특성과 향, 색이 입력되면, 주문서출력부(120)가 주문서(10)를 출력하게 된다.
도 2는 헤어제품을 희망한 고객의 주문서(10)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주문서(10)는 고객이 희망한 화장품 명칭(11)이 기재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은 세상에 하나뿐인 고유한 제품이므로, 고객이 희망하는 화장품 명칭(11)을 부여할 수 있다.
화장품 명칭(11)의 하부에는 고객의 현재 헤어특성(13)이 기재된다. 현재 헤어특성(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곱슬, 중간모발, 건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현재 헤어특성(13)의 하부에는 목표 헤어특성(15)이 기재된다. 목표 헤어특성(15)은 컬유지, 수분강화, 두피영양, 단백질공급, 갈라짐 방지, 꽃잎향 보통으로 기재된다.
주문서(10)의 측면에는 고객이 선택한 현재 헤어특성(13)을 목표 헤어특성(15)으로 변경하기 위해 복수개의 화장품성분 중 선택된 샴푸의 성분(17) 리스트와, 컨디셔너의 성분(18) 리스트가 기재된다.
주문서(10)의 하부에는 주문서(10)이 기재된 샴푸와 컨디셔너에 포함될 화장품 성분과 공급량이 바코드(19)로 표시된다.
바코드(19)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의 주문서리더(261)에 의해 읽혀져 화장품성분공급부(200)로 주문서 내용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화장품성분공급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화장품성분공급부(200)는 주문서(10)에 기재된 고객의 주문에 맞게 선택된 화장품 성분들을 화장품용기(A)로 공급한다. 화장품성분공급부(200)는 준비된 복수개의 화장품 성분들 중 주문서(10)에 기재된 선택된 화장품 성분들만 화장품용기(A)로 공급한다.
화장품성분공급부(200)는 주문서생성부(100)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되거나, 경우에 따라 주문서생성부(100)와 이격된 독립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의 부피가 크고 복잡해 매장내 고객의 동선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장품성분공급부(200)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적재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와, 각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연결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과,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 각각에 결합되어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수용된 화장품성분을 화장품용기(A) 측으로 이동시키는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와,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의 단부에 구비되어 화장품성분을 화장품용기(A)로 안내하는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과, 고객의 주문을 입력받는 고객주문입력부(26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10)은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와, 각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와, 고객주문입력부(260) 및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꽂이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1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가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적재된 저장조적재프레임(211)이 구비된다. 양쪽의 저장조적재프레임(211)의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가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펌프적재프레임(213)이 구비된다. 펌프적재프레임(213)의 내부에는 주문표시부(263)가 결합되는 표시부결합프레임(215)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217)가 구비되어 설치장소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결합프레임(215)의 하부에는 화장품용기(A)가 적재되는 용기적재테이블(219)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는 양쪽에 위치한 저장조적재프레임(211)에 적재된다.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의 갯수는 페이스용, 헤어용, 바디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는 목표특성별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헤어용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는 직모용, 웨이브용, 손상모발용, 두피개선용, 보습용, 영양성분별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색상을 내게 하는 염료, 향을 내는 향료 등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는 각각 해당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의 일단은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결합되고, 타단은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에 배치된다.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는 각각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을 따라 화장품성분이 이동되어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는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동펌프 형태로 회전되며 화장품성분이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을 따라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는 실린더형태로 구비되거나, 주사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은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와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 사이에 구비되어 화장품성분을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으로 이동시킨다.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은 해당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 내부를 경유하게 배치된다.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의 구동에 의해 화장품성분은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의 단부에는 화장품성분배출구(241,241a,241b,241c,...241n)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배출구(241,241a,241b,241c,...241n)들은 배출구고정부재(255)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은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배출구(241,241a,241b,241c,...241n)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장품성분배출구(241,241a,241b,241c,...241n)를 통해 배출된 화장품성분을 아래에 배치된 화장품용기(A)로 안내한다.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은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배출구(241,241a,241b,241c,...241n)로부터 배출된 화장품성분들이 화장품용기(A)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구비된다.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의 하부는 화장품용기(A)의 상부 개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화장품성분의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고객주문입력부(260)는 고객의 목표특성이 기재된 주문서(10)를 읽어들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고객주문입력부(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10)를 읽어들이는 주문서리더(261)와, 주문서리더(261)에서 읽어들인 주문내용을 표시하는 주문표시부(263)를 포함한다.
주문서리더(261)는 주문표시부(263)와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문서리더(2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10)의 바코드(19)를 읽어 주문서(10)에 기재된 내용을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주문서리더(261)를 통해 읽어들인 주문서 내용은 제어부(500)를 통해 주문표시부(263)에 표시된다.
도 6은 주문표시부(263)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주문표시부(263)가 도 2의 주문서(10), 즉 샴푸와 린스에 대한 고객의 주문 내용이 반영된 주문표시화면(20)을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주문표시화면(20)의 상부에는 고객의 주문번호(21)가 표시된다. 그리고, 기능설정(23), 색상설정(25), 향설정(27)이 구분되어 표시된다. 기능설정(23)에는 샴푸와 린스를 구성하는 화장품성분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주문서(10)의 목표 특성(15)을 위해 혼합되어야 하는 각 성분들의 혼합여부가 표시된다.
제조될 화장품(B)에 포함되어야할 화장품성분은 "∨"로 표시되고, 포함되지 않아야할 화장품성분은 "X"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페스트, 수분공급, 갈라짐방지, 두피영양공급, 단백질보충이 각각 "∨"로 표시된다. 이 때, 각 영양성분의 옆에는 공급되어야할 투입량이 함께 표시된다.
색상설정(25)에는 고객이 희망한 화장품의 색상인 주황색이 "∨"로 표시되고, 향설정(27)에는 고객이 희망한 화장품의 향인 레드로즈가 "∨"로 표시된다.
주문서(10)의 내용이 주문표시부(263)에 표시된 후, 작업자가 화장품제조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부(500)가 복수개의 구동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로 표시된 화장품성분만 화장품용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화장품혼합부(300)는 화장품용기(A)에 수용된 화장품성분를 골고루 혼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을 통해 화장품용기(A)로 낙하된 화장품성분(a,b,c)들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낙하된 상태대로 위치하게 된다.
화장품이 제대로된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들이 고르게 혼합되어야만 한다. 화장품혼합부(300)는 화장품성분을 고르게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화장품혼합부(300)은 화장품용기(A)에 수용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부을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은 화장품태그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태그출력부(400)는 고객이 직접 선택한 화장품명칭(31)이 인쇄된 화장품태그(30)를 출력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태그(30)는 화장품용기(A)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 때, 화장품명칭(31)은 주문서(10)의 상부에 표시된다. 이렇게 화장품태그(30)가 화장품용기(A)에 부착되어 고객이 세상에 하나뿐인 자신만의 화장품이라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제어부(500)는 주문서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주문서(10)의 주문대로 화장품성분공급부(200)가 화장품성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화장품성분공급부(200)와 화장품혼합부(300) 및 화장품태그출력부(4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주문서리더(261)에서 읽어들인 주문내용에 맞게 선택된 화장품성분만 화장품용기(A)로 공급되도록 선택된 화장품성분의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만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구동모터로 전달한다.
그리고, 정해진 화장품성분량만큼만 공급되도록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들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1)을 이용한 고객맞춤 화장품 자동제조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객은 매장으로 방문하고, 본인의 현재 특성과 목표 특성을 입력한다(S110). 매장 내에는 키오스크 형태의 고객특성선택부(110)가 구비되고, 고객은 고객특성선택부(110)를 통해 본인이 구입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종류와, 현재 특성 및 목표특성을 입력한다.
고객은 고객특성선택부(110)에서 보여주는 화면을 순차적으로 보면 본인이 구매하고 하는 화장품에 대한 사항들을 입력하게 된다. 먼저, 고객특성선택부(110)를 통해 페이스제품, 헤어제품, 바디제품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후속하여 고객의 현재 특성을 입력받고, 목표 특성을 입력받게 된다.
일례로, 고객이 헤어제품 구매를 희망한 경우, 고객의 현재 헤어 상태에 대해 입력받는다. 긴 머리인지, 짧은 머리인지, 직모인지, 웨이브헤어인지, 곱슬머리인지, 건성인지 손상모인지 등을 선택받는다. 현재특성 입력이 완료되면 목표 특성을 입력받는다.
이렇게 고객 특성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고객특성에 기초하여 화장품성분과 투입량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된다(S120). 화장품성분과 투입량이 선택되면, 주문서가 생성된다(S130).
도 2는 헤어제품에 대해 생성된 주문서(10)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10)에는 고객이 선택한 화장품 명칭(11)과, 현재 특성(13), 목표 특성(15),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화장품성분(17)과, 컨디셔너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화장품성분(18)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또한, 주문서(10)이 하부에는 바코드(19)가 구비된다.
주문서(10) 생성이 완료되면, 매장 관리자는 주문서(10)를 가지고 화장품성분공급부(200)로 이동하고, 주문서(10)를 읽어들인다(S140). 관리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리더(261)를 바코드(19)에 접촉시켜 주문 내용이 제어부(500)로 전송되게 한다.
제어부(500)로 주문서(10) 내용이 전송되면, 제어부(500)는 주문서(10) 내용을 주문표시부(263)에 표시되게 한다.
관리자는 화장품성분공급부(200)의 용기안착대(219a)에 새 화장품용기(A)를 안착시킨다. 화장품용기(A)는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관리자는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이 화장품용기(A)의 상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되록 안내관고정부재(253)의 높이를 수직축(251)에 대해 조절한다.
제어부(500)는 주문서(10)에 표시된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화장품성분들의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를 구동하여 선택된 화장품성분들만 화장품용기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S150).
선택된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가 구동됨에 따라 선택된 화장품성분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A)로 공급된다(S160).
화장품용기(A)로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화장품성분(a,b,c,)이 모두 수집되면, 관리자는 화장품용기(A)를 닫고 화장품용기(A)를 화장품혼합부(300) 내에 넣는다. 그리고, 화장품혼합부(300)를 구동시켜 화장품성분(a,b,c)이 골고루 혼합되게 한다(S170).
이에 의해 고객이 희망한 목표특성을 달성하기 위한 화장품성분(a,b,c)이 혼합된 화장품(B), 즉 샴푸의 제조가 즉석에서 완료될 수 있다.
화장품성분의 공급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관리자는 화장품태그출력부(400)를 통해 고객이 선택한 화장품명칭(31)이 인쇄된 화장품태그(30)를 출력한다(S180).
화장품태그(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A)의 표면에 부착된다(S190). 이렇게 화장품태그(30)가 부착된 고객맞춤형 화장품이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은 고객이 선택한 본인의 현재특성과 목표특성에 맞게 선택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들을 현장에서 화장품용기로 공급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제조한다.
이에 따라 고객의 피부특성에 적합한 화장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즉석에서 화장품성분을 혼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므로 신선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 10 : 주문서
11 : 화장품 명칭 13 : 헤어특성
15 : 목표특성 20 : 주문표시화면
21 : 주문번호 23 : 기능설정
25 : 색상설정 27 : 향설정
30 : 화장품태그 100 : 주문서생성부
110 : 고객특성선택부 120 : 주문서출력부
200 : 화장품성분공급부 210 : 지지프레임
211 : 저장조적재프레임 213 : 펌프적재프레임
215 : 표시부결합프레임 217 : 이동바퀴
219 : 용기적재테이블 219a : 용기안착대
220 : 화장품성분저장조 230 : 화장품성분공급펌프
240 : 화장품성분공급관 241 : 화장품성분배출구
250 :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 251 : 수직축
253 : 안내관고정부재 255 : 배출구고정부재
260 : 고객주문입력부 261 : 주문서리더
263 : 주문표시부 300 : 화장품혼합부
400 : 화장품태그출력부 500 : 제어부
A : 화장품용기
B : 화장품
a,b,c : 화장품성분

Claims (4)

  1. 고객특성선택부(110)가 고객 피부의 현재특성과 개선을 희망하는 목표특성을 입력받는 단계와;
    주문서출력부(120)가 상기 현재특성의 피부를 상기 목표특성으로 개선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을 지정하여 주문서(10)를 출력하는 단계와;
    주문서리더(261)가 상기 주문서(10)를 읽어들여 상기 지정된 화장품 성분과 각 화장품성분의 혼합량이 주문표시부(263)에 표시되는 단계와;
    화장품 성분 공급부(200)가 준비된 복수개의 화장품 성분들 중 상기 주문서(10)에 지정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들만 화장품용기(A)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화장품 혼합부(300)가 상기 화장품용기(A)로 공급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을 혼합하여 화장품을 형성하는 단계와;
    화장품 태그 출력부(400)가 고객이 희망하는 화장품의 명칭이 인쇄된 화장품태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서(10)에는 상기 현재특성과 상기 목표특성 및 상기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과 이들의 혼합량이 포함된 바코드(19)가 구비되고,
    상기 화장품 성분 공급부(200)는 화장품용기(A)가 적재되는 용기적재테이블(219)이 구비된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저장조적재프레임(211)에 적재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와, 상기 복수개의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연결된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과, 상기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관(240,240a,240b,240c,...240n)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성분저장조(220,220a,220b,220c...220n)에 수용된 화장품성분을 화장품용기(A)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와, 상기 용기적재테이블(219)의 상부에 구비되는 화장품성분배출안내관(2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복수개의 화장품 성분들만 화장품용기(A)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상기 주문서리더(261)에서 읽어들인 주문내용에 맞게 지정된 화장품성분들만 혼합량만큼 화장품용기(A)로 공급되도록 상기 화장품성분공급펌프(230,230a,230b,230c,..230n)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서(10)에는 고객이 희망하는 화장품의 명칭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KR1020190089463A 2019-07-24 2019-07-24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KR10207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63A KR102071651B1 (ko) 2019-07-24 2019-07-24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63A KR102071651B1 (ko) 2019-07-24 2019-07-24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51B1 true KR102071651B1 (ko) 2020-01-31

Family

ID=693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63A KR102071651B1 (ko) 2019-07-24 2019-07-24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85A1 (ko) * 2020-03-31 2021-10-07 엘지파루크 주식회사 화장품 제조 방법 산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832A (ko) * 2016-12-01 2019-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63969A (ko) * 2017-11-30 2019-06-10 김병건 고객 지향 맞춤형 화장품 제공시스템
KR20190066285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분석 및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832A (ko) * 2016-12-01 2019-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맞춤형 화장품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63969A (ko) * 2017-11-30 2019-06-10 김병건 고객 지향 맞춤형 화장품 제공시스템
KR20190066285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분석 및 추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85A1 (ko) * 2020-03-31 2021-10-07 엘지파루크 주식회사 화장품 제조 방법 산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29611A (ja) ネイルカラーの色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10304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roducts for a personal care service, instructing on providing a personal care treatment service, and selecting a personal care service
US200501657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ecting, formulating, mixing & dispensing custom hair coloring products for a user
US9717319B2 (en) Method, device and packing unit for producing a cosmetic item
MXPA02011866A (es) Metodos y sistema para proveer preparaciones personalizadas.
JP6005821B2 (ja) 混合流体を含む個人向け製品の製造方法
AU2001265016A1 (en) Methods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eparations
US20030090176A1 (en) Point of sale cosmetic station
CN101855657B (zh) 用于提供可选饮料的方法和装置
ES2443097T3 (es) Distribuidor de cosmético a la medida automatizado
US20080047972A1 (en) Point-of-sale body powder dispensing system
US20060036454A1 (en) Business method suitable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custom (non-prescription, non-cosmetic) personal care composition through human interaction in a retail point-of-sale environment
DE10114060A1 (de) Vorrichtung zur Mischung von Chemikalie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Haarfarben und/oder Haartönungen
KR102071651B1 (ko)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방법
JP2017537699A (ja) 少なくとも2つの出口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分配システム
US20040004309A1 (en) Adaptable personal care product formulation method
WO2003090914A2 (en) Machine for making oxidation hair dyes in particular for hairdressers
US200502285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inclu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ustom hair coloring products to a user
CN1972614B (zh) 用调味料或香味料泡制液体的方法与设备
US3527236A (en) Custom conditioner
Johnson Zero Waste Home: The ultimate guide to simplifying your life
KR102165209B1 (ko) 고객맞춤형 화장품 자동제조시스템
KR20030001459A (ko) 고객별 대응 화장품 조제 시스템
MXPA02010508A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personalizada de productos de consumo.
KR102370539B1 (ko)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판매 방법 및 그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