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39B1 -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39B1
KR102071239B1 KR1020170158266A KR20170158266A KR102071239B1 KR 102071239 B1 KR102071239 B1 KR 102071239B1 KR 1020170158266 A KR1020170158266 A KR 1020170158266A KR 20170158266 A KR20170158266 A KR 20170158266A KR 102071239 B1 KR102071239 B1 KR 10207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earth
sand
steep slope
simu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245A (ko
Inventor
심재현
정민수
박성용
나건하
차아름
이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5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39B1/ko
Priority to US16/195,938 priority patent/US11380217B2/en
Publication of KR2019006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4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geolog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09B25/025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hydraulic; 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타워와; 일측이 상기 타워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충진된 후 다짐되는 토조구조체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대가 구비된 워크 플랫폼과; 상기 토조구조체 내부에 토사를 공급하는 토사운반장치와; 상기 토조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토조구조체 내에서 다짐된 토사를 향하여 물을 하향 분사하는 인공강우장치와; 상기 토조구조체의 바닥면을 통하여 토조구조체 내에서 다짐된 토사의 하측에서 물을 상향 분사하는 지하수 재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연환경에서의 토사의 실제 거동을 최대한 정확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Integrated steep slope collapse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급경사지에서의 토사 거동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 경사지가 많이 분포한다. 또한 연평균 강우량의 2/3 정도가 한 시기에 집중되는 기후 특성 때문에 경사지의 붕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경사지의 붕괴는 국민안전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므로 그동안 이에 의한 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을 진행해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상이변 등에 의한 경사지 붕괴의 재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형적,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매해 여름에 내리는 집중호우 및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경사지 붕괴사고에 대한 예측과 예방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근래 경사지의 토사에 대한 거동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을 구비하여 경사지 붕괴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자연환경의 경사지와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경사지의 토사 거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출원번호:10-2015-0160405 (등록번호:10-1688067, 발명의 명칭: 토석류 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재현하여 자연환경의 급경사지에서 토사가 실제로 어떻게 거동을 하는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사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타워와; 일측이 상기 타워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충진된 후 다짐되는 토조구조체와; 상기 토조구조체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베이스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대가 구비된 워크 플랫폼과; 상기 토조구조체 내부에 토사를 공급하는 토사운반장치와; 상기 토조구조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토조구조체 내에서 다짐된 토사를 향하여 물을 하향 분사하는 인공강우장치와; 상기 토조구조체의 바닥면을 통하여 토조구조체 내에서 다짐된 토사의 하측에서 물을 상향 분사하는 지하수 재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조구조체는 상기 타워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토조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토조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토조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2토조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토조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3토조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토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토조는 베이스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3토조와 제4토조는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제4토조는 타측 끝단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고, 타측 끝단 저면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조구조체는 측면에 통행로가 설치됨과 아울러 투명창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토조구조체의 바닥면에는 각관이 토조구조체의 경사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다수의 각관이 이격되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각관은 상기 지하수 재현장치에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출홀이 형성되어, 지하수 재현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홀을 통해 배출한다.
또한, 상기 토사운반장치는 토사가 반입되는 1차호퍼와; 상기 1차호퍼로부터 토사를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토사를 제공받는 2차호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의 중간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토사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워크 플랫폼에는 호이스트가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가 상기 2차호퍼를 들어 올린 후 상기 토사공급홀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사공급홀을 통해 토사를 토조구조체 내부로 충진한다.
또한, 상기 인공강우장치는 중앙에 고정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노즐 양측에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가변노즐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은 경사지게 설치된 토조구조체 내부에서 다짐된 토사에 인공강우장치를 통해 빗물을 공급하고 지하수 재현장치를 통해 지하수를 공급함으로써 자연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환경을 재현함으로써 자연환경에서의 토사의 실제 거동을 최대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조구조체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를 갖는 경사지에 대한 붕괴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워크 플랫폼의 작업대에 형성된 토사공급홀에서 제2호퍼가 좌우로 일정속도로 움직이면서 토사를 토조구조체에 공급하기 때문에 토사를 균등하게 포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에 관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의 토조구조체의 각도가 변경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의 토조구조체에 토사를 충진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의 토조구조체의 각도가 변경되는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의 토조구조체에 토사를 충진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타워(20)와, 일측이 상기 타워(20)에 연결되는 토조구조체(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워크 플랫폼(50)과, 상기 토조구조체(30) 내부에 토사를 공급하는 토사운반장치(60)와, 상기 토조구조체(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인공강우장치(70)와, 상기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을 통하여 토조구조체(3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지하수 재현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다수의 철재빔이나 철재프레임을 조합하여 제작한 후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양 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11)이 설치된다.
상기 타워(20)는 철재빔이나 철재프레임을 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만든 구조물로서, 토조구조체(30)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토조구조체(30)의 일측 끝단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조구조체(30)는 일측이 타워(20)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되 타워(20) 쪽이 높고 타워(20)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충진된 후 다짐된다.
이러한 토조구조체(30)는 측면을 따라 통행로(31)가 길게 설치되고, 측면에 투명창(32)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각관(33)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통행로(31)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에는 울타리(31a)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투명창(32)은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져 토조구조체(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조구조체(30) 내부에 각종 계측장비의 안정적 설치와 실험 과정의 관측 및 내부에 충진된 토사의 붕괴 현상 등을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구비한다.
상기 각관(33)은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에 토조구조체(30)의 경사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러한 각관(33)은 경사진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에 대한 거칠기를 조성하여 자연상태를 모사하고 흙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토조구조체(3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토조구조체(30)는 제1토조(35)와, 상기 제1토조(35)에 연결되는 제2토조(36)와, 상기 제2토조(36)에 연결되는 제3토조(37)와, 상기 제3토조(37)에 연결되는 제4토조(38)로 구성된다.
상기 제1토조(35)는 타워(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토조(35)는 베이스(1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S)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유압실린더(S)의 로드가 전진하면 제1토조(35)가 타워(2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유압실린더(S)의 로드가 후진하면 제1토조(35)가 타워(2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토조(35)는 다른 토조들에 비하여 그 크기가 가장 작고, 다른 토조들에는 구비되어 있는 투명창(32)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2토조(36)는 일측 끝단이 제1토조(35)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토조(35)의 하측 끝단과 제2토조(36)의 상측 끝단이 핀 결합됨으로써 제1토조(35)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경사각도가 변경된다. 이러한 제2토조(36)는 다른 토조들에 비하여 그 크기가 가장 크고 급경사지를 재현할 수 있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15 ~ 40도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공되었다.
상기 제3토조(37)는 일측 끝단이 제2토조(36)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토조(36)의 하측 끝단과 제3토조(37)의 상측 끝단이 핀 결합됨으로써 제2토조(36)의 경사각 변경에 따라 제3토조(37)가 회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3토조(37)는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S)에 의하여 회동하여 그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제3토조(37)는 수평면에 대하여 15도 이내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공되었다.
상기 제4토조(38)는 제3토조(37)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일측 끝단이 제3토조(37)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토조(37)의 하측 끝단과 제4토조(38)의 상측 끝단이 핀 결합됨으로써 제3토조(37)의 경사각 변경에 따라 제4토조(38)가 회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4토조(38)는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S)에 의하여 회동하여 그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제4토조(38)는 수평면에 대하여 5도 이내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공되었다.
그리고, 제4토조(38)는 타측 끝단에 개폐되는 도어(38a)가 설치되고, 타측 끝단 저면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판(38b)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38a)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양쪽으로 개폐되는 것으로서, 토사를 토조구조체(30) 내부에 충진하여 다짐할 때와 붕괴 모의실험을 할 때는 닫은 상태를 유지하고, 붕괴 모의실험이 완료된 이후에는 개방시킨다.
상기 경사판(38b)은 도어(38a)를 개방한 후 토조구조체(30) 내부의 흙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한편, 제1토조(35)와 제2토조(36) 사이, 제2토조(36)와 제3토조(37) 사이 및 제3토조(37)와 제4토조(38) 사이에는 냉간압연 스테인레스강판으로 제작된 스프링 강판재(34)가 설치되어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더(40)는 토조구조체(30)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베이스(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좀 더 부연하면, 슬라이더(40)는 제3토조(37)와 제4토조(38)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S)가 상면에 설치되고, 제4토조(38)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구(41)가 상면에 설치되며, 이 상태에서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한다. 이러한 슬라이더(40)는 토조구조체(30)의 경사각도 변경에 따라 대응하여 전후진한다.
상기 워크 플랫폼(50)은 베이스(10)를 따라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대(51)를 구비하며, 호이스트(52)를 구비한다. 이러한 워크 플랫폼(50)은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 이동을 하는데, 타워(20) 쪽으로 이동을 하면 작업대(51)가 토조구조체(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작업대(51)는 워크 플랫폼(50)에서 체인 방식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서,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이나 장비 설치시에 작업자들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업대(51)는 중간부분에 좌우방향으로 긴 토사공급홀(51a)이 형성된다.
상기 호이스트(52)는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나 후술할 2차호퍼(63)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것이다. 부연하면 호이스트(52)가 2차호퍼(63)를 들어 올린 후 토사공급홀(51a)을 따라 좌측 끝에서 우측 끝으로 그리고 우측 끝에서 좌측 끝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토사공급홀(51a)을 통해 토사를 토조구조체(30) 내부로 충진한다. 이렇게 토사공급홀(51a)를 일정속도로 좌우 이동하면서 토사를 배출하기 때문에 토사가 확산되어 토조구조체(3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토조구조체(30) 내부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사운반장치(60)는 토조구조체(30) 내부에 충진되어 다짐되는 토사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1차호퍼(61)와 이송컨베이어(62) 및 2차호퍼(63)로 구성된다.
상기 1차호퍼(61)는 내부로 외부의 토사가 반입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62)는 일측 끝단이 1차호퍼(61)로부터 토사를 제공받고 타측 끝단이 토조구조체(30)의 제4토조(38)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제공받은 토사를 이송한다.
상기 2차호퍼(63)는 이송컨베이어(62)로부터 토사를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호이스트(52)가 2차호퍼(63)를 들어 올려 작업대(51)의 토사공급홀(51a)을 통해 토사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사를 위와 같은 토사운반장치(60)를 통해 공급할 수도 있지만,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를 사용하여 토사를 운반하고 다짐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인공강우장치(70)는 토조구조체(30) 내에서 다짐된 토사를 향하여 물을 하향 분사한다. 이러한 인공강우장치(70)는 중앙에 고정노즐(71)이 구비되고, 고정노즐(71) 양측에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가변노즐(72)이 구비된다. 이렇게 인공강우장치(70)가 구성됨에 따라 빗물 역할을 하는 물을 경사진 토사면에 균질하게 분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지하수 재현장치(80)는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을 통하여 토조구조체(30) 내에서 다짐된 토사의 하측에서 물을 상향 분사한다. 부연하면 지하수 재현장치(80)는 일측이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데 이 관통 부분이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에 설치된 각관(33)과 연결된다. 이때 각관(33)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출홀(33a)이 형성되는데, 이 배출홀(33a)을 통하여 지하수 재현장치(80)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토조구조체(30) 내부에 다짐된 토사의 하측에서 공급되는 물은 지하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실험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각종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축한 관제실(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관제실을 통하여 인공강우의 모사조건과 실규모 급경사지의 각도, 유압의 압력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다양한 토질의 토사를 수집하여 보관할 수 있는 토사보관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사보관장치는 항온항습 기능을 장착하고 있어서 최적의 조건으로 토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10: 베이스 11: 레일
20: 타워 30: 토조구조체
31: 통행로 31a: 울타리
32: 투명창 33: 각관
33a: 배출홀 34: 강판재
35: 제1토조 36: 제2토조
37: 제3토조 38: 제4토조
38a: 도어 38b: 경사판
40: 슬라이더 41: 지지구
50: 워크 플랫폼 51: 작업대
51a: 토사공급홀 52: 호이스트
60: 토사운반장치 61: 1차호퍼
62: 이송컨베이어 63: 2차호퍼
70: 인공강우장치 71: 고정노즐
72: 가변노즐 80: 지하수 재현장치
S: 유압실린더

Claims (12)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타워(20)와; 일측이 상기 타워(20)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내부에 토사가 충진된 후 다짐되는 토조구조체(30)와; 상기 베이스(10)를 따라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대(51)가 구비된 워크 플랫폼(50)과; 상기 토조구조체(30) 내부에 토사를 공급하는 토사운반장치(60)와; 상기 토조구조체(30)의 상측에 설치되어 토조구조체(30) 내에서 다짐된 토사를 향하여 물을 하향 분사하는 인공강우장치(70)와; 상기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을 통하여 토조구조체(30) 내에서 다짐된 토사의 하측에서 물을 상향 분사하는 지하수 재현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사운반장치(60)는 토사가 반입되는 1차호퍼(61)와; 상기 1차호퍼(61)로부터 토사를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6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62)로부터 토사를 제공받는 2차호퍼(63);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대(51)의 중간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토사공급홀(51a)이 형성되고, 상기 워크 플랫폼(50)에는 호이스트(52)가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52)가 상기 2차호퍼(63)를 들어 올린 후 상기 토사공급홀(51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사공급홀(51a)을 통해 토사를 토조구조체(30) 내부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토조구조체(30)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베이스(1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조구조체(30)는 상기 타워(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토조(35)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토조(35)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토조(36)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2토조(36)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토조(37)와;
    일측 끝단이 상기 제3토조(37)의 타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토조(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토조(35)는 베이스(1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S)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3토조(37)와 제4토조(38)는 상기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S)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4토조(38)는 타측 끝단에 유압실린더(S)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38a)가 설치되고, 타측 끝단 저면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판(38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조구조체(30)는 측면에 통행로(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조구조체(30)는 측면에 투명창(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조구조체(30)의 바닥면에는 각관(33)이 토조구조체(30)의 경사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다수의 각관(33)이 이격되게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관(33)은 상기 지하수 재현장치(80)에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배출홀(33a)이 형성되어, 지하수 재현장치(80)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홀(33a)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강우장치(70)는 중앙에 고정노즐(7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노즐(71) 양측에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가변노즐(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KR1020170158266A 2017-11-24 2017-11-24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KR10207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66A KR102071239B1 (ko) 2017-11-24 2017-11-24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US16/195,938 US11380217B2 (en) 2017-11-24 2018-11-20 Integrated steep slope collapse sim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66A KR102071239B1 (ko) 2017-11-24 2017-11-24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45A KR20190060245A (ko) 2019-06-03
KR102071239B1 true KR102071239B1 (ko) 2020-01-30

Family

ID=6663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266A KR102071239B1 (ko) 2017-11-24 2017-11-24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80217B2 (ko)
KR (1) KR102071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16B1 (ko) 2020-11-09 2021-06-16 대한민국 급경사지 붕괴모의 실험의 지하수위 재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0645B (zh) * 2019-09-27 2021-08-20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泥沙运动演示结构
CN112064571A (zh) * 2020-09-07 2020-12-11 江苏化石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山河时光机展示教学系统
CN112227295B (zh) * 2020-10-27 2022-04-26 长春工程学院 一种简便的尾矿库溃坝模拟装置
CN113990170A (zh) * 2021-10-29 2022-01-28 中南大学 一种边坡实验用雨水模拟装置
CN114088920A (zh) * 2021-11-23 2022-02-25 贵州大学 一种岩土材料正负压潜蚀试验装置
KR102411037B1 (ko) * 2021-12-09 2022-06-22 대한민국 지진재현이 가능한 실규모 산사태 시뮬레이터
CN115047171B (zh) * 2022-06-24 2023-08-08 中国地质大学(武汉) 多成因碎石土斜坡模型降雨入渗变形破坏试验方法及装置
CN115410468A (zh) * 2022-07-29 2022-11-29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西南地质科技创新中心) 一种现场降雨物理模拟试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03B1 (ko) * 2012-03-28 2012-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 유형별 흐름특성 재현을 위한 실내 모형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982B2 (en) * 2005-06-23 2007-07-03 Crea Brian J Agricultural implement for installing an irrigation system
KR20120073406A (ko) * 2010-12-27 2012-07-05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강우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모형토조 시험기
KR101604772B1 (ko) * 2014-05-29 2016-03-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101688067B1 (ko) 2015-11-16 2016-12-20 대한민국 토석류 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03B1 (ko) * 2012-03-28 2012-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 유형별 흐름특성 재현을 위한 실내 모형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16B1 (ko) 2020-11-09 2021-06-16 대한민국 급경사지 붕괴모의 실험의 지하수위 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80217B2 (en) 2022-07-05
KR20190060245A (ko) 2019-06-03
US20190164454A1 (en)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239B1 (ko) 통합적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시스템
CN102590474B (zh) 坡面沟道系统水蚀精细模拟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KR101558147B1 (ko) 토석류나 사면침식의 상하 분기 포집형 모의 시험장치
CN104459086B (zh) 一种土-岩界面滑坡的物理模型试验装置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
KR101733144B1 (ko) 트랩도어를 이용한 터널굴착 모사장치와 이를 사용한 모형시험 장치
CN110424333A (zh) 输水状态下渠道衬砌结构干地修复围堰设备及拼装方法
CN207553144U (zh) 具有检测调节结构的自动摊铺机系统
KR102411037B1 (ko) 지진재현이 가능한 실규모 산사태 시뮬레이터
Kotov et al. Building stability on permafrost in Vorkuta, Russia
CN207553106U (zh) 具有刮板式落料斗的自动摊铺机系统
KR20190060246A (ko) 이동형 급경사지 붕괴 모의실험장치
CN109526590B (zh) 一种平整性草坪的铺设方法
CN207714827U (zh) 具有一体化基础结构的变电站
Adams et al. Using a rainfall simulator and a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model to investigate runoff processes in a hillslope
CN109610406A (zh) 一种内河治理工艺
CN214150647U (zh) 一种条带式采煤沉陷物理模拟实验装置
CN107724398A (zh) 具有刮板式落料斗的自动摊铺机系统
CN208533538U (zh) 一种基坑定型组件
CN107965173A (zh) 具有一体化基础结构的变电站及防止变电站不均匀沉降的方法
KR101426897B1 (ko) 산사태 퇴적물 부상량 측정장치
CN204753668U (zh) 基槽清土装置
KR100415650B1 (ko) 수평도 또는 경사도 점검장치와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CN113029794B (zh) 急倾斜煤层采空区矸石自溜充填三维相似模拟装置及方法
CN207143971U (zh) 一种基坑防塌陷保护装置
CN207314350U (zh) 一种悬吊式基坑作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