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28B1 -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28B1
KR102070928B1 KR1020190137749A KR20190137749A KR102070928B1 KR 102070928 B1 KR102070928 B1 KR 102070928B1 KR 1020190137749 A KR1020190137749 A KR 1020190137749A KR 20190137749 A KR20190137749 A KR 20190137749A KR 102070928 B1 KR102070928 B1 KR 10207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line
casing
door
relay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3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건축용 정보통신을 위한 인터넷 회선의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이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전한 접속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COMMUNICATION NETWORK RELAY SYSTEM FOR ARCHITECTUR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건축용 정보통신을 위한 인터넷 회선의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이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전한 접속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가정용 인터넷의 개통이나 보수 등 정보통신을 위한 인터넷 회선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PC나 노트북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품질측정방식은 PC(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에 품질측정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거나 이를 통해 품질측정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인터넷의 품질을 테스트하여 왔다.
그러나, PC나 노트북이 없는 경우나 PC나 노트북이 작동 불가인 경우 인터넷 개통에도 불구하고 품질을 즉시에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해당 장비의 상태 예컨대 CPU, 메모리 등의 상태에 따라 품질 측정값이 상이하여 객관적인 상태값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C나 노트북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해당 장비의 부팅 및 전용 프로그램의 설치 등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품질측정 과정이 복잡하다는 불편을 안고 있다.
한편, 유사한 방식으로 USB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USB를 설치할 PC나 노트북이 필요하고, USB의 프로그램 로드 및 작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1420호(2015.10.22.)에는 '인터넷 회선 품질측정 전용단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용단말은 회선 연결포트를 통해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메모리, 연산부 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원활한 접속 등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1420호(2015.10.22.) '인터넷 회선 품질측정 전용단말 및 그 운용 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29391호(2016.06.13.)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 건축용 정보통신을 위한 인터넷 회선의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불안전한 접속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가정용 인터넷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40); 상기 접속된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부(130); 품질측정서버(200)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120); 상기 품질측정서버(200)와의 통신 패킷을 분석하여 인터넷 회선 품질값을 연산하는 연산부(110);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30), 메모리(120), 연산부(110)가 설치되는 하우징(102)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500)는, 전단부에 유출입구(5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102)에 고정되는 케이싱(510);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510)의 전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유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및 상기 도어(520)를 상기 케이싱(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53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530)은, 상기 케이싱(5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며 중공(531a)이 형성되는 연결돌기(531); 상기 도어(520)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중공(53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532); 및 상기 가이드돌기(53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돌기(531)로부터 가이드돌기(5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33)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533)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531)와 밀착되거나 상기 연결돌기(531)와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도어(520)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가정용 정보통신을 위한 인터넷 회선의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선 연결포트를 통해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메모리, 연산부 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면서 원활한 접속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케이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이하 "중계시스템"이라 한다)(100)은 인터넷과 같은 공동주택 건축용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측정서버(200) 및 관리서버(300)에 연결된다.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품질측정서버(200)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켜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한다. 여기서, 품질값은 업로드 속도, 다운로드 속도, 지연율 및 손실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상기 품질측정서버(200)와의 트래픽 교환에 의해 측정한 품질값을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품질값은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식별자 예컨대, MAC 주소와 함께 전송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전송된 품질값에 대하여 해당 단말장치의 MAC 주소로부터 대응하는 사용자(전용단말 관리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검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MAC 주소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맵핑된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측정된 품질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휴대 단말기인 경우, 주지의 무선 통신기술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품질 측정값이 전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품질 연산부(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인터페이스부(140), 표시부(150) 및 전원부(160)을 구비한다.
상기 연산부(110)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연산부(11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품질측정서버(200) 또는 관리서버(300)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10)는 측정된 품질 데이터로부터 품질 측정값을 연산한다.
상기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통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에는 품질측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MAC 주소, 품질측정서버(200)의 IP 주소가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120)에는 관리서버(300)의 IP 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에는 전용단말의 사용자(관리자) 정보 예컨대 사용자 성명 및/또는 사용자 식별자(ID)가 저장되거나 사용자 연락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20)의 애플리케이션 및 부가정보는 적절히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300)로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부가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USB와 같은 외장 메모리를 이용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로드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부가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메모리(120)는 부가적인 포트나 슬롯을 통해 삽입 가능한 외장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인터넷 회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은 랜 케이블과 같은 네트워크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하나 이상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IP 기반 프로토콜에 의해 외부의 서버와 통신한다. 물론, 상기 통신부(130)는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통신상태 및 이상 유무를 표시하는 점멸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전원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60)는 교체 가능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원부(160)는 외부 교류 전원을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중계시스템(100)은 소정 형상의 하우징(102), 상기 하우징(102)에 구비된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 및 외장 메모리 접속 포트(122), 품질측정 단말 상태 표시등(152, 154, 156)을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02) 내부에는 전술한 통신 카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으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30), 메모리(120) 및 연산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는 통상의 랜 포트로 구현될 수 있고, 랜 케이블과 같은 인터넷 회선 접속 수단이 접속된다.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포트(122)는 USB 포트로 구현될 수 있고 USB 카드와 같은 외장 메모리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등(152, 154, 156)은 상기 중계시스템(100)의 서버 접속 상태, 데이터 송수신 상태 및 이상 유무 등을 표시하는 점멸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태 표시등을 대신하여 간단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시스템(10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를 통해 이물질이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500) 전단부에 유출입구(5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하우징(102)에 고정되는 케이싱(510),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케이싱(510)의 전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유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및 도어(520)를 케이싱(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530)을 더 포함한다.
케이싱(510)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사각링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하우징(102)에 고정된다.
도어(5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유출입구(511)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면서 연결수단(53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수단(530)은 케이싱(5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며 중공(531a)이 형성되는 연결돌기(531), 도어(520)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면서 중공(53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532) 및 가이드돌기(532)로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돌기(531)로부터 가이드돌기(5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33)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5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53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이드돌기(532)로 나사결합된다.
한 쌍의 도어(520)는 가이드돌기(532) 및 이탈방지부재(533)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돌기(5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유출입구(511)를 개폐한다.
도어(520)에는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520)는 높이가 케이싱(5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유출입구(511)를 이루는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되면서 유출입구(511)를 닫는 경우, 케이싱(510)과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도어(520)는 유출입구(511)가 개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케이싱(510)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유출입구(511)를 닫는 한편, 유출입구(511)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케이싱(5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유출입구(511)를 개방한다. 도어(520)는 유출입구(5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향하고, 유출입구(511)가 닫힌 상태에서 양단부가 양측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출입구(511)의 개방에 따라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로 인터넷회선 접속 수단을 꽂거나,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로부터 인터넷회전 접속수단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싱(510)은 상,하부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개방공간(512)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공간(512)은 인터넷회전 접속수단과 연결되는 통신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개방공간(512)으로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킹부재(513)가 구비되며, 패킹부재(513)의 중앙부에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단선(513a)이 형성되면서 전원선이 원활하게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로 인터넷회선 접속 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도어(520)를 닫을 수 있다.
케이싱(510)은 상부 양측에 중공(531a)과 연통되는 한편,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514)이 형성되고, 유출입구(511)를 이루는 상,하부 양측에 가이드홈(515)이 형성된다.
가이드공(514)은 도어(5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가이드돌(532)가 가이드공(51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520)가 케이싱(5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어(520)는 케이싱(5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케이싱(5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최소가 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533)는 도어(520)가 케이싱(5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케이싱(510)으로 밀착되면서 도어(520)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한편, 도어(52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보호부(500)는 유출입구(511)가 닫힌 상태에서 한 쌍의 도어(52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540)은 자석(54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도어(520)가 상호 접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541)은 한 쌍의 도어(520)가 닫힌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호 결속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보호부(500)는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속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단말장치 102: 하우징
110: 연산부 120: 메모리
130: 통신부 140: 인터페이스부
150: 표시부 200: 품질측정서버
300: 관리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보호부 510: 케이싱
520: 도어 530: 연결수단
531: 연결돌기 532: 가이드돌기
533: 이탈방지부재 534: 스프링

Claims (1)

  1. 공동주택 건축용 인터넷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40); 상기 접속된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통신하는 통신부(130); 품질측정서버(200)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120); 상기 품질측정서버(200)와의 통신 패킷을 분석하여 인터넷 회선 품질값을 연산하는 연산부(110);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30), 메모리(120), 연산부(110)가 설치되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구비되는 하우징(102)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500)는,
    전단부에 유출입구(5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인터넷회선 접속 포트(142)가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102)에 고정되는 케이싱(510);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510)의 전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유출입구(511)를 개폐하는 도어(520); 및
    상기 도어(520)를 상기 케이싱(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53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530)은,
    상기 케이싱(5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며 중공(531a)이 형성되는 연결돌기(531);
    상기 도어(520)의 일단부 상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중공(53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532); 및
    상기 가이드돌기(53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돌기(531)로부터 가이드돌기(5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33)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533)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531)와 밀착되거나 상기 연결돌기(531)와 밀착해제되면서 상기 도어(520)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KR1020190137749A 2019-10-31 2019-10-31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KR10207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49A KR102070928B1 (ko) 2019-10-31 2019-10-31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49A KR102070928B1 (ko) 2019-10-31 2019-10-31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928B1 true KR102070928B1 (ko) 2020-01-30

Family

ID=6932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49A KR102070928B1 (ko) 2019-10-31 2019-10-31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570B1 (ko) * 2020-11-13 2021-09-09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679A (ja) * 1998-07-30 2000-02-1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システムの基地局ユニット
KR20080022419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연결포트 커버 장치
KR101561420B1 (ko) 2014-09-04 2015-10-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회선 품질측정 전용단말 및 그 운영 방법
KR101629391B1 (ko) 2016-04-15 2016-06-13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KR101968518B1 (ko) * 2018-10-24 2019-04-12 박흥순 공동주택 가정용 정보통신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679A (ja) * 1998-07-30 2000-02-1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システムの基地局ユニット
KR20080022419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연결포트 커버 장치
KR101561420B1 (ko) 2014-09-04 2015-10-22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회선 품질측정 전용단말 및 그 운영 방법
KR101629391B1 (ko) 2016-04-15 2016-06-13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KR101968518B1 (ko) * 2018-10-24 2019-04-12 박흥순 공동주택 가정용 정보통신 단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570B1 (ko) * 2020-11-13 2021-09-09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1373A1 (en) Garage door system and method
US8124888B2 (en) Concealed and flush dual phone and power outlet
US20070276548A1 (en) Power Switch
US20120185718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network management app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070928B1 (ko) 공동주택 건축용 통신망 중계시스템
US10088883B2 (en) Executing restricted commands on an uninterrupted power supply
TW200522620A (en) Wireless control of gateway system
KR101968518B1 (ko) 공동주택 가정용 정보통신 단말장치
JP6742987B2 (ja) 電力供給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50091364A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그의 케이싱 구조,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420B1 (ko) 인터넷 회선 품질측정 전용단말 및 그 운영 방법
JP4655562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分電盤
US116097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ering and monitoring printer related data on non-networked printers
US11677743B2 (en) Ethernet key
KR10174383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US10944719B2 (en) Restrict communications to device based on internet access
KR20140080054A (ko)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WO2015121389A1 (en) Method and hardware device for remotely connecting to and controlling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173877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10215664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갱신시스템
KR102090097B1 (ko) 통신용 모듈러 잭
CN115088143A (zh) 用于LAN电缆导体的诊断和监测的IoT面板
PT103864A (pt) Sistema de controlo de acessos integrado e on-line
WO2023133630A1 (en) Secure unmanaged network switch and related methods
KR200349217Y1 (ko) 인터넷 차단 기능을 구비한 멀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