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26B1 - Space frame - Google Patents
Space fr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0926B1 KR102070926B1 KR1020190055395A KR20190055395A KR102070926B1 KR 102070926 B1 KR102070926 B1 KR 102070926B1 KR 1020190055395 A KR1020190055395 A KR 1020190055395A KR 20190055395 A KR20190055395 A KR 20190055395A KR 102070926 B1 KR102070926 B1 KR 1020709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connector
- cone
- outsid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apertured web, e.g. trus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트러스 구조(Truss structure)를 이루기 위한 스페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 frame for forming a truss structure.
일반적으로, 스페이스 프레임은 입체 트러스 공법의 일종으로서, 대형 시설물인 체육관, 수영장, 전시장, 공장, 창고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지붕 프레임을 비롯하여, 철탑, 교량, 상징탑 등 여러 분야의 대형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space frame is a type of three-dimensional truss construction, widely used in roof structures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gymnasiums, swimming pools, exhibition halls, factories, warehouses, and other large structures such as steel towers, bridges, and symbolic towers. .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은 길이가 긴 원통형 강관의 양쪽 선단부에 콘부재를 일체로 용접한 상현재, 하현재 및 경사재 등의 멤버부재를 구성하고, 멤버부재의 끝단에 마련되는 볼트를 볼부재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멤버부재와 볼부재가 서로 결합된다. 즉, 멤버부재를 볼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트러스 구조가 완성된다.The conventional space frame comprises member members such as upper chords, lower chords, and inclined members which integrally weld cone members to both ends of a long cylindrical steel pipe, and bolt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member members are formed on the ball members. The member member and the ball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ing into the screw groove. That is, the truss structure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member member to the ball member.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95346호(2013.08.15) "스페이스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로드와,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관통되게 지지홀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단부가 커버부재 외부로 돌출되게 지지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는 커버부재에 지지되는 헤드부가 마련된 고정부재와, 커버부재와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가 마련된 암유닛과; 외주면에 암유닛들의 고정부재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실링부를 통해 로드 내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시켜 로드의 부식이나 동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prior art related to the space fram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95346 (2013.08.15) discloses a "space frame".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rod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the cover member is fixed to the end of the rod, the support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cover member, the other end The arm unit includes a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supported by the cover member,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head portion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rod;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of the arm unit is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structure;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corrosion or breakage of the rod by blocking the moisture flowing into the rod through the sealing portion.
그러나,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은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 및 슬리브의 관통구 등을 통해 슬리브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고정부재는 물론, 이와 연결된 연결부재나 커버부재의 내부가 함께 부식되기 때문에 이의 구성들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ace frame, water penetrates into the sleev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leeve, between the sleeve and the cover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leeve,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or the cover member connected thereto as well as the fixing member is corroded toge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used because of its configuration.
여기서,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및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에 실링부재나 개스킷 등을 배치하더라도 고정부재를 감싸는 슬리브가 항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슬리브의 관통구를 통해 슬리브의 내부로 물이 쉽게 유입될 수 있고, 물이나 습기 등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슬리브의 외면이 쉽게 부식될 수 있었다.Here, even if a sealing member or a gasket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leeve and between the sleeve and the cover member, the sleeve surrounding the fixing member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leev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leeve.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which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has frequent contact with water or moisture, can be easily corroded.
특히, 슬리브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환경 요인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해 쉽게 회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동회전되는 고정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이탈되면서 전술한 연결부재와 슬리브 사이 및 슬리브와 커버부재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이의 빈틈을 통해 물이 슬리브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체결이 해제되어 트러스 구조가 무너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particular, since the sleeve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at can be generated through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case, the interlocking fixed member is gradual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aforementioned connecting member.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leeve and between the sleeve and the cover member, and water can easily flow into the sleev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leeve, and seriously, the truss structure collapses due to the release of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occur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pace frame that can protect the sleeve from environmental factor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외주면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볼; 내측에 관통홀을 갖는 원뿔형의 콘이 연결파이프의 개방된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멤버; 나사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몸체부를 이루며,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가 상기 콘의 내측면에 걸리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볼트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ball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onical cone having a through-hole inside the member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connection pipe; One end with a threaded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e, the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s a body portion having a circumference of the polygon, and the hea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is rotatable in a state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e A connecting bolt provided; A sleeve having a circumference of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of the connecting bolt, and having a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ng bolt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lt; And a protection devic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leeve and blocking the sleeve from the outside to protect the sleeve.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연동회전하는 상기 연결볼트를 통해 상기 멤버를 상기 연결볼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the space frame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ll through the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bolt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leeve.
전술한, 상기 보호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상기 연결볼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상기 연결볼트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콘의 관통홀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링 형태를 이루고,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슬리브나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지지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신축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밀착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on device forms a cylindrical shape, one side of which is op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connection ball on the other open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olt on the open side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second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is recessed inwardly;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olt is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op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third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thread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cone, the support is extended to protrude along the periphery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econd connector additionally provided; A moving member forming a ring shape and movably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or the second connector penetrating the inner side; A blocking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facing the support part and stretch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such that the mov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do.
그리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수단;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for detach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or detachably fixing to the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이러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폐쇄유지부;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벗어나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detachably attaches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to maintain the sleeve clos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blocking member blocks and protects the sleeve from the outside so as to surround the sleeve. Closing holding portion for fixing possible; And an opening for detach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keep the sleeve open to the outside so that the blocking member can be manipulated by exposing the sleeve to the outside from the sleeve. It includes a holding unit.
전술한,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단턱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losing part may include: a first locking groove recessed along a circumference inside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ing member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groove.
전술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includes a second locking groove recessed along a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groov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연결볼과 상기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대체되는 상기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상기 연결볼과 상기 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lay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to prevent the play generated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in order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It may further include a.
전술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내측에 상기 슬리브가 출입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유격홈; 및 교체되는 상기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격홈에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볼트로부터 제거되는 유격링;을 포함한다.The gap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clearance groov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so that the sleeve enters and exits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clearance ring provided in the clearance groove or removed from the coupling bolt in a state of being fitted outside the body of the connection bol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olt to be replac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유격홈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격링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커넥터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의 제2 체크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hole shape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lay ring provided in the play groove. And two check ho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연결볼트의 조임상태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the tightening state of the connection bolt.
전술한,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중공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의 제1 체크홀;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크홀을 지나 상기 연결볼트의 일측에 관통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체크홀 내에 배치되는 핀부재;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heck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check hole having a long hole shape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leeve; And a pin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connecting bolt through the first check hol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first check hole.
이러한, 확인수단은 상기 제1 체크홀 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핀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연결볼트의 조임상태를 확인가능하다.The checking means may check the tightening state of the connecting bol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n member moved in the first check ho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보호장치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에 방생되는 열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하는 방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sleeve is clos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ing member of the protective device, heat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provided by the blocking member is released from the inner space. A heat dissipation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은 상기 보호장치의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룰 경우, 이물질이 상기 방열홀을 통해 상기 멤버의 연결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for block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pipe of the member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when the sleeve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blocking member of the protective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에 의하면, 보호장치를 통해 연결볼트의 회전을 위한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와 연결된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for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olt can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the protection devic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leeve, as well as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have.
특히, 차단부재에 의해 슬리브가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외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외부환경 요인에 의한 연결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에 의해 슬리브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스페이스 프레임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In particular, when the sleeve is clos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ing member, since external force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outside is blocked at the sou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connection bolt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when the sleeve is opened by the blocking member,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sleeve by using a separate tool. That is, maintenance of the space frame is very easy.
그리고, 슬리브에 마련되는 제1 체크홀을 통해 연결볼트의 풀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물이 제1 체크홀을 통해 연결볼트나 이에 연결된 구성들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n, the loosening state of the connection bolt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first check hole provided in the sleeve. In this case, since the sleeve is clos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water may be prevented from permeating into the connection bolt or the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first check hole.
그리고,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때, 대체되는 연결볼트의 길이에 맞춰 유격링의 개수를 가감시킴에 따라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슬리브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차단부재가 신축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차단부재를 통해 슬리브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can be easily adjusted, and at this time, the number of play rings may be adjus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leev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olt to be replaced. You can also remove any play. At this time, 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is adjusted, since the blocking member is stretched correspondingly,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tect the sleev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the block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연결볼과 콘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pac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ball and the con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space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5.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e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I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s us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system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the same components Indicates.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볼(100), 멤버(200), 연결볼트(300), 슬리브(400) 및 보호장치(500)를 포함한다.The
연결볼(100)은 후술할 멤버(200)가 다각도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 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홀(110)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11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은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설계 조건 및 목적에 따라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멤버(200)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파이프(230) 및 콘(210)을 포함한다.The
연결파이프(230)는 연결볼(100)과 다른 연결볼(1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연결파이프(2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230)는 양측이 개방된 개구를 형성하고, 이의 개구에 후술할 콘(210)이 제각기 연결될 수 있는데, 용접이음을 통해 콘(210)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콘(210)과의 분리를 위하여 나사체결 방식을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연결파이프(230)는 후술할 연결볼트(300)가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출입홀(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홀(231)은 별도로 마련되는 패킹부재를 통해 개폐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콘(210)은 후술할 연결볼트(300)를 구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연결파이프(230)의 둘레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각뿔 형태를 이루고, 내측에 연결볼트(300)의 일부분이 관통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관통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11)은 연결볼트(300)의 일부분 직경이 이루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연결볼트(300)의 헤드부(350) 직경이 이루는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볼트(300)의 일단이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콘(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연결볼트(300)의 헤드부(350)가 콘(210)의 내측에 걸려 콘(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관통홀(21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제2 커넥터(5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체결부(513)가 나사결합되기 위함이다.Here, the through
연결볼트(300)는 전술한 멤버(200)를 연결볼(1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부(330)와 이의 일단에 마련되는 나사부(310) 및 몸체부(330)의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350)를 갖는 통상적인 볼트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는 다각면의 둘레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슬리브(4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중공(410)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어 슬리브(400)의 중공(410)에 삽입된 상태로 슬리브(400)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기 위함이다.The
여기서, 연결볼트(300)는 전술한 연결파이프(230)의 출입홀(231)을 통해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되거나 연결파이프(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콘(210)의 관통홀(211)에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볼트(30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10)와 이에 인접하는 몸체부(330)의 일부분이 콘(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헤드부(350)가 콘(210)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콘(210)의 관통홀(21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연결볼트(300)는 후술할 슬리브(400)에 의해 회전되면서 일단에 마련된 나사부(310)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결볼(100)에 연결되는 후술할 보호장치(500)의 제1 커넥터(510)의 제1 체결부(511)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브(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500)를 기존에 사용하던 연결볼(100)에 연결하기 위함으로, 후술할 조립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And, the
한편,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는 설정된 다양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트러스 구조의 전체적인 설계에 맞춰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되기 위함이다. 예컨대,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이루는 설정된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이에서부터 후술할 보조링이 이루는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축소된 길이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제각기 성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의 몸체부(330)의 길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설정된 길이로 단계별로 더 길게 성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슬리브(400)는 연결볼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슬리브(400)는 내측에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410)이 마련되고,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400)는 중공(410)으로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삽입됨에 따라 중공(410)의 내주면과 몸체부(330)의 외주면이 정합 상태로 서로 지지되므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e
여기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Here, as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연결볼트(300)의 조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수단(700)은 제1 체크홀(710) 및 핀부재(7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제1 체크홀(710)은 연결볼트(3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전술한 슬리브(40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중공(410)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장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크홀(710)은 후술할 핀부재(730)가 관통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핀부재(7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The
핀부재(730)는 연결볼트(3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면에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드라이버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재(730)는 제1 체크홀(7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제1 체크홀(710)을 통해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홈(300a)에 나사결합되면서, 타단이 제1 체크홀(710) 내에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핀부재(730)는 연결볼트(300)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슬리브(400)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볼트(300)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작업자는 연결볼트(300)의 조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한편, 핀부재(730)는 제1 체결홀(1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체결홀(110)의 범위내에서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가 제1 체결홀(110)의 범위내에서만 이동도록, 연결볼트(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수 있다. 즉, 핀부재(730)는 후술할 조립과정 후, 연결볼트(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이상, 연결볼트(300)가 제1 커넥터(5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보호장치(500)는 전술한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커넥터(510), 제2 커넥터(520), 이동부재(530) 및 차단부재(540)를 포함한다.The
제1 커넥터(510)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51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513)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며, 끝단 둘레를 따라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넥터(510)는 제1 체결부(511)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됨에 따라 연결볼(10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커넥터(510)는 외주면 일부분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의 평행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커넥터(510)가 연결볼(1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조이기 위함이다.Here, the
한편, 연결볼(100)과 제1 커넥터(51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볼(100)과 제1 커넥터(510) 사이로 물이나 습기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제2 커넥터(520)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전술한 콘(210)의 관통홀(211)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체결부(521)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527)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넥터(520)는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이룰 수 있는 직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고, 지지부(527)를 기준으로 제3 체결부(521)의 타측이 이루는 외경의 크기는 전술한 슬리브(400)의 외주면 둘레가 이룰 수 있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520)는 제3 체결부(521)가 콘(210)의 관통홀(211)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연결됨에 따라 콘(2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제2 커넥터(520)는 지지부(527)의 끝단 외주면 일부분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이의 평행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커넥터(520)가 콘(21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조이기 위함이다.Here, the
한편,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와 콘(210) 사이에는 전술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커넥터(520)와 콘(210) 사이로 물이나 습기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member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이동부재(530)는 후술할 차단부재(540)를 신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동부재(530)는 외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제1 케넉터의 단턱(515)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고, 내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가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530)는 내측을 관통하는 슬리브(400)나 제2 커넥터(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530)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을 이룰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로 제1 커넥터(510)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The moving
여기서, 이동부재(5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탄성부재(5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제1 커넥터(510)의 개방된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 그대로 고정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한편, 이동부재(530)는 파지부(531)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파지부(531)는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이동부재(5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후술할 콘(210)과 마주하는 일측 끝단에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콘(210)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파지부(531)의 외주면에는 작업자의 손가락과의 마찰이 발생되도록 널링이 형성될 수도 있다.Gripping
차단부재(540)는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축가능한 자바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차단부재(540)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부재(540)는 내측으로 전술한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마주하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540)의 양단은 별로 마련되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제2 커넥터(520)와 이동부재(530)에 제각기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e blocking
여기서, 차단부재(540)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연결볼트(300)의 길이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는,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폐쇄하거나, 슬리브(400)를 외부로 노출시켜 슬리브(4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함이다.Here, the blocking
탄성부재(550)는 전술한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5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50)는 내측으로 제2 커넥터(520)나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차단부재(540)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2 케넉터의 지지부(527)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이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마주하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50)의 양단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일측면과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는 홈에 제각기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접착제 등을 통해 더욱더 견고히 고정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탄성부재(550)는 이동부재(530)의 일측면을 항시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개방된 내측면에 밀착되게 가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과 동시에 탄성복원되면서 이동부재(530)를 다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Here, since the
한편, 보호장치(500)는 이동부재(530)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5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유지부(563) 및 개방유지부(56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폐쇄유지부(563)는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530)를 제1 커넥터(510)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561a)과 이동부재(53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제1 걸림홈(561a)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561b)를 포함한다.The closing and holding
여기서, 폐쇄유지부(563)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또는 탄성부재(550)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으로 내삽되면서, 제1 걸림돌기(561b)가 제1 걸림홈(561a)에 걸림에 따라 이동부재(5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고, 이 형태 그대로 슬리브(40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closing and holding
개방유지부(563)는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로부터 벗어나 슬리브(400)를 외부로 노출시켜 슬리브(4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슬리브(400)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530)를 제2 커넥터(520)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563a)과 이동부재(530)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제2 걸림홈(563a)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563b)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개방유지부(56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이동부재(530)가 제2 커넥터(520)의 외측으로 외삽되면서, 제2 걸림돌기(563b)가 제2 걸림홈(563a)에 걸림에 따라 이동부재(5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로부터 벗어나 중첩된 형태로 변형되고, 이 형태 그대로 슬리브(400)를 외부에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3, the opening and holding
이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보호장치(50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400)는 보호장치(500)를 통해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이루지 않는 한, 항시 외부로부터 폐쇠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슬리브(400)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510)와 제2 커넥터(520) 사이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물이나 습기 등이 슬리브(40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볼트(300)의 조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슬리브(400)에 제1 체크홀(710)과 같은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이를 통해 물이나 습기 등이 슬리브(40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리브(400)는 차단부재(540)에 의해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연결볼트(300)의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As such, 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양한 연결볼트(30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볼트(300)의 교체시 이의 길이가 가감됨에 따라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제1 커넥터(510), 제2 커넥터(520) 및 슬리브(4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데, 이의 유격을 제거하기 위한 유격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방지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홈(610) 및 유격링(6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유격홈(61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제2 커넥터(520)의 제3 체결부(521)가 마련된 타측으로부터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소정 직경을 이루는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유격홈(610)이 이루는 직경의 크기는 전술한 슬리브(400)의 외주면이 이룰 수 있는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슬리브(400)가 유격홈(61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유격링(630)은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설정된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이루되, 내주면이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 외주면 둘레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외경이 수용홈의 직경이 이루는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유격링(630)의 두께는 전술한 연결볼트(300)가 단계적으로 가감되는 길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이룰 수 있다.The
여기서, 유격링(630)은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감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되는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소정의 개수만큼 가감될 수 있는데, 후술할 조립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은 후술한다.Her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제2 체크홀(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 체크홀(525)은 전술한 유격홈(610) 내에 구비되는 유격링(630)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520)의 일측 즉, 지지부(527)를 기준으로 마련되는 제3 체결부(521)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으로부터 수용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장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크홀(5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540)가 슬리브(400)를 벗어나 제2 커넥터(520)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제2 체크홀(525)은 제1 체크홀(710)과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520)의 수용홈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기 때문에 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로 스며들 수 있으나, 전술한 보호장치(500)에 의해 슬리브(400)와 마찬가지로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되어 보호되므로, 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방열홀(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방열홀(800)은 전술한 보호장치(500)의 차단부재(540)에 의해 슬리브(400)가 폐쇄된 상태를 이룰 경우, 이의 폐쇄공간에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로부터 콘(21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관통형성되는 통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방열홀(800)은 제2 커넥터(520)의 지지부(527) 내측에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관통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넥터(52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콘(210)의 관통홀(211) 외측에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방열홀(800)은 지지부(527)나 관통홀(211)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장공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커넥터(520)와 콘(210)의 조립시 방열홀(800)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527) 및 콘(210)의 일부분에 의해 방열홀(800)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여기서, 방열홀(800)은 제2 커넥터(520)와 콘(210)의 조립시, 전술한 바와 같은 장공 형태를 이룸에 따라 항시 연장되게 관통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재(540)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열이 연결파이프(230)로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한 차단부재(540)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필터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필터부재(900)는 전술한 방열홀(800)을 통해 차단부재(540)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공간으로 이무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210)의 일측 즉, 연결파이프(230)와 마주하는 콘(2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쉬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The
여기서, 필터부재(900)는 후술할 조립과정 후, 제1 체크홀(710) 또는 제2 체크홀(525)을 확인하거나, 연결볼(100)과 콘(2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되는 곳에 배치된 슬리브(400)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차단부재(540)를 수축시킨다. 이 경우,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방열홀(80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필터부재(900)는 이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연결파이프(2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먼저, 연결볼(100)의 체결홀(110)에 제1 커넥터(510)의 제1 체결부(511)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연결볼(100)과 제1 케넥터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511 of the
다음, 콘(210)의 관통홀(211)에 제2 커넥터(520)의 제3 체결부(521)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콘(210)과 제2 커넥터(520)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Next, the
여기서, 제2 커넥터(520)의 일측에 차단부재(540)가 이동부재(530)와 함께 고정된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이동부재(530)가 개방유지부(563)를 통해 제2 커넥터(52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 설명하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의 나머지 구성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the blocking
다음, 콘(210)에 연결파이프(230)가 연결되기 전에 연결볼트(300)를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하거나, 콘(210)에 연결파이프(230)가 연결된 후에 출입홀(231)을 통해 연결볼트(300)를 콘(210)의 관통홀(211)에 삽입하고,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가 제2 커넥터(520)의 내부를 지나도록 삽입하면서 제2 커넥터(520)의 몸체부(330) 일부분을 제2 커넥터(52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Next, before the
다음, 전술한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유격링(630)을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외삽하면서 유격홈(610) 내에 배치시킨다. 예컨대, 유격링(630)의 개수는 연결볼트(300)의 길이에 맞춰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감될 수 있다. Next, the
다음, 슬리브(400)를 연결볼트(300)의 몸체부(330)에 외삽한다.Next, the
다음, 핀부재(730)를 제1 체크홀(710)을 통해 연결볼트(300)의 연결홈(300a)에 나사체결한다.Next, the
다음,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를 제1 커넥터(510)의 제2 체결부(513)에 나사결합한다.Next, the
여기서, 슬리브(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연결볼트(30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볼트(300)의 나사부(310)가 제1 커넥터(510)의 제2 체결홈내로 삽입되면서 콘(210)이 연결볼(1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슬리브(400)의 회전에 의해 연결볼(100)과 콘(210)이 마련된 멤버(200)가 용이하게 연결된다.Here, the threaded
다음, 이동부재(530)의 파지부(531)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부재(530)가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내삽되도록 이동시킨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여기서, 이동부재(530)가 폐쇄유지부(563)를 통해 제1 커넥터(510)의 단턱(515)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단부재(540)를 신장시켜 슬리브(400)를 감싸는 형태로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지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10)은 보호장치(500)를 통해 슬리브(400)를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연결볼트(300)는 물론 이에 연결되는 구성들의 부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환경 용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슬리브(4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연결된 연결볼트(300)의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As such, the
그리고, 전술한 보호장치(500)를 통해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구성들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이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므로,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espan of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may be extend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10 : 스페이스 프레임 100 : 연결볼
110 : 체결홀 200 : 멤버
210 : 콘 211 : 관통홀
230 : 연결파이프 300 : 연결볼트
400 : 슬리브 410 : 중공
500 : 보호장치 510 : 제1 커넥터
511 : 제1 체결부 513 : 제2 체결부
515 : 단턱 520 : 제2 커넥터
521 : 제3 체결부 527 : 지지부
530 : 이동부재 540 : 차단부재
550 : 탄성부재 560 : 잠금수단
561 : 폐쇄유지부 561a : 제1 걸림홈
561b : 제1 걸림돌기 563 : 개방유지부
563a : 제2 걸림홈 563b : 제2 걸림돌기
600 : 유격방지부 610 : 유격홈
630 : 유격링 10: space frame 100: connection ball
110: fastening hole 200: member
210: cone 211: through hole
230: connection pipe 300: connection bolt
400: sleeve 410: hollow
500: protective device 510: first connector
511: first fastening portion 513: second fastening portion
515: step 520: second connector
521: third fastening portion 527: support portion
530: moving member 540: blocking member
550: elastic member 560: locking means
561:
561b: first locking projection 563: opening holding portion
563a: second locking
600: clearance prevention part 610: clearance groove
630: play ring
Claims (4)
내측에 관통홀을 갖는 원뿔형의 콘이 연결파이프의 개방된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멤버;
나사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콘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이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몸체부를 이루며, 타단에 마련되는 헤드부가 상기 콘의 내측면에 걸리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볼트;
상기 연결볼트의 몸체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둘레를 갖는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볼트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는 보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연동회전하는 상기 연결볼트를 통해 상기 멤버를 상기 연결볼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개방된 타측에 상기 연결볼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상기 연결볼트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콘의 관통홀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링 형태를 이루고,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슬리브나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지지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신축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밀착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Connection ball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nical cone having a through-hole inside the member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open side of the connection pipe;
One end with a threaded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e, the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s a body portion having a circumference of the polygon, and the hea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is rotatable in a state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e A connecting bolt provided;
A sleeve having a circumference of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of the connecting bolt, and having a protruding end of the connecting bolt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lt; And
It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leeve, the protection device for blocking and protecting the sleeve from the outside; includes;
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member to the connecting ball through the connecting bolt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leeve,
The protection device,
One side forms an open cylindrical shap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connection ball on the other open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screw portion of the connection bolt is fastened to the open side A first connector recessed in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olt is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op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third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thread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one, the support is extended to protrude along the periphery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econd connector additionally provided;
A moving member forming a ring shape and movably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or the second connector penetrating the inner side;
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of the second connector,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facing the support, the blocking member is stretch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And an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so that the mov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Space frame.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부터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폐쇄유지부;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벗어나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외부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개방유지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device,
And locking means detach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or detach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The locking means,
Closing maintenance for detach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to maintain the sleeve clos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blocking member to block and protect the sleeve from the outside in a form surrounding the sleeve. part; And
An opening holding the removable member detachably fixed to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keep the sleeve open to the outside so that the blocking member is moved out of the sleeve to expose the sleeve to the outside; A space frame containing the append;
상기 폐쇄유지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단턱 내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유지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걸리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The method of claim 3,
The closing holding unit,
A first locking groove reces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ing member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groove.
The opening holding portion,
A second locking groove recess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and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en) | 2019-05-13 | 2019-05-13 | Space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en) | 2019-05-13 | 2019-05-13 | Space fr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0926B1 true KR102070926B1 (en) | 2020-03-02 |
Family
ID=6980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5395A KR102070926B1 (en) | 2019-05-13 | 2019-05-13 | Space fr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092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10273A (en) * | 1991-07-09 | 1994-05-10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Joint for truss structure |
US5427472A (en) * | 1992-10-29 | 1995-06-27 | Ono; Taisaburo | Underwater truss structure |
KR200329820Y1 (en) * | 2003-07-12 | 2003-10-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Insulation structure of expansion bellows in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
KR200346791Y1 (en) * | 2003-11-28 | 2004-04-08 | 김태용 | Corrosion prevention structure of fastening part that can be visually checked by space frame connection part |
KR101295346B1 (en) | 2011-07-05 | 2013-08-09 | 강현구 | Space frame |
-
2019
- 2019-05-13 KR KR1020190055395A patent/KR1020709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10273A (en) * | 1991-07-09 | 1994-05-10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Joint for truss structure |
US5427472A (en) * | 1992-10-29 | 1995-06-27 | Ono; Taisaburo | Underwater truss structure |
KR200329820Y1 (en) * | 2003-07-12 | 2003-10-1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Insulation structure of expansion bellows in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
KR200346791Y1 (en) * | 2003-11-28 | 2004-04-08 | 김태용 | Corrosion prevention structure of fastening part that can be visually checked by space frame connection part |
KR101295346B1 (en) | 2011-07-05 | 2013-08-09 | 강현구 | Space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1863B2 (en) | Valve device | |
KR102070926B1 (en) | Space frame | |
KR10173852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 |
KR101247565B1 (en) | Sealed type cap nut | |
KR101860336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 |
KR20180043692A (en) | Non-release bolt and nut | |
KR200448227Y1 (en) | A Post for safety guard | |
KR200383524Y1 (en) | A Nut Protect Cap | |
JP7141588B2 (en) | Bridge fall prevention device | |
US6955013B2 (en) | End cap locking mechanism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
KR200359648Y1 (en) | Pin for preventing bolt and nut from getting loose | |
JP2008121712A (en) | Clamp device | |
KR100586078B1 (en) | Internal fixture of tension wire removal type ground anchorage | |
KR20190116785A (en) | Bolt And Nut Protection Cap | |
JPH0313891A (en) | Stud hole plug of nuclear reactor vessel | |
KR200493677Y1 (en) | protecting cap | |
KR101825694B1 (en) | Bolt release prevention device | |
JP7311259B2 (en) | Tilt correction structure of seismic repair valve | |
KR101803640B1 (en) | One touch clamp assembly and rail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 |
CN212926503U (en) | Protective structure | |
JPH08333718A (en) | Bridge fall preventing device | |
JP4925997B2 (en) | nut | |
KR102657669B1 (en) | Clamp Assembly with Inner and Outer Band Parts | |
KR200386826Y1 (en) | Internal fixture of tension wire removal type ground anchorage | |
KR102100482B1 (en) | Gas Tight Wall Sleeve for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