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78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0782B1 KR102070782B1 KR1020180013188A KR20180013188A KR102070782B1 KR 102070782 B1 KR102070782 B1 KR 102070782B1 KR 1020180013188 A KR1020180013188 A KR 1020180013188A KR 20180013188 A KR20180013188 A KR 20180013188A KR 102070782 B1 KR102070782 B1 KR 102070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erence signal
- counter
- oscillator
- signal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 (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 1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발진기(Oscillator)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D2D 통신에 연계된 형태로써, V2X 통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V2X는 차량 단말들간의 V2V, 차량과 다른 종류의 단말간의 V2P, 차량과 RSU(roadside unit) 간의 V2I 통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 (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을 수행하는 방법은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 1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발진기(Oscillator)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주파수 보정 (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을 수행하는 단말은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발진기(Oscillator) 및 송수신부 및 발진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 1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 1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 1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고, 제 1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발진기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다.
발진기는 입력 제어 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일 수 있다.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는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 1 참조 신호로부터 틱(Tick)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틱 신호에 따라 카운터의 구동을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틱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카운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 및 위상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단말이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보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일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LTE-V2X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일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LTE-V2X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이라 함은 스케줄링 수행 노드,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등을 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나 릴레이도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면, 일종의 단말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셀의 명칭은 기지국(base station, eNB), 섹터(sector), 리모트라디오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등의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며, 또한 특정 송수신 포인트에서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분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
/
LTE
-A 자원 구조/채널
도 1을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 X 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개수(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듈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DCI의 크기와 코딩 레이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전송에는 CCE 개수 1, 2, 4, 8(각각 PDCCH 포맷 0, 1, 2, 3에 대응)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DCI의 크기가 큰 경우 및/또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 낮은 코딩 레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CCE가 하나의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의 크기, 셀 대역폭, 하향링크 안테나 포트의 개수, PHICH 자원 양 등을 고려하여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되는 패킷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왜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올바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왜곡을 보정하여야 한다. 채널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가 채널을 통해 수신될 때의 왜곡 정도를 가지고 채널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고 한다.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황을 알아야 올바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좀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포트(port)별로 별도의 참조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참조신호는 상향링크 참조신호와 하향링크 참조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LTE 시스템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로써,
i) PUSCH 및 PUCCH를 통해 전송된 정보의 코히런트(coherent)한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i) 기지국이, 네트워크가 다른 주파수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있다.
한편, 하향링크 참조신호에는,
i) 셀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셀-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ii) 특정 단말만을 위한 단말-특정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iii) PDSCH가 전송되는 경우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v) 하향링크 DMRS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v)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모드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MBSFN 참조신호(MBSFN Reference Signal)
vi) 단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참조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있다.
참조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목적의 참조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참조신호가 있다. 전자는 UE가 하향 링크로의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참조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오버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리소스에 함께 보내는 참조신호로서, 단말은 해당 참조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참조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도 5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CRS는 디코딩 및 채널 상태 측정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CRS는 PDSCH 전송을 지원하는 셀(cell) 내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체 하향링크 대역폭에 걸쳐 전송되며, 기지국(eNB)에 구성된 모든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CRS 시퀀스 는 슬롯 ns에서 안테나 포트 p를 위한 참조 심볼들로서 사용되는 복소 변조 심볼(complex-valued modulation symbols) 에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맵핑된다.
[수학식 1]
여기서, ns에는 무선 프레임 내 슬롯 번호이며 l은 상기 슬롯 내 OFDM 심볼 번호로서,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된다.
[수학식 2]
여기서, k는 부반송파 인덱스이고 는, 의 정수 배로 표현된, 가장 큰 하향링크 대역폭 설정(configuration)을 나타낸다. 변수 v 및 vshift는 서로 다른 RS들을 위해 주파수 도메인 내 위치를 정의한다. v는 다음 수학식 3와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3]
[수학식 4]
UE는 CRS를 이용하여 CSI를 측정할 수 있으며, CRS를 이용하여 CR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 PDSCH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eNB는 모든 RB에서 각 RB 내 일정한 위치에 CRS를 전송하고 UE는 상기 CRS를 기준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한 다음에 PDSCH를 검출하였다. 예를 들어, UE는 CRS RE에서 수신된 신호를 측정한다. UE는 CRS RE별 수신 에너지와 PDSCH이 맵핑된 RE별 수신 에너지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PDSCH가 맵핑된 RE로부터 PDSCH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RS를 기반으로 PDSCH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eNB는 모든 RB에 대해서 CRS를 전송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RS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GPP LTE-A 시스템에서는 CRS 외에 UE-특정 RS(이하, UE-RS) 및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추가로 정의한다. UE-RS는 복조를 위해 사용되고,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derive) 위해 사용된다.
UE-RS 및 CRS는 복조를 위해 사용되므로 용도의 측면에서 복조용 RS라고 할 수 있다. 즉, UE-RS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CSI-RS 및 CRS는 채널 측정 혹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므로 용도의 측면에서는 채널 상태 측정용 RS라고 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일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기저대역 모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 규약에 정해진 프로토콜 (예를 들어, CDMA/WCDMA/HSPA/IEEE 802.11/LTE 표준)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를 전환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RF 송신기/수신기를 이용하여 단말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저대역의 신호 및 RF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VC-TCXO(Voltage-Controlled, Temperature-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VC-TCXO는 기저대역 모뎀과 RF송수신기의 기준 클럭(Reference Clock) 이 될 수 있다. 이 VC-TCXO는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VC-TCXO는 일반적으로 고가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며, 기지국 장비의 크기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주파수 오프셋이 적게 발생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를 통신 규약에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기저대역 모뎀에서 기저대역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단말은 전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RF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VC-TCXO를 기저대역 모뎀과 RF송수신기의 기준 클럭(Reference Clock)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VC-TCXO는 온도에 따라 민감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주파수 오프셋으로 기지국에서 송수신한 신호와의 차이가 발생하여 성능 저하 및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의 VC-TCXO 경우는 단말의 크기 및 사용 디바이스의 전력소모 등의 한계에 의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VC-TCXO에 비해 성능상의 열화가 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의 기준 클럭과 동기화 되기 위하여 자동 주파수 보정(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이다.
자동 주파수 보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은 기지국에서 보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검출하기 위한 참조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검출된 참조 신호의 위상(phase)을 이용하여 자동 주파수 보정을 위한 주파수 오프셋 검출기를 통해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게 된다.
단말에서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단말이 존재하여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LTE-V2X 시스템 등에서의 유스 케이스 (Use Case) 중에는 단말이 기지국을 벗어나 있는 구간에서 다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3GPP 표준에서는 GNSS를 이용하여 두 차량간 동기화를 맞추는 것을 기본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GNSS를 이용하여 동기화 및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LTE-V2X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_B는 기지국의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UE_B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UE_A의 경우 기지국의 반경 밖에 존재한다. 그럼에도 LTE-V2X 는 UE_A도 다른 UE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서비스 시나리오에서는 UE_A 의 경우, 기지국 반경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UE와 통신을 위한 동기화를 위하여 GNS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3GPP 표준에서는 각 단말의 동기화를 위하여 GNSS를 이용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할 지는 각 모뎀 개발 업체에 달려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GNSS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 자동 주파수 보정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910). 본 명세서에서, 제 1 참조 신호는 GNSS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단말은 GNS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NSS 신호검출기,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1초 마다 발생하는 기준 틱(Reference tick)을 검출하는 GNSS 기준 틱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검출기에서는 GNSS신호를 수신하여 1초 마다 기준 틱을 수신하게 된다. 이 기준 틱은 모든 단말에서 수신하므로 주기가 1초로 일정하다.
이후, 단말은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S920). 일 예로, 단말은 제 1 참조 신호로부터 기준 틱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 틱 신호에 따라 카운터의 구동을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틱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카운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에서는 이 기준 틱을 이용하여 내부 카운터를 구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core speed를 1Ghz를 사용한다고 하면, 1초 사이에 있는 카운터는 이상적으로 M = 1,000,000,000 개가 된다. 그러나 단말에 VC-TCXO가 온도 특성에 따라 주파수 오프셋이 존재하기 때문에 1초 사이에 카운터의 수는 M개에서 N 이 존재하게 된다. 보통 발진기의 주파수 오프셋은 ppm(parts per million) 단위로 계산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측정된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제 1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930). 이 경우 주파수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되게 된다.
[수학식 5]
Frequency offset = (△N/M) x 1,000,000 [ppm]
여기서, △N = M - M'이며, M = 단말의 주파수 오프셋이 없는 경우 1 주기의 카운터 수, M' = 단말이 실제로 카운트한 1 주기의 카운터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1초 사이에 주파수 Offset이 존재하여 M' = 1,000,001,000 개가 카운트되었다면, 주파수 오프셋이 없는 경우의 값인 M=1,000,000,000 이므로, △N = 1,000,000,000 - 1,000,001,000 = 1,000 이 된다. 따라서 계산된 주파수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requency offset = (1,000/1,000,000,000) x 1,000,000 = 1 ppm
단말은 수학식 6에서 계산된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발진기의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다 (S940). 주파수 오프셋 검출기에서 계산된 주파수 오프셋은 AFC 보정기로 전달된다. AFC 보정기에서는 전달된 주파수 오프셋을 AFC DAC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AC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VC-TCXO의 입력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전압에 의해 VC-TCXO에서 생성된 주파수 오프셋이 보정되어 GNSS의 기준 틱과 동기를 맞추게 된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 내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VC-TCXO의 주파수 오프셋이 변하기 때문 AFC 보정은 일정한 주기로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때, GNSS 신호와 기지국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참조 신호로부터 얻어진 위상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기지국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RF 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참조 신호는 자동 이득 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 AGC)를 거쳐서 위상 메트릭 계산 (Phase metric calculation) 블록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생성된 위상 메트릭은 주파수 오프셋으로 변형된다. 이후, 주파수 오프셋은 alpha tracking 을 통해 저역 통과 필터링 (low pass filtering)되며, VC-TCXO에 입력되어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게 된다.
다른 예로, 단말은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0)은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1200)은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참조 신호는 GNSS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1200)은 GNS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NSS 송수신기 (1210), 수신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1초 마다 발생하는 기준 틱(Reference tick)을 검출하는 틱 검출기(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틱 검출기(1220)에서는 GNSS신호를 수신하여 1초 마다 기준 틱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1200)은 오프셋 검출기(1230)를 포함하며, 오프셋 검출기(1230)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프셋 검출기(1230)는 틱 검출기(1220)에서 검출된 기준 틱 신호에 따라 카운터의 구동을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틱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카운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오프셋 검출기(1230)는 위의 수학식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운트 값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오프셋 검출기(1230)에서 계산된 주파수 오프셋은 주파수 보정기(1240)로 전달된다. 주파수 보정기(1240)에서는 전달된 주파수 오프셋을 AFC DAC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AC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진기(1250)의 입력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전압에 의해 발진기(1250)에서 생성된 주파수 오프셋이 보정되어 GNSS의 기준 틱과 동기를 맞추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때, GNSS 신호와 기지국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RF 송수신기(1260), 참조신호 검출기(1270) 및 위상 오프셋 검출기(1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상 오프셋 검출기(1280)에서 얻어진 위상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진기(1250)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200: 단말 1210 GNSS 송수신기
1220: Tick 검출기 1230: 오프셋 검출기
1240: 주파수 보정기 1250: 발진기
1260: RF 송수신기 1270: 참조신호 검출기
1280: 위상 오프셋 검출기
1220: Tick 검출기 1230: 오프셋 검출기
1240: 주파수 보정기 1250: 발진기
1260: RF 송수신기 1270: 참조신호 검출기
1280: 위상 오프셋 검출기
Claims (1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 (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발진기(Oscillator)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진기는 입력 제어 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이고,
상기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참조 신호로부터 틱(Tick)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틱 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터의 구동을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틱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카운트 값을 계산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주파수 보정 (Automati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FC)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전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으로부터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발진기(Oscillator) 및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발진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카운터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계산하고,
상기 카운터의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진기의 주파수를 보정하되,
상기 발진기는 입력 제어 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이고,
상기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참조 신호를 더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고, 상기 위상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단말.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보정하는 프로세서는 상기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기의 입력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단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는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참조 신호로부터 틱(Tick)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틱 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터의 구동을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틱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카운트 값을 계산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단말.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며,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위상 오프셋을 검출하는,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188A KR102070782B1 (ko) | 2018-02-02 | 2018-02-0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188A KR102070782B1 (ko) | 2018-02-02 | 2018-02-0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859A KR20190093859A (ko) | 2019-08-12 |
KR102070782B1 true KR102070782B1 (ko) | 2020-01-29 |
Family
ID=6762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3188A KR102070782B1 (ko) | 2018-02-02 | 2018-02-0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078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7030A (ja) * | 2000-01-13 | 2001-07-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通信装置、通信装置の無線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記録媒体 |
US20060097914A1 (en) * | 2004-11-05 | 2006-05-11 | Rao Krishnaranjan S | GPS receiver having a phase lock loop hold off |
-
2018
- 2018-02-02 KR KR1020180013188A patent/KR1020707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7030A (ja) * | 2000-01-13 | 2001-07-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通信装置、通信装置の無線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記録媒体 |
US20060097914A1 (en) * | 2004-11-05 | 2006-05-11 | Rao Krishnaranjan S | GPS receiver having a phase lock loop hold of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859A (ko) | 2019-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07188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pscch及びpssch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 |
US1130416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299235B2 (en) |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 |
KR10190194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
US10506532B2 (en) | Method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performing same | |
US1127782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of V2X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28551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2d signal or selecting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150003356A1 (en) | Demodulation-reference-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03109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 |
EP296682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related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5688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전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15013900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JP6254698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装置対装置端末の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 |
KR2015002278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동기 방법 및 장치 | |
US2019028140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sources and transmitting pss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00044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 |
WO2013119096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셀에 대한 측정 수행 방법 및 장치 | |
EP283357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21571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r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means of receiving GP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521654B2 (en) |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 |
US20210007103A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de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apparatus therefor | |
US1033464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from device-to-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070782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동 주파수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