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278B1 -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 Google Patents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278B1
KR102070278B1 KR1020130043682A KR20130043682A KR102070278B1 KR 102070278 B1 KR102070278 B1 KR 102070278B1 KR 1020130043682 A KR1020130043682 A KR 1020130043682A KR 20130043682 A KR20130043682 A KR 20130043682A KR 102070278 B1 KR102070278 B1 KR 10207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gateway
communication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5962A (en
Inventor
이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278B1/en
Publication of KR201401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기기의 수를 제한 없이 두거나,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들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포함한 NV 테이블;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은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최대 기기의 수가 제한이 없으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들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 gatewa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limiting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a gateway, or for connec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network variable sets to a single gateway. have.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device using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protocol using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or A gateway for interconnecting a second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r a second network;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set of network variables for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referenced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by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NV table including; Includ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NV tab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ximum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nect devices having different network variable sets to one gateway.

Description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included in it and operation method of gateway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teway included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빌딩에서 각종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과 같은 제어기기가 필요하다. 또한 각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각종 센서나 액츄에이터(actuator)들이 입출력 장치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In order to produce a product in a factory or to manage various facilities in a building, a controller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direct digital controller (DDC) is required to control the facility. In addition, in order for each facility to operate normally, various sensors or actuators must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종래의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필드(field)에 설치된 센서가 일대일(point-to-point)로 중앙의 제어컴퓨터에 전달되었고, 상기 제어컴퓨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도 역시 일대일로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었으나,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질수록 길게 연결되는 수많은 전선들 때문에, 배선에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오류 발생시 시스템의 유지, 보수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며, 중앙의 제어컴퓨터에 문제 발생시 전체 시스템이 동작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 conventional automation system, a sensor installed in a field is transmitted to a central control computer in a point-to-point, and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computer are also transmitted to an actuator in a one-to-one manner. In case of large sized system and complicated system, many wires are connected long, so the cost of wiring, as well as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ystem in case of an error, requires a lot of trou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system became inoperable.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분산제어기술이 소개되면서 중앙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던 중앙 집중제어 기능이 여러 대의 작은 컴퓨터로 분산된 분산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으나, 분산 시스템에서도 역시 제어기의 프로세서와 입출력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묶여 있어 여전히 필드에 설치된 센서나 액츄에이터들과는 일대일로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Since the introduction of distributed control technology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processor technology, the centralized control function performed by the central computer is composed of a distributed system that is distributed to several small computers. Tied together as a device, they still had one-to-one connectivity with sensors and actuators installed in the field.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입출력 장치를 센서나 액츄에이터에 근접해서 설치되는 형태로 변형된 필드버스(field bus) 즉, 입출력 장치가 현장에 분산된 형태가 나타났다. 필드버스는 배선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하고, 공정제어 및 빌딩제어에서 신속한 처리가 요구되는 다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효과적이며, 필드 디바이스(device)의 추가변경이 용이하여 시스템 구성에 유연성을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field bus (input / output device) in which the input / output device is modified to be installed close to the sensor or the actuator is distributed. The fieldbus dramatically simplifies wiring, is effective for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requiring rapid processing in process control and building control, and provides flexibility in system configuration by easily changing field devices.

최근 빌딩 자동화 시스템(자동화 시스템에서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나 본 명세서에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으로 약칭한다)에서 이용하는 필드버스 네트워크에는 CAN, DeviceNet, Profibus, Interbus, LonWorks 등이 있으며, 그 중 특히 LonWorks는 OSI 7계층을 모두 사용하여 인터넷에 쉽게 연결될 수 있어 인터넷을 통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하게 응용되고, 그 중요성 역시 점차 확대되고 있다.Fieldbus networks used in recent building automation systems (not limited to the object of application in th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 factory automation system or abbreviated herein a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clude CAN, DeviceNet, Profibus, Interbus, LonWorks, etc. Among them, LonWorks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ll 7 layers of OSI, so that it can be easily monitor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이러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1), 게이트웨이(2) 및 기기(3a, 3b, 3c, 4a, 4b, 5)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N1, N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10 includes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1, a gateway 2, and devices 3a, 3b, 3c, 4a, 4b, and 5. And first and second networks N1 and N2 connecting them.

기기(3a, 3b, 3c, 4a, 4b, 5)는 빌딩에서 사용되는 각종 설비로서, 공조(HAVC; Heating, Ventilation, Air-Condition), 전력, 조명, 엘리베이터 시스템 등일 수 있고,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은 상기 기기 등을 감시 및/또는 제어하기 수단으로서, 상기 빌딩종합관리시스템(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기(3a, 3b, 3c, 4a, 4b, 5) 상호 간에는 통신을 위해 제1 네트워크(N1)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네트워크(N1)는 바람직하게 LonWorks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devices 3a, 3b, 3c, 4a, 4b, and 5 are various equipments used in a building, and may be air conditioning (HAVC; heating, ventilation, air-conditioning), power, lighting, elevator systems, and the like, and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1) means for monitoring and / or controlling the device and the like, wherein the building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1 and at least one device (3a, 3b, 3c, 4a, 4b, 5) are provided for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N1. In this case, the first network N1 may be preferably a LonWorks network.

이때, 상기 기기(5) 중 일부는 제1 네트워크(N1)에서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통신이 가능하여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3a, 3b, 3c, 4a, 4b)는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될 수 없어 게이트웨이(gateway)(2)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In this case, some of the device 5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by being able to communicate according to the first protocol (protocol) used in the first network (N1), a secon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Devices 3a, 3b, 3c, 4a, and 4b that communicate according to the protocol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and thus ar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through a gateway 2. do.

즉, 게이트웨이(2)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가진 네트워크(N1, N2) 간을 연결해주는 수단으로서, 게이트웨이(2)에 연결된 기기(3a, 3b, 3c, 4a, 4b)는 하나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N2)를 형성한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제2 네트워크(N2)의 경우 주로 RS-485 따위의 직렬통신방식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gateway 2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networks N1 and N2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schemes, and the device 3a, 3b, 3c, 4a, 4b connected to the gateway 2 may be one, As shown in FIG. 1, two or more of the second networks N2 may be formed. The second network N2 may be a network mainly having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은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기기(5)를 제어하거나, 제1 네트워크(N1) 및 제2 네트워크(N2)를 통해 실내기(3a, 3b, 3c) 및 실외기(4a, 4b)를 제어할 수 있고, 반대로 리모컨(3a´, 3b´, 3c´)을 통해 실내기(3a, 3b, 3c) 각각에 입력된 정보가 제1 네트워크(N1) 및 제2 네트워크(N2)를 통해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에 전달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네트워크(N1)에 직접 연결된 기기(5)에 대한 상태 정보 등 역시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빌딩종합관리시스템(1)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1 controls the device 5 through the first network N1 or the indoor units 3a, 3b, 3c through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second network N2. And the outdoor units 4a and 4b, and on the contrary, information inputted to the indoor units 3a, 3b and 3c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s 3a ', 3b' and 3c 'is stored in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second. It can be delivered to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1) through the network (N2), likewise,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device (5)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etc., also through the first network (N1) building management May be delivered to system 1.

만약, 제1 네트워크(N1)가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이 네트워크 변수(network variable)의 바인딩(binding)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웨이에는 동일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만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었다.If the first protocol used by the first network N1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a network variable, as shown in FIG. 2, the same protocol is used for one gateway. Only at least one device with a set of network variables could connect and communicate.

즉, 게이트웨이(21, 22, 23)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31, 32, 33)는 한 종류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각각의 게이트웨이(21, 22, 23)가 연결된 기기(31, 32, 33)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만 정의하여 지원하기 때문이다.That is, at least one device 31, 32, 33 connected to each of the gateways 21, 22, and 23 has one kind of network variable set, which is a device to which each gateway 21, 22, 23 is connected ( This is because only network variable sets for 31, 32, and 33 are defined and supported.

일 예로서, AC(Air Conditioner) 게이트웨이(21)에 연결된 AC 기기(31)의 네트워크 변수와 AWHP(Air-to-Water Heat Pump) 게이트웨이(23)에 연결된 AWHP 기기(33)의 네트워크 변수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하다.As an example, the network parameters of the AC device 31 connected to the AC (Air Conditioner) gateway 21 and the network parameters of the AWHP device 33 connected to the Air-to-Water Heat Pump (AWHP) gateway 23 are as follows. It is different as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3034603363-pat00001
Figure 112013034603363-pat00001

따라서, 종래 게이트웨이(21, 22, 23)와 같이 AC 기기(31)는 AC 게이트웨이(21)만 연결될 수 있고, DXHRV 기기(32)는 DXHRV(DX-Heat Reclaim Ventilation) 게이트웨이(22)에만 연결될 수 있으며, AWHP 기기(33)는 AWHP 게이트웨이(23)에만 연결될 수 있어, 기기 혹은 네트워크 변수 세트의 종류마다 제1 네트워크(N1)와 연결되기 위한 별개의 게이트웨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like the conventional gateways 21, 22, and 23, the AC device 31 may be connected to only the AC gateway 21, and the DXHRV device 32 may be connected only to the DX-Heat Reclaim Ventilation (DXHRV) gateway 22. In addition, the AWHP device 33 may be connected to the AWHP gateway 23 on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gateway for connecting to the first network N1 is provided for each type of device or network variable set.

나아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N1)와 게이트웨이(2)를 통해 통신하는 기기(3a, 3b, 3c, 4a, 4b)는 게이트웨이(2)에 선언된 네트워크 변수가 메모리 제약을 사유로 최대 64개의 네트워크 변수만을 둘 수 있어, 게이트웨이(2)에 연결할 수 있는 최대 기기의 수 역시 64개에 불과한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devices 3a, 3b, 3c, 4a, and 4b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gateway 2 communicate with memory constraints declared by the gateway 2. For the reason, only 64 network variables can be set, and the maximum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2 also has a problem of only 64.

이에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a situation that requires the necessary technology for solving the problem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기기의 수를 제한 없이 두거나,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들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limit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or to connect devices having different network variable sets to one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 gatewa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포함한 NV 테이블;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device using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protocol using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or A gateway for interconnecting a second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r a second network;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set of network variables for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referenced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by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NV table including; Includ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NV tab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이때,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network variable se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may be differen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may use a different protocol.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송신하는 통신 모듈의 고유 ID 및 수신하는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포함한 헤더부; 및 상기 NV 테이블에 갱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부; 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fram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header unit including a unique ID of the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niqu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nd a data unit including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the NV table. It may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제1 내부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내부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Advantageously, said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said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selected based on the unique ID of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제2 내부 통신 모듈; 및 상기 선택된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의 정보를 갱신하는 업데이트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n update module for updating information of the NV table of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 가능한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저장한 저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a network variable set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or a second network connectable to the gateway; It may further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date module may conver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which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into a network variable form.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포함한 NV 테이블;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ateway that connects a first network using a first protocol supporting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and at least one device or a second network using a second protocol;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r a second network;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set of network variables for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referenced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by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device or second network. NV table including; Includ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또한,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된 게이트웨이의 제1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제2 통신 모듈은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택된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통신 연결을 성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gateway included in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is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using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the communication method by the binding of network variabl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gateway Connecting with at least one device or a second network using a second protocol; Select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And establishing, by the gateway, a communication connection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by using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on of a gateway comprising a.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가 복수로 구성되고, 각각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gateway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each may have a different set of network variables.

바람직하게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대상인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변환된 상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에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dating module conver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which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into a network variable form; And updating, by the update module, the converted state information to the NV table of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gateway.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 게이트웨이 및 그의 동작방법은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최대 기기의 수가 제한이 없으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기기들을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ximum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nect devices having different network variable sets to one gatew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확장성이 용이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achably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first network using the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the communication method by the binding of the network variable, network expandability is easy, Custom design is effective.

도 1은 종래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가 기기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다수의 기기가 연결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이 구성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제1 네트워크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uilding automation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teway of a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a network variable is connected to a devic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to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first network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p-by-step flowchart.

아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pecific technical content to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clearly.

게이트웨이 및 빌딩 자동화 시스템Gateway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100) 역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가진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간을 연결해주는 수단으로서, 게이트웨이(200)를 포함한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gateway 200 as a means for connecting devices and / or network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schemes.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N1)는 네트워크 변수(network variable)의 바인딩(binding)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게이트웨이(200)가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기기(31, 32, 33) 및/또는 제2 네트워크(N2)는 제1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나,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종래의 게이트웨이(도 2 참조)(21, 22, 23)와 다르게,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는 기기(31, 32, 33) 및/또는 제2 네트워크(N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질 수 있고, 게이트웨이(200)에 연결할 수 있는 최대 기기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first network N1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uses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and the gateway 200 connects with the first network N1. Although the devices 31, 32, 33 and / or the second network N2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e a second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gateway (see FIG. 2). Unlike 21, 22, and 23, the devices 31, 32, 33 and / or the second network N2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may have different sets of network variables, and the gateway 200 It does not limit the maximum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대상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31, 32, 33)를 포함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들(31a, 31b, 41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네트워크(N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를 구성하는 노드의 수 또는 그 노드가 이루는 형태(topology) 등을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A subject having a different set of network variables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device 31, 32, 33,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4, the same. It may also comprise at least one second network N2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devices 31a, 31b, 41a having a network variable set. At this time, of course, the number of nodes constituting the second network N2 or the topology of the nodes is not limited.

게이트웨이(200)와 상기 기기(31a, 31b, 41a) 및/또는 제2 네트워크(N2) 간의 연결 형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0)와 직접적으로 하나의 연결선만 연결되고 그 연결선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에 분배되어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혹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게이트웨이(20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즉, 게이트웨이(200)가 상기 기기(31a, 31b, 41a) 및/또는 제2 네트워크(N2)와의 연결에 분지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only one connection li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and the connection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gateway 200 and the device 31a, 31b, 41a and / or the second network N2. Each device and / or second network may be distributed and connected, or as shown in FIG. 4, each device and / or second network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That is, the gateway 200 may or may not have at least one branch point in connection with the devices 31a, 31b, 41a and / or the second network N2.

아울러,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어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2 프로토콜의 표현은 1종의 프로토콜로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using the second protocol may use two or more different protocols. In other words, it is clear that the expression of the second protocol used herei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one type of protoco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제1 통신 모듈(300) 및 제2 통신 모듈(400)을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제1 통신 모듈(300)은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하는 모듈로서, 게이트웨이(200)가 상기 제1 네트워크(N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네트워크(N1)가 LonWorks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제1 통신 모듈(300)은 LonWorks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서, LTM-10A, Gizmo 4 I/O 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etwork N1 using the first protocol, and is an interface means for the gateway 2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first network N1. As an example, when the first network N1 is a LonWorks network,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s a module capable of LonWork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n LTM-10A, a Gizmo 4 I / O board, and the like.

또한, 제2 통신 모듈(400)은 제1 네트워크(N1)에서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과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모듈로서, 게이트웨이(200)가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일 예로서,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가 게이트웨이(200)와 직렬(serial)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2 통신 모듈(400)은 RS-485 인터페이스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device having a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used in the first network N1 or a second network, and the gateway 200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Interface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s an example, when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20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n RS-485 interface modul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통신 모듈(300)은 NV 테이블(310)을 포함한다. NV 테이블(310)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른 제1 네트워크(N1)가 이와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set)를 포함함으로써, 제1 네트워크(N1)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V table 310. The NV table 310 is a device and / or second that the first network N1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by the binding of the network variable refers to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communication method. By including a set of network variables for the network, commun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between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즉, 게이트웨이(200)는 NV 테이블(310)을 포함한 제1 통신 모듈(3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되, 제2 통신 모듈(400)은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통신 모듈(300) 혹은 이에 포함된 NV 테이블(310)을 선택한다. 일 예로서,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기기가 AC(31), DXHRV(32) 및 AWHP(33) 등이고, 제1 네트워크(N1)와 AC(31)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으로 통신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400)은 AC(31)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포함한 NV 테이블(310) 혹은 이를 포함한 제1 통신 모듈(300)을 선택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듈(300) 및 제2 통신 모듈(400)을 통해 제1 네트워크(N1)와 AC(31)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gateway 20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0 including the NV table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s a device or a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at least one or mor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or NV table 310 included therein is selected. As an example, the device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is an AC 31, a DXHRV 32, an AWHP 33, and the like, and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AC 31 communicate in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selects the NV table 310 including the network variable set for the AC 31 o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2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AC 31.

이때, 제2 통신 모듈(400)이 선택된 제1 통신 모듈(300)과 통신하는 경우, 서로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은, 헤더(header)부 및 데이터(data)부를 포함하되, 헤더부는 송신하는 통신 모듈의 고유 ID 및 수신하는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부는 선택된 제1 통신 모듈(300)의 NV 테이블에 갱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communicates with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data frame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other include a header part and a data part, The unit may include a unique ID of the transmitting communication module and a unique ID of the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ata unit may include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the NV table of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0)가 두 제1 통신 모듈(301, 302)을 포함한 경우에 제2 통신 모듈(400)의 ID를 "00", 제1 통신 모듈 #1의 ID를 "01", 제1 통신 모듈 #2의 ID를 "02"라고 하면, 헤더부는 송신 통신 모듈(source)의 ID 및 수신 통신 모듈(destination)의 ID를 포함하여 제2 통신 모듈(400)에서 제1 통신 모듈 #1(30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헤더부는 "000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400)에서 제2 통신 모듈 #2(3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헤더부는 "00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부는 상기 헤더부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는 통신 모듈(destination)의 NV 테이블에 갱신하고자 하는 정보 즉,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 등을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gateway 200 includes two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1 and 302, the I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s “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 is included. When the ID of 1 is "01" and the ID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 2 is "02", the header part includes the ID of the sour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D of the destination communication module (destina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400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 1 301, the header part may include “0001,” and the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2 302. When transmitting, the header part may include "0002". In addition, the data unit may include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the NV tabl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destination) where the data fram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header unit, that is, state informatio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and / or a second network, and the like. It can contain the data converted into.

이렇게 제2 통신 모듈(400)에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300)이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모듈(3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신 모듈(400)에 병렬로 연결되거나 버스(bus) 형태로 연결되어 각각의 제1 통신 모듈(301, 302)이 제2 통신 모듈(40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301, 302)은 게이트웨이(200)에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용이하게 하고,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될 수 있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를 고려한 게이트웨이(200)의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0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n parallel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is connected in a bus form so that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removable configuration of the gateway 200 facilitates scalability of the network, and enables a custom design of the gateway 200 in consideration of a device and / or a second network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모듈(300)이 NV 테이블(310)을 포함하되, 하나의 제1 통신 모듈(300)은 복수의 NV 테이블(3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2 통신 모듈(400)이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하는 대상인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상기 NV 테이블(310)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하나의 NV 테이블(310)을 포함한 제1 통신 모듈(300)을 복수로 구성하되 제2 통신 모듈(400)과 병렬 또는 버스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복수의 NV 테이블(310)을 포함한 제1 통신 모듈(300)을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n NV table 310, but on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V tables 310, and thus, a second communication. Although the module 400 may select the NV table 310 according to a device or a second network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network N1,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ncludes one NV table 310. ) Is configured in plural but preferably connected in parallel or in bus form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0 including a plurality of NV tables 310 may be configur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0)는 제1 통신 모듈(300) 및 제2 통신 모듈(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모듈(300)은 하나의 NV 테이블(311, 312)을 포함한 제1 통신 모듈(301, 302)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통신 모듈(301, 302)은 제2 통신 모듈(400)과 통신하기 위한 제1 내부 통신 모듈(321, 322)을 포함하거나, 제2 통신 모듈(400)은 제1 통신 모듈(301, 302)과 통신하기 위한 제2 내부 통신 모듈(420), 제1 통신 모듈(301, 302)의 NV 테이블(311, 312)의 정보를 갱신하는 업데이트 모듈(410) 및 저장부(431, 432, 433)을 포함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gateway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ncludes one NV table 311 and 312.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furthe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321, 322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ncludes a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and an NV table 311,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1, 302. It may include an update module 410 and the storage unit 431, 432, 433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of the 312.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내부 통신 모듈(321, 322)은 제2 통신 모듈(40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공지의 다양한 고속 통신 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321, 322) is an interface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a variety of known high-spe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employed.

이때, 제1 내부 통신 모듈(321, 322)은 고유의 ID(indentification)를 가져, 복수의 제1 통신 모듈(301, 302)이 게이트웨이(200)에 장착되더라도 제2 통신 모듈(400)이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할 때 상기의 고유 ID를 이용함으로써, 제2 통신 모듈(400)은 제1 통신 모듈과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제1 통신 모듈(300)과 제2 통신 모듈(400) 간에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시 동보(broadcast)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제1 내부 통신 모듈(321, 322)에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부를 살펴보고 데이터의 수신처가 자기 자신의 ID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데이터부에 포함된 정보를 자신의 NV 테이블에 갱신하지 않도록 하여, 다수의 제1 통신 모듈 중 특정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s 321 and 322 have unique identifications, so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installed even if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1 and 302 are mounted in the gateway 200. By using the unique ID whe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can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when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by a broadcast communication method when communicating through a communication medium,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321 and 322 may be received. The header part of the data frame is checked, and when the destination of the data does not match with its own I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ata part is not updated in its own NV table, so that a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is performed. Allow the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한편, 제2 통신 모듈(400)은 상기 제1 통신 모듈(301, 302)에 포함된 제1 내부 통신 모듈(321, 322)과 통신 상대로서 제2 내부 통신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내부 통신 모듈(420)은 제1 통신 모듈(300) 자세하게는 이에 포함된 제1 내부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역시 공지의 다양한 고속 통신 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20 as a communication partner with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s 321 and 322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01 and 302. . That is, the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20 is an interface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n detail with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therein, and various well-known high speed communication modules may also be employed.

또한, 제2 통신 모듈(400)에 포함된 업데이트 모듈(410)은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통신하는 대상인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선택된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의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이다. 즉, 업데이트 모듈(410)은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고, 연결된 제2 내부 통신 모듈(420)을 통해 상기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선택된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NV 테이블의 정보를 갱신하여, 제1 네트워크(N1)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업데이트 모듈(220)이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하는 대상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인식하는 수단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수단 또는 방법 중 하나에 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date module 410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s a means for updating information in the NV tab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at is the targe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gateway 200. That is, the update module 410 conver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or the second network into a network variable form,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vice or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connected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20. Information of the NV table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updat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network N1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In this case, the update module 220 may recognize the object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network (N1) through the gateway 200,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means or method for recognizing, one of a variety of known means or methods It can be by.

한편, 게이트웨이(200)에 두 종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가진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연결된 경우, 각각이 제1 네트워크(N1)와 연결하기 위해, 제2 통신 모듈(400)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두 종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통합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31, 432, 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device having two or more types of network variables and / or a second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connect the device and the first network N1 to each other. And / or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for collectively storing two or more sets of network variables for the second network.

저장부(431, 432, 433)에 저장된 통합적인 네트워크 변수에 대한 일 예로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네트워크 변수를 통합한 네트워크 변수는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network variab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the network variables incorporating the network variables shown in Table 1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3034603363-pat00002
Figure 112013034603363-pat00002

업데이트 모듈(410)은 저장부(431, 432, 433)와 연결되어,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와 연결되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른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431, 432, 433)를 참조할 수 있다.The update module 41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so that th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through the gateway 200 may be in the form of network variable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for conversion.

이때, 저장부(431, 432, 433)에 저장된 통합적인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공통으로 갖는 네트워크 변수(nviOnOff, nviHearCool, nviLock, nviSetPoint, nviSpaceTemp 등)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별 개별적으로 갖는 고유의 네트워크 변수(AC 네트워크 변수의 경우, nviFenspeedCmd, nviSwing 등)로 구분되어 저장되거나,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되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의 종류별(231, 232, 233)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grated network variable set stored in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may include network variables (nviOnOff, nviHearCool, nviLock, nviSetPoint, nviSpaceTemp, etc.) and / or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in common. Or for each type of device and / or network variable set of the second network, which is divided and stored as a unique network variable (nviFenspeedCmd, nviSwing, etc. in the case of an AC network variable, etc.) that is individually for each second network, or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And may be stored as (231, 232, 233).

이와 같이, 네트워크 변수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방식의 차이에 의해, 업데이트 모듈(410)이 저장부(431, 432, 433)를 참조하여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는 경우, 마련되는 네트워크 변수 세트는 전부 새롭게 마련되거나, 공통 네트워크 변수를 제외한 고유 네트워크 변수만 변경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storing the network variables in the storage unit, the update module 410 refers to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When converting to a form, the set of network variables to be prepared may be newly provided or may be prepared by changing only unique network variables except common network variabl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 및 이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N1) - 제1 통신 모듈 그리고,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 제2 통신 모듈 - 제1 통신 모듈과 같이 연결되어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다른 제1 통신 모듈이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도록 선택함으로써, 제1 네트워크(N1)에서 바라본 게이트웨이(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게이트웨이(201, 202, 203)가 제1 네트워크(N1)에 연결된 것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teway 200 and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1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 with the first network N1 when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communicate with the first network N1. The network N1 is connec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inding of network variables based on the NV tab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be done. 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selects another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to perform a mediation role, so that the gateway 200 viewed from the first network N1 is shown in FIG. 8. Will work together. In other words, the gateways 201, 202, and 203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for each of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종래와 같이 연결된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전부 저장하지 않고, 각각의 네트워크 변수 센트를 포함한 제1 통신 모듈이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선택되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 통신 모듈(400)에 연결된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종래 게이트웨이(20)에 연결할 수 있었던 최대 64개 이상 연결되더라도, 그에 상응한 수의 제1 통신 모듈(300)을 제2 통신 모듈(40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한 없이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N1)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ore all the network variable sets for the connected devices and / or the second network as in the prior ar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the respective network variable cents is configured a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By selecting and by the communication to be performed, even if a maximum of 64 or more device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and / or the second network can be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gateway 20, the corresponding number of first By allowing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may communicate by binding the network variable with the first network N1 without limitation.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How Gateway Works

이하에서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like and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gateway and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ill be replaced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모듈(300)과 제1 네트워크(N1)가 연결하고, 제2 통신 모듈(400)과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단계(S100), 제1 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제1 네트워크(N1)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가 연결을 성립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p-by-step flowchart.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as shown in FIG. 9,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S100), select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S200),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S300).

게이트웨이(200)의 제1 통신 모듈(300)은 네트워크 변수(network variable)의 바인딩(binding)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N1)에 연결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300)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400)은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와 통신하기 위한 대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31, 32, 33) 및/또는 제2 네트워크(N2)와 연결한다(S100).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gateway 200 connects to a first network N1 using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a network variab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gateway 200 connects to the first network N1.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is at least one device 31, 32, 33 and / or a second network that is a targ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etwork N1 through the gateway 200. Connect to (N2) (S100).

이때, 제2 통신 모듈(400)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모듈(300) 중에서 제1 네트워크(N1)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대상인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S200)함으로써, 제1 네트워크(N1) - 제1 통신 모듈 그리고,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 제2 통신 모듈 - 제1 통신 모듈로 연결되어 제1 통신 모듈의 NV 테이블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1 네트워크(N1)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통신 연결이 성립하게 된다(S300).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 device and / or a second network that is a target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with the first network N1 among at least one conn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By selecting one (S200),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N1-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reference the NV tab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 this way, communication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is performed. That is,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network N1 and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S300).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둘 이상의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는 두 종류 이상의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둘 이상의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two or more devices and /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may use two or more kinds of network variable sets, and the two or more devices and / or the second network may use different protocols.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동작 과정은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S400) 및 변환된 정보를 제1 통신 모듈(300)의 NV 테이블(310)에 갱신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process is the step of converting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into the form of network variables (S400) and the converted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NV table 3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S500).

즉, 게이트웨이(200)의 업데이트 모듈(410)은 저장부(431, 432, 433)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변수를 마련하되, 상기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변수 형태로 변환하고(S400), 이렇게 변환된 상태 정보는 업데이트 모듈(410)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제1 통신 모듈(300)의 NV 테이블(310)에 갱신된다(S500).
That is, the update module 410 of the gateway 200 prepares a network variable by referring to the storage units 431, 432, and 433, and converts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 or the second network into the network variable form. In operation S500, the converted state information is updated by the update module 410 in the NV table 310 of the sel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300.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에 연결되는 기기 및/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전부 저장하지 않고,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포함한 제1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에 대한 고유 ID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모듈이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게이트웨이(20)에 64개 이상의 기기가 연결되더라도 각각의 기기는 제1 네트워크(N1)와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이 가능해진다.
Thus,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ore all the network variable sets for the devices and / or the second network connected to the device, bu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irst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the network variable sets for each, By allow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o select using a unique ID for each device, unlike 64 conventional devices, even if more than 64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device can communicate by binding the network variable with the first network N1. Becom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of operating 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n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etc. will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빌딩종합관리시스템 2: 게이트웨이
3, 4, 5: 기기 3a´, 3b´, 3c´: 리모컨
10: 빌딩 자동화 시스템 21: AC 게이트웨이
22: DXHRV 게이트웨이 23: AWHP 게이트웨이
31: AC 기기 32: DXHRV 기기
33: AWHP 기기 100: 빌딩 자동화 시스템
200, 201, 202, 203: 게이트웨이 300, 301, 302: 제1 통신 모듈
310, 311, 312: NV 테이블 321, 322: 제1 내부 통신 모듈
400: 제2 통신 모듈 410: 업데이트 모듈
420: 제2 내부 통신 모듈 431, 432, 433: 저장부
N1, N2: 네트워크
1: Building Management System 2: Gateway
3, 4, 5: Units 3a´, 3b´, 3c´: Remote control
10: Building Automation System 21: AC Gateway
22: DXHRV Gateway 23: AWHP Gateway
31: AC unit 32: DXHRV unit
33: AWHP Appliance 100: Building Automation System
200, 201, 202, 203: gateway 300, 301, 302: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311, 312: NV table 321, 322: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0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10: update module
420: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431, 432, 433: storage unit
N1, N2: network

Claims (14)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서로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를 포함하는 NV 테이블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통신 모듈 중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가 포함된 NV 테이블을 포함하는 특정 제1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과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서로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가 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저장부;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NV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업데이트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고유 ID 및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헤더부 및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NV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 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제2 내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a first network using a first protocol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and a gatewa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devices or second networks using different second protocols,
A plurality of NV tables each including network variables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communicates with the first network, an NV table including network variables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of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Selecting a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 frame with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unit in which different network parameter se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s using the different second protocols ar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ypes;
An update for converting state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into data in the form of network variables to updat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V table included in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module; And
A header unit including a unique I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a unique ID of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ata converted by the update module to update information stored in an NV table included in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frame including the data unit includ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제1 내부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내부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A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or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selected based on a unique ID of the first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네트워크 변수의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와 서로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를 포함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간에 상기 바인딩에 의한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를 포함하는 NV 테이블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통신 모듈 중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네트워크 변수가 포함된 NV 테이블을 포함하는 특정 제1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과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서로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변수 세트가 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저장부;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NV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변수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변수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업데이트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고유 ID 및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헤더부 및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에 포함된 NV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 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특정 제1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제2 내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A gateway connecting a first network using a first protocol supporting a communication method by binding network variables with a plurality of devices or second networks using different second protocols; In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The gateway is,
A plurality of NV tables each including network variables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ind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communicates with the first network, an NV table including network variables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of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Selecting a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 frame with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unit in which different network parameter se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s using the different second protocols ar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ypes;
An update for converting state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second network into data in the form of network variables to updat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V table included in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module; And
A header unit including a unique ID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nd a unique ID of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ata converted by the update module to update information stored in an NV table included in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ata frame including the data unit includ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pecific first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43682A 2013-04-19 2013-04-19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KR102070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82A KR102070278B1 (en) 2013-04-19 2013-04-19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82A KR102070278B1 (en) 2013-04-19 2013-04-19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62A KR20140125962A (en) 2014-10-30
KR102070278B1 true KR102070278B1 (en) 2020-03-02

Family

ID=5199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682A KR102070278B1 (en) 2013-04-19 2013-04-19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27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13B1 (en) * 2001-12-24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f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07B1 (en) * 2005-03-09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protocol converting method
KR101790114B1 (en) * 2011-07-04 2017-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identity modules and method for selecting identity modul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13B1 (en) * 2001-12-24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f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62A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7759B (en) The configu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s and control or automated system
JP5035480B1 (en) Data relay device, data transmission device, network system
US10037688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ng field devices to a higher-order control device
US9465371B2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21057033A (en) Industrial control system hyperconverged architecture
US10747696B2 (en) Automatic master-slave system and approach
US20120030310A1 (en) Redundant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937203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4172490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US20230036716A1 (en) Cloud-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EP3309632A1 (en) Method of an automatic on-demand configuration in an automation system
KR101990399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US9864721B2 (en) Cascaded fieldbus system
KR102070278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KR101649659B1 (en) Facility control apparatus,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101521811B1 (en) Building equipment system
KR101990400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gateway compri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teway
JP6513444B2 (en)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ontroller with LON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relay method
KR102026638B1 (en) Gateway,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671056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unit
KR101658092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facilities control apparatus comprised therein and control method of the facilities control apparatus
US119473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of modular conveyor systems
US10069645B2 (en) Flexible link system for dynamic switching among different wall module types with a controller
KR20080013036A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