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200B1 -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200B1
KR102070200B1 KR1020170156359A KR20170156359A KR102070200B1 KR 102070200 B1 KR102070200 B1 KR 102070200B1 KR 1020170156359 A KR1020170156359 A KR 1020170156359A KR 20170156359 A KR20170156359 A KR 20170156359A KR 102070200 B1 KR102070200 B1 KR 10207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pipe
induction pip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341A (ko
Inventor
고영식
정승균
정재민
Original Assignee
고영식
정승균
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식, 정승균, 정재민 filed Critical 고영식
Priority to KR102017015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2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中空)의 슬러지 유도관을 수조의 사육수에 승강시키면서 발새하는 수압을 이용해 수조 바닥에 모인 슬러지를 전기 동력 없이 수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육수(飼育水)가 저수되고, 어류 유영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는 육상용 양식수조가 제공되며, 상기 양식수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양식수조의 슬러지가 포집되는 슬러지 배출함;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며, 자유낙하를 통해 슬러지 배출함에 포집된 슬러지 및 사육수가 양식수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배출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어 양식수조의 사육수 상,하로 승강되면서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거나 사육수로부터 인양되는 슬러지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 유도관이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면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수압이 발생하면서 사육수의 슬러지가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 중, 배출관이 연결된 일면에는 배출관을 통해 어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어류이동 방지망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유도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충돌방지편이 더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편은, 사육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함은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는 어류 회수 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어류 회수 수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폐쇄된 승강홈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며, 상기 슬러지 유도관과 상기 어류방지망 각각에 대향되는 부위는 개방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롤러를 기준으로 양식수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 남은 어류를 양식수조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A sludge remove assembly of onshore Aquaculture Tank}
본 발명은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中空)의 관체에 수압을 발생시켜 수조의 슬러지를 수조 외부에 이송시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은 물고기나 해조, 식물 등을 기르는 것으로, 식용이나 기타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연안(沿岸)에서 종묘를 만들거나 키우게 된다.
하지만, 환경오염의 증가로 인해, 연안에서 어류를 양식하는 것은 많은 위험성을 가지게 되었다. 조류 및 기후변화의 영향은 물론,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원유 누출, 방사능 오염 등에 의해 연안의 가두리 양식은 더 이상 소비자들에 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연안이 아닌 내륙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식 양식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즉, 연안어장의 오염과 노화현상 등에 의해 연안수역에서의 양식은 그 생산성이 뚜렷하게 저하되고 있고, 나아가 적조 등의 자연재해의 증가에 따른 양식적지를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육상에 양식시설을 갖춘 육상수조식 양식장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양식수조는 소정량의 사육수(飼育水)가 저장되는 수조 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파이프 형태의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된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를 이루며,최근에는 어류의 유영성(遊泳性)과 활동성을 고려하여 원판 형태의 수조바닥과 원통 형상의 수조벽체를 가지는 원형수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형수조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수조바닥과 수조벽체를 일체로 용접(접합)시킨 제품이나, FRP(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수조의 형태에 맞추어 라미네이팅(Laminating)시킨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한편, 원형수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육중인 어류로부터 찌꺼기들이 발생하고, 그 찌꺼기들이 모여 슬러지를 형성하게 된다.
어류로부터 발생한 찌꺼기는 어류의 배설물, 갑각류의 껍질 부스러기 물고기의 뮤신(mucin) 등으로서, 이들이 모여 슬러지화됨으로써 사육수를 혼탁하게 할 뿐만아니라, 어류 양식에 있어서 성장을 더디게 하고 폐사율을 높이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슬러지 제거장치를 갖는 육상용 양식수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슬러지 제거장치를 갖는 육상용 수조는 중앙봉(10), 타공(11), 제1배관(20), 주름관(21), 고정부재(22), 소켓(23), 제2배관(30), 클리너(40), 타공판(41), 타공(42), 제3배관(50), 전기장치(60), 전원공급장치(70), 용수공급모터펌프(80), 순환모터펌프(90), 수조(1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수공급모터펌프(80)는 배관을 통해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며, 순환모터펌프(90)는 배관을 통해 수조(100)에 용수를 순환시킨다.
제1배관(20)은 전기장치(60)와 클리너(40) 사이에 연결되며, 슬러지와 죽은 어류가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장치(60)는 중앙봉(10) 또는 수조(100)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양식용 용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어류에 전기적인 충격을 주어 약한 어류는 클리너(40)로 이동하게 하고, 강한 어류는 수조(100)에 남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육상용 수조(100)는 전기장치(60)를 이용해 해충이나 미생물을 사멸시켜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육상용 양식수조는 슬러지 제거를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전기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유지 보수 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1068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中空)의 슬러지 유도관에 수압을 발생시켜 수조의 바닥 중앙부에 모인 슬러지를 수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처리에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 발생을 방지한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처리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육수(飼育水)가 저수되고, 어류 유영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는 육상용 양식수조가 제공되며, 상기 양식수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양식수조의 슬러지가 포집되는 슬러지 배출함;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며, 자유낙하를 통해 슬러지 배출함에 포집된 슬러지 및 사육수가 양식수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배출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어 양식수조의 사육수 상,하로 승강되면서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거나 사육수로부터 인양되는 슬러지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 유도관이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면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수압이 발생하면서 사육수의 슬러지가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 중, 배출관이 연결된 일면에는 배출관을 통해 어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어류이동 방지망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유도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충돌방지편이 더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편은, 사육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함은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는 어류 회수 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어류 회수 수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폐쇄된 승강홈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며, 상기 슬러지 유도관과 상기 어류방지망 각각에 대향되는 부위는 개방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롤러를 기준으로 양식수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 남은 어류를 양식수조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공(中空)의 관체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해 수조 바닥 중앙에 모인 슬러지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슬러지 제거 작업을 위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슬러지 제거 장치 마련을 위한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적 부품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 및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슬러지 제거시에만 슬러지 유도관을 수조 내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조 내에서의 어류 유영에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어류 생장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슬러지 유도관이 수조 내에 잠겨 있는 상태라도, 슬러지 유도관에는 어류 유영 방향에 대하여 어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충돌방지편이 절곡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류가 슬러지 유도관에 부딪혀 죽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충돌방지편을 통해 슬러지 유도관의 일측을 인위적으로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류가 슬러지 유도관에 충돌하여 죽는 일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충돌방지편을 통해 수조 내의 물 회전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조의 일측에 슬러지 배출함을 설치하고, 슬러지 배출함에 어류이동 방지망을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배출함으로부터 슬러지를 배출시킬 대, 어류가 함께 빠져나가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슬러지 제거시 어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를 갖는 육상용 양식수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가 설치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가 설치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슬러지 유도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슬러지 유도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설치된 회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에 설치된 회수부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이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는 중공(中空)의 관체 내부에 수압을 발생시켜 수조 바닥에 모인 슬러지를 수조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 제거를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와, 슬러지 배출함(200)과, 배출관(300)과, 슬러지 유도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조(100)는 양식 대상 어류의 양식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사육수(飼育水)가 저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류, 특히 물고기들의 운동성을 높이기 위해, 수조(100) 안의 사육수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어류는 수조안에서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유영하게 된다.
이때, 사육수의 회전력은 별도의 구동부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수조(100) 내부로의 사육수 공급 방향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수조(100)의 중앙에는 사육수가 수조 밖으로 범람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람방지관(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00)의 바닥은 중앙을 향해 낮게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조(100) 내에서 발생된 슬러지가 바닥의 중앙으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조(100)의 일측에는 집수정(120)이 설치된다.
집수정(120)은 수조(100)의 범람방지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저수하고, 슬러지 배출함(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는 구성이다.
이때, 범람방지관(110)은 집수정(120)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슬러지 배출함(200)은 수조(100)의 바닥에 모인 슬러지가 포집되는 구성이며, 수조(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슬러지 배출함(200)은 수조(100) 내의 슬러지 및 사육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수용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통공(200a,200b)이 형성된다. 또한, 슬러지 배출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201)를 형성한다.
슬러지 배출함(200)의 일측 통공(200a)은 후술하는 슬러지 유도관(400)이 연결되며, 슬러지 배출함(200)의 타측 통공(200b)은 후술하는 배출관(300)에 연결이 된다.
이때, 슬러지 배출함(200)의 타측 통공(200b)에는 어류이동 방지망(210)이 설치된다.
즉, 어류이동 방지망(210)은 슬러지 배출함(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및 사육수가 상기 타측 통공(200b)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어류가 함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러지 배출함(200)의 최저점은 수조(100)의 사육수 수위 미만임이 바람직하다.
만약, 슬러지 배출함(200)의 위치가 사육수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될 경우, 후술하는 슬러지 유도관(400)의 사육수 배출 최고점은 수조(100)의 수위를 넘어가게 되므로 슬러지 배출함(200)으로의 수압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배출관(300)은 슬러지 배출함(200)에 포집 및 집수된 슬러지와 사육수를 배출시키는 관로를 제공하며, 슬러지 배출함(200)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 배출함(200)의 타측 통공(200b)에 연결되며 수조(10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출관(300)에는 배출관(300)의 배수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310)가 설치된다.
즉, 개폐밸브(310)를 통해 배출관의 관로 크기를 조절하여, 슬러지 유도관(400)에 발생하는 수압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관(300)은 집수정(120)에 연결되며, 슬러지 배출함(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및 사육수는 집수정(120)에 집수된 후 처리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집수정(120)에 집수된 사육수는 수조(100)로 다시 환원되어 재사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잇다.
다음으로, 슬러지 유도관(400)은 수조(100)의 바닥에 모인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함(20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 유도관(400)은 슬러지 유도관(400)의 관로에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수조(100) 바닥의 슬러지를 수조(100) 상부의 슬러지 배출함(200)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즉, 수조(100)의 수위와 슬러지 유도관(400)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슬러지 유도관(400)의 관로에 수압이 발생하도록 하여, 수조(100) 바닥의 슬러지를 사육수와 함께 수조(100) 외부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슬러지 유도관(400)은 직선의 관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200)에 힌지 결합되고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는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 위치는 수조(100)의 수위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러지 유도관(400)은 수조(100)의 외부에 중공(中空)인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가 수조(100) 사육수로 하강되어 잠길 때, 슬러지 유도관(400)과 수조(100)의 수위간에 발생하는 수위차에 의해 발생한 슬러지 유도관(400)의 음압에 의해 수조(100)의 사육수는 슬러지 유도관(400)을 따라 슬러지 배출함(200)으로 빨려들어가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조(100) 바닥의 슬러지는 사육수와 함께 슬러지 배출함(200)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200)에 연결된 배출관(300)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러지 유도관(400)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슬러지 유도관(400)과 배출관(300)의 높이가 일치되는 경우, 슬러지 유도관(400)에 발생하는 음압은 극대화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슬러지 유도관(400)의 수압 극대화는 수조(100)의 사육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슬러지는 물론 많은 수의 어류가 배출관(300)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 유도관(400)의 높이를 배출관(300)보다 높게 위치시켜 수압을 다소 약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물론, 수압이 높더라도 어류이동 방지망(210)에 어류가 걸리기는 하지만, 수압이 과하게 작용됨에 따라 어류가 폐사될 수 있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즉,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 위치는 수조(100)의 수위와 배출관(300) 사이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200)의 일측 통공(200a)에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200)에 기밀 유지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410)으로 슬러지 배출함(2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단부 하중은 슬러지 배출함(200)에 힌지를 통해 지지되고, 슬러지 유도관(400)의 회동 작용은 힌지 및 주름관(410)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데, 인양수단(500)을 통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인양수단(5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10)와 풀리(520)를 포함한다.
와이어(510)의 일단부는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510)의 타단부는 수조(100)의 상방에 설치된 풀리(520)에 연결된다.
즉, 와이어(510)의 타단부를 위로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와이어(510)의 일단부는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510)를 당기거나 놓아주는 수단은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한 모터(미도시) 및 드럼(미도시)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인양수단(5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호이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시 슬러지 유도관(400)에는 충돌방지편(42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충돌방지편(420)은 수조(100)의 일방향으로 유영하는 어류가 슬러지 유도관(400)에 부딪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즉, 수조(100)의 슬러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 유도관(400)은 수조(100) 내부에 잠겨 어류의 유영 경로 일부를 간섭하고 있는바, 충돌방지편(420)을 통해 어류가 수조(100)에서 유영할 때, 슬러지 유도관(400)에 부딪히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충돌방지편(420)은 수조(100) 내 물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즉, 슬러지 유도관(400)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수조(100) 내의 사육수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유도관(400)의 저항에 의해 사육수의 회전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는바, 충돌방지편(420)을 통해 이를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충돌방지편(42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유도관(4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 흐름 방향에 대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즉, 충돌방지편(420)은 물 흐름에 대한 슬러지 유도관(40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어류의 충돌 방지는 물론 물 흐름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를 통해 양식수조의 슬러지가 제거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인양수단(500)을 통해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를 수조(100) 밖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슬러지 배출함(200)도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관(300)의 관로는 개방되어 있어야 하며, 개방의 정도는 상황에 따라 고려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나 수조(100)의 사육수가 혼탁해져 있거나 육안으로 슬러지가 과다하게 발견된 경우, 인양수단(500)을 통해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를 수조 내의 바닥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중공(中空)의 슬러지 유도관(400) 내에는 수조(100)와의 수위차에 따른 음압이 발생하고, 수조(100) 바닥에 모인 슬러지는 사육수와 함께 슬러지 유도관(40))의 관로를 따라 슬러지 배출함(200)으로 상승이 된다.
이후, 슬러지는 사육수와 함께 슬러지 배출함(200)을 통해 배출관(300)으로 낙하된 후, 집수정(120)으로 이송된다.
이때, 사육수에 포함된 어류는 어류 이동 방지망(210)에 걸려 슬러지 배출함(200)에 모이게 된다.
이후, 수조(100) 바닥의 슬러지 제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는 인양수단(500)을 통해 슬러지 유도관(400)의 타단부를 수조(100) 밖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슬러지 유도관(40))에 남아 있는 잔수는 슬러지 배출함(200)을 통해 배출관(30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슬러지 배출함(200)에는 어류 이동 방지망(210)을 통해 걸러진 어류가 남아 있을 수 있는바, 관리자는 뜰채 등을 이용해 어류를 수조(100) 안으로 회수시킨다.
이로써, 수조(100) 내의 슬러지 제거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슬러지 배출함(200)에 남아 있는 어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뜰채 등의 도구를 이용해 수조(100) 내로 다시 회수되는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는 대신 슬러지 배출함(200)에 어류 회수 수단(600)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어류 회수수단(600)은 회동부재(610)와 승강홈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부재(610)는 슬러지 배출함(200)에 남아 있는 어류를 수조(100)로 투입시키며, 슬러지 배출함(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동부재(610)의 양측은 개방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양측이라 함은 슬러지 배출함(200)의 일측 통공(200a)과 타측 통공(200b)에 대향하는 부위를 말한다.
이는 슬러지 배출함(200)으로의 사육수 유입과, 배출관(300)측으로의 사육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부재(610)는 슬러지 배출함(2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회동부재(610)의 하단부 양측에는 롤러(611)가 설치된다.
또한, 회동부재(6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가로지르는 손잡이바(61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승강홈부(620)는 슬러지 배출함(2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회동부재(610)의 승강경로를 제공한다.
승강홈부(620)는 슬러지 배출함(200) 중 슬러지 유도관(400)이 연결된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강홈부(620)의 상단부는 폐쇄되어 회동부재(6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러지 배출함(200)으로부터 슬러지 및 사육수가 배출되고 나면, 슬러지 배출함(200) 즉, 회동부재(610)의 바닥에는 어류가 남게 된다.
이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610)를 슬러지 배출함(200)의 상단부까지 들어 올리면 회동부재(610)의 롤러(611)는 슬러지 배출함(200)의 상단부에 걸려 더 이상 진행이 정지되고,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611)를 기준으로 회동부재(610)를 수조(100)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부재(610)의 바닥에 남아 있던 어류들은 수조(100)로 유입이 된다.
이에 따라, 슬러지 배출함(200)에 남아있는 어류의 회수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동부재(610)의 바닥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요홈에 어류가 모여 있도록 하여, 회수 작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는 수압을 이용해 수조 바닥의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잇다.
이에 따라, 슬러지 제거를 위한 장비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전기 동력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수조 110 : 범람방지관
120 : 집수정 200 : 슬러지 배출함
200a,200b ; 통공 210 : 어류이동 방지망
300 : 배출관 400 : 슬러지 유도관
410 : 주름관 420 : 충돌방지편
500 : 인양수단 510 : 와이어
520 : 풀리 600 : 어류 회수 수단
610 : 회동부재 611 : 롤러
612 : 손잡이바 620 : 승강홈부

Claims (5)

  1. 사육수(飼育水)가 저수되고, 어류 유영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는 육상용 양식수조가 제공되며,
    상기 양식수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양식수조의 슬러지가 포집되는 슬러지 배출함;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며, 자유낙하를 통해 슬러지 배출함에 포집된 슬러지 및 사육수가 양식수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배출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내부와 통하는 관로가 형성되되 일단부는 슬러지 배출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어 양식수조의 사육수 상,하로 승강되면서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거나 사육수로부터 인양되는 슬러지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러지 유도관이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잠기면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수압이 발생하면서 사육수의 슬러지가 슬러지 유도관을 통해 슬러지 배출함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 중, 배출관이 연결된 일면에는 배출관을 통해 어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어류이동 방지망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유도관에는 슬러지 유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충돌방지편이 더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편은, 사육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함은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는 어류 회수 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어류 회수 수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폐쇄된 승강홈부;
    상기 슬러지 배출함의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며, 상기 슬러지 유도관과 상기 어류이동 방지망 각각에 대향되는 부위는 개방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홈부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롤러를 기준으로 양식수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함에 남은 어류를 양식수조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유도관의 일단부와 슬러지 배출함 사이에는 주름관이 설치되어, 슬러지 유도관 회동이 유연하게 이루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KR1020170156359A 2017-11-22 2017-11-22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KR10207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9A KR102070200B1 (ko) 2017-11-22 2017-11-22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9A KR102070200B1 (ko) 2017-11-22 2017-11-22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41A KR20190059341A (ko) 2019-05-31
KR102070200B1 true KR102070200B1 (ko) 2020-03-03

Family

ID=6665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59A KR102070200B1 (ko) 2017-11-22 2017-11-22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7408B1 (en) * 2020-09-30 2023-10-23 Csub As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aquaculture tank
CN113940305B (zh) * 2021-11-08 2023-02-14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水产养殖温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824B2 (ja) * 1997-10-15 2000-03-21 沖縄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イメージデータの著作権表示方式
KR200227408Y1 (ko) * 2000-12-27 2001-06-15 김창섭 양어장 사육조내 찌거기 여과장치
KR101033272B1 (ko) 2010-09-13 2011-05-09 윤미자 크리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824U (ja) * 1995-05-12 1996-04-02 裕幸 権田 魚飼育水槽用の排水管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魚飼育用水槽システム
KR20170058652A (ko) * 2015-11-19 2017-05-29 어업회사법인 자이아쿠아팜 유한회사 기생충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KR101610681B1 (ko) 2015-11-19 2016-04-08 자이아쿠아팜 유한회사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824B2 (ja) * 1997-10-15 2000-03-21 沖縄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イメージデータの著作権表示方式
KR200227408Y1 (ko) * 2000-12-27 2001-06-15 김창섭 양어장 사육조내 찌거기 여과장치
KR101033272B1 (ko) 2010-09-13 2011-05-09 윤미자 크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41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9457B (zh) 一种海洋牧场平台
KR101769407B1 (ko) 수초 제거용 보트
KR101626663B1 (ko) 부침식 양식장치
KR102070200B1 (ko) 육상용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거 어셈블리
DE60222024T2 (de) Zucht und ernte von schalentieren
CA2640340A1 (en) Aquatic habitat and ecological tank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CN111997020A (zh) 一种漂浮式环保河道垃圾收集桶装置
NO20150364A1 (no) Produksjonstank
CN210975774U (zh) 一种河道用水生态修复系统
CN102613147A (zh) 鱼缸高效无伤害捕鱼装置
CN109278948B (zh) 一种湖泊水草收割和水面垃圾打捞两用船
CN204919510U (zh) 一种用于清除水生植物的双绳抓斗
CN105002873A (zh) 一种用于清除水生植物的双绳抓斗
CN211631410U (zh) 一种水产养殖用的鱼苗转移装置
CN211793762U (zh) 组合式养殖网箱
US10182558B2 (en) Method, system, and harvesting apparatus for aquaculture trench maintenance and harvesting
NO20111658A1 (no) Skjulested og fangstanordning for fisk og fremgangsmåte ved bruk av samme.
CN111622194A (zh) 水面漂浮物收集装置
CN208685580U (zh) 一种水利水电工程大坝
US201000184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Oysters
CN113737721B (zh) 一种用于保护海洋生态保护的护堤结构
CN213266094U (zh) 一种园林水体净化系统
CN208533497U (zh) 一种利用绿色环保灭藻药剂杀灭蓝藻的收集船
CN105875531B (zh) 捕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