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77B1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9677B1 KR102069677B1 KR1020180088985A KR20180088985A KR102069677B1 KR 102069677 B1 KR102069677 B1 KR 102069677B1 KR 1020180088985 A KR1020180088985 A KR 1020180088985A KR 20180088985 A KR20180088985 A KR 20180088985A KR 102069677 B1 KR102069677 B1 KR 102069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inlet
- respiratory
- breathing
- back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성향이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아동에게 호흡 기준에 근거한 훈련을 실시하여 순응률을 높이고 주의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증상이 개선되도록 한 자폐성향, 및 ADHD증상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흡공기의 주입경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와,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호흡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배기구와, 상기 공기 주입구와 배기구를 연통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호흡공기의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각각 계측하는 호흡 계측센서; 및 상기 호흡 계측센서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호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폐성향이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호흡 기준에 근거한 훈련을 실시하여 순응률을 높이고 주의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증상이 개선되도록 한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달은 성장에 따른 기능적 발전 과정을 말하는데 대개 일정하고 예측 가능한 양상으로 진행되는 역동적 과정이다.
그리고, 발달 장애란 어느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나이에 이루어져야 할 발달이 성취되지 않은 상태로, 발달 선별검사에서 해당 연령의 정상 기대치보다 25%가 뒤쳐져 있는 경우를 말한다.
전반적 발달 지연은 대운동(Gross motor), 미세운동(Fine motor), 인지, 언어, 사회성과 일상 생황 중 2가지 이상이 지연된 경우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달장애는 나이에 비해 지연된 것이므로 몸으로 익히고 학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발달장애를 겪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치료하기 위해서 치료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통상 발달장애 치료 방법으로는 선 출원된 등록특허 10-1008541호, "시, 청각 자극을 제공하는 인지능력 향상 장치" 등과 같이 시각 및 청각적으로 자극을 주어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치료하는 방법, 시각적 자극과 뇌에 물리적인 전정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방법, 및 약물 흡입에 의해 치료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 청각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를 변화시키는 장치는 미리 설정된 자극신호만을 이용자에게 공급하여 뇌파를 특정 주파수로 유도하므로 이용자의 상태 및 훈련결과 등을 분석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시각적인 자극을 이용한 치료 장치는 단순한 평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여 주므로 치료를 받는 발달장애인을 치료에 몰입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발달장애 치료 장치들은 자극을 통한 것으로, 발달장애인 상호 동작을 유도할 수 없어 실질적인 운동능력, 인지 능력, 집중력 및 사회성 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치료하는 방법은 치료보다는 검사를 위한 시뮬레이션이 대부분이며, 치료용일지라도 상술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단순한 영상의 표시에 의한 치료를 제공하므로 특정 기능에 대해서만 치료를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발달장애인을 치료에 몰입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폐성향이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호흡 기준에 근거한 호흡 훈련을 실시하여 음성의 세기를 향상시키고 후두부의 기능을 강화하여 구강 운동 기능을 다듬는 한편, 지속적인 호흡훈련을 통해 순응률을 높이고 주의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증상이 개선되도록 한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는,
호흡공기의 주입경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와,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호흡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배기구와, 공기 주입구와 배기구를 연통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호흡공기의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각각 계측하는 호흡 계측센서; 및
상기 호흡 계측센서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호흡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흡기 조절밸브가 형성되어, 흡기 조절밸브를 통해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설정하여 유로 내에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구에 조립되는 마우스 피스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공기 주입구를 통해 토출하여, 공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역류공기를 제공하여 공기 주입구에 역류압을 형성하는 역류공기 공급부가 부가된다.
또한, 상기 호흡 단말기에는 호흡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호흡 공기량 정보와 호흡 지속시간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근거리 전송하는 근거리 전송모듈이 부가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호흡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호흡 공기량 정보와 호흡 지속시간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게임기능을 갖는 호흡 훈련용 앱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는, 자폐성향이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보이는 훈련 아동에게, 호흡 기준에 근거한 호흡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음성의 세기를 향상시키고 후두부의 기능을 강화하여 구강 운동 기능을 다듬는 한편, 지속적인 호흡훈련을 통해 순응률을 높이고 주의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호흡 훈련용 앱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여 호흡훈련을 게임화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훈련아동의 호기심과 성취감을 고취시켜 능동적으로 호흡 훈련에 임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향상된 호흡 훈련의 효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역풍 공급모듈을 통해 호흡과정에 호흡저항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훈련아동은 호흡저항을 고려하여 호흡량 및 호흡 상태를 순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향상된 주의 집중력과 인지능력, 및 순간 대처능력의 배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호흡 단말기의 외형, 및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를 통한 호흡 훈련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의 세부구조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호흡 단말기의 외형, 및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를 통한 호흡 훈련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의 세부구조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호흡 단말기의 외형, 및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를 통한 호흡 훈련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에 있어,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의 세부구조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1)는, 자폐성향이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이 예상, 또는 발생된 아동(이하, 훈련 아동이라 칭함)들을 대상으로 호흡 기준에 근거한 호흡 훈련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해당 아동들의 음성의 세기를 향상시키고, 후두부의 기능을 강화하여 구강 운동 기능을 다듬는 한편, 지속적인 호흡훈련을 통해 순응률을 높이고 주의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자폐성향, 및 ADHD 증상을 개선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해 해당 아동에게 실시되는 호흡훈련의 호흡량의 일정성과, 호흡 길이, 호흡 패턴 등을 포함하고, 훈련 아동이 설정시간 동안 일정한 호흡량으로 호흡하는 훈련, 요하는 호흡 패턴에 따라 호흡주기나 호흡량을 조절하는 훈련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아동의 호흡 상태값을 계측하는 호흡 단말기(1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부가적으로 호흡 훈련용 앱이 탑재 및 구동하며, 호흡 단말기(10)와 근거리 통신하여 원격으로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제어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과 메모리 모듈이 탑재된 범용의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 등이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제어모듈에 의해 탑재 및 구동된 호흡 훈련용 앱을 통해 호흡 단말기(10)를 통해 호흡 중인 훈련 아동의 호흡량과 호흡주기, 호흡 패턴 등을 원격으로 인식 및 기록, 및 분석하고, 또 호흡 단말기와 연동하여 호흡훈련에 따른 게임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흡 훈련용 앱에 호흡 훈련용 게임기능을 탑재하여, 자폐성향, 및 ADHD 증상의 개선을 요하는 훈련 아동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호흡 훈련용 게임을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즐기면서 호흡 훈련용 게임에 따른 호흡 훈련을 능동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흥미성을 가지면서 호흡 훈련을 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는 호흡 단말기(10)와 연동하여, 호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호흡 공기량 정보와 호흡 지속시간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호흡 훈련용 앱이 설치된다.
예컨대, 게임의 대상물이 비행체의 경우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통해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또 순간적인 호흡을 통해서 비행경로 상에 위치된 장애물을 파괴하는 형태의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흡 단말기(10)는 호흡공기의 주입경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12)와, 상기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주입된 호흡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기구(13)와, 상기 공기 주입구(12)와 배기구(13)를 연통되도록 하는 유로(14)가 형성된 본체(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유로(14) 상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배기구(13)를 통해 배기되는 호흡공기의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각각 계측하는 호흡 계측센서(16); 및 상기 호흡 계측센서(16)를 통해 계측된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스마트 단말기(20)에 근거리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7); 및 상기 호흡 계측센서(16)와 근거리 통신 모듈(17)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8)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를 손잡이(11a)가 일체로 형성된 핸디형으로 구성하여, 훈련 아동은 손잡이(11a)를 통해 본체(11)를 파지한 다음 공기 주입구(12)에 조립된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호흡을 실시하여서,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에 따른 호흡 훈련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흡 단말기(10)를 구성하는 본체(11) 내에 배터리(15)를 내장하여, 별도의 전원선을 통한 전류의 공급없이 본체(11) 내에 내장된 호흡 계측센서(16)와 근거리 통신모듈(17), 및 제어모듈(18)의 구동에 따른 기동전류를 안정되게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훈련 아동의 입을 통해 토출되는 호흡공기가 유입되는 호흡 단말기(10)의 공기 주입구(12)에는 일회용 마우스 피스(30)가 조립되어, 마우스 피스(30)를 통한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단일 호흡 단말기를 통해 호흡 훈련을 요하는 복수의 훈련 아동들이 마우스 피스를 교환하여 위생적인 상태에서 공용된 호흡 훈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12)에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흡기 조절밸브(12a)를 마련하여 흡기 조절밸브(12a)를 통해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설정함으로써, 호흡 훈련과정에 유로(14) 내에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유입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최초 관리자는 호흡 훈련을 요하는 해당아동으로부터 최대 호흡량과 최대 호흡 지속시간을 계측하여 해당 아동의 호흡 가능 정도를 계측하고, 상기 훈련 아동의 신체적 특성 즉, 호흡 정도에 따라 흡기 조절밸브(12a)를 통해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공기 주입구(12)에 호흡공기를 주입하는 해당 아동들에게 호흡 저항을 발생시켜, 호흡훈련 과정에 보다 향상된 집중력이 고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 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토출하여,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역류공기를 공급하여 호흡 훈련을 요하는 해당 아동의 호흡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주입구(12)에 역류압을 형성하는 역류공기 공급부(40)를 부가한다.
상기 역류공기 공급부(40)은, 급기펌프(41)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유로 내에 유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호흡공기 중 일부를 충진한 다음, 유로(14)를 따라 재토출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펌프(41)는 역류공기 주입관(43)을 통해 유로(14)와 연통하고, 상기 유로(14)와 역류공기 주입관(43) 사이에는 유로(14)를 따라 유입된 호흡공기가 역류공기 주입관(4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판막(43a)이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류공기 공급부(40)에 증류수를 기화한 수증기를 혼입하는 증기 혼입유닛(42)를 부가하여서,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훈련아동의 구강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역류공기에는 증기 혼입유닛(42)을 통해 공급된 증기가 혼입되도록 한다.
상기 증기 혼입유닛(42)은, 초음파를 발진하여 수조(42a) 내에 저수된 증류수를 증발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진기(42b), 또는 전열을 통해 수조 내에 저수된 증류수를 증발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전열히터가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류공기 공급부(40)의 구동량, 및 구동여부에 따라 공기 주입구(12)를 따라 호흡아동의 호흡에 의해 유입되는 호흡공기와 반하는 역류공기가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공기 주입구(12)를 통해 호흡공기를 주입하는 해당 아동은 역류공기에 의해 일종의 호흡 저항이 발생되고, 이러한 상황에 훈련 아동은 역류공기에 의한 호흡 저항을 고려한 호흡공기를 주입하고자 호흡공기의 토출압력을 높인 상태로 호흡하면서 호흡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이 유기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훈련 아동은 자신이 주입하는 호흡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호흡 계측센서(16)가 호흡값을 계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우스 피스(30)와 연통하는 공기 주입구(12)에, 마우스 피스(30)를 따라 주입되는 일부의 호흡공기를 분배하여 제공받아 공기 주입구(12) 내에서 수축 및 팽창하여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19)를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19)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주입구(12) 내에 배치되며 마우스 피스(30)와 연통하는 분배 주입구(19b)가 형성된 팽창튜브(19a)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튜브(19a)는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주입되는 주입량에 따라 공기 주입구(12) 내에서 탄력적으로 팽창하여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12)의 내경에, 분배 주입구(19b)를 통해 주입되는 호흡공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팽창튜브(19a)를 배치하여서, 마우스 피스(30)를 통해 공기 주입구(12) 내에 주입되는 호흡공기의 주입압력이 높을 경우 수축된 팽창튜브(19a)는 팽창하여 공기 주입구(12)의 개폐량을 좁혀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팽창튜브(19a)에는 복수의 분배 주입구(19b)들이 형성되어 분배 주입구(19b)를 통한 호흡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분배 주입구(19b)들은 코일 스프링(19c) 내에 삽입되어 코일 스프링(19c)을 통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공기 주입구(12) 내 일지점에 정형화되게 고정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훈련 아동은 역류 공기에 의한 호흡 저항과, 주입되는 호흡공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하는 팽창튜브에 의한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실시간으로 고려하여, 이 상황에 적합한 호흡량과 호흡방법을 능동적이고 순간적으로 전환하여 대처하고, 이를 통해 훈련 아동은 인지 능력의 배양과 순간적인 상황 대처 능력의 배양이 가능하다.
1.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10. 호흡 단말기 11. 본체
11a. 손잡이
12. 공기 주입구 12a. 흡기 조절밸브
13. 배기구
14. 유로 15. 배터리
16. 호흡 계측센서 17. 근거리 통신모듈
18. 제어모듈 19.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
19a. 팽창튜브 19b. 분배 주입구
20. 스마트 단말기 21. 디스플레이
30. 마우스 피스
40. 역류 공기 공급부 41. 급기펌프
42. 증기 혼입유닛 42a. 수조
42b. 초음파 발진기
43. 역류공기 주입관 43a. 역류방지 판막
10. 호흡 단말기 11. 본체
11a. 손잡이
12. 공기 주입구 12a. 흡기 조절밸브
13. 배기구
14. 유로 15. 배터리
16. 호흡 계측센서 17. 근거리 통신모듈
18. 제어모듈 19.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
19a. 팽창튜브 19b. 분배 주입구
20. 스마트 단말기 21. 디스플레이
30. 마우스 피스
40. 역류 공기 공급부 41. 급기펌프
42. 증기 혼입유닛 42a. 수조
42b. 초음파 발진기
43. 역류공기 주입관 43a. 역류방지 판막
Claims (3)
- 호흡공기의 주입경로를 제공하는 공기 주입구와,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호흡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배기구와, 공기 주입구와 배기구를 연통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호흡공기의 호흡 공기량과 호흡 지속시간을 각각 계측하는 호흡 계측센서; 및
상기 호흡 계측센서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호흡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흡기 조절밸브가 형성되어, 흡기 조절밸브를 통해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설정하여 유로 내에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에, 주입되는 일부의 호흡공기를 분배하여 제공받아 공기 주입구 내에서 수축 및 팽창하여 호흡공기의 주입 압력에 따라서 공기 주입구의 개폐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탄성 개폐량 조절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공기 주입구를 통해 토출하여, 공기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호흡공기의 역류공기를 제공하여 공기 주입구에 역류압을 형성하는 역류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역류공기 공급부는 역류공기 주입관을 통해 유로와 연통하고, 유로와 역류공기 주입관 사이에는 유로를 따라 유입된 호흡공기가 역류공기 주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판막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에 조립되는 마우스 피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985A KR102069677B1 (ko) | 2018-07-31 | 2018-07-31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985A KR102069677B1 (ko) | 2018-07-31 | 2018-07-31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9677B1 true KR102069677B1 (ko) | 2020-01-23 |
Family
ID=6936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8985A KR102069677B1 (ko) | 2018-07-31 | 2018-07-31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9677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739U (ko) | 2009-06-15 | 2010-12-23 | 신권 | 복식호흡 계수기 |
JP4625161B2 (ja) * | 2000-07-19 | 2011-02-02 | 有限会社エース | 呼吸式運動装置 |
KR20160065601A (ko) | 2014-12-01 | 2016-06-09 | (주)팜스포 |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
KR20170067501A (ko) * | 2015-12-08 | 2017-06-16 | 이장춘 | 호흡량 측정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방법 |
KR101752904B1 (ko) * | 2016-06-29 | 2017-07-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호흡 재활 시스템 및 방법 |
KR101855481B1 (ko) | 2016-08-09 | 2018-06-08 | 김성진 | 스마트 호흡기 보호구 |
KR101871285B1 (ko) | 2017-11-08 | 2018-06-27 | 주식회사 엠프로스 | 호흡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80077453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올비 | 동작 패턴 분석에 기반한 수면중 호흡 분석 시스템 |
-
2018
- 2018-07-31 KR KR1020180088985A patent/KR1020696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25161B2 (ja) * | 2000-07-19 | 2011-02-02 | 有限会社エース | 呼吸式運動装置 |
KR20100012739U (ko) | 2009-06-15 | 2010-12-23 | 신권 | 복식호흡 계수기 |
KR20160065601A (ko) | 2014-12-01 | 2016-06-09 | (주)팜스포 |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
KR20170067501A (ko) * | 2015-12-08 | 2017-06-16 | 이장춘 | 호흡량 측정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방법 |
KR101752904B1 (ko) * | 2016-06-29 | 2017-07-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호흡 재활 시스템 및 방법 |
KR101855481B1 (ko) | 2016-08-09 | 2018-06-08 | 김성진 | 스마트 호흡기 보호구 |
KR20180077453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올비 | 동작 패턴 분석에 기반한 수면중 호흡 분석 시스템 |
KR101871285B1 (ko) | 2017-11-08 | 2018-06-27 | 주식회사 엠프로스 | 호흡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인정, 합창활동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8. 1부.*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30423B2 (en) | Breathing biofeedback device | |
US12042465B2 (en) | Treatment of headache disorders | |
WO2009070851A3 (en) | Personal air filter with amplifier and vibrator | |
KR101975792B1 (ko) | 호흡 및 언어 훈련 장치 | |
US2014005203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lsed acoustical stimulation of the brain | |
US20160120462A1 (en) | Oral appliance for ventilation flow measurement | |
KR102069677B1 (ko)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장치 | |
KR102253649B1 (ko) |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시스템 | |
US20230233099A1 (en) | Breath guide device and method | |
EP2790633B1 (en) | Device for stimulation of hypothalamus | |
US20230285800A1 (en) | Ventil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the ventilation device, and uses thereof | |
KR102310590B1 (ko) | 호흡 훈련시스템의 호흡 훈련용 단말기 | |
RU2344862C2 (ru) |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дыха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идут-1) (варианты) | |
KR20180046410A (ko) | 건강용 산소 공급 장치 | |
RU164669U1 (ru) |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челюстно-лицевой манипулятор | |
RU132723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речи | |
IT et al. | Presentation Objectives | |
Toral Madariaga et al. | Aplicación de biofeedback en la preparación de los comunicadores de radio y televisión | |
Wesley | An Evaluation of Existing Practices in Teaching Voice Improvement Found in Textbooks Published Between 1940-1960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