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05B1 -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 Google Patents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05B1
KR102068505B1 KR1020180075339A KR20180075339A KR102068505B1 KR 102068505 B1 KR102068505 B1 KR 102068505B1 KR 1020180075339 A KR1020180075339 A KR 1020180075339A KR 20180075339 A KR20180075339 A KR 20180075339A KR 102068505 B1 KR102068505 B1 KR 10206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ens
module
barr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52A (ko
Inventor
장인석
김재필
김완호
전시욱
송영현
송광염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7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 및 경통과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간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방출되는 광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렌즈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Lens Module and Light Curing Apparatus for Dental Clinic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렌즈 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치과용 광중합기는 440~460nm 사이의 고출력 LED 광원과 여기서 나오는 빛을 가이딩시켜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한 광섬유 번들로 구성되어 있다.
치과용 광중합기가 출력하는 에너지는 이론적으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8064095490-pat00001
통상적으로 효과적인 중합 반응을 위해 조사되어야 할 적정 경화 에너지는 10 내지 16 J/cm2에 해당한다. 수식을 참조하면, 출력 에너지는 광 출력과 조사 시간의 곱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용 광중합기는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광을 장시간 조사하거나 고출력의 광을 단시간 조사함으로써, 적정 경화 에너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진료시간 단축 및 환자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대부분의 치과용 광중합기는 광출력을 높이는 것에 집중하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치과용 광중합기는 고출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레진 중합도를 개선할 수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광중합기가 과도하게 높은 출력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 불균일하게 경화되고, 내·외부 수축 응력의 차이 발생으로 인해 레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발열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상태, 레진의 경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광중합기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 손실없이 경화를 위한 높은 출력의 광을 제공하는 동시에, 작은 사이즈의 광학계를 적용할 수 있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높은 출력에 의한 LED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사용하더라도, 광대역 파장의 광을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효과적으로 경화시키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면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 및 경통과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간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방출되는 광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원모듈은 기 설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광원모듈의 근위에 배치된 제1 렌즈 및 상기 광원모듈의 원위에 배치된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제1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경통 내부에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경통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레진(Resin)을 경화하기 위해 광원모듈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면적을 제어하기 위한 렌즈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초점거리를 가변하는 복수의 렌즈 및 렌즈 간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방출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경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원모듈은 기 설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광원모듈의 근위에 배치된 제1 렌즈 및 상기 광원모듈의 원위에 배치된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제1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경통은 내부에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경통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 손실없이 경화를 위한 높은 출력의 광을 제공하는 동시에, 작은 사이즈의 광학계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높은 출력에 의한 LED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사용하더라도, 광대역 파장의 광을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효과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면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면적을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레진을 균일하게 경화하고, 레진의 내·외부 수축을 억제하며, 레진의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와 파장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 의해 레진이 경화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는 배터리모듈(110), 광원모듈(120) 및 렌즈모듈(130)을 포함한다.
배터리모듈(110)은 광원모듈(120)과 연결되어 광원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모듈(110)은 광원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광원모듈(120)이 레진의 경화를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광원모듈(120)은 배터리모듈(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조사한다. 광원모듈(120)은 별도의 광 파이버에 의해 광을 전달받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광원을 포함함으로써 직접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광 파이버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출력의 광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광 파이버를 포함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용 광 중합장치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다.
렌즈모듈(130)은 광원모듈(120)이 광을 조사하는 전단에 위치하여, 조사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한다. 렌즈모듈(130)은 복수의 렌즈를 이용해 렌즈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원모듈(12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렌즈모듈(130)은 경통(210), 제1 렌즈(220), 제2 렌즈(230) 및 렌즈 고정부(240)를 포함한다.
경통(2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여 제1 렌즈(220) 및 제2 렌즈(230)를 포함한다. 경통(210)은 경통(210)의 최외곽부에서 내부로 돌출된 지지부(215)를 포함하여, 지지부(215)를 이용해 제2 렌즈(230)를 지지한다. 지지부(215)가 제2 렌즈(230)와 접촉함으로써, 제2 렌즈(230)가 정위치에서 길이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경통(210)은 길이를 가변하여 렌즈 간(220, 230) 거리를 조절한다. 경통(210)은 경통(210)의 일부분이 타부분의 하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거나,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현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1 렌즈(220)는 배터리모듈(110)과 먼 경통(210) 내 끝단에 위치하여, 광원모듈에서 조사된 광의 면적을 조절한다. 제1 렌즈(220)는 경통(210), 특히, 경통(210)의 최외곽부와 접촉함으로써, 경통(21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1 렌즈(220)가 경통 내에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경통(21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렌즈 간의 거리도 함께 가변한다.
제2 렌즈(230)는 광원모듈(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일 초점으로 집광한다. 제2 렌즈(230)는 렌즈 고정부(240) 및 경통(210) 내 지지부(215)에 의해 정위치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통(210)이 길이방향으로 가변함에 따라, 제2 렌즈(230)에 대한 제1 렌즈(220)의 상대적인 위치도 함께 가변한다. 즉, 렌즈간 거리가 상이해지기 때문에, 제2 렌즈(230)를 거쳐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 외부로 조사되는 광의 조사 면적이 상이해진다. 제1 렌즈(220) 및 제2 렌즈(230)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경우, 외부로 조사되는 광은 일 초점으로 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조사되는 광 출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좁은 면적이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다, 반대로, 경통(210)의 이동에 따라, 제1 렌즈(220) 및 제2 렌즈(230)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외부로 조사되는 광은 일 초점으로 모이지 않게 되어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조사된다. 이에 따라, 광 조사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넓은 면적이 일시에 경화될 수 있다.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는 경통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광 조사 면적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치과수복 치료의 목적에 적절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고출력 경화가 필요한 경우,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는 점광원으로 광을 조사하고, 넓은 면적의 경화가 필요한 경우,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는 면 광원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치과 치료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는 광 조사 면적을 적절히 제어하여 레진을 균일하게 경화할 수 있으며, 레진의 내·외부 수축을 억제하고, 레진의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렌즈 고정부(240)는 제2 렌즈(230)의 위치를 고정한다. 렌즈 고정부(240)는 경통 내에서 제2 렌즈의 후방(광원모듈(120)이 배치된 방향)에 배치되어, 제2 렌즈(230)가 정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원모듈(120)은 패키지(250) 및 광원(260)을 포함한다.
패키지(250)는 광원(260)의 주변에 배치되어, 광원(260)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한다.
광원(260)은 배터리모듈(110)과 연결되어 전원을 배터리모듈(110)로부터 공급받아, 경화를 위한 광을 조사한다. 광원모듈(120)은 별도의 광 파이버 없이, 직접 광원(260)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광 파이버에서 발생하는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가 사용될 경우,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의광 출력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광 파이버의 손상확률이 높아져,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수명도 감축될 우려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광원모듈(120)은 별도의 광 파이버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가 전술한 구성을 가지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 의해 레진이 경화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광 중합장치가 넓은 면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경화에 있어 시간은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나 레진을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경화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광 중합장치가 좁은 면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출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원하는 부위의 레진을 신속하게 경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원모듈(120)은 패키지(250) 및 광원(260)에 추가적으로, 결합부(310) 및 투명 커버부(320)를 포함한다. 배터리모듈(110)은 전원부(360), 제어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충전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광원모듈(120)과 배터리모듈(110)은 각각 구성될 수 있고,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10)은 광원모듈(120) 내에 포함될 수 도 있다.
광원(260)은 LED칩부(410), 금속프레임(420), 투명커버부(320)를 포함하고, 투명커버부(320)는 광원(26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260)은 결합부(310)의 일측과 전기적 및/또는 열적으로 커플링되어 있고, 결합부(310)의 타측은 전원부와 전기적 및/또는 열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다. 광원(260)의 전원은 결합부(310)에 의해서 공급되고, LED부의 발열은 결합부(310)에 의해서 방열된다.
결합부(310)는 금속부(314)와 절연부(318)를 포함하고, 금속부(314)는 절연부(318)에 의해서 제1 금속부와 제2금속부로 분리되고, 각각의 금속부(314)는 전원부의 양극과 음극에 결합될 수 있다.
광원모듈(120)과 배터리모듈(110)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때는 결합부(310)는 광원모듈(120)에 형성되고, 배터리모듈(110)에는 노출되어 있는 결합부(310)의 일 부분과 대응하는 통공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노출된 결합부(310)는 통공부(350)에 가이드되어 결합되어, 광원모듈(120)과 배터리모듈(110)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일부의 결합부(310)는 외부가 케이스 등에 의해서 피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10)는 수형, 통공부(350)는 암형으로 실시예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는 반대로, 결합부(310)가 암형이고, 이에 대응하는 배터리모듈(110)에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360)는 광중합기 운용상, 핸드헬드형태가 바람직하고, 따라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모듈(110)은 도시되지 않은 운용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스위치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모듈(120)은 LED칩부(410)를 포함하고, LED칩부(410)는 금속프레임(4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금속프레임(420)은 결합부(310)와 전기적 및/또는 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금속프레임(420)은 결합부(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310)의 금속부(314)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류는 금속프레임(420)에 공급되고, 이를 위해서 금속프레임(420)은 절연부(520)를 포함함으로써, 금속부(314)의 전류의 극을 나누어 받아서 쇼트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프레임(420)과 금속부(314)은 절연패드를 두고, 와이어본딩과 같은 수단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열전도성이 좋은 절연패드를 사용하여 열적으로 커플링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처럼 광원모듈(120)은 단시간내의 높은 출력을 내기 때문에 발열에도 문제가 발생하고, 발열에 의해서 치아가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을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원모듈(120)의 열을 결합부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원모듈에서 제공되는 파장의 광원은 광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원으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경화시키기에는 어렵다. 또한, 광대역을 갖는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크파워가 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본체부에 LED를 사용하여 광섬유 커플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화에 필요한 특정파장의 출력을 내기가 힘들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100)를 입안에 직접 넣는 구조이기 때문에, 광대역광원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파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광대역광원을 사용이 용이하다. 광대역 광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파장변환에 의해, 광대역 광원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와 파장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 개시된 것처럼, 특정파장의 광원을 형광체부(510)에 조사해주면, 형광체부(510)는 400~500nm 대역의 광원으로 파장을 변환시켜준다. 따라서, 다양한 레진에 적용할 수 있는 광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형광체부(510)는 Ca5(PO4)3Cl:Eu2+ , Ca2B5O9Cl:Eu2+ , SrGa2S:Ce3+ , (Sr, Mg)2SiO4:Eu2+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에 형광체부(510)을 도포하고, 커버부(미도시)를 덮어준다. 커버부는 빛이 균일한 부분만을 발광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마스크로 사용이 된다. 또한, 형광체부(510)는 공정의 편의성을 위해서 투명커버부(32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LED칩부(410)와 투명커버부(320) 사이에 렌즈부(710) 또는 리플렉터(810)를 포함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 형상이다. 실시예 상에서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렌즈부(710)과 리플렉터(810)는 동시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체부(510)는 렌즈부(710) 및/또는 리플렉터(810)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처럼, 치아에 제공되는 광원은 광을 균일하게 조사해야 한다. 균일하게 광을 조사하기 위해서, 렌즈부(710) 및/또는 리플렉터(810)을 사용할 수 있다.
렌즈는 도 8에 개시된 것과 같은 비구면렌즈 또는 전반사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810)는 미러 등을 포함하여,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프레임은 반사컵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금속프레임의 상면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컵의 크기 또는 형상 는 광중합기의 사이즈, 출력, LED배치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치과용 광 중합장치
110: 배터리모듈
120: 광원모듈
130: 렌즈모듈
210: 경통
215: 지지부
220: 제1 렌즈
230: 제2 렌즈
240: 렌즈 고정부
250: 패키지
260: 광원
310: 결합부
314: 금속부
318: 절연부
320: 투명커버부
350: 통공부
360: 전원부
410: LED 칩부
420: 금속프레임
510: 형광체부
520: 절연부
710: 렌즈부
810: 리플렉터

Claims (12)

  1.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 및
    광원모듈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초점거리를 가변하는 제1, 제2 렌즈 및 길이를 가변하여 렌즈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방출되는 광의 조사 면적을 조절하는 경통을 포함하는 렌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경통의 일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경통의 최외곽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경통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렌즈는 렌즈 고정부와 상기 경통의 최외곽부로부터 내부로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경통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경통의 일부분은 나머지 부분의 하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져 길이가 가변되고 ,
    상기 광원모듈은 광원 및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측으로 상기 광원과 전기적 및 열적으로 커플링되고, 타측으로 상기 배터리모듈과 전기적 및 열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결합부는 금속부 및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는 상기 배터리모듈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절연부에 의해 제1 금속부와 제2 금속부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의 일 부분과 대응되는 통공부가 상기 배터리 모듈에 형성되어, 노출된 결합부가 상기 통공부에 가이드되어 결합되며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배터리모듈이 분리되어 결합되고,
    상기 광원은 LED 칩부와 금속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LED 칩부는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와 전기적 및 열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며, 상기 금속 프레임은 전류의 극을 나누어 받을 수 있도록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기 설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광원모듈의 근위에 배치된 제1 렌즈 및 상기 광원모듈의 원위에 배치된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제1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경통 내부에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경통 내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75339A 2018-06-29 2018-06-29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KR10206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39A KR102068505B1 (ko) 2018-06-29 2018-06-29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39A KR102068505B1 (ko) 2018-06-29 2018-06-29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2A KR20200002152A (ko) 2020-01-08
KR102068505B1 true KR102068505B1 (ko) 2020-01-21

Family

ID=6915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39A KR102068505B1 (ko) 2018-06-29 2018-06-29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49B1 (ko) 2014-05-30 2016-11-14 주식회사지엘에스 Led 램프를 이용한 uv 경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665A (ja) * 1994-05-11 1995-11-21 Osada Res Inst Ltd 光重合用ハンドピース
JP3270269B2 (ja) * 1994-11-18 2002-04-02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光照射器
AT405365B (de) * 1997-12-05 1999-07-26 Dentek Lasersystems Produktion Handstück für ein lasergerät und kupplungsstück für ein handstück eines lasergerätes
JP2005251588A (ja) * 2004-03-04 2005-09-15 Hamamatsu Photonics Kk 光照射装置
KR101183212B1 (ko) * 2010-05-06 2012-09-14 주식회사 엠비젼 네일아트용 자외선 경화기의 광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49B1 (ko) 2014-05-30 2016-11-14 주식회사지엘에스 Led 램프를 이용한 uv 경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2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7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aterials with light radiation
EP1304977B1 (en) Apparatus for curing materials with light radiation
US7857619B2 (en) LED curing light having fresnel lenses
US6171105B1 (en) Dental-restoration light-curing system
US20060199144A1 (en) High Efficiency LED Curing Light System
WO19970365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lymerising dental photopolymerisable compositions
US6123545A (en) Mains-operated device for curing by light a polymerizable dental material
JP2010524648A (ja) 光線治療光キャップ
CN108465159A (zh) 一种光美容装置
US20170225011A1 (en) Laser device for intracranial illumination via oral or nasal foramina access
KR20120016748A (ko) 의료용 엘이디 광 조사 장치
KR101743251B1 (ko) 치과용 광학치료 장치
JP2002272762A (ja) 光硬化装置
KR20180121125A (ko) 광복합 살균중합기
KR102068505B1 (ko) 렌즈모듈 및 그를 포함한 치과용 광 중합장치
WO2017197191A1 (en) Dental light curing system with wireless charging structure thereof
WO2000067660A1 (en) Curing device and method
KR101734764B1 (ko) 치아미백기
CN102985027B (zh) 光谱扫描光致交联设备
CN210612704U (zh) 一种生发帽
CN110234397B (zh) 光治疗仪
KR101877421B1 (ko) 치과용 광중합기
CN107875522B (zh) 用于理疗系统的柔性导管、复合能量源及多功能理疗系统
JPH11318943A (ja) 電力ネットワ―クにより動作する光硬化装置
EP2873388B1 (en) Soft-tissue laser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