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404B1 -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 Google Patents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04B1
KR102067404B1 KR1020180085578A KR20180085578A KR102067404B1 KR 102067404 B1 KR102067404 B1 KR 102067404B1 KR 1020180085578 A KR1020180085578 A KR 1020180085578A KR 20180085578 A KR20180085578 A KR 20180085578A KR 102067404 B1 KR102067404 B1 KR 10206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ing
sound
motion
punch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8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The boxing sound booth device comprises: a semi-closed booth; a stereo speaker installed in the semi-closed booth; a boxing motion detector for determining a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by detecting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and a boxing sound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coustic direction of the stereo speaker to control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boxing by reproducing the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boxing punch motion.

Description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본 발명은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싱 펀치 동작에 맞춰 음향을 재생함으로써 복싱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a boxing motion by reproducing sound according to a boxing punch motion. .

복싱은 개인 운동 중 짧은 시간 동안에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전신운동이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운동 중 하나이다. 복싱은 이러한 특징 때문에 바쁜 직장인들이나 주부들 사이에 다이어트 또는 건강을 위한 운동으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개인 건강을 위한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헬스클럽이나 체육시설 또는 기타 여러 장소에 다양한 운동 기구들이 설치되고 있지만, 복싱을 위한 운동 시설은 매우 부족하여 복싱을 연습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Boxing is one of the exercises that allows you to do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s at the same time for short periods of personal exercise, and maximize your total body workout. Because of this feature, boxing has become widespread among busy workers and housewives as a diet or exercise for health. Recently,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many people became interested in exercise for personal health and various exercise equipments were installed in gyms, sports facilities, and many other places, but boxing exercise facilities are very lacking to practice boxing. The need for devices that can do this is increasing.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480(2014.04.24)호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샌드백, 복수 개의 라운드볼 등의 복싱 용품이 운동 기구 몸체에 한꺼번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싱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2480 (April 24, 2014) relates to a boxing and exercise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boxing article connecting members, and a plurality of boxing article connect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of the exercise apparatus. Thereby, a plurality of boxing articl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boxing articles such as a plurality of sandbags and a plurality of round balls,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exercise equipment at a time, and thus a plurality of boxing articles can be easily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athletes can box at o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ercise.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386(2016.04.29)호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가격 시 복수 개의 쿠션부를 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면서 상하로 유동하게 하여 복싱 연습으로 체력을 강화하거나 다이어트 등에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과격한 복싱 연습을 하는 운동선수에게 빈번하게 발생되는 뇌졸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Korean 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1386 (2016.04.29) is simple to install and disassemble,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trengthen the physical strength or get the maximum effect on the diet, etc.,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revent strokes that occur frequently to athletes who practice intense boxing.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480(2014.04.2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2480 (April 24, 201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386(2016.04.29)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1386 (2016.04.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싱 펀치 동작에 맞춰 음향을 재생함으로써 복싱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boxing motion by reproducing the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boxing punch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고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to detect the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and to control the acoustic direction of the stereo speaker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향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xing operation that determines a starting point and a direction of a boxing punch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and controls sound directionality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play order, a play time, and a play interval of the boxing sound. To provide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sensing.

실시예들 중에서,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는 반폐쇄형 부스(booth), 상기 반폐쇄형 부스에 설치된 스테레오 스피커,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하는 복싱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 방향성을 제어하여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른 복싱 음향을 제어하는 복싱 음향 제어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may determine a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by detecting a half closed booth, a stereo speaker installed in the half closed booth, and a user's boxing punch motion. And a boxing sound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and the sound directionality of the stereo speaker to control the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상기 반폐쇄형 부스는 특정 일면이 오픈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일면에 외부와 출입 가능한 도어가 부착될 수 있다.The semi-closed booth may have a specific surface open or a door accessible to the outside on the specific surface.

상기 스테레오 스피커는 상기 반폐쇄형 부스의 좌측 및 우측 일면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The stereo speaker may be fixed to a speaker support tha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mi-closed booth and is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상기 복싱 동작 감지부는 상기 반폐쇄형 부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The boxing motion detector may detect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emi-closed booth.

상기 복싱 동작 감지부는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 속도 및 궤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The boxing motion detector may determine a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speed, and a trajectory of the boxing punch motion.

상기 복싱 음향 제어부는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이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determines a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and reproduces the playback order and playing time of the boxing sound so that the sound of the stereo speaker is directed from the starting point toward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a reproduction interval.

상기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기 펀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 동안의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punching motion in real time or to display statistic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im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반폐쇄형 부스의 특정 일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복수의 일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or a plurality of surface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a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o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by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는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고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and control the acoustic direction of the stereo speak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향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detecting a boxing motion may determine a starting point and a direction of a boxing punch based on a type of boxing punch motion, and determine at least one of a playback order, a playback time, and a playback interval of the boxing sound. By controlling the acoustic directivity can be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복싱 음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복싱 음향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in FIG. 1.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oxing sound controller in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xing sound providing process performed in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feature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is clearly in a context. Unless stated otherwise, they may occur out of the order not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이하, 복싱 음향 부스 장치라 한다.)는 사용자가 복싱 동작을 연습할 수 있는 부스(booth)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펀치 동작에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반폐쇄형 부스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싱 연습의 시작을 결정할 수 있다.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ooth for the user to practice the boxing mo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boxing punch motion and reproducing stereo sound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punch motion. In one embodiment, the boxing acoustic booth device 100 may detect that the user enters the semi-closed booth and may detect the user's movement to determine the start of boxing practice.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내부에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내부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복싱 연습에 최적화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싱 연습이 시작된 경우 복싱 펀치 동작 감지, 음향 제어 및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복싱 연습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반폐쇄형 부스로부터의 사용자 이탈을 감지할 수 있고, 특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복싱 펀치 동작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복싱 펀치 동작 감지, 음향 제어 및 디스플레이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booth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lighting device therein, and may provide an optimized space for the user's boxing practic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lighting when a user's entry is detected. In addition,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automatically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boxing practice of the user through boxing punch motion detection, sound control, and display control when the boxing exercise of the user is started.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detect a user departure from the semi-closed booth, and if there is no use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boxing punch operation for a specific time or more,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boxing punch motion, the sound control, and the display control. You can exit.

일 실시예에서,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여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하고 복싱 음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통신부는 외부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xing sound booth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oxing sound booth device 100, and detects the boxing punch motion to determine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 and the boxing.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n internal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to control the sound. In addition,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system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반폐쇄형 부스(110), 스테레오 스피커(130), 복싱 동작 감지부(150), 복싱 음향 제어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includes a semi-closed booth 110, a stereo speaker 130, a boxing motion detector 150, a boxing sound controller 170, and a display 190. can do.

반폐쇄형 부스(110)는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들로 구현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폐쇄형 부스(110)는 기본적으로 반폐쇄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해당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진 외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반폐쇄형 부스(110)는 다양한 재질을 가지는 칸막이 또는 벽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mi-closed booth 110 may correspond to a device implemented with partitions forming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be basically implemented as a semi-closed structure, but is not necessarily equivalent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earance having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be implemented as a partition or wall surface having a variety of materials.

일 실시예에서, 반폐쇄형 부스(110)는 특정 일면이 오픈(open)되어 있거나 또는 특정 일면에 외부와 출입 가능한 도어가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폐쇄형 부스(110)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와 연동하여 반폐쇄형 부스(110) 내부로의 사용자 진입 또는 반폐쇄형 부스(110) 밖으로의 사용자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반폐쇄형 부스(110)는 특정 일면에 부착된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진입이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반폐쇄형 부스(110)는 특정 일면에 도어를 부착하여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음향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one surface is open or a door that is accessible from the outside and attached to one surface.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automatically detect the user's entry into the semi-closed booth 110 or the user's departure from the semi-closed booth 110 in conjunction wit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In addition,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detect a user's entry or departur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oor attached to a specific surface.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attach a door to a specific surface to prevent the sound provided by the boxing sound booth device 1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스테레오 사운드는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고, 반폐쇄형 부스(110)에 설치되어 복싱 펀치 동작을 연습하는 사용자에게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2개의 스피커에서 서로 다른 소리를 재생함으로써 물체의 이동 등을 현실적으로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다.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기본적으로 왼쪽 스피커(L)와 오른쪽 스피커(R)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폐쇄형 부스(11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reo speaker 130 may correspond to a speaker capable of reproducing stereo sound,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emi-closed booth 110 to provide stereo sound to a user practicing a boxing punch operation. The stereo speaker 130 may realistically express the movement of an object by reproducing different sounds from the two speakers. The stereo speaker 130 may basically be composed of a left speaker (L) and a right speaker (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Can be.

일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반폐쇄형 부스(110)의 좌측 및 우측 일면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위치는 반폐쇄형 부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레오 스피커(130)는 반폐쇄형 부스(110)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배치되거나 스피커를 지지하는 스피커 지지대에 고정되어 스피커 지지대가 반폐쇄형 부스(110)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간적접으로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reo speaker 130 may be fixed to the speaker support tha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mi-closed booth 110, respectively, the height adjustable. Stereo speaker 13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peakers to provide a realistic sound to the user, each position is to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mi-closed booth 110. Can be. The stereo speaker 130 is direct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or fixed to a speak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peaker so that the speaker suppor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indirectly. Can be attached to be placed.

또한, 스피커 지지대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대칭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반폐쇄형 부스(110)의 일면에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이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지지대는 상하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반폐쇄형 부스(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레일과 연결되어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반폐쇄형 부스(110)의 일면에 특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suppor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peakers symmetrically, and is alig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eft and right speakers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horizontally on one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Can be arranged. In addition, the speaker suppor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is implemented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up and down, for example, is connected to the rail movable up and down is implement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r semi-closed The booth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coupled to a fastening part installed at a specific interval on one surface of the booth 110.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여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반폐쇄형 부스(1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는 연산 모듈을 별도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에 해당할 수 있고, 방향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속도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반폐쇄형 부스(110) 내에서의 사용자 움직임 및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연산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ct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and determine a type of boxing punch motion. In one embodiment,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user's movement inside the semi-closed booth 110,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t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separate calculation module that can identify the user's movement by analyzing. The motion sensor may correspond to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motion and a position of an object, and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speed sensor, and the like.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ct a user's movement and a boxing punch motion in the semi-closed booth 110 through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determine a type of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through a calculation module. .

일 실시예에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반폐쇄형 부스(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방향 감지 센서를 통해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속도 측정 센서를 통해 복싱 펀치 동작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가속도 측정 센서를 통해 복싱 펀치 동작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ct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emi-closed booth 110. More specifically,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through a motion sensor, detect a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motion through a direction sensor, and box through a speed measurement sensor. The speed of the punching operation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boxing punch motion through an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감지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통합하여 동작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복싱 펀치 동작에 대한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감지 센서들을 센싱 정보 유형에 따라 반폐쇄형 부스(110) 내부의 가장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구현 환경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의 종류와 개수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improve sensing accuracy of a boxing punch motion by integrat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for motion analysis. The boxing acoustic booth device 100 may arrange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at the most optimized position inside the semi-closed booth 110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type, and determine the type and number of motion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Can be arranged to adjust.

일 실시예에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 속도 및 궤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를 기초로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 속도 및 궤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연산 모듈을 통해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방향, 속도 및 궤적에 관한 다양한 조합과 이에 대응되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관한 복싱 펀치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센싱 신호로부터의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방향, 속도, 궤적 및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로 구성된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전에 구축된 복싱 펀치 동작 분류모델을 이용하여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rmine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speed, and a trajectory of the boxing punch motion.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the direction, speed, and trajectory of the boxing punch mo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determine the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through a calculation module. . For example,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rmine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from the sensing signal based on various combinations of directions, speeds, and trajectories, and a boxing punch classification database regarding types of boxing punch operations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In addition,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learn a variety of training data including directions, speeds, trajectories, and types of boxing punch motions to determine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s using a pre-built boxing punch motion classification model. .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음향 방향성을 제어하여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른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복싱 음향은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에 맞춰 재생되는 음악에 해당할 수 있고,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복싱 펀치 음악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싱 펀치 음악은 '휘익', '슈욱' 등과 같이 복싱 펀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 마찰음에 해당하거나 또는 '쿵', '퍽' 등과 같이 복싱 펀치 동작에 의해 가상의 물체에 일정한 충격을 주어 발생하는 충격음 또는 파열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싱 펀치 음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폐쇄형 부스(110) 내부에서 복싱 펀치 동작을 연습하는 사용자에게 재미있고 효과적인 복싱 연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입체 효과 음향에 해당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acoustic direction of the stereo speaker 130. The boxing sound may correspond to music reproduced according to a boxing punch operation of the user, and may correspond to boxing punch music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For example, boxing punch music corresponds to air friction generated by boxing punch motions such as 'wing', 'shuwook', etc. or constant impact on virtual objects by boxing punch motions such as 'kung' and 'puck'. It may correspond to a shock sound or a ruptured sound generated by giving. In addition, the boxing punch music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correspond to various three-dimensional effect sounds to provide a fun and effective boxing practice to a user practicing the boxing punch operation in the semi-closed booth 110.

일 실시예에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음향이 시작점에서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ing operation, and the sound of the boxing sound so that the sound of the stereo speaker 130 faces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At least one of a reproduction order, a reproduction time, and a reproduction interval may be controlled.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가 '레프트 훅'인 경우 복싱 펀치의 시작점은 사용자의 왼쪽 가슴 아래에 해당할 수 있고,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 수평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가 '라이트 어퍼'인 경우 복싱 펀치의 시작점은 사용자의 오른쪽 가슴 아래에 해당할 수 있고, 방향은 아래쪽에서 위쪽 수직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에 포함된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레프트 훅'이 시작되는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다.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boxing punch operation is 'left hook', the starting point of the boxing punch may correspond to the lower left chest of the user, and the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Whe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is 'light upper', the starting point of the boxing punch may correspond to the lower right chest of the user, and the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ddition,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obtain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and determine a starting point at which the left hook is star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의 시작점을 기초로 복싱 펀치의 방향에 대한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복싱 펀치의 방향에 대한 수평 성분 방향은 방향을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분리한 경우 수평 성분에 해당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고, 방향의 세기에 대한 수평 성분의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싱 펀치의 방향이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대각선 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복싱 펀치의 수평 성분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reproduction order, a reproduction time, and a reproduction interval of the boxing sound to face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based on the start point of the boxing punch.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component when the direction is divided into the horizontal component and the vertical component, and may include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strength of th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corresponds to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lower left to the upper right,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may correspond to the left to right direction.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에 따라 복싱 음향을 재생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 각각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의 방향에 따라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복싱 펀치의 속도에 따라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 간의 재생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의 가속도를 기초로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 간의 재생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싱 펀치의 가속도가 큰 경우 시작점에서의 스피커 소리보다 종료점에서의 스피커 소리가 더 클 수 있고, 가속도가 작은 경우 시작점에서의 스피커 소리가 종료점에서의 스피커 소리보다 더 클 수 있다.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control a playback order, a playback time, and a playback interval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peakers of the stereo speaker 130 that reproduces the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More specifically,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playback order of the left and right speak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and determine the playback interval between the left and right speaker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boxing punch. In addition,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reproduction siz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peakers based on the acceleration of the boxing punch. For example,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boxing punch is large, the speaker sound at the end point may be louder than the speaker sound at the start point, and when the acceleration is low, the speaker sound at the start point may be louder than the speaker sound at the end point.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의 움직임, 펀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 동안의 통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별도의 동작 감지 센서 또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에 포함된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사용자의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각각의 세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싱 연습 시작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복싱 연습이 시작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반폐쇄형 부스(110) 내부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19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display 190 may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nd a punching operation in real time, or display statistic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ime. The boxing acoustic booth device 100 may detect a user's movement or a user's punching motion through a separate motion detection sensor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and may display each detail information in real time. Can be acqui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starts boxing pract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starts boxing practic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90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may be performed.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의 움직임, 펀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복싱 동작 감지부(150) 또는 복싱 음향 제어부(17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복싱 연습이 종료된 경우 복싱 연습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펀치 동작에 대한 통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9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에 대한 복싱 펀치의 종류, 속도, 방향 및 파워 등을 복싱 동작 감지부(150) 또는 복싱 음향 제어부(17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190 may collect and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nd punching in real time from the boxing motion detecting unit 150 or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and the boxing practice of the user is completed. In this case,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ovement or punch during the boxing practice tim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display 19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type, speed, direction, and power of the boxing punch for the user's boxing punch operation in real time from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or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In addition, the change over time may be displayed in a graph form and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의 복싱 연습 시작부터 종료까지 사용자가 연습한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와 횟수, 해당 동작을 통해 소모한 칼로리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복싱 연습 결과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190 may display the type and number of boxing punching exercises that the user has practiced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boxing practice of the user, calorie information consu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the user's own boxing. You can easily see the results of the exercises.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90)는 반폐쇄형 부스(110)의 특정 일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복수의 일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치화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싱 관련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90)는 가상의 복싱 상대의 복싱 연습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상의 상대와 복싱 연습을 하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19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or a plurality of surfaces. The display 190 not only display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boxing punch operation of the user, but also plays various boxing related images. For example, the display 190 may play a boxing practice image of a virtual boxing opponent,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n effect of practicing boxing with the virtual opponent.

디스플레이부(190)는 반폐쇄형 부스(110)의 복수의 일면들에 부착되는 경우, 각 일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190) 간에 동기화될 수 있고, 사각 링과 응원하는 관객에 대한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각 링위에서 복싱 연습을 하는 것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재생되는 영상 위에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에 대한 세부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90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semi-closed booth 110, the display unit 190 may be synchronized between the display units 190 attached to each surface, and reproduces an image of a square ring and a cheering audience. This can give the user the effect of practicing boxing on a rectangular ring. The display 190 may overlay and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oxing punch operation of the user on the reproduced image.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는 반폐쇄형 부스(210) 내부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도 2의 그림 (a)).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반폐쇄형 부스(210) 내부의 복수의 일면들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도 2의 그림 (b)에서, 디스플레이부(230)는 반폐쇄형 부스(210)의 전면부(270), 좌측면부(250) 및 우측면부(290)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0)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반폐쇄형 부스(11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23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210 (FIG. 2A). In addition, the display 230 may be attached to a plurality of surfaces inside the semi-closed booth 210, respectively. In FIG. 2B, the display unit 23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part 270, the left side part 250, and the right side part 290 of the semi-closed booth 210,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2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semi-closed booth 110.

도 3은 도 1에 있는 복싱 음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oxing sound controller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라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음향이 시작점에서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detected by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In one embodiment,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and sets the boxing sound so that the sound of the stereo speaker 130 faces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Can be controlled.

도 3의 그림 (a)에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이 '라이트 훅'에 해당하는 경우 복싱 펀치의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고,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오른쪽 스피커(R)에서 복싱 음향이 시작되어 왼쪽 스피커(L)에서 종료되도록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그림 (b)에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이 '레프트 훅'에 해당하는 경우 복싱 펀치의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고,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왼쪽 스피커(L)에서 복싱 음향이 시작되어 오른쪽 스피커(R)에서 종료되도록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FIG. 3A,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direction from right to left when the boxing punch operation corresponds to a 'light hook', and the stereo speaker The boxing sound may be controlled to start the boxing sound in the right speaker R of the 130 and end in the left speaker L. In FIG. 3B, the boxing sound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in a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when the boxing punch operation corresponds to a 'left hook', and the stereo speaker The boxing sound may be controlled to start the boxing sound in the left speaker L of the 130 and end in the right speaker R.

또한, 복싱 음향 제어부(170)는 복싱 펀치 동작이 '오른쪽 스트레이트'에 해당하는 경우 복싱 펀치의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오른쪽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고,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오른쪽 스피커(R)와 왼쪽 스피커(L)에서 동시에 복싱 음향이 시작되어 종료되도록 하면서 오른쪽 스피커(R)의 재생 크기를 왼쪽 스피커(R)의 재생 크기보다 더 크도록 복싱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xing punch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right straight',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direction as the right forward direction, and the right speaker R of the stereo speaker 130. The boxing sound can be controlled such that the playing size of the right speaker R is greater than the playing size of the left speaker R while the boxing sound starts and ends at the same tim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복싱 음향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xing sound providing process performed in a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반폐쇄형 부스(110)로의 사용자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410).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별도의 동작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 진입을 감지하거나 또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에 포함된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detect a user entry into the semi-closed booth 110 (step S410).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parate motion detection sensor to detect a user entry or may detect a user entry u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ed in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복싱 동작 감지부(150)는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 속도 및 궤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detect a boxing punch ope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and determine a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step S430). In one embodiment, the boxing motion detector 150 may determine the type of boxing punch mo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speed, and a trajectory of the boxing punch motion.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복싱 동작 감지부(150)에 의해 결정된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음향 제어부(170)를 통해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50). 복싱 음향 부스 장치(100)는 복싱 음향 제어부(170)를 통해 스테레오 스피커(130)의 음향이 시작점에서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및 재생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70).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the boxing punch through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determined by the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50 (step S450). The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10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reproduction order, the reproduction time, and the reproduction interval of the boxing sound through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170 so that the sound of the stereo speaker 130 is directed from the starting point toward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direction. This can be done (step S4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복싱 음향 부스 장치
110: 반폐쇄형 부스 130: 스테레오 스피커
150: 복싱 동작 감지부 170: 복싱 음향 제어부
190: 디스플레이부
210: 반폐쇄형 부스 230: 디스플레이부
250: 좌측면부 270: 전면부
290: 우측면부
100: boxing acoustic booth device
110: semi-closed booth 130: stereo speakers
150: boxing motion detection unit 170: boxing sound control unit
190: display unit
210: semi-closed booth 230: display unit
250: left side 270: front side
290: right side

Claims (8)

반폐쇄형 부스(booth);
상기 반폐쇄형 부스의 좌측 및 우측 일면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지지대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테레오 스피커;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하는 복싱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 방향성을 제어하여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에 따른 복싱 음향이 상기 사용자의 복싱 펀지 동작에 동기화되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복싱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싱 동작 감지부는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방향, 속도 및 궤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복싱 음향 제어부는 상기 복싱 펀치 동작의 종류를 기초로 복싱 펀치의 시작점과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스테레오 스피커의 음향이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방향의 수평 성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복싱 음향의 재생 순서, 재생 시간, 재생 간격 및 재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Semi-closed boot;
A stereo speake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mi-closed booth and fixed to a speaker support that is height-adjustable;
A boxing mo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boxing punch motion of a user and determine a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And
And a boxing sound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ound directionality of the stereo speaker to control the box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oxing punch operation to be reproduc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oxing punch operation of the user.
The boxing motion detector determines a type of the boxing punch mo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speed, and a trajectory of the boxing punch motion,
The boxing sound control unit determines a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of a boxing punch based on the type of boxing punch operation, and reproduces the playback order and playing time of the boxing sound so that the sound of the stereo speaker faces the horizontal component direction of the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lay interval and the play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폐쇄형 부스는
특정 일면이 오픈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일면에 외부와 출입 가능한 도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mi-closed booth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open or the door is accessible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is attached to the one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싱 동작 감지부는
상기 반폐쇄형 부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복싱 펀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xing motion detector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boxing punch motion of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emi-closed boo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기 펀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 동안의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for displaying in real time or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of the user, or statistic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반폐쇄형 부스의 특정 일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복수의 일면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Boxing sound booth device through the boxing motion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a specific surface of the semi-closed booth or a plurality of one surface.
KR1020180085578A 2018-07-23 2018-07-23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KR102067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78A KR102067404B1 (en) 2018-07-23 2018-07-23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78A KR102067404B1 (en) 2018-07-23 2018-07-23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04B1 true KR102067404B1 (en) 2020-01-17

Family

ID=6936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578A KR102067404B1 (en) 2018-07-23 2018-07-23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25B1 (en) * 2001-12-07 2005-11-15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Video Game Device And Motion Sensor Structure
US20130231222A1 (en) * 2012-03-02 2013-09-05 Clarence V. Hall Slip and counter fight simulation / workout machine
KR200472480Y1 (en) 2012-06-23 2014-05-07 김성주 Boxing and exercise training equipment
KR20160001386U (en) 2014-10-21 2016-04-29 신명철 Boxing trai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25B1 (en) * 2001-12-07 2005-11-15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Video Game Device And Motion Sensor Structure
US20130231222A1 (en) * 2012-03-02 2013-09-05 Clarence V. Hall Slip and counter fight simulation / workout machine
KR200472480Y1 (en) 2012-06-23 2014-05-07 김성주 Boxing and exercise training equipment
KR20160001386U (en) 2014-10-21 2016-04-29 신명철 Boxing train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443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AU2013215813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ation of virtual green
WO2011002225A2 (en)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6555699B2 (en) Golf swing video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mera device for providing golf swing video information, and golf swing video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WO2017160058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image implementation method for virtual golf, and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computing device, for recording same
US106539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ser-configurable athletic training apparatus
CN107341351A (en) Intelligent body-buil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183041A1 (en) Football training apparatus
CN116234613A (en) Interactive basketball system
JPWO20150982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GB2522213A (en) Boxing training pads with graphic boxing coach simulation
KR102067404B1 (en) Boxing sound booth apparatus through boxing motion detection
WO2017160060A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method for implement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ame
CN105920817A (en) Football shooting trainer
KR20130066827A (en) Exercise motion analyzing device using external sensing device, and exercise motion analyzing method
KR2013004796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golf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27656B1 (en) Simulator for realistic golf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247794B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golf lessons
KR102041220B1 (en) Air punch-based boxing booth apparatus
KR102434326B1 (en) Online-system for tennis virtual training with real-time video comparison of body motion
KR20220036391A (en) Golf Lesson System using Smart Mirror
GB2479140A (en) Boxing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video display screen and boxing pads
CN105536211A (en) Physical fitness testing device
US20190151751A1 (en) Multi-dimensional movement recording and analysis method for movement entrainment education and gaming
KR200278786Y1 (en) A Portable Golf Swing Analysis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