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49B1 -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49B1
KR102067249B1 KR1020190085399A KR20190085399A KR102067249B1 KR 102067249 B1 KR102067249 B1 KR 102067249B1 KR 1020190085399 A KR1020190085399 A KR 1020190085399A KR 20190085399 A KR20190085399 A KR 20190085399A KR 102067249 B1 KR102067249 B1 KR 10206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at
wall
prefabricated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꿈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꿈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꿈비
Priority to KR102019008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6Children's play- pen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which allows separated spaces of various sizes to be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size of a fence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a mat member.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osing part on which a fence member is arranged; and an opening part on which the fence member is not arranged, wherein the closing part includes a wall part, a door part, and two wall end parts.

Description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고 펼치기가 용이하도록 소정등분으로 분할된 유아용 매트의 주변에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매트의 크기에 따라 울타리부재의 갯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분리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아용 매트와 울타리를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infant mat divided into predetermined portions so as to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and one side end of the mat is vertically separated to separate a space. An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fence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t can configure a separate space of various sizes, by fixing the infant mat and the fence through a fixing means can form a fence more firmly and stably A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영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가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Infants who crawl or learn to walk are weak in their ability to think that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occur between caregiv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low infants to play in a limited space without deviating from the guardian's view.

근래에는 이러한 아이들을 위한 놀이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분리된 공간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베이비룸을 사용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form a play space for these children,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use a prefabricated baby room configured to form a separate space.

베이비룸의 일예로 공개 실용신안 20-2011-0003888호에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 울타리로서, 상기 울타리부재의 일측면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각 울타리부재의 다른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가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연결홈에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가 기재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 baby room, the utility model 20-2011-0003888 is a prefabricated safety fen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one side of the fence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the other side of each fence member The prefabricated fence is described in that the connec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ring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groove of another adjacent fence member.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베이비룸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분리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방면이 울타리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울타리부재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베이비룸 안의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베이비룸 안에 영유아가 안전하게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베이비룸을 드나들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no structure for fixing the baby room to the wa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fence member is required because all sides are made of a fence member in order to form a separated space, and it is easy to secure a view in the baby room. If you don't do this, you have to go in and out of the baby room from time to time to make sure the baby is safe.

또한 종래의 베이비룸을 드나들기 위해서 형성된 문은 여닫는 과정이 불편하고 여닫을 때마다 나는 소음에 의해 영유아의 수면을 방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oor formed to enter and exit the conventional baby room is inconvenient opening and closing process and disturbs the sleep of infants by the noise of each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종래의 베이비룸의 바닥면에는 매트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울타리부재가 매트와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베이비룸이 쉽게 유동되어 매트와 베이비룸울타리 부재 사이에 영유아의 발이 빠지거나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가 베이비룸밖으로 나와 아이의 안전을 위협한다.And when the m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onventional baby room because the fence member is not a structure that is firmly fixed to the mat, the baby room is easy to flow, the safety accident of the infant's feet falling or pinched between the mat and the baby room fence member In addition, infants may come out of the baby room and threaten the safety of the child.

또한 종래의 베이비룸을 이동할 때에 각각의 울타리부재와 매트를 하나씩 이동해 재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베이비룸의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moving the conventional baby room, each fence member and the mat must be moved one by one because it is not only takes a long time, but also has a disadvantage of not easy to carry the baby roo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트의 크기에 따라 울타리부재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고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벽체를 형성할 때 상기 수직으로 세워지는 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적은 갯수의 울타리부재로 베이비룸을 형성할 수 있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pace of various size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fence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t and when the one end of the mat is vertically erected to form the wall is vertically erec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who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at and form a baby room with a small number of fence members.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울타리부재에 타공을 하고 매트에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울타리부재와 매트가 설치되었을 때 해당 구멍과 고리에 끈을 연결하여 각각의 울타리부재 또는 매트가 쉽게 유동되지 않고, 벌어지거나 밀림으로써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를 해체하지 않고도 베이비룸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ating the fence member and forming a hook on the mat when the fence member and the mat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string to the hole and the hook, each fence member or mat is not easily flow, Not only does it prevent accidents for infants by being lost or pushed, but it also provides a prefabricated fence that can reliably transport the baby room without dismantling the combined stat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other object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울타리 부재가 연결되어 조립 후에는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부재에는 각각의 울타리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안쪽에는 접고 펼치기 위해 소정등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매트 부재(400);가 구비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에 상기 매트 부재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fence is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nnected to form a separate space after assembly, the fence me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each fence member; A mat member 400 is formed inside the fence to be divided into predetermined portion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mat member is coupled to the fence member by a coupling means.

그리고 상기 조립식 울타리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와 상기 울타리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부는 벽을 이루는 하나이상의 벽체부(100);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되 출입문이 구비되어 공간을 개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도어부(300);와 상기 벽체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단부(200);를 포함한다.And the prefabricated fence includes a closing part in which the fence member is disposed; and an opening part in which the fence member is not disposed; and the closing part includes at least one wall part 100 forming a wall; and the wall part 100 The door unit 300 is coupled to the door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space, and the two wall ends 200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portion.

또한 상기 벽체부(100)와 상기 도어부(300)는 좌측변 및 우측변과 상측변 및 하측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좌측변 혹은 우측변에 형성된 돌기부(110);와 상기 우측변 혹은 좌측변에 형성된 홈부(120);가 포함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져 결합된다.In addition, the wall portion 100 and the door portion 300 is made of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110); and the right side Or the groove portion 120 formed on the left side; is included and the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매트부재(400)는 하나 이상의 메인매트(410);와 상기 메인매트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보조매트;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t member 40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ain mat 410; and at least one auxiliary mat connected to the main mat.

또한 상기 메인매트(410)는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매트는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main mat 410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prefab fence and the auxiliary mat is arrang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prefab fence.

또한 상기 매트부재는 상기 매트부재를 접고 펼치기 위한 분할부가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매트 사이에는 상기 메인메트를 연결하는 연결매트(4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매트(420);는 상기 메인매트와 연결되는 제1보조매트(421);와 상기 제1보조매트와 연결되는 제2보조매트(42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t memb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plitting portion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mat member, the mat between the main mat connecting the main mat is further provided; the auxiliary mat 420; the main A first auxiliary mat 421 connected to the mat; and a second auxiliary mat 422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mat.

또한 상기 울타리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에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서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losing portion is disposed the fence member;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enc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with each other; is disposed.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메인매트의 하단에서 상기 폐쇄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울타리의 바닥에 배치된 메인매트가 상기 울타리를 이동할 때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배치된다.And the fixing means is arranged so as to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closure por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in mat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mat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ence does not fall down when moving the fence.

또한 상기 고정수단(500)은 개방부와 대향하는 벽체부(100)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벽체부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체부(100)를 삼각형 형태로 통과하되, 상기 고정수단은(500) 개방부의 좌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와 개방부의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를 통과하여 울타리부재를 고정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500 passes through the wall portion 100 facing the open portion and two wall portions 100 coupled vertically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all portion facing the opening portion, respectively, in a triangular form. However, the fixing means (500) in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portion 510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in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ortion ( Pass the 510 to fix the fence member.

또한 상기 제1보조 매트(421);는 상기 제2보조매트와 연결되는 분할부에 있어서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1고리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 매트(422);는 배면 끝단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2고리부(450);가 형성된다.The first auxiliary mat 421 may include: a first ring portion 440 form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divis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mat,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422; The second ring portion 450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en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매트부재(400)는 3단 매트부재,5단 매트부재,6단 매트부재이되 상기 3단 매트 부재는 하나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5단 매트 부재는 두 개의 메인매트;와 상기 두 개의 메인매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6단 매트 부재는 세 개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연결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6단 매트의 메인매트는 두 개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연결매트와 하나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가 순서대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at member 400 is a three-stage mat member, a five-stage mat member, a six-stage mat member, wherein the three-stage mat member is one main mat;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The 5-stage mat member includes two main mats; and a connection mat formed between the two main mats;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Three main mats; and one connecting mat;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wherein the main mat of the six-stage mat includes two main mats, one connecting mat, and one main mat. The mat,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are connected in sequence.

그리고 상기 도어부(300);는 중앙이 개방된 형태의 문틀(310);과 상기 문틀의 중앙 개방부에 나란하게 수직 설치되는 동시에 일측단이 상기 문틀과 힌지(330)로 체결되는 출입문 본체(320);와 상기 문틀과 출입문 본체의 타단에 구비됨으로서, 출입문 본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장치(340);와 하부에 복수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0)을 끼울 수 있는 고정홈부(350);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부(100);는 상단 중앙부에는 몸체를 관통하는 손잡이 홈(160);과 상단 양측에 두 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캐노피, 가랜드, 휴대폰거치대, 수납함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거치홈부(150)와 하부에 세 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홈부(510);를 포함하되, 상기 벽단부(200);는 상기 벽단부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의 벽단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00)의 홈부와 결합하는 제1 벽단부(210);와 상기 벽단부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의 벽단 홈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00)의 돌기부와 결합하는 제2 벽단부(250);가 포함되되 상기 벽단부의 상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원형의 관통공 형태의 고정홈부(510)를 포함한다.And the door unit 300; is the door frame 310 of the center is open form; and the door body main body is vertical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opening portion of the door frame and one side end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and the hinge 330 ( And by be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the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body 340; and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be able to fit the fixing means 500 Fixed groove portion 350; including, but the wall portion 100; the upper center portion is a handle groove 160 penetrating the body; and two circular through-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canopy, garland, mobile phone holder, It includes a mounting groove 150 for installing a storage box and a fixing groove 510 formed with three circular through-holes at the bottom; The wall end 200; The two wall end projection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end portion; 220 is formed on the wall A first wall end portion 210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wo wall end groove portions 260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end portion, and a second wall end portion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wall portion 100; 250, but includes a fixing groove 510 of the form of two circular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end.

또한 상기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은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끈이되 상기 제1보조매트와 제2보조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고정수단(500)이 제2고리부와 벽단부(200)에 형성된 고정홈부(510)를 관통하도록 하여 보조매트(420)가 벽단부에 수직 결합되고 개방부를 폐쇄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is a string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when the first auxiliary mat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upright, the fixing means 500 is the second ring portion and the wall end ( The auxiliary mat 4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end and closes the opening by passing through the fixing groove 510 formed in the 200.

상기 제1보조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2보조매트의 전면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전면과 맞닿도록 접어졌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위치한 제1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210)와 제2벽단부(250)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제1보조매트(421)의 일면이 벽단부에 수직 결합되어 개방부를 낮은 높이로 폐쇄한다.When the first auxiliary mat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mat is folded to abu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the fixing means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mat One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42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end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ring porti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210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250, so that the opening portion has a low height. To clos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울타리부재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분리된 공간의 면적이 상기 3단 매트의 면적보다 극소하게 작게끔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공간의 면적에 의해 매트부재가 가압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ea of the separated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fence members is formed to be extremely small than the area of the three-stage mat so that the mat member by the area of the space when one end of the mat is vertically er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ized form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상기 폐쇄부의 내측면에는 쿠션가드부재(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쿠션가드부재의 길이는 울타리부재 두 개를 결합하였을 때 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가드부재는 양단에 일정길이의 고정스트랩(610);이 좌측상단과 우측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울타리부재의 내측면에 쿠션가드부재가 구비되었을 때, 상기 고정스트랩은 인접한 또다른 쿠션가드부재의 고정스트랩과 울타리부재의 외측면에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ushion guard member 6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losure portion, the length of the cushion guard member is formed equal to the length when the two fence members are combined and the cushion guard member has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Fixed strap 610;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when the cushion guard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ence member, the fixed strap is at the outer side of the fixed strap and the fence member of another adjacent cushion guard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ti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ordinary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부재의 크기에 따라 울타리부재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분리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매트부재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울타리부재의 개방부를 폐쇄 할 때 상기 수직으로 세워져 개방부를 폐쇄하는 매트의 높이를 용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울타리부재와 매트가 설치되었을 때 각각의 울타리부재 또는 매트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베이비룸을 구성하는 울타리부재와 매트가 옆으로 밀리거나 벌어지지않고 분리된 공간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울타리부재 또는 매트가 유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영유아의 신체일부가 끼거나 빠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를 해체하지 않고도 베이비룸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fence memb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t member to configure separate spaces of various sizes, and one end of the mat member may stand vertically to close the opening of the fence member. When the height of the mat standing vertically to close the opening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and when the fence member and the mat is installed, each fence member or mat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o constitute the baby room And the mat is not pushed to the side or open, and the shape of the separated space is not deformed, and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part of the body of the infant caused by the flow of the fence member or mat is stuck or missing, combined The effect is that the baby room can be transported stably without breaking the condi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서 벽체부와 벽단부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벽체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제1벽단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제2벽단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도어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3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3단 매트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5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6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3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5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6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5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6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벽체부에 있어서 거치홈부에 가랜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쿠션가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wall portion and the wall end in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wall in detail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first wall end in detail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econd wall end in detail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the door unit from the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side view of the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fiv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six-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ee-stage mat is fixed to a wall end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five ma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six ma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ve-tier mat is fixed to a wall end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x-stage mat is fixed to a wall end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rlan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in the wall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shows a cushion guard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the claims Embodiments that include a substitutable component as an equivalent in the element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Attache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ssembled baby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울타리 부재가 연결되어 조립 후에는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부재에는 각각의 울타리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안쪽에는 접고 펼치기 위해 소정등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매트 부재(400);가 구비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에 상기 매트 부재(40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fence in which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nnected to form a separate space after assembly. The fence member includes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each fence member. There is provided a mat member 400 is formed by dividing into a predetermined equal portion to fold and unfold therein, the mat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fence member by a coupling means.

상기 조립식 울타리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와 상기 울타리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부는 벽을 이루는 하나이상의 벽체부(100);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되 출입문이 구비되어 공간을 개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도어부(300);와 상기 벽체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단부(200);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fence includes a closing portion in which the fence member is disposed; and an opening portion in which the fence member is not disposed; and the closing portion includes one or more wall portions 100 forming a wall; and the wall portion 100 are coupled to the wall portion 100. The door part 30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door to open or close a space, and two wall ends 200 coupled to the wall part vertically.

상기에서 울타리 부재는 양단에 두개의 돌기부와 두개의 홈부가 각각 상기 울타리부재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벽체부(100);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되 출입문이 구비되어 공간을 개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도어부(300);와 상기 벽체부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벽단 홈부와, 상기 벽체부의 홈부에 수용되는 벽단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벽단부(210)와 제2벽단부(250);를 포함한다.The fence member has a wall portion 100 formed at both ends of the two projections and the two groov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ence member; and the wall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door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space A first wall end portion 210 and a second wall portion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portion by a door portion 300, a wall end groove portion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of the wall portion, and a wall end protrusio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wall portion. It includes a wall end (250).

또한 본 발명은 매트부재(400)와 울타리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분리방지 수단과 고정수단은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at member 400 and the fence member,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tring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length.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메인매트(410)의 하단에서 상기 폐쇄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울타리의 바닥에 배치된 메인매트가 상기 울타리를 이동할 때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배치된다.The fixing means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mat 410 by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closure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mat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ence does not fall downward when the fence moves.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각각의 울타리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영유아가 상기 베이비룸 내에서 놀이활동 또는 수면활동을 할 때에 상기 울타리부재가 옆으로 밀림으로써 베이비룸 내의 분리된 공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울타리부재와 매트부재의 결합부가 벌어져 상기 벌어진 틈 사이로 영유아의 발이 빠지거나 끼는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connected to each fence member so that when the infant plays or sleeps in the baby room, the fence member is pushed to the side so that the separated space in the baby room is not deformed, the fence member And the mating portion of the mat member is opened so a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r pinching the foot of the infant between the gap.

또한 상기 울타리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에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서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losing portion is disposed the fence member;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enc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with each other; is disposed.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벽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510)와 매트부재에 형성된 제1고리부와 제2고리부에 끼워져 매트의 일측단이 벽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fitted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510 formed on the wall end portion and the first ring portion and the second ring portion formed on the mat member to fix one side end of the mat supported on the wall end por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서 벽체부와 벽단부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이다.Attached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wall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벽체부(100)와 상기 도어부(300)는 좌측변 및 우측변과 상측변 및 하측변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부는 상기 좌측변 혹은 우측변에 형성된 돌기부(110);와 상기 우측변 혹은 좌측변에 형성된 홈부(120);가 포함되어 상기 복수개의 울타리 부재를 연결할 때 상기 돌기부가 인접한 상기 홈부에 끼워져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wall part 100 and the door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And a groove portion 120 formed at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and the protrusions are fitted into the adjacent groove portions when the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에서 울타리 부재에는 상기 울타리부재를 관통하는 고정홈부(510);가 하나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ence member in the fixing member 510 penetrating the fence member; is formed at least one.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벽체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2 shows the wall in detail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벽체부(100)는 상기 벽체부의 일측 하단에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벽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130);와 상기 벽체부의 일측 상단에서 2개의 돌출부가 상기 벽체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상기 벽체부(100)의 높이를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고 제1 결합부(130)의 돌출부 상면에 각각 홈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부(140)의 돌출부 하면에는 각각 돌기부(11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wall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130 formed at two lower end portions of the wall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part; and two at an upper end of the wall part. And two protrusions 140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part, wherei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height of the wall part 100. The grooves 12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0, respectively, and the protrusions 11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40.

또한 상기 벽체부(100);는 상단 중앙부에는 몸체를 관통하는 손잡이 홈(160);과 상단 양측에 두 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캐노피,가랜드,휴대폰거치대,수납함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거치홈부(150)와 하부에 세 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홈부(5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ll portion 100; the upper groove has a handle groove 160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and two circular through-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and a mounting groove for installing a canopy, a garland, a mobile phone holder, a storage box, and the like ( And a fixing groove 510 having three circular through hole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제1벽단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3 shows the first wall end portion in detail in the baby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단부(200)는 제1벽단부와 제2벽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단부(200);는 상기 벽단부의 상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원형의 관통공 형태의 고정홈부(5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wall end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all end portion and a second wall end portion, wherein the wall end portion 200 is formed in two circular through-holes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end portion. It includes a fixing groove 510.

또한 상기 제1 벽단부(210);는 상기 벽단부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의 벽단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00)의 홈부와 결합한다. In additi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210; two wall end projections 220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of the wall portion (100).

또한 상기 제1 벽단부(210);는 벽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1)가 끼워지는 상단 관통부(230);와 하단이 개방되어, 벽체부(100) 하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2)를 수용하는 하단 개방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 관통부(230)와 하단개방부(240)의 내측에 각각 상기 제1결합부(130)의 홈부(120)에 수용되는 벽단 돌기부(2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210; the upper through portion 230 is fitt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formed on the top of the wall portion 100; and the lower end is opened,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100 A lower opening part 240 for receiving the first coupling part 132 formed therein; a groove part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0 inside the upper through part 230 and the lower opening part 240, respectively; The wall projections 220 accommodated in the 120; is provided.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제2벽단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4 shows the second wall end in detail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벽단부(250)는 상기 벽단부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의 벽단 홈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00)의 돌기부와 결합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wall end part 250 is formed with two wall end grooves 26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end part and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part of the wall part 100.

또한 상기 제2 벽단부;는 상단이 개방되어, 벽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141)가 끼워지는 상단 개방부(270);와 벽체부(100) 하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142)를 수용하는 하단 관통부(280);를 포함하되 상단 개방부(270)와 하단 관통부(280)의 내측에 각각 상기 제2 결합부의 돌기부(110)가 수용되는 벽단 홈부(2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wall end; the upper end is open, the upper opening portion 270 in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00 is fitted; and the second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ll portion 100 A lower end through portion 280 that receives the engaging portion 142; and includes a wall groove por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0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received inside the upper opening portion 270 and the lower through portion 280, respectively ( 260).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벽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1)의 길이가 A1이고 상기 벽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2)의 길이가 A2 이고, 벽단 돌기부(220)의 길이가 L 이고, 상기 제1 벽단부의 상단 관통부(230);의 길이가 C1이고, 상기 제1 벽단부의 하단 개방부(240);의 길이가 C2 일 때 L+A1<C1이고, A2=C2가 된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 the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1 formed at the top of the wall part 100 is A1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ll part. Is A2, the length of the wall protrusion 220 is L, the length of the upper through portion 230 of the first wall end; the length of the C1, the lower opening 240 of the first wall end; When C2, L + A1 <C1 and A2 = C2.

또한 상기 벽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141)의 길이가 B1이고 상기 벽체부(100)의 하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142)의 길이가 B2 이고, 돌기부(110)의 길이가 L 이고, 상기 제2 벽단부(250)의 상단 개방부(270);의 길이가 D1 이고, 상기 제2 벽단부의 하단 관통부(280);의 길이가 D2일 때 L+B2<D2이고, B1=D1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100 is B1, the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100 is B2, the projection portion 110 L + B2 when the length is L, the upper opening 270 of the second wall end 250; the length is D1, and the lower through part 280 of the second wall end is D2; <D2 and B1 = D1.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에 도어부를 정면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5 is a detailed view of the door unit in fro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부(300);는 벽체부(100)와 동일한 형상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중앙이 개방된 형태의 문틀(310);과 상기 문틀의 중앙 개방부에 나란하게 수직 설치되는 동시에 일측단이 상기 문틀과 힌지(330)로 체결되는 출입문 본체(320);와 상기 문틀과 출입문 본체의 타단에 구비됨으로서, 출입문 본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장치(340);와 하부에 복수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0)을 끼울 수 있는 고정홈부(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door part 3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wall part 100 at both ends thereof, and a door frame 310 having an open center. A door body 320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central opening and at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and the hinge 330;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to lock the door body in a closed state. Apparatus 340; and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 350 for fitting the fixing means 500; includes.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3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트부재(400)는 하나 이상의 메인매트(410);와 상기 메인매트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보조매트(42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6, the mat memb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main mat 410 and at least one auxiliary mat 420 connected to the main mat.

상기 메인매트(410)는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매트는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The main mat 410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prefab fence and the auxiliary mat is dispos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prefab fence.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매트부재는 상기 매트부재를 접고 펼치기 위한 분할부가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매트 사이에는 상기 메인메트를 연결하는 연결매트(4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매트(420);는 상기 메인매트와 연결되는 제1보조매트(421);와 상기 제1보조매트와 연결되는 제2보조매트(422);로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mat member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t member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mat mat between the main mat connecting the main mat; further provided, the auxiliary mat ( 420; and a first auxiliary mat 421 connected to the main mat; and a second auxiliary mat 422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mat.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3단 매트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트부재(400)는 접고 펼치기가 용이하도록 소정등분으로 분할되되 분할부가 배면에 위치하고 일면을 수직으로 세워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at memb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predetermined equal parts so as to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but the partition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and one side may be vertically separated to separate the space.

또한 상기 매트부재(400)는 3단 매트부재,5단 매트부재,6단 매트부재이되 상기 3단 매트 부재는 하나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t member 400 is a three-stage mat member, a five-stage mat member, a six-stage mat member, wherein the three-stage mat member is one main mat;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Is done.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5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fiv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5단 매트는 두 개의 메인매트(410);와 상기 두 개의 메인매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매트(430);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조 매트(421);는 상기 제2보조매트와 연결되는 분할부에 있어서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1고리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 매트(422);는 배면 끝단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2고리부(450);가 형성된다.9, the fiv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main mats 410; and a connection mat 430 formed between the two main mats;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And the first auxiliary mat 421; the first ring part 440 is form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divis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mat, respectively,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 422); the second ring portion 450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end, respectively.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6단 매트의 전개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deployment state of the six-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6단 매트는 세 개의 메인매트(410);와 하나의 연결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6단 매트의 메인매트는 두 개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연결매트와 하나의 메인매트와 하나의 제1보조매트와 하나의 제2보조매트가 순서대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six-stage mat includes three main mats 410; and one connection mat; and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Two main mats, one connecting mat, one main mat, one first auxiliary mat and one second auxiliary mat are sequentially connected.

또한 상기에서 상기 제1보조 매트(421);는 상기 제2보조매트와 연결되는 분할부에 있어서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1고리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 매트(422);는 배면 끝단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2고리부(4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mat 421; the first ring portion 440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in the divide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mat, the second auxiliary mat 422 The second ring portion 450 is form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end, respectively.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의 3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11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three-stage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500)은 3단 매트에 대응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를 구성하는 벽체부(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부(510)를 관통하여 각각의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11 is a fixing mean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510 formed in the wall portion 100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corresponding to the three-stage mat to fix the coupled state of each wall portion .

또한 상기에서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체부의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고정수단의 양 끝단을 묶어 상기 고정수단이 고정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wall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grooves of the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bundles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to prevent the fixing mea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portion.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500)은 개방부와 대향하는 벽체부(100)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벽체부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체부(100)를 삼각형 형태로 통과하되, 상기 고정수단은(500) 개방부의 좌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와 개방부의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를 통과하여 울타리부재를 고정한다.In more detail, the fixing means 500 includes two wall portions 100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all portion 100 facing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acing the opening portion, respectively. Pass through in a triangular form, the fixing means is open in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500),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The fence member is fixed through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unit.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3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ee-stage mat is fixed to a wall end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방지수단이 울타리 부재의 내측에서 울타리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3단 매트는 상기 분리방지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매트와 제2보조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고정수단(500)이 제2고리부와 벽단부(200)에 형성된 고정홈부(510)를 관통하도록 하여 보조매트(420)가 벽단부에 수직 결합되고 개방부를 폐쇄한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intain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ence member inside the fence member, the third ma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nd the first auxiliary mat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are provided. When standing upright, the fixing means 500 passes through the fixing groove 510 formed in the second ring portion and the wall end portion 200 so that the auxiliary mat 4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end portion and closes the opening portion.

상기 제1보조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2보조매트의 전면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전면과 맞닿도록 접어졌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위치한 제1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210)와 제2벽단부(250)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제1보조매트(421)의 일면이 벽단부에 수직 결합되어 개방부를 낮은 높이로 폐쇄한다.When the first auxiliary mat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mat is folded to abu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the fixing means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mat One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42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end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ring porti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210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250, so that the opening portion has a low height. To clos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울타리부재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분리된 공간의 면적이 상기 3단 매트의 면적보다 극소하게 작게끔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공간의 면적에 의해 매트부재가 가압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ea of the separated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fence members is formed to be extremely small than the area of the three-stage mat so that the mat member by the area of the space when one end of the mat is vertically er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ized form can be maintained.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5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1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five ma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수단(500)은 5단 매트에 대응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를 구성하는 벽체부(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부(510)를 관통하여 각각의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fixing mean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510 formed in the wall part 100 constituting the prefab fence for infants corresponding to the five-stage mat, and shows the coupling state of each wall part. Fix it.

또한 상기에서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체부의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고정수단의 양 끝단을 묶어 상기 고정수단이 고정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wall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grooves of the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bundles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to prevent the fixing mea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portion.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500)은 개방부와 대향하는 벽체부(100)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벽체부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체부(100)를 삼각형 형태로 통과하되, 상기 고정수단은(500) 개방부의 좌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와 개방부의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를 통과하여 울타리부재를 고정한다.In more detail, the fixing means 500 includes two wall portions 100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all portion 100 facing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acing the opening portion, respectively. Pass through in a triangular form, the fixing means is open in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500),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The fence member is fixed through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unit.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의 6단 매트가 설치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14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is installed six ma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수단(500)은 6단 매트에 대응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를 구성하는 벽체부(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부(510)를 관통하여 각각의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fixing mean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510 formed in the wall part 100 constituting the prefab fence for infants corresponding to the six-stage mats, thereby coupling each wall part. Fix it.

또한 상기에서 벽체부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체부의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고정수단의 양 끝단을 묶어 상기 고정수단이 고정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wall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grooves of the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bundles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to prevent the fixing mea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portion.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500)은 개방부와 대향하는 벽체부(100)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벽체부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체부(100)를 삼각형 형태로 통과하되, 상기 고정수단은(500) 개방부의 좌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와 개방부의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벽체부에 있어서 개방부와 인접한 고정홈부(510)를 통과하여 울타리부재를 고정한다.In more detail, the fixing means 500 includes two wall portions 100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all portion 100 facing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acing the opening portion, respectively. Pass through in a triangular form, the fixing means is open in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500),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provided vertically to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The fence member is fixed through the fixing groove 510 adjacent to the unit.

첨부된 도 1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5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ve-tier mat is fixed to a wall end inside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방지수단이 울타리 부재의 내측에서 울타리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5단 매트는 상기 분리방지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매트와 제2보조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2보조매트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2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와 제2벽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매트의 일면이 벽단부에 고정되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5,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maintain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ence member inside the fence member, the 5-stage m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nd the first auxiliary mat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are provided. When standing vertically, the fixing means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ring port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auxiliary mat and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wall end portion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so that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at is placed on the wall end portion. It is fixed to form a separate space.

또한 상기 제1보조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2보조매트의 전면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전면과 맞닿도록 접어졌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위치한 제1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와 제2벽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제1보조매트의 일면이 벽단부에 고정되어 일면이 낮은 높이의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울타리부재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분리된 공간의 면적이 상기 5단 매트의 면적보다 극소하게 작게끔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공간의 면적에 의해 매트부재가 가압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first auxiliary mat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mat is folded to abu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the fixing means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mat. One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is fixed to the wall end portion to penetrate the first ring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to form a separated space having a low height on one surface thereof. The area of the separated space formed by combining two fence member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ve-stage mat, and the mat member is pressed by the area of the space when one end of the mat is erected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maintained.

첨부된 도 1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내측에 6단 매트가 벽단부와 고정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x-stage mat is fixed to a wall end of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방지수단이 울타리 부재의 내측에서 울타리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6단 매트는 상기 분리방지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매트와 제2보조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2보조매트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2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와 제2벽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매트의 일면이 벽단부에 고정되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6,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intain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ence member inside the fence member, the six-stage m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nd the first auxiliary mat and the second auxiliary mat are provided. When standing vertically, the fixing means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ring port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auxiliary mat and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wall end portion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so that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at is placed on the wall end portion. It is fixed to form a separate space.

또한 상기 제1보조매트가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2보조매트의 전면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전면과 맞닿도록 접어졌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1보조매트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위치한 제1고리부와 상기 제1벽단부와 제2벽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제1보조매트의 일면이 벽단부에 고정되어 일면이 낮은 높이의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울타리부재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분리된 공간의 면적이 상기 6단 매트의 면적보다 극소하게 작게끔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일측단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공간의 면적에 의해 매트부재가 가압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first auxiliary mat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mat is folded to abu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the fixing means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mat. One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mat is fixed to the wall end portion to penetrate the first ring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first wall end portion and the second wall end portion to form a separated space having a low height on one surface thereof. The area of the separated space formed by combining two fence member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ix-stage mat, and the mat member is pressed by the area of the space when one end of the mat is vertically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maintained.

첨부된 도 17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벽체부에 있어서 거치홈부에 가랜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rlan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in the wall portion of the baby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체부(100);는 상단 양측을 관통하는 두개의 거치홈부(15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7, the wall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wo mounting grooves 150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top.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거치홈부(150)는 원형의 관통공이되, 상기 관통공에는 캐노피 또는 가랜드 또는 휴대폰거치대 및 수납함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more detail, the mounting groove 150 is a circular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can be easily installed, such as a canopy or garland or mobile phone holder and storage box.

첨부된 도 18은 본 발명의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의 쿠션가드를 도시한 것이다.Attached Figure 18 shows a cushion guard of the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쇄부의 내측면에 쿠션가드부재(600);가 더 구비되어 딱딱한 울타리부재의 재질에 의한 영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Referring to Figure 18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shion guard member 6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ure portion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infants due to the material of the rigid fence member.

상기 쿠션가드부재의 길이는 울타리부재 두 개를 결합하였을 때 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가드부재는 양단에 일정길이의 고정스트랩(610);이 좌측상단과 우측상단에 구비된다.(도 18의 a참조) The length of the cushion guard member is formed to be the same as when the two fence members are combined and the cushion guard member is fixed strap 610 of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See a of 18)

또한 상기 폐쇄부를 이루는 울타리부재의 내측 3면에 각각 쿠션가드부재가 구비되었을 때, 상기 고정스트랩은 인접한 또 다른 쿠션가드부재의 고정스트랩과 울타리부재의 외측면에서 묶여 베이비룸과 견고하게 고정된다.(도18의 b참조)In addition, when the cushion guard member is provided on each of the inner three sides of the fence member forming the closure portion, the fixed strap is tied to the fixed strap of another adjacent cushion guard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member is firmly fixed to the baby room. (See b of FIG. 18)

또한 상기 쿠션가드부재는 쿠션을 감싸고 있는 패브릭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패브릭 소재의 커버는 상기 쿠션과 분리되어 세탁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guard member includes a fabric cover surrounding the cushion, but the cover of the fabric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ushion.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0 벽체부 110 돌기부
120 홈부 130 제1 결합부
140 제2 결합부 150 거치 홈부
160 손잡이홈 200 벽단부
210 제1 벽단부 220 벽단 돌기부
230 상단 관통부 240 하단 개방부
250 제2 벽단부 260 벽단 홈부
270 상단 개방부 280 하단 관통부
300 도어부 310 문틀
320 출입문 본체 330 힌지
340 잠금장치 400 매트부재
410 메인매트 420 보조매트
421 제1보조매트 422 제2보조매트
430 연결매트 440 제1고리부
450 제2고리부 500 고정수단
510 고정 홈부 600 쿠션가드부재
610 고정스트랩
100 wall 110 projection
120 groove 130 first coupling
140 Second coupling part 150 Mounting groove
160 handle groove 200 wall end
210 First Wall End 220 Wall End Projection
230 Top penetration 240 Bottom opening
250 Second Wall 260 Wall Inlet
270 Top Opening 280 Bottom Penetration
300 door 310 door frame
320 Door Body 330 Hinge
340 Lock 400 Mat member
410 main mat 420 sub mat
421 Secondary mat 422 Secondary mat
430 Connecting mat 440 1st ring
450 Second ring part 500 Fixing means
510 fixing groove 600 cushion guard member
610 fixed strap

Claims (12)

복수개의 울타리 부재가 연결되어 조립 후에는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울타리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와
상기 울타리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부는 벽을 이루는 하나이상의 벽체부(100);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되 출입문이 구비되어 공간을 개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도어부(300);와
상기 벽체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벽단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와 상기 벽체부에는 상기 도어부와 상기 벽체부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부(100)와 상기 도어부(300)는 좌측변 및 우측변과 상측변 및 하측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좌측변 혹은 우측변에 형성된 돌기부(110);와
상기 우측변 혹은 좌측변에 형성된 홈부(120);가 포함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In the prefabricated fence that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nnected to form a separate space after assembly,
The prefabricated fence is a closing portion in which the fence member is disposed; And
The fence member is not disposed;
The closure is at least one wall portion 100 that forms a wall; and
A door part 300 coupled to the wall part 100 and having an entrance door to open or close a space;
Includes; two wall end portion 20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portion
The door part and the wall part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door part and the wall part.
The wall portion 100 and the door portion 300 is made of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 coupling part
A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and
Includes; groove portion 120 formed on the right side or left sid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안쪽에는 접고 펼치기 위해 소정등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매트 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에 상기 매트 부재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매트부재(400)는
하나 이상의 메인매트(410);와
상기 메인매트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보조매트(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 member 400 is formed in the prefabricated fence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equal parts to fold and expand;
The mat member is coupled to the fence member by fixing means,
The mat member 400 is
One or more main mats 410; and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auxiliary mat (420) connected to the main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울타리의 안쪽에는 접고 펼치기 위해 소정등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메인매트(410);가 구비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가 배치된 폐쇄부;에는 상기 울타리부재가 서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메인매트의 하단에서 상기 폐쇄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울타리의 바닥에 배치된 메인매트가 상기 울타리를 이동할 때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mat 410 is formed in the prefabricated fence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equal portion to fold and exp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enc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of each other is disposed in the closing portion is disposed the fence member, the fix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losing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main mat is arranged as the fence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mat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ence is disposed so as not to fall down when moving the f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끈이고,
상기 벽단부(200)에는 상기 벽단부의 상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원형의 관통공 형태의 고정홈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매트(420)에는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제2고리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고정수단이 제2고리부와 벽단부(200)에 형성된 고정홈부(510)를 관통하도록 하여
보조매트(420)가 벽단부에 수직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폐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means is a string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length,
The wall end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portion 510 of the shape of two circular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end portion,
The auxiliary mat 420 has a second ring portion 450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When the auxiliary mat is erected vertically, the fixing means penetrates the fixing groove 510 formed in the second ring portion and the wall end portion 200.
Prefabricated fence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mat 4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wall end to close the open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폐쇄부의 내측면에는 쿠션가드부재(6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쿠션가드부재의 길이는 울타리부재 두 개를 결합하였을 때 그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가드부재는 양단에 일정길이의 고정스트랩(610);이 좌측상단과 우측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울타리부재의 내측면에 쿠션가드부재가 구비되었을 때, 상기 고정스트랩은 인접한 또다른 쿠션가드부재의 고정스트랩과 울타리부재의 외측면에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1
Cushion guard member 600 on the inner side of the closure; is further provided
The cushion guard member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two fence members are combined.
The cushion guard member has a fixed strap 610 of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When the cushion guard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ence member, the fixed strap is prefabricated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ied to the fixed strap of the adjacent cushion guard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member.
KR1020190085399A 2019-07-15 2019-07-15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KR102067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99A KR102067249B1 (en) 2019-07-15 2019-07-15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99A KR102067249B1 (en) 2019-07-15 2019-07-15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81A Division KR102002897B1 (en) 2018-08-09 2018-08-09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49B1 true KR102067249B1 (en) 2020-02-11

Family

ID=6956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399A KR102067249B1 (en) 2019-07-15 2019-07-15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73U (en) * 2021-01-22 2022-07-29 이강일 Babyroom preventanle shak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8463B1 (en) * 2000-09-19 2002-06-25 Andrea Palacio Baby play mat with protective enclosure
KR20170004222U (en) * 2016-06-09 2017-12-19 박원영 mat for chi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8463B1 (en) * 2000-09-19 2002-06-25 Andrea Palacio Baby play mat with protective enclosure
KR20170004222U (en) * 2016-06-09 2017-12-19 박원영 mat for chi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73U (en) * 2021-01-22 2022-07-29 이강일 Babyroom preventanle shake
KR200496706Y1 (en) * 2021-01-22 2023-04-05 이강일 Babyroom preventanle sha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897B1 (en)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US6123321A (en) Modular resilient child or pet safety fence system
AU710950B2 (en) Crib cover securing device
CA1208851A (en) Portable playpen
AU2011279242B2 (en) Play yard with removable enclosure
US7739759B2 (en) Play yard and bassinet assembly
US11109691B2 (en) Collapsible playard
US3105505A (en) Multiple purpose portable and collapsible tent
US6438773B1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for pen and cot
KR102067249B1 (en)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KR100996129B1 (en) Foldable rescue device
KR102087641B1 (en) Prefabricated fences for infants
KR200482267Y1 (en) Mats fence of assemble type
KR101497605B1 (en)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US2529112A (en) Window mounted collapsible fire escape
US20120096638A1 (en) Bathtub safety gate
KR20100005309U (en) safety fence
KR101536408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Up and Down Gate to Emergency Exit
KR200490388Y1 (en) Bumper bed
KR20150135811A (en) Playing mat assembly
KR101959295B1 (en) Vermin proof equipment
KR101863494B1 (en) Playing mat assembly
KR101819540B1 (en) Corrugated mosquito net for door
KR200496706Y1 (en) Babyroom preventanle shake
KR102519102B1 (en) Tranformable baby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