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38B1 - Jig for setting workpiece - Google Patents
Jig for setting workpie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7238B1 KR102067238B1 KR1020180102209A KR20180102209A KR102067238B1 KR 102067238 B1 KR102067238 B1 KR 102067238B1 KR 1020180102209 A KR1020180102209 A KR 1020180102209A KR 20180102209 A KR20180102209 A KR 20180102209A KR 102067238 B1 KR102067238 B1 KR 102067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block
- support frame
- fixed block
- fluid
- lowe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위에 대형의 가공대상물을 정밀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는 가공대상물을 지지하고 있어 가공대상물의 위치이동시 마찰면적이 최소화되며 이동되는 슬라이딩블록을 통해 가공대상물을 타격하지않고 이동시킬 수 있어 가공대상물을 셋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셋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etting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setting jig capable of precisely positioning a large workpiece on a table.
The object sett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so that the friction area is minimized when the object is moved, and can be moved without hitting the object through the sliding block to move the object to be s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operation is easy and the setting time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위에 대형의 가공대상물을 정밀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setting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setting jig capable of precisely positioning a large workpiece on a table.
일반적으로 대형 NC 머신 등의 대형가공기계에 의해 대형 가공대상물을 가공할 때에는 테이블의 상면에 대형 가공대상물을 가공중심을 맞추어 고정한 상태에서 가공을 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테이블에 설치한 가공대상물의 기준면과 가공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셋팅을 할 때 가공대상물을 어느 정도 바르게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가공대상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해머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가공대상물을 수회 타격하여 위치이동시켜 셋팅을 하였다. In general, when machining a large object by a large machining machine such as a large NC machine, the large object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with the machining center fixed. In order to adjust the machining center, the object was adjusted to a certain position when setting, and the hammer was moved several times by physically hitting the object by using a hammer so as not to damage the object.
이러한 방법은 정확한 가공중심을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고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셋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This method is not easy to match the precise machining center, can not be precise machining, and the setting time is long, there are many different closures.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689호에는 공작물(가공대상물) 양측에 위치되게 베드에 장착되는 블록본체를 관통하는 수평조절용 볼트를 조작하여 공작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공작물 가공 셋팅용 블록이 게시되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9689 is a workpiece machining setting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by operating a horizontal adjustment bolt penetrating the block body mounted on the bed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orkpiece (processed object) The block is posted.
하지만, 상술한 바의 공작물 가공 셋팅용 블록은 공작물이 베드에 지지되어 있어 공작물이 위치이동시 베드에 마찰되는 면적이 넓으므로 공작물 위치조정을 위한 수평조절용 볼트 조작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작물 가공 셋팅용 블록은 공작물 바닥면 작업공간 확보가 어려워 하부 가공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work processing setting block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ork is supported on the bed, so that the work area is rubbed on the bed when the work is moved, so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bolt for adjusting the work position is not easy. In addition, the workpiece processing block is difficult to secure the workpiece bottom work sp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ower machining operation is not eas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블록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공대상물 셋팅 시 물리적인 타격 없이 정밀조작이 가능하고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위치이동이 용이하며 가공대상물의 하부측 가공작업이 용이한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block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precisely without setting a physical object when set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easy to move the position by minimizing the friction area It is to provide an object setting jig for easy processing of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는 가공대상물 가공을 위한 테이블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하부가 삽입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길이신축부재와; 상기 길이신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신축부재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되 상기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지지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cessing object sett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member supported on the table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object; At least one length-expandable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member and capable of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nd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stretching of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upward,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moving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nner spa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ing a sliding block and a first pressing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the inner space to press the sliding block to move the sliding block in one direction. It is done.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지지틀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나란하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해제 시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일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is fixed and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block inclined upper surface so as to increase in thicknes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sliding block is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member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come thinn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lower surface can be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when the pressur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released It is preferable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by the load.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길이신축부재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게 상방으로 개방된 제1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신축부재는 상기 제1인입홈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내주면에 제1나사선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제2인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구비한다.The base member has a first inlet groove which is opened upwardly to receive and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length and elongation member, the length and elonga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groove and fixed and opened upward A cylindrical receiving space is formed, but a housing having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screwed to the first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rotate relative to the housing according to a rotational direction. A lifting rod having an extended length extending upward,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and inserted into a second inlet groove up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to support the lifting member.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2인입홈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틀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틀을 고정하는 지지틀 고정부재의 하부가 수용되는 고정부재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지지공은 상기 지지틀고정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하부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member is formed to penetrate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let groove is projec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if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fixed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The member support hole is formed and the fixing member support hole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is extend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fixing member is extended.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위치조정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블록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틀의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liding block is formed in a width smaller than the fixed block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members for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to press the sliding block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마찰저감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저감수단은 상부가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측으로 인입된 유체가압공간이 연통되며 유체가 충진되는 유체수용공간과; 상기 유체가압공간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으로 관통형성된 유체배출공과; 상기 유체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하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일 방향으로 이동시 하부가 상기 유체가압공간으로 진입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압공간의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구를 통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하면 사이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유체공급유도부재;를 구비한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further includes friction reducing means for reducing friction when the sliding block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and the friction reducing means has an upper portion drawn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A fluid receiving space in which fluid pressurized space introduced into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block is in communication with and filled with fluid; A fluid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in the fluid pressurization space; It is accommodated in the fluid receiving space, the upper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is moved along the sliding block, when the sliding block is moved in one direction is formed to bend so that the lower portion enters the fluid pressure space of the fluid pressure space And a fluid supply guide member for guiding fluid to be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through the fluid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는 가공대상물을 지지하고 있어 가공대상물의 위치이동시 마찰면적이 최소화되며 이동되는 슬라이딩블록을 통해 가공대상물을 타격하지않고 이동시킬 수 있어 가공대상물을 셋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셋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object sett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so that the friction area is minimized when the object is moved, and can be moved without hitting the object through the sliding block to move the object to be s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operation is easy and the setting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는 가공대상물을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셋팅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의 가공대상물이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object sett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object can be precisely s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ing object of various shapes or siz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가 가공대상물을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대한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ocessing target setting jig supporting a processing targ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bject setting jig of Figure 1,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bject setting jig of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setting ji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piece setting ji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object setting ji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10)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illustrate the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10)는 가공기계(미도시)의 테이블(미도시) 상에서 대형의 가공대상물(1)을 가공하기 위해 가공대상물(1)의 위치 설정 시 가공대상물(1)을 물리적인 타격없이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테이블 상에 놓여 가공대상물(1)을 지지한다.The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10)는 베이스부재(20)와, 다수의 길이신축부재(30)와, 승강부재(40)와, 위치조절유닛(50)을 구비한다.The
베이스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각각 개방된 다수의 제1인입홈(22)이 형성된 베이스본체(21)와, 베이스본체(21)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베이스본체 손잡이부(25)를 구비한다. 베이스본체(2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다수의 제1인입홈(22)은 사각판상의 베이스부재(20)에 정방 형태로 배열되며 후술되는 복수의 길이신축부재(30)의 하부가 각각 수용되어 위치고정된다.The plurality of
베이스본체 손잡이부(25)는 바(bar) 형상으로 양측 단부가 동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중심측이 베이스본체(21)의 상방의 위치에서 베이스본체(21)에 나란하게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베이스본체(21)의 측부와 결합된다. 베이스본체 손잡이부(25)는 베이스본체(21)의 양측부에 용접으로 베이스본체(21)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Base
다수의 길이신축부재(30)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축 가능한 것으로서, 하우징(31)과, 승강로드(33)와, 헤드부(35)를 각각 구비한다.The plurality of
하우징(3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인입홈(22)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의 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된다.The
승강로드(33)는 하우징(3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하우징(31)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게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헤드부(35)는 승강로드(33)의 상단과 연결되고 승강로드(33)보다 큰 외경을 가져 후술되는 승강부재(40)의 제2인입홈(42)에 삽입되어 승강부재(40)를 지지한다.The
승강부재(40)는 다수의 길이신축부재(30)에 지지되어 길이신축부재(30)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The
승강부재(40)는 베이스본체(21)와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승강본체(41)와, 승강본체(41)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승강본체 손잡이부(45)를 구비한다.The
승강본체 손잡이부(45)는 베이스본체 손잡이부(25)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햐방향으로 연장된 양측 단부가 승강본체(41)의 양측부와 결합된다.
승강본체(41)는 하방의 베이스본체(21)의 복수의 제1인입홈(2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각각 인입된 다수의 제2인입홈(42)이 형성된다.The
또한, 승강본체(41)는 각 제2인입홈(42)의 상면 중심측에 상방으로 원형상으로 관통형성되되 상부(43b)보다 하부(43a)가 큰 직경을 갖도록 계단형태로 관통형성된 고정부재지지공(43)이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고정부재지지공(43)은 후술되는 복수의 지지틀고정부재(70)가 관통장착되는 부분으로 지지틀고정부재(70)의 외경이 확장된 하부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경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한편, 지지틀고정부재(70)는 고정부재지지공(43)의 상부를 관통하여 승강본체(21)의 상면에 대해 돌출되어 위치조절유닛(5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각 고정부재지지공(43)에 관통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지지틀고정부재(70)는 위치조절유닛(50)의 지지틀(51) 하부로 삽입되어 고정하는 지지틀 결합부(73)와, 지지틀결합부 하단에 연결되며 지지틀결합부(71)보다 큰 외경을 가져 고정부재지지공의 하부(43a)에 삽입되는 구속부(71)를 구비한다.The support
위치조절유닛(50)은 상부가 가공대상물(1)을 지지하며, 하부에 대해 상부가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가공대상물(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틀(51)과, 고정블록(61)과, 슬라이딩블록(65)과, 제1가압부재(56)를 구비한다.
지지틀(51)은 승강부재(4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53)이 형성된 것으로서, 지지틀고정부재(70)의 지지틀결합부(73)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거나 관통형성된 다수의 고정부재결합부(52)가 형성된다.The
또한, 지지틀(51)은 길이방향의 일측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1가압부재(56)와 나사결합되는 제1가압부재결합공(5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고정블록(61)은 지지틀(51)의 내부공간(53)에 대응되는 길이와 폭을 가져 지지틀(51)의 내부공간(53)에 수용 고정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상면(61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슬라이딩블록(65)은 고정블록(61)의 상면에 지지되어 지지틀(51)의 내부공간(53)에 안착되며 상부가 가공대상물(1)을 지지한다. 슬라이딩블록(65)은 지지하는 가공대상물(1)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53) 내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면이 고정블록(61)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The
즉, 슬라이딩블록(65)은 지지틀(51) 내로 진입되는 제1가압부재(56)의 가압에 의해 하면(65a)이 고정블록(61)의 상면(6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65a)이 고정블록의 상면(61a)에 나란하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블록(65)은 제1가압부재(56)의 가압해제 시에는 가공대상물(1)의 하중에 의해 일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That is, the
제1가압부재(56)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일반적인 볼트 형상으로서 지지틀(51)에 멀어지는 측의 단부에 사용자가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육모렌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부재(80)가 삽입고정 될 수 있는 결합홈(56a)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ressing
제1가압부재(56)는 지지틀(51)의 길이방향의 일 측부를 관통하게 제1가압부재결합공(54)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내부공간(53)으로 진입 길이가 조절된다. 제1가압부재(56)는 지지틀(51)의 내부공간(53) 내로 진입된 길이가 연장되게 회전조작되면서, 슬라이딩블록(65)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압한다.The first press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setting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는 가공대상물(1)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The
복수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는 가공기계(미도시)의 테이블(미도시) 상에 가공대상물의 각 모서리 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놓여지며 먼저 헤드부(35)와 결합된 승강로드(33)를 회전시켜 헤드부(35)의 높이를 각각 조절한다.The
길이신축부재(30)가 높이 조절되면, 헤드부(35)가 승강부재(40)의 제2인입홈(42)에 삽입되어 승강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40)와 위치조절유닛(50)을 설치하고, 가공대상물(1)을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의 슬라이딩블록(65) 상면에 안착시킨다. 지지틀(51)은 승강본체(41)을 관통한 지지틀고정부재(70)와 결합되어 승강부재(40)에 고정된다.When the length-
이제, 제1가압부재(5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딩블록(65)을 이동시킴으로써 가공대상물(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한다.Now, the position of the
구체적으로, 가공대상물(1)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제1가압부재(5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틀(51)의 내부공간(53)으로 진입시킨다. 가공대상물(1)의 일방향은 이동은 고정된 지지틀(51)의 제1가압부재(56)가 결합되는 지지틀(5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응된다.In detail, when the
제1가압부재(56)가 지지틀(51)의 타측 방향으로 진입되면서 슬라이딩블록을(65)가 지지틀(51)이 타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슬라이딩블록(65)을 가압한다. 슬라이딩블록(65)은 하면이 고정블록(61)의 경사진 상면에 지지되므로 지지틀의 타측방향인 일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이동된다.As the first pressing
일방향으로 이동된 가공대상물(1)을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제1가압부재가 슬라이딩블록을 가압해제하는 방향 즉, 제1가압부재(5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딩블록(65)이 가공대상물(1)의 하중에 의해 고정블록의 상면을 타고 하강되면서 위치이동되게 한다.In order to move the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는 가공대상물(1)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어 가공대상물(1)의 위치이동시 마찰면적이 최소화되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블록이 이동가능하여 가공대상물을 타격하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어 작은 힘으로도 가공대상물(1)을 셋팅 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셋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는 슬라이딩블록(65)이 고정블록(61)의 상면을 타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향이동되므로 상가공대상물(1)의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세팅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의 가공대상물(1)이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 지그(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FIG. 4 illustrates a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 지그(110)는 슬라이딩블록(165)가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지지틀(51)의 폭방향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제2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지그(10)의 구조와 동일하다.The
슬라이딩 블록(165)은 도 4를 참고하면, 가공대상물(1)이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위치조정 될 수 있도록 고정블록(61)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블록(6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liding
그리고, 위치조절유닛(50)은 지지틀(5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지지틀(51)의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장착되어 슬라이딩블록(165)을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가압부재(58)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복수의 제2가압부재(58)는 지지틀(51)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된 제2가압부재결합공(57)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호 마주한다.The plurality of second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10)는 슬라이딩블록(165)이 지지틀의 폭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므로 가공대상물(1)을 더욱 정밀하게 셋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 지그(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 지그(2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세팅지그(10)의 구조에 마찰저감수단(90)을 더 구비한다.The
마찰저감수단(90)은 슬라이딩블록(65)이 고정블록(61)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The
마찰저감수단(90)은 상부가 고정블록(65)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하부에 고정블록(65)의 타단측으로 인입된 유체가압공간(96)이 연통되며 유체가 충진되는 유체수용공간(95)과; 유체가압공간(96)의 타측 단부 측에서 고정블록(61)의 상면으로 관통형성된 유체배출공(97)과; 유체수용공간(95)에 수용되되 상부가 슬라이딩블록(65)의 하부에 삽입고정되어 슬라이딩블록(65)을 따라 이동되며 슬라이딩블록(65)이 일 방향으로 이동시 하부가 유체가압공간(96)으로 진입되게 절곡 형성되는 유체공급유도부재(91)를 구비한다.The
유체수용공간(96)은 고정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고정블록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사각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유체공급유도부재(91)는 유체가압공간(96)을 가압하여 유체가압공간(96)의 유체가 유체배출공(97)을 통해 고정블록(61)의 상면과 슬라이딩블록(65)의 하면 사이로 공급되게 유도한다. The fluid
유체공급유도부재(91)는 유체수용공간(95)에 수용되되 상부가 슬라이딩블록(65)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승강홈(94)에 삽입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92)와, 수직연장부(92)의 하부에서 고정블록(61)의 타단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체가압공간(96)으로 진입가능한 수평연장부(93)를 구비한다.The fluid
유체공급유도부재(91)는 수직연장부(92)가 슬라이딩블록(65)의 승강홈(94)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어, 슬라이딩블록(65)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하중에 의해 상하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블록(65)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된다.The fluid
유체공급유도부재(91)는 유체수용공간(96)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절곡된 판상형태로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정 폭 또는 직경을 갖는 절곡된 막대형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유체가압공간(96)은 유체공급유도부재(91)가 진입되어 유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유체공급유도부재(91)의 수평연장부(9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fluid
한편, 마찰저감수단(90)은 고정블록(61)의 타측 상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인입되되 고정블록(61)의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며 그 인입된 하부는 유체수용공간(95)의 하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체수용공간(95)의 후방 측 즉, 제1가압부재(56)에 인접한 측으로 관통연장되어 슬라이딩블록(65)의 하면을 타고 이동된 유체가 유체수용공간(95)으로 유입될 수 있는 순환유로부(98)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순환유로부(98)에는 유체수용공간(95)에서 순환유로부(98)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환유로부(98)에 유입된 유체는 유체공급유도부재(91)가 유체가압공간(96)으로 진입 시에 유체수용공간(95)으로 유입된다.In the
또한, 마찰저감수단(90)은 슬라이딩블록이 일방향으로 이동시 유체공급유도부재(91)의 상승이 방지되게 승강홈(94)에 삽입되어 유체공급유도부재(91)의 수직연장부(92)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210)는 슬라이딩블록(65) 하면과 고정블록(61)의 상면 사이로 유체가 공급되므로 슬라이딩블록(65)이 고정블록(61)에 대해 이동시 마찰발생을 감소시켜 내구성 및 셋팅 조작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110,210)는 가공대상물(1)을 지지하고 있어 가공대상물(1)의 위치이동시 마찰면적이 최소화되며 이동되는 슬라이딩블록(65,165)을 통해 가공대상물(1)을 타격하지않고 이동시킬 수 있어 가공대상물(1)을 셋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셋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대상물 셋팅지그(10,110,210)는 가공대상물(1)을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셋팅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의 가공대상물(1)이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setting jig (10, 110,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cisely set becaus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1) of various shapes and size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본 발명의 가공대상물 셋팅지그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object sett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 가공대상물 10 :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
20 : 베이스부재 21 : 베이스본체
22 : 제1인입홈 30 : 길이신축부재
31 : 하우징 33 : 승강로드
35 : 헤드부 40 : 승강부재
41 : 승강본체 42 : 제2인입홈
43 : 고정부재지지공 50 : 위치조절유닛
51 : 지지틀 52 : 고정부재결합부
56 : 제1가압부재 61 : 고정블록
65 : 슬라이딩블록 70 : 지지틀 고정부재1: Processed object 10: Processed object setting jig
20: base member 21: base body
22: first entry groove 30: length expansion member
31
35
41: lifting body 42: the second inlet home
43: fixing member support hole 50: position adjustment unit
51: support frame 52: fixing member coupling portion
56: first pressing member 61: fixed block
65: sliding block 70: support frame fixing member
Claims (6)
상기 베이스부재에 하부가 삽입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길이신축부재와;
상기 길이신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신축부재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되 상기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지지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지지틀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나란하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해제 시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일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위치조정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블록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틀의 양측부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A base member supported on a table for processing a workpiece;
At least one length-expandable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member and capable of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nd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stretching of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upward,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moving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nner spa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ing a sliding block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extending to the inner space to press the sliding block to move the sliding block in one direc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block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top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thicknes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sliding block is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come thinn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by the pressing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fixed block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by the load of the workpiece, and the movable block is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workpiec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Formed in a smaller widt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members penetratingly moun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support fram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to press the sliding block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Object setting jig to be processed.
상기 길이신축부재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게 상방으로 개방된 제1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신축부재는
상기 제1인입홈에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내주면에 제1나사선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신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제2인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A first inlet groove which is opened upwardly to receive and fix a lower portion of the length elastic member is formed.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is
A housing having a first threaded lin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cylindrical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inlet groove and is opened upwardly;
A lifting rod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but has a second screw wire threaded to the first screw wir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length of the rod protrudes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n a rotational direction;
And a head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and inserted into a second inlet groove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to support the elevating member.
상기 제2인입홈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틀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틀을 고정하는 지지틀 고정부재의 하부가 수용되는 고정부재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지지공은
상기 지지틀고정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하부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fting member
The fixing member support hole is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let groove formed to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fixing member support hole
The processing object sett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be expand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fixing member is extended.
상기 베이스부재에 하부가 삽입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길이신축부재와;
상기 길이신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신축부재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되 상기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지지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지지틀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나란하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의 가압해제 시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일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마찰저감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저감수단은
상부가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측으로 인입된 유체가압공간이 연통되며 유체가 충진되는 유체수용공간과;
상기 유체가압공간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으로 관통형성된 유체배출공과;
상기 유체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하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일 방향으로 이동시 하부가 상기 유체가압공간으로 진입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압공간의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공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하면 사이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유체공급유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대상물 셋팅 지그.A base member supported on a table for processing a workpiece;
At least one length-expandable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member and capable of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nd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stretching of the length stretching member;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upward,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moving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nner spa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ing a sliding block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extending to the inner space to press the sliding block to move the sliding block in one direc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block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top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thicknes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sliding block is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come thinn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by the pressing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t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by the load of the workpiec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The sliding block is further provided with friction reducing means for reducing the friction when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The friction reducing means
A fluid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drawn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and a fluid pressurized space introduced into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block is communicat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block;
A fluid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in the fluid pressurization space;
It is accommodated in the fluid receiving space, the upper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is moved along the sliding block, when the sliding block is moved in one direction is formed to bend so that the lower portion enters the fluid pressure space of the fluid pressure space And a fluid supply inducing member for guiding fluid to be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block through the fluid discharge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209A KR102067238B1 (en) | 2018-08-29 | 2018-08-29 | Jig for setting workpie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209A KR102067238B1 (en) | 2018-08-29 | 2018-08-29 | Jig for setting workpie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7238B1 true KR102067238B1 (en) | 2020-01-16 |
Family
ID=6936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209A KR102067238B1 (en) | 2018-08-29 | 2018-08-29 | Jig for setting workpie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723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689Y1 (en) | 2001-07-05 | 2001-11-16 | (주) 신한금형 | Handicraft manufacturing and setting block |
KR20040023897A (en) * | 2002-09-12 | 2004-03-20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Height regulator for machining |
KR20130000754U (en) * | 2011-07-22 | 2013-01-3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Handling apparatus for attatching heavy material to curved surface using handle speed reducer |
JP2018062029A (en) * | 2016-10-12 | 2018-04-19 |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Clamp system |
-
2018
- 2018-08-29 KR KR1020180102209A patent/KR10206723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689Y1 (en) | 2001-07-05 | 2001-11-16 | (주) 신한금형 | Handicraft manufacturing and setting block |
KR20040023897A (en) * | 2002-09-12 | 2004-03-20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Height regulator for machining |
KR20130000754U (en) * | 2011-07-22 | 2013-01-3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Handling apparatus for attatching heavy material to curved surface using handle speed reducer |
JP2018062029A (en) * | 2016-10-12 | 2018-04-19 |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Clamp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318013B (en) | Deformation-preventing flexible clamp for machining curved-surface thin-wall part and clamping method thereof | |
KR101601191B1 (en) | Clamping device for drill machine | |
US4572715A (en) | Drilling and milling guide for accommodating interchangeable power tools | |
KR101301288B1 (en) | Horisontal fixing apparatus for workpeice | |
CN105345519A (en) | Machining method for drilling inclined oil hole in engine cylinder cover | |
KR100798822B1 (en) | Tool stroke adjusting device | |
KR102067238B1 (en) | Jig for setting workpiece | |
KR20140131067A (en) | Multi angle jig for processing goods | |
CN108655784A (en) | A kind of automation multipoint positioning clamping mold | |
CN205147869U (en) | Engine cylinder lid bores processing of oblique oilhole and uses anchor clamps | |
KR101362229B1 (en) | A tap or drill jig | |
KR20040071901A (en) | Drilling machine to make vertical hall | |
KR102736329B1 (en) | Jig Apparatus Able To Be Fixed In Various Height | |
KR920008588B1 (en) | Shearing Machine | |
CN108274268A (en) | Adjustable type drill positioning device in cylindrical workpiece | |
KR102141896B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setting of workpiece | |
US6301949B1 (en) | Press for forming workpieces | |
CN105855957A (en) | Pneumatic fixture for cylinder machining | |
JPS618302A (en) | Guide apparatus for movable processing equipment | |
CN222370976U (en) | A positioning fixture for machining center | |
KR20150000194U (en) | Step control backing devicee | |
CN205085633U (en) | Quick pressure equipment device of locating pin | |
LU101685B1 (en) |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capable of preventing offset of workpiece | |
KR102731763B1 (en) | Precision processing equipment for window frame piece fixing holes and arm positioning holes | |
KR200378231Y1 (en) | Device for horizontally fixing wood mol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