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133B1 - 볼링 투구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볼링 투구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133B1
KR102066133B1 KR1020190078501A KR20190078501A KR102066133B1 KR 102066133 B1 KR102066133 B1 KR 102066133B1 KR 1020190078501 A KR1020190078501 A KR 1020190078501A KR 20190078501 A KR20190078501 A KR 20190078501A KR 102066133 B1 KR102066133 B1 KR 10206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wrist
ball
bowling ball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호 filed Critical 정인호
Priority to KR102019007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54Bowling, i.e. ten-pin bow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 투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링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볼 콘트롤을 구사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볼링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링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볼링공의 회전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다양한 볼 콘트롤의 구사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러의 손목을 고정 및 보호하여 손목 힘이 작은 사람도 안정적인 훅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내며, 이와 동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볼의 회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손목의 꺽임각을 고정함으로써 훅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는 물론 조립이 쉽고,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볼링 투구 보조장치{Wrist support for bowling}
본 발명은 볼링 투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링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볼 콘트롤을 구사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볼링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 경기를 할 때에는 볼링공의 중량에 의한 손목의 과다 꺽임을 막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손목을 보호하고, 볼의 회전변화에 따른 투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볼링 아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링 아대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형태의 것이 제시되어 있는데, 가장 단순하게는 손목을 고정시켜 손목이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있고, 최근에는 볼링 아대의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하여 투구할 때 스핀이나 훅 등의 회전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볼링 아대는 무거운 볼링공으로 인한 손목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근래에는 안정적인 손목의 모양 및 자세를 만들도록 하여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손목을 안쪽으로 굽힐수록 훅이 보다 강하게 되는데, 초보자의 경우 공을 놓는 순간에 손목이 풀려 버리면 의도한 바의 훅이 들어가지 않게 되며, 이를 볼링 아대로 고정을 해주어 안정적인 훅이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손목의 좌우각이 공의 구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손목의 힘이 작은 사람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볼링 아대에 의한 고정이 필요하다. 이때, 구질에 따라 올바른 손가락 및 손목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손목의 상하 및 좌우로의 굽힘각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손등판과 손목판을 연결하면서도 이들의 연결각도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각도조절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링 아대는 각도조절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구입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며, 볼링 초급자가 실제 착용후 투구 동작시에 손목이 꺾여 효과적인 볼 컨트롤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594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631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4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링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볼링공의 회전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다양한 볼 콘트롤의 구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을 할 때 볼의 중량으로부터 볼러의 손목을 고정 및 보호하여 손목 힘이 작은 사람도 안정적인 훅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내며, 이와 동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볼의 회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손목의 꺽임각을 고정함으로써 훅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는 물론 조립이 쉽고,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는 볼러의 손과 볼링공 사이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되고, 볼링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볼러의 손목을 안쪽으로 구부릴 시, 볼러의 손바닥에 밀착되게 형성된 손바닥지지부와, 볼러의 손목에 밀착되게 형성된 손목지지부와, 손목 위쪽의 전완 일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전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지지부와 상기 손목지지부와 상기 전완지지부는 구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링공을 투구시, 검지손가락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볼링공의 이동경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가이드는 볼러의 검지손가락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볼러의 검지손가락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볼링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링공을 투구할 시, 볼링공에 스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스핀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핀가이드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과 함께 볼링공의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연장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가이드의 연장부에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가이드의 절곡부에는 상기 볼링공의 구멍에서 인출되는 도중에 상기 볼링공의 회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링공 구멍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부와,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링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볼링공의 회전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다양한 볼 콘트롤의 구사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러의 손목을 고정 및 보호하여 손목 힘이 작은 사람도 안정적인 훅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내며, 이와 동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볼의 회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손목의 꺽임각을 고정함으로써 훅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는 물론 조립이 쉽고,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착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의 제1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100)는 볼러의 손과 볼링공 사이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되고, 볼링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11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볼러의 손목을 볼링공을 파지 및 볼링공의 외주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도록 안쪽으로 접거나 구부릴 시, 볼러의 손바닥 부분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손바닥지지부(111)와, 볼러의 손목 부분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손목지지부(112)와, 손목 위쪽의 전완 일부분에 밀착되게 형성된 전완지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손바닥지지부(111)와 손목지지부(112)와 전완지지부(113)는 구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에 되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완지지부(113)에는 볼러의 팔목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력을 갖는 밴드 형태의 고정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밴드부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벨크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러가 볼링공을 파지 및 투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본체(110)를 볼러의 손 위에 얹혀 놓고, 본체(110) 위에 볼링공을 얹힐 시, 볼링공이 본체(110) 내측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전완지지부(113)를 제외한 손바닥지지부(111)와 손목지지부(112)가 볼링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구형을 이룬다.
한편, 본체(110)에는 볼링공을 투구할 시, 볼링공의 무게로 인해 볼링공을 지지하는 볼러의 검지손가락이 꺾여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볼링공이 손 바깥쪽으로 이탈되거나 투구 동작시 볼링공의 이동경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이드(120)가 더 구비된다.
이탈방지가이드(120)는 볼러가 볼링공을 파지할 때, 볼러의 검지손가락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볼러의 검지손가락과 대응되는 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볼러의 손에 파지된 볼링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형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가이드(120)는 볼러의 엄지손가락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더 짧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100)는 볼러의 손 안쪽에 착용하여 본체(110)가 볼러의 손과 볼링공 사이에 위치하고, 볼러의 손바닥 및 손목 부분에 해당하는 본체(110)의 일부가 볼링공의 형태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링공을 안정적으로 파지 및 볼러의 손목을 고정 및 보호하여 투구 과정에서 볼링공의 자중에 의해 손목이 꺾이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투구 및 손목 힘이 작은 사람도 안정적인 훅 동작이 가능해 보다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100)는 볼러의 손바닥 및 손목 부분에 해당하는 본체(110)의 일부가 볼링공의 형태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링공을 투구하는 동작, 정확하게는 볼링공을 놓는 동작에서 볼러의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에 해당하는 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이 볼링공을 앞으로 더 밀어내는 효과를 가지므로 볼러의 엄지손가락이 볼링공의 구멍에서 더욱 신속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즉, 볼링공에 삽입된 볼러의 엄지손가락이 의도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볼링공으로부터 신속하게 빠지게 되므로 아직 볼링공의 구멍에서 빠지지 않은 볼러의 중지손가락 및 약지손가락을 통해 볼링공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고, 볼링공에 회전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100)는 이탈방지가이드(120)를 통해 볼링공의 이탈이 방지되어 볼러가 원하는 방향으로 볼링공의 투구가 가능하므로 초심자도 볼링공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200)는 본체(110)와, 이탈방지가이드(120)와, 스핀가이드(1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110)와 이탈방지가이드(12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100)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핀가이드(130)는 손가락 힘이 약한 볼러 또는 초심자가 볼링공을 투구할 시, 볼링공에 스핀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서,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과 대응되는 본체(110)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스핀가이드(130)는 연장부(131)와, 절곡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장부(131)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의 첫째마디까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중간마디까지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32)는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과 함께 볼링공의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13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핀가이드(130)는 볼러가 볼링공을 파지하기 위해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을 볼링공의 구멍에 삽입할 때 볼러의 중지손가락 및 약지손가락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 및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훅 동작시 볼링공에 스핀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300)는 본체(110)와, 이탈방지가이드(120)와, 스핀가이드(130)와, 손가락삽입부(140) 구비한다.
스핀가이드(130)의 연장부(131)에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140)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핀가이드(1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핀가이드(130)보다 길게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즉, 볼링공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구멍과, 중지손가락 및 약지손가락이 삽입되는 구멍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먼 거리에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손가락삽입부(140)는 엄지손가락 구멍과 존지 또는 약지손가락 구멍이 먼 거리에 위치하여 엄지손가락 구멍에 엄지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중지 및 약지손가락을 구멍에 끼울 수 없을 때, 보조적으로 스핀가이드(130)를 지지 및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스핀가이드(130)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볼링 투구 보조장치(400)는 본체(110)와, 이탈방지가이드(120)와, 스핀가이드(1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핀가이드(130)의 절곡부(13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 동작시 볼링공의 구멍에서 인출되는 도중에 볼링공의 회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볼링공 구멍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부(133)와,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굴곡부(134)가 형성된다.
돌기부(133)는 볼링공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절곡부(132) 내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며, 절곡부(132)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돌기부(133)는 복수가 절곡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돌기부(133)는 볼링공 구멍의 내주면에 마찰력을 높일 있도록 고무나 탄력적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부(133)는 절곡부(132)에 탈착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고무링 또는 고무 밴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볼러는 원하는 두께의 고무링 또는 고무밴드를 절곡부(132)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굴곡부(134)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및 약지손가락이 볼링공 구멍에서 완전히 빠진 상태에서도 볼링공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절곡부(132) 외측으로 단차지고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이 굴곡부(134)에 의해 절곡부(132) 전체 길이가 증가된다.
굴곡부(134)의 단부에는 볼링공 구멍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34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공 투구 보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볼링 투구 보조장치
110 : 본체
111 : 손바닥지지부
112 : 손목지집
113 : 전완지지부
120 : 이탈방지가이드
130 : 스핀가이드
131 : 연장부
132 : 절곡부
133 : 돌기부
134 : 굴곡부
140 : 손가락삽입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볼러의 손과 볼링공 사이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되고, 볼링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와;
    볼링공을 투구할 시, 볼링공에 스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스핀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볼러의 손목을 안쪽으로 구부릴 시, 볼러의 손바닥에 밀착되게 형성된 손바닥지지부와, 볼러의 손목에 밀착되게 형성된 손목지지부와, 손목 위쪽의 전완 일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전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지지부와 상기 손목지지부와 상기 전완지지부는 구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핀가이드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과 함께 볼링공의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되게 연장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가이드의 연장부에는 볼러의 중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가이드의 절곡부에는 상기 볼링공의 구멍에서 인출되는 도중에 상기 볼링공의 회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링공 구멍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부와, 곡선 형태로 구부러진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 투구 보조장치.
KR1020190078501A 2019-07-01 2019-07-01 볼링 투구 보조장치 KR10206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01A KR102066133B1 (ko) 2019-07-01 2019-07-01 볼링 투구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01A KR102066133B1 (ko) 2019-07-01 2019-07-01 볼링 투구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143A Division KR102078838B1 (ko) 2019-10-18 2019-10-18 볼링 투구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133B1 true KR102066133B1 (ko) 2020-01-13

Family

ID=6915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01A KR102066133B1 (ko) 2019-07-01 2019-07-01 볼링 투구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1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116Y1 (ko) * 1996-10-15 2002-11-23 김관영 볼링공의직진성과회전력을우수하게하는볼리용아데
KR101644007B1 (ko) 2014-05-12 2016-07-29 박종우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보조패드
KR101676317B1 (ko) 2016-04-27 2016-11-15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200485949Y1 (ko) 2016-01-07 2018-03-15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JP2018094366A (ja) * 2016-12-15 2018-06-21 耕太 川野 ボウリング補助手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116Y1 (ko) * 1996-10-15 2002-11-23 김관영 볼링공의직진성과회전력을우수하게하는볼리용아데
KR101644007B1 (ko) 2014-05-12 2016-07-29 박종우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보조패드
KR200485949Y1 (ko) 2016-01-07 2018-03-15 김종익 볼링용 손목보호대
KR101676317B1 (ko) 2016-04-27 2016-11-15 배성환 볼링용 손목 보호대
JP2018094366A (ja) * 2016-12-15 2018-06-21 耕太 川野 ボウリング補助手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868A (en) Detachable grip for elongated members
US7537525B2 (en) Golf training device
US4441711A (en) Wrist and ring finger support for bowler
JP3195549U (ja) ボールグローブ
US6059675A (en) Baseball batting system for abating accidental release of a bat from a player's hand following a swing
US5445566A (en) Bowling wrist and hand support
US11065518B2 (en) Handle grip control device
US4911728A (en) Throwing aid
US6482113B1 (en) Baseball batting system for abating accidental release of a bat from a player's hand following a swing
US5472190A (en) Racket handle grip
US2313979A (en) Swimming appliance
KR102066133B1 (ko) 볼링 투구 보조장치
KR102078838B1 (ko) 볼링 투구 보조장치
US3770270A (en) Bowling aid glove
US6299557B1 (en) Racket gripping device
US20150282539A1 (en) Bowling Glove and Wrist Brace with Laser Guide
KR20140051022A (ko) 콕킹용 골프장갑
US8870670B2 (en) Bowling fingers peripheral aid
KR101185615B1 (ko) 골프채용 보조그립
US20190133221A1 (en) Golf glove with airflow vents
US20150190699A1 (en)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199208B1 (en) Athletic wrist support
US20150202511A1 (en) Bunt training apparatus
KR20160025911A (ko) 골프 그립 미끄럼 방지구
KR101868367B1 (ko) 골프클럽의 그립 착탈식 휴대용 손가락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