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62B1 -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 - Google Patents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62B1
KR102065562B1 KR1020147023769A KR20147023769A KR102065562B1 KR 102065562 B1 KR102065562 B1 KR 102065562B1 KR 1020147023769 A KR1020147023769 A KR 1020147023769A KR 20147023769 A KR20147023769 A KR 20147023769A KR 102065562 B1 KR102065562 B1 KR 10206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tones
channel
bss
bs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170A (ko
Inventor
홍위안 장
용 리우
라자 바네르지
Original Assignee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인,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본은 OFDM 톤들을 포함하며 구성요소 채널들의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각각의 사본에서 OFDM 톤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사본의 사본들을 포함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LOW BANDWIDTH PHY TRANSMISSION IN A WIDER BANDWIDTH}
관련 출원에 관한 상호-참조들
이것은 그 개시가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되는, 2012년 2월 15일에 출원된, “보다 넓은 BW에서의 1MHz 송신”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제61/599,166호의 이득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히, 장거리 저 전력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제공된 배경 설명은 일반적으로 개시의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지명된 발명자들의 작업은, 본 배경 섹션, 뿐만 아니라 출원 시 종래 기술로서 달리 자격을 얻을 수 없는 설명의 양상들에서 설명되는 정도로, 본 개시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명확하게도 및 암시적으로도 허용되지 않는다.
기반시설 모드에서 동작할 때,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들)은 통상적으로 액세스 포인트(AP) 및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국들을 포함한다. WLAN들은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빠르게 진화해 왔다.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a, 802.11b, 802.11g, and 802.11n 표준들과 같은 WLAN 표준들의 개발은 단일-사용자 피크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여 왔다. 예를 들어, IEEE 802.11b 표준은 11 초당 메가비트들(Mbps)의 단일 사용자 피크 스루풋을 지정하고, IEEE 802.11a 및 802.11g 표준들은 54 Mbps의 단일 사용자 피크 스루풋을 지정하고, IEEE 802.11n 표준은 600 Mbps의 단일 사용자 피크 스루풋을 지정하며, IEEE 802.11ac 표준은 초당 기가비트들(Gbps) 범위에서 단일 사용자 피크 스루풋을 지정한다.
작업은 새로운 표준, IEEE 802.11ah에서 시작하였으며, 이것은 서브-1GHz 주파수들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 특정할 것이다. 저주파수 통신 채널들은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의 송신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더 양호한 전파 품질들 및 확장된 전파 범위들에 의해 특성화된다. 과거에, 서브 1 GHz 범위들은 그러한 주파수들이 다른 응용들(예를 들어, 인가된 TV 주파수 대역들, 라디오 주파수 대역 등)을 위해 확보되었기 때문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이용되지 않았다. 상이한 지리적 영역들 내의 상이한 특정 비인가된 주파수들과 함께, 비인가를 유지하는 서브 1 GHz 범위 내의 수개의 주파수 대역이 존재한다. IEEE 802.11ah 표준은 이용 가능한 인가되지 않은 서브-1 GHz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무선 동작을 특정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인, 상기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은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이다. 각각의 사본은 (i)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각각의 사본에서 복수의 OFDM 톤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단계 및 (i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는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coextensive)이다. 각각의 사본은 (i)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각각의 사본에서 복수의 OFDM 톤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것 및 (ii)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것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인, 상기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사본은 (i) 제 1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제 1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사본은 (i) 제 2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2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2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며, (i)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거나, 또는 (ii)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다. 방법은 또한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i) BSS 채널 내에서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제 1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 및 (ii)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제 2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은 BSS 채널의 상부 에지 또는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1 사본은 (i) 제 1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는 총괄하여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과 동연이다. 제 1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사본은 (i) 제 2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2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2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i)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이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거나, 또는 (ii)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저-주파수 데이터 턴을 가진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다 중 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통해,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i) BSS 채널 내에서의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제 1 사본을 송신하며 (ii)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제 2 사본을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은 BSS 채널의 상부 에지 또는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예시적인 채널화 기법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톤 맵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채널 내에서의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송신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채널 내에서의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또 다른 예시적인 송신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두 개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 회전들을 가진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송신들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지 데이터 톤의 수정을 가진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송신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지 및 하부-에지 데이터 톤들의 수정을 갖고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송신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 내에서의 복제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예시적인 송신들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 내에서의 복제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예시적인 송신들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의 액세스 포인트(AP)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국들에 송신한다. AP는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클라이언트 국들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서브-1 GHz 주파수 범위에서의 동작을 정의하며, 통상적으로 비교적 낮은 데이터 속도들을 가진 장거리 무선 통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사용된다. 제 1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ah 표준)은 본 명세서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지칭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는 물리 계층(PHY) 데이터 유닛들(“장거리 데이터 유닛들”)은 보다 높은 주파수의, 보다 짧은 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로서, IEEE 802.11n 및/또는 IEEE 802.11ac)에 따르는 “단거리” 데이터 유닛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지만, 보다 낮은 클록 레이트(예로서, IEEE 802.11n 또는 IEEE 802.11ac 신호를 다운클록함으로써)를 사용하여 발생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거리 데이터 유닛들의 예시적인 포맷들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359,336호, “장거리 WLAN을 위한 물리 계층 프레임 포맷”에 설명되며, 그 개시는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장거리 데이터 유닛들은, 다수의 서브캐리어들/톤들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다수의 채널 대역폭들(예로서, 일 실시예에서, 2 MHz, 4 MHz, 8 MHz, 및 16 MHz)을 가진 채널화 기법을 지원한다. 정의된 채널 대역폭들 중 하나와 동일한 대역폭을 가진 장거리 데이터 유닛들은 여기에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로서 불리운다.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또한 “저 대역폭 모드”를 특정하며, 여기에서 각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최소 채널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면,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2 MHz, 4 MHz, 8 MHz 및 16 MHz의 채널 대역폭들을 정의하는 일 실시예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은 각각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 대역폭을 차지하기 위해 64-포인트, 128-포인트, 256-포인트 또는 512-포인트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반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는 1 MHz 대역폭을 차지하기 위해 32-포인트 IFFT를 사용하여 발생된다. 저 대역폭 모드 통신들은 일반적으로 확장된 범위 통신들을 지원하는 감도 이득을 갖는 정상 모드 통신들보다 더 견고하다. 다양한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확장 범위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제어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또는 양쪽 모두를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예시적인 포맷들, 및 이러한 데이터 유닛들의 발생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366,064호, “WLAN을 위한 제어 모드 PHY” 및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494,505호, “WLAN을 위한 저 대역폭 PHY”에 설명되며, 그 개시들은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예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 및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 모두는 고정 OFDM 톤/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며,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각각의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 및 각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상부 및 하부 에지들에서의 사용되지 않는, “가드” 톤들의 수를 특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과 비교하여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상부 및/또는 하부 에지들에서의 보다 적은 가드 톤들을 특정한다.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수의 가드 톤들은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프론트-엔드 필터 요건들을 완화시킨다. 게다가, 보다 높은 대역폭들에서의 보다 엄격한 프론트-엔드 필터 요건들을 회피하기 위해, 보다 광범위한 대역폭 신호들이 일반적으로 보다 작은 대역폭 신호들보다 더 많은 수의 가드 톤들을 요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하나씩(예로서, 2 MHz 이상 채널 대역폭에서의 1 MHz 송신) 또는 2부로(예로서, 2 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에서 1 MHz 송신의,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둘 이상의 사본들 또는 복제품들),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 내에서 송신된다. 보다 광범위한 채널 대역폭들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복제를 이용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586,678호, “장거리 WLAN 데이터 유닛 포맷”에 설명되며, 그 개시는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과 비교하여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보다 작은 수의 상부-에지 및/또는 하부-에지 가드 톤들을 특정하기 때문에, 채널 내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임의의 위치 결정(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사본들)은 채널의 스펙트럼 마스크 요건들을 위반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사본들)은 특정한 세트의 규칙들에 따라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의 채널들 내에 위치되며, 및/또는 스펙트럼 마스크 요건들에 순응을 제공하기 위해 수정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AP(14)를 포함한 예시적인 WLAN(10)의 블록도이다. AP(1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에 결합된 호스트 프로세서(15)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세싱 유닛(18) 및 물리 계층(PHY) 프로세싱 유닛(20)을 포함한다. PHY 프로세싱 유닛(20)은 복수의 트랜시버들(21)을 포함하며, 트랜시버들(21)은 복수의 안테나들(24)에 결합된다. 3개의 트랜시버들(21) 및 3개의 안테나들(24)이 도 1에 예시되지만, AP(14)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수들(예로서, 1, 2, 4, 5 등)의 트랜시버들(21) 및 안테나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WLAN(1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국들(25)을 더 포함한다. 4개의 클라이언트 국들(25)이 도 1에 예시되지만, WLAN(10)은 다양한 시나리오들 및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수들(예로서, 1, 2, 3, 5, 6 등)의 클라이언트 국들(25)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국(25-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에 결합된 호스트 프로세서(2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MAC 프로세싱 유닛(28) 및 PHY 프로세싱 유닛(29)을 포함한다. PHY 프로세싱 유닛(29)은 복수의 트랜시버들(30)을 포함하고, 트랜시버들(30)은 복수의 안테나들(34)에 결합된다. 3개의 트랜시버들(30) 및 3개의 안테나들(34)이 도 1에 예시되지만, 클라이언트 국(25-1)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수들(예로서, 1, 2, 4, 5 등)의 트랜시버들(30) 및 안테나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클라이언트 국들(25-2, 25-3, 및 25-4) 중 하나, 몇몇, 또는 모두는 클라이언트 국(25-1)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클라이언트 국(25-1)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구조화된 클라이언트 국들(25)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의 트랜시버들 및 안테나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국(25-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지 2개의 트랜시버들 및 2개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만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AP(14)의 PHY 프로세싱 유닛(20)은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 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트랜시버(들)(21)는 안테나(들)(24)를 통해 발생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AP(14)의 PHY 프로세싱 유닛(20)은 일 실시예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수신된 저장 모드 데이터 유닛들 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유닛들은 안테나(들)(24)를 통해 트랜시버(들)(24)에 의해 수신된다.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5-1)의 PHY 프로세싱 유닛(29)은 또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 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트랜시버(들)(30)는 안테나(들)(34)를 통해 발생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5-1)의 PHY 프로세싱 유닛(29)은 실시예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수신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 및/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유닛들은 안테나(들)(34)를 통해 트랜시버(들)(30)에 의해 수신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예시적인 채널화 기법(60)의 다이어그램이다. 채널화 기법(60)은 실시예에서, WLAN(예로서, 도 1의 WLAN(10))에서 데이터 스트림 송신들을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채널화 기법(60)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도 1의 AP(14)로부터 클라이언트 국(25-1)으로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고, 및/또는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채널화 기법(60) 내에서, 다양한 상이한 시나리오들에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채널들(80)은 데이터 송신들을 위해 개별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보다 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2에 예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보다 적은 채널들(80)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인접한 채널들(80)이 채널(82)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들(80-1 및 80-2)은 채널(82-1)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채널들(80-3 및 80-4)은 채널(82-2)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4개의 인접한 채널들(80)이 채널(84)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들(80-1 내지 80-4)은 채널(84-1)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채널들(80-5 내지 80-8)은 채널(84-2)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8개의 인접한 채널들(80)이 채널(86)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들(80-1 내지 80-8)이 채널(86-1)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AP(예로서, 도 1의 AP(14))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를 수립할 때 구성요소 채널들(80) 중 하나 이상에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AP는 채널들(80) 중 하나를 “1차” 채널로서, 및 채널들(80) 중 하나 이상을 “2차” 채널로서 지정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우선순위 레벨들(“3차” 등)이 또한 다른 채널들(80)에 할당된다. 하나의 시나리오 및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채널(80-3)은 1차 채널로서 지정되고, 채널(80-4)은 2차 채널로서 지정되며, 채널들(80-1 및 80-2)은 부가적인 2차 채널들로서 또는 3차 채널들(또는 대역폭 4 MHz의 하나의 3차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 등)로서 지정된다. 할당된 1차, 2차 등의 채널들(80)은 실시예에서, 미디어 액세스 제어 목적들을 위해(즉, BSS 내에서의 데이터 송신들을 위한 이용 가능한 채널을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된다.
예시적인 채널화 기법(60)에서, 각각의 구성요소 채널(80)은 2 MHz의 대역폭을 갖고, 각각의 채널(82)은 4 MHz의 대역폭을 갖고, 각각의 채널(84)은 8 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채널(86-1)은 16 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채널(80)은 1 MHz, 5 MHz, 10 MHz, 20 MHz 등과 같은, 상이한, 적절한 대역폭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채널들(80, 82, 84, 및 86)의 가장 광범위한 이용 가능한 채널의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을 갖기 위해 AP(예로서, AP(14)) 또는 클라이언트 국(예로서, 클라이언트 국(25-1))에 의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장 광범위한 이용 가능한 채널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액세스 규칙들을 만족시키는 채널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임의의 BSS 채널은 AP가 1차 채널로서 지정되는(즉, 1차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면 어떤 송신도 허용되지 않음) 채널(80)을 포함해야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몇몇 실시예들에서, 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채널(80)은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또 다른 채널(80)이 비지(busy)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비지로서 처리된다(채널(80)이 비지인지 또는 유휴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1차, 2차 등의 채널 지정들을 사용한 예시적인 미디어 액세스 기술들이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034,409호, “복합 채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설명되며, 그 개시는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예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그것들의 OFDM 톤들이 BSS 채널의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즉, 채널들(80, 82, 84, 및 86)의 이용 가능한 채널과 동연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도록 발생되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그것들의 OFDM 톤들이 가장 좁은 채널(채널(80))의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차지하도록 발생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의 대역폭을 갖도록, 도 3 내지 도 10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및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1 MHz의 대역폭을 갖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예시적인 톤 맵(90)의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톤 맵(90)은 AP(14)의 PHY 프로세싱 유닛(20) 또는 도 1에서의 클라이언트 국(25-1)의 PHY 프로세싱 유닛(29)에 의해 발생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에 대응한다. 톤 맵(90)은 1 MHz 대역폭을 차지하기 위해 32-포인트 IFFT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에 대응한다.
톤 맵(90)은 로우-사이드 파일럿 및 데이터 톤들(92-1) 및 하이-사이드 파일럿 및 데이터 톤들(92-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톤 맵(90)은 톤들(92-1) 내에 12개의 로우-사이드 데이터 톤들 및 하나의 로우-사이드 파일럿 톤(예로서, 인덱스(-7)에서)을 포함하며, 톤들(92-2) 내에 12개의 하이-사이드 데이터 톤들 및 하나의 하이-사이드 파일럿 톤(예로서, 인덱스(+7)에서)을 포함한다. 톤 맵(90)은 또한 DC (널) 톤(94), 하부-에지 가드 (널) 톤들(96-1), 및 상부-에지 가드 (널) 톤들(96-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을 위한 톤 맵(9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수들의 데이터 톤들, 파일럿 톤들, DC 톤들,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또는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BSS 채널 내에서 2 이상의 횟수들로 복제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톤 맵(90)의 전체 세트의 데이터, 파일럿, DC, 및 가드 톤들이 2 MHz 이상의 BSS 채널 내에서 둘 이상의 인접한, 1 MHz 서브-대역들에서 복제된다. 톤 맵(90)의 32 데이터/파일럿/널 톤들을 가진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예를 들면, BSS 채널 내에서의 2 MHz 채널에서(예로서, 도 2에서의 채널들(80) 중 하나에서) 송신을 위해 2번 반복되는 일 실시예에서, 톤 맵(90)은 데이터 유닛의 제 1 사본의 톤 인덱스들(-16 내지 +15)이 2 MHz 송신 신호의 톤 인덱스들(-32 내지 -1)을 차지하며, 데이터 유닛의 제 2 사본의 톤 인덱스들(-16 내지 +15)이 2 MHz 송신 신호의 톤 인덱스들(0 내지 +31)을 차지하도록 복제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32-포인트 IFFT가 2 MHz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즉, 병렬 배열로)의 각각의 사본의 톤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64-포인트 IFFT는 2 MHz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사본들 양쪽 모두의 톤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BSS 채널 대역폭(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에 관계없이, BSS 채널의 각각 및 모든 1 MHz 서브-대역 내에서 복제된다. 도 4는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4 MHz BSS 채널(120) 내에서 복제된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110)의 예시적인 송신(100)의 다이어그램이다. 실시예에서, BSS 채널(120)은 도 2에서의 4 MHz 채널들(82) 중 하나와 동연이며, 도 1에서 AP(14) 및 클라이언트 국들(25) 사이에서의 통신들을 위해 이용된다. BSS 채널(120)은 “SB1” 내지 “SB4”로서 도 4에 지정된, 4개의 인접한, 1 MHz 서브-대역들을 포함한다.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110)은 전체 BSS 채널(120)을 차지하기 위해 4번 복제된다(즉, 4개의 저 대역폭 모드 사본들(110-1 내지 110-4)이 각각 SB1 내지 SB4를 차지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 사본(110)은 도 3의 톤 맵(90)과 동일한 톤 맵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단지 BSS 채널 내에서의 1차 채널 내에서만 복제된다(예로서, 도 1의 AP(14)에 의해 1차 채널로서 지정된 2 MHz 채널). 도 5는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 또는 시나리오에 따라, 4 MHz BSS 채널(170) 내에서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160)의 예시적인 송신(150)의 다이어그램이다. 실시예에서, BSS 채널(170)은 도 2에서의 4 MHz 채널들(82) 중 하나와 동연이며, 도 1에서의 클라이언트 국들(25) 및 AP(14) 사이에서의 통신들을 위해 이용된다.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160)이 BSS 채널(170)의 상부 2 MHz를 차지하기 위해 2회 복제되며, 여기에서 상부 2 MHz는 BSS의 2 MHz 1차 채널에 대응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 사본(160)은 도 3의 톤 맵(90)과 동일한 톤 맵을 가진다.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채널 내에서 복제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상 회전이 송신된 신호의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사본에 적용된다. 도 6은 두 개의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 따라, 상 회전들을 가진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각각, 210 및 220)의 예시적인 송신들(200A, 200B)의 다이어그램이다.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송신들(200A, 200B)은 도 1에서 AP(14)의 PHY 프로세싱 유닛(20) 또는 클라이언트 국(25-1)의 PHY 프로세싱 유닛(29)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이다. 예시적인 송신(200A)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및 시나리오와 유사한, 4 MHz BSS 채널의 모든 1 MHz 서브-대역에서 복제되는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제 1 사본(210-1)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c1)로 곱해지고, 제 2 사본(210-2)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c2)로 곱해지고, 제 3 사본(210-3)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c3)로 곱해지며, 제 4 사본(210-4)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c4)로 곱해진다. 실시예에서, c1 내지 c4의 각각은 포맷(exp(j*θn))을 가지며, 여기에서 θn는 제 n 번째 1 MHz 반복/복제를 위한 상 시프트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θn는 n*pi, n*pi/2, 또는 상이한 적절한 상 회전의 n 배와 같다.
예시적인 송신(200B)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2 MHz BSS 채널의 1 MHz 서브-대역들 양쪽 모두에, 또는 4 MHz 또는 그보다 넓은 BSS 채널의 2 MHz 1차 채널의 1 MHz 서브-대역들 양쪽 모두에 복제되는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사본(220-1)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d1)로 곱해지며 제 2 사본(220-2)의 각각의 톤은 상 회전 배수(d2)로 곱해진다. 실시예에서, d1 및 d2의 각각은 포맷(exp(j*θn))을 가지며, 여기에서 θn는 제 n 번째 1 MHz 반복/복제를 위한 상 시프트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θn는 n*pi, n*pi/2, 또는 상이한 적절한 상 회전의 n 배와 같다.
정상 모드 및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 양쪽 모두는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에서 프론트-엔드 필터링 요건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에지 및 하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도 3의 예시적인 톤 맵(90)에서, 예를 들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3개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96-1) 및 2개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96-2)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보다 큰 신호 대역폭들이 실질적으로 보다 엄격한 프론트-엔드 필터 요건들을 필요하게 만들지 않도록 훨씬 더 많은 수의 가드 톤들을 포함한다.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톤 맵(90)을 가진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에서의 하부-에지 및 상부-에지 가드 톤들의 수들은 표 1에 따른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된다.
Figure 112014080733516-pct00001
표 1
일반적으로, 프론트-엔드 필터들이 송신 채널의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주파수 응답을 갖는 실시예들에서, 보다 적은 가드 톤들을 가진 에지에서의 가드 톤들의 수(즉, 표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에지 가드 톤들의 수)는 프론트-엔드 필터링 요건들을 서술한다.
복제되거나 또는 복제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도 3의 톤 맵(90)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톤 맵을 가지며, 복제되거나 또는 복제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보다 넓은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보다 작은 수의 가드 톤들이 BSS 채널의 스펙트럼 마스크 요건들을 충족시키기에 너무 좁은 가드 대역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MHz 이상의 BSS 채널의 최고 1 MHz 서브-대역에 톤 맵(90)을 가진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을 배치하는 것은 단지 2개의 상부-엔지 가드 톤들만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것은 2 MHz 이상의 BSS 채널들에 대한 프론트-엔드 송신 및/또는 수신 필터들이 각각의 에지에서 3개 이상의 가드 톤들을 가진 데이터 유닛들만(즉, 표 1에 대하여, 2 MHz 이상의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 또는 각각의 에지에서 5개 이상의 가드 톤들을 가진 데이터 유닛들만(즉, 표 1에 대하여, 4 MHz 이사의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4 MHz 이상의 BSS 채널의 최저 1 MHz 서브-대역에 톤 맵(90)을 가진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을 배치하는 것은 단지 3개의 하부-엔지 가드 톤들만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것은 4 MHz 이상의 BSS 채널들에 대한 프론트-엔드 송신 및/또는 수신 필터들이 각각의 에지에서 적어도 5개의 가드 톤들을 가진 데이터 유닛들(즉, 표 1에 대하여, 4 MHz 이상의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만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2 MHz 이상의 BSS 채널의 각각의 1 MHz 서브-대역 내에서 복제되는 일 실시예에서, 톤 맵(90)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은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의 스펙트럼 마스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로 아웃되거나 또는 스케일 다운된다. 도 7 및 도 8은 톤 맵(90)과 유사한 톤 맵을 가진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각각 2 MHz BSS 채널 및 4 MHz BSS 채널 내에서 복제되며,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표 1에 따른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가드 톤들을 특정하는 시나리오들에 대응하는,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들을 도시한다.
도 7에서,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송신(300)은 2 MHz BSS 채널의 하부 1 MHz 서브-대역(SB1)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1 사본(310A), 및 2 MHz BSS 채널의 상부 1 MHz 서브-대역(SB2)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2 사본(310B)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사본(310A)은 도 3의 톤 맵(90)과 동일한 톤 맵을 가지며, 데이터 및 파일럿 톤들(312-1, 312-2)은 톤 맵(90)의 각각 데이터 및 파일럿 톤들(92-1, 92-2)에 대응하고, “DC” 톤(314)(더 이상 DC 톤으로서 기능하지 않는)은 톤 맵(90)의 DC 톤(94)에 대응하며, 가드 톤들(316-1, 316-2)은 톤 맵(90)의 각각 가드 톤들(96-1, 96-2)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이 실시예에서, 제 2 사본(310B)은 톤 맵(90)의, 각각, 데이터 및 파일럿 톤들(92-1, 92-2)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파일럿 톤들(322-1, 322-2), 톤 맵(90)의 DC 톤(94)에 대응하는 “DC” 톤(324)(또한 더 이상 DC 톤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및 톤 맵(90)의 각각, 가드 톤들(96-1, 96-2)과 유사한 가드 톤들(326-1, 326-2)을 가진다. 예시적인 송신(300)에서, 그러나, 데이터 및 파일럿 톤들(322-2)의 최고 주파수 톤(330)은 톤 맵(90)과 비교하여 수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톤(330)은 송신기에서 제로 아웃되며, 따라서 제 3 가드 (널) 톤은 상부-에지 가드 톤들(326-2)에 부가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톤(330)은 제로 아웃되지 않지만, 톤 맵(90)과 비교하여 송신기에서 전력이 스케일 다운된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2 MHz 송신(300)의 상부 1 MHz에서의 1 MHz 수신기의 디코딩 감도는 감소될 수 있다(예로서, 1 비트만큼). 몇몇 실시예들에서, 그러나, 감소된 코딩 감도의 효과는 단지 하나의 톤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및 에러 제어 코딩이 전체 데이터 유닛이 정확하게 디코딩되도록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다.
도 8에서,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송신(350)은 4 MHz BSS 채널의 제 1/최저 1 MHz 서브-대역(SB1)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1 사본(360A), 4 MHz BSS 채널의 제 2 번째 1MHz 서브-대역(SB2)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2 사본(360B), 4 MHz BSS 채널의 제 3 번째 1 MHz 서브-대역(SB3)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3 사본(360C), 및 4 MHz BSS 채널의 제 4 번째 1 MHz 서브-대역(SB4)에서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4 사본(360D)을 포함한다. 도 7이 각각의 복제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개개의 톤들을 도시하는 반면, 명료함을 위해, 도 8은 블록들(360) 주위 및 그 사이에서의 갭들에 의해 표현되는 각각의 복제된 데이터 유닛의 가드 톤들을 갖고, 각각의 복제된 데이터 유닛(360)의 데이터/파일럿/DC 톤들을 표현한 블록들만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사본(360B) 및 제 3 사본(360C) 각각은 도 3의 톤 맵(90)에 동일한 톤 맵을 가진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제 1 사본(360A) 및 제 4 사본(360D) 각각은 톤 맵(90)과 유사한 톤 맵을 가진다. 예시적인 송신(350)에서, 그러나, 제 1 사본(360A)의 두 개의 최저-주파수 톤들(362) 및 제 4 사본(360D)의 3개의 최고-주파수 톤들(364)은 송신기에서 제로 아웃되거나 또는 스케일 다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톤 맵(90)은 일반적으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 하에서 보다 넓은 채널들에 대한 스펙트럼 마스크 요건들을 위반하지 않고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적은 데이터 톤들이 도 7의 송신(300)의 에지(들)에서, 또는 도 8의 송신(350)의 에지(들)에서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다. 톤 맵(90)이 보다 많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어떤 톤들도 도 7의 송신(300)에서 수정되지 않으며(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 보다 적은 톤들이 도 8의 송신(350)에서 수정된다. 또 다른 예로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보다 엄격한 스펙트럼 마스크를 특정하고, 및/또는 표 1에 도시된 수들보다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더 많은 가드 톤들을 특정하는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톤들이 도 7의 송신(300)의 에지(들)에서, 및/또는 도 8의 송신(350)의 에지(들)에서 수정된다(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
사본의 톤들을 “스케일링” 또는 “제로화”하는 것에 대한 여기에서의 참조들은 간단히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의 특정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에 대하여 사본의 톤 맵을 나타낸다는 것이 주의된다. 따라서, 사본의 톤들을 스케일링하거나 또는 제로화하는 것에 대한 참조들은 반드시 사본이 먼저 발생되며, 그 후 톤들이 스케일링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스케일링된” 및/또는 “제로화된” 톤들을 가진 사본의 톤들은 그것들의 최종 형태로 직접 발생된다.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단지 단일 카피/사본이 2 MHz 이상의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규칙들의 세트에 따라 채널 내에 위치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 1 세트의 규칙들 하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예시하며 도 10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2 세트의 규칙들 하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예시한다. 도 9 및 도 10 양쪽 모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상부-에지 가드 톤들 보다 많은 하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대응한다(예로서, 실시예에서, 도 3의 톤 맵(90)에 따라). 게다가, 도 9 및 도 10 양쪽 모두는 각각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예로서, 도 1에서 AP(14) 및/또는 클라이언트 국(25-1))가 프론트-엔드 대역폭이 BSS 채널 대역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도록 그것의 프론트-엔드 필터들을 설정하는 실시예들에 대응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예시적인 송신(40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2 MHz BSS 채널의 하부 1 MHz 서브-대역에서 송신된다. 4 MHz, 8 MHz 또는 16 MHz BSS 채널에 대해,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2 MHz 1차 채널이 BSS 채널의 최저 2 MHz(주파수에서)를 차지하지 않는다면 2 MHz 1차 채널의 하부 1 MHz 서브-대역에 위치되며(예로서, 4 MHz BSS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400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2 MHz 1차 채널이 BSS 채널의 최저 2 MHz(주파수에서)를 차지하지 않는다면 2 MHz 1차 채널의 상부 1 MHz 서브-대역에 위치된다(4 MHz BSS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400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1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BSS 채널 내에서의 1차 채널의 위치에 관계없이(예로서, 2 MHz BSS 채널의 예시적인 송신(45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및 각각 하이 사이드 또는 로우 사이드에서 2 MHz 1차 채널을 가진 4 MHz BSS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송신들(450B, 450C)에서), 1차 채널의 하부 1 MHz 서브-대역(또는 단지 폭이 2 MHz이면, BSS 채널 자체의 하부 1 MHz 서브 대역)에서 송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그러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부 에지에서의 하나 이상의 톤들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BSS 채널의 최저 1 MHz 서브-대역에 위치될 때마다(예로서, 예시적인 송신(450C)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 송신기에서 제로 아웃되거나 또는 스케일 다운된다.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의 톤 맵(90)과 동일한 톤 맵을 가지며,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표 1에 따른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 가드 톤들을 특정하는 일 실시예에서, 최저 2개의 데이터 톤들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BSS 채널의 최저 1 MHz 서브-대역에 위치될 때마다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BSS 채널 내에서의 1차 채널의 위치에 관계없이, 1차 채널(또는 2 MHz BSS 채널)의 상부 1 MHz 서브-대역에서 대신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P(예로서, 도 1의 AP(14))는 BSS의 1차 채널뿐만 아니라, 복제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BSS에 대한 1차 채널의 하부 또는 상부 1 MHz 서브-대역에서 송신되는지 여부를 또한 클라이언트 국들(예로서, 도 1의 클라이언트 국들(25))에 알린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에서, BSS 내에서의 클라이언트 국들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이 송신될 주파수 대역들을 선험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라,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BSS 채널은 BSS 채널 대역폭(예로서, 실시예에서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을 가지며,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로부터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BSS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채널들 중 하나가 1차 채널로서 지정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방법(500)은 도 1에서, AP(14)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에 의해, 또는 클라이언트 국(25-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에 의해 구현된다.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송신될 다수의, 독립적인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의 각각에 대해 반복된다.
블록(510)에서,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 내에서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 사본들 중,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지 여부가 결정된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둘 이상의 사본들이 송신된다(예로서,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의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처럼).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단지 하나의 사본이 송신된다(예로서,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처럼). 따라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사본”)은 반드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둘 이상의 카피들이 송신될지 또는 송신되었는지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반드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둘 이상의 카피들이 발생될지 또는 발생되었는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각각의 사본은 복수의 OFDM 톤들/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한다(예로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각각의 사본은 도 3의 톤 맵(90)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OFDM 톤들을 가진다.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각각의 사본은 또한 가장 좁은 구성요소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예를 들면, 가장 좁은 구성요소 채널이 폭이 2 MHz인 일 실시예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은 1 MHz 대역폭을 가진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방법(500)은 또한, 블록(510) 내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제 2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서, 예를 들면, 방법(500)은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될지 및 제 2 사본이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될지를 결정한다.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이 결정된다면, 흐름은 블록(520)으로 진행한다.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송신 신호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을 포함하며, 그러므로 블록(510)에서 결정의 대상이 된 적어도 제 1 사본(잠재적으로 제 2 사본 등)을 포함한다.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것, 및/또는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이 결정되는 일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서, 예를 들면,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제 1 사본의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을 스케일 다운하는 것, 및/또는 제 1 사본의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의 제로 아웃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이 결정되는 일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서,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제 1 사본의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을 스케일 다운하는 것, 및/또는 제 1 사본의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을 제로 아웃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500)이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될 것이며 제 2 사본이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일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서,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제 1 사본의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 및 제 2 사본의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을 스케일 다운하거나 또는 제로 아웃하는 것을 포함한다(예로서, 도 8의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처럼).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데이터 톤들은, 다른 사본이 또한 BSS 채널의 에지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지 제 1 사본들 또는 단지 제 2 사본에서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들은 대칭적인 수의 상부- 및 하부-가드 톤들(예로서, 도 3의 톤 맵(90)에서처럼)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톤들의 스케일링 또는 제로화는 단지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서의 사본에 대해서만, 또는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서의 사본에 대해서만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사본들이 송신된다면,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상이한 상 회전 배수로 사본들의 각각의 사본을 곱하는 것을 포함한다(예로서, 도 6의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의 예시적인 송신(200A 또는 200B)에서처럼).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블록(520)에서의 송신 신호의 일부로서 발생된 사본들은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이다(즉, 전체 BSS 채널을 차지하며, 단지 BSS 채널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블록(520)에서 송신 신호의 일부로서 발생된 사본들은 총괄하여 BSS 채널 내에서 지정된 1차 채널과 동연이다.
블록(510)에서 제 1 사본이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되지 않을 것임이 결정된다면, 흐름은 블록(530)으로 진행한다. 블록(530)에서, 송신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된 송신 신호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을 포함하며, 그러므로 블록(510)에서의 결정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제 1 사본(및 잠재적으로 제 2 사본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블록(53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제 1 사본의 임의의 데이터 톤들을 스케일 다운하거나 또는 제로화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블록(530)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데이터 톤들을 스케일 다운하거나 또는 제로화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방법(500)은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블록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방법(500)은 블록(510) 이전에, 데이터 유닛이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인지 또는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인지가 결정되는 부가적인 블록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유닛이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임이 결정된다면, 흐름은 블록(510)으로 진행하지만, 데이터 유닛이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이라고 결정된다면,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 송신 신호는 방법(500)(또한 도 11에 도시되지 않음)의 또 다른 블록에서 발생된다.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은, 실시예에서, BSS 채널 대역폭과 같은 대역폭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32-포인트 IFFT를 사용하여 1 MHz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각각의 사본을 발생시키며(예로서, 블록(520) 및/또는 블록(530)에서), 64-포인트, 128-포인트, 또는 256-포인트를 사용하여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들을 발생시킨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라,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방법(600)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500)과 유사할 수 있으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사본들이 발생되며 송신되는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를 표현한다. BSS 채널은 BSS 채널 대역폭(예로서, 실시예에서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을 가지며, 총괄하여 BSS 채널과 동연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로부터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BSS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채널들 중 하나가 1차 채널로서 지정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방법(600)은 도 1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 또는 AP(14)에 의해, 또는 클라이언트 국(25-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에 의해 구현된다.
블록(610)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발생된다. 실시예에서, 제 1 사본은 복수의 OFDM 톤들을 포함하며(적어도 데이터 톤들,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BSS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제 1 사본은 수정되지 않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다(즉,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과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제 1 사본은 상부-에지 가드 톤들보다 많은 하부-에지 가드 톤들을 갖거나,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제 1 사본은 도 3의 톤 맵(90)을 가진다.
블록(620)에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2 사본이 발생된다. 실시예에서, 제 2 사본은 또한 복수의 OFDM 톤들을 포함하며(적어도 데이터 톤들,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BSS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진다. 일 시나리오에서, 실시예에서, 제 2 사본의 데이터 톤들은,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이 제 2 사본에 대해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블록(610)에서 발생된 제 1 사본의 데이터 톤들과 동일하다(예로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과 동일한).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이 실시예에서, 제 2 사본의 데이터 톤들은,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이 제 2 사본에 대해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블록(610)에서 발생된 제 1 사본의 데이터 톤들과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 따라, 최저- 또는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이 수정되는지 여부가 제 2 사본이 BSS 채널의 하부 또는 상부 에지에 위치되는지 여부에 의존하고, 및/또는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이 관련 에지에서 충분한 수의 가드 톤들을 갖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블록(630)에서, 송신 신호는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된다. 블록(630)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BSS 채널 내에서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제 1 사본을 송신하는 것 및 BSS 채널 내에서(예로서, BSS 채널의 두 개의 1 MHz 서브-대역들 내에서)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제 2 사본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이한 실시예들 및/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제 2 서브-대역은 BSS 채널의 상부 에지 또는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 블록(630)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구성요소 채널 내에 있는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1차 채널로서 지정되는, BSS 채널의 제 1 사본을 송신하는 것, 및 1차 채널로서 지정된 구성요소 채널 내에서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제 2 사본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 또는 도 8의 실시예 및 시나리오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일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 제 1 사본은 상부-에지 가드 톤들보다 더 많은 하부-에지 가드 톤들을 가지며, 제 2 사본의 데이터 톤들은 제 1 사본의 데이터 톤들과 동일하지만,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이 실시예 및 시나리오에서,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이를 통해 제 2 사본이 송신되는)이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600)은 보다 많은 사본들(제 3 사본, 또는 제 3 및 제 4 사본 등)이 발생되는 부가적인 블록들을 포함하며, 부가적인 발생된 사본들은 블록(630)에서 송신된 송신 신호의 일 부분이다. 이들 실시예들의 몇몇에서, 2개의 사본들(즉, 제 2 사본 및 제 3 사본)은 제 1 사본과 비교하여 데이터 톤들을 스케일링 및/또는 제로화함으로써 수정된다(즉,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 하나의 사본, 및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된 하나의 사본을 수정함으로써).
상기 설명된 다양한 블록들, 동작들, 및 기술들 중 적어도 몇몇은 하드웨어, 프로세서 실행 펌웨어 지시들, 프로세서 실행 소프트웨어 지시들,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실행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지시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때,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지시들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저장 매체 상에, RAM 또는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프로세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에서와 같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지시들은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디스크 또는 다른 수송 가능한 컴퓨터 저장 메커니즘 상에서 또는 통신 미디어를 통해를 포함하여, 임의의 알려진 또는 원하는 전달 방법을 통해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통신 미디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 또는 다른 수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지시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를 구체화한다. 용어(“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에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변경된 그것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통신 미디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와이어드 연결과 같은 유선 미디어 및 음향, 라디오 주파수,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미디어와 같은 무선 미디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지시들은 전화 라인, DSL 라인, 케이블 텔레비전 라인, 광섬유 라인, 무선 통신 채널, 인터넷 등(수송 가능한 저장 매체를 통해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호 교환 가능한 것으로 보여지는)과 같은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지시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될 때, 하드웨어는 이산 구성요소들, 집적 회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SIC)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특정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변경들, 추가들 및/또는 삭제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기본 서비스 세트(BSS;basic service set)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상기 BSS 채널과 동연(coextensive)인, 상기 방법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사본이 (i)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고 (ii)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사본에서 상기 복수의 OFDM 톤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단계 및 (i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 제 2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은 상기 BSS 채널 대역폭과 같은 대역폭을 갖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32-포인트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을 발생시키기 위해 64-포인트, 128-포인트, 또는 256-포인트 IFFT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둘 이상의 사본들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적어도 상기 제 1 사본 및 제 2 사본을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상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상기 하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 2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상기 상부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상기 제 1 사본 중 적어도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 및 상기 제 2 사본 중 적어도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단계, 또는 (ii) 상기 제 1 사본 중 적어도 상기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 및 상기 제 2 사본 중 적어도 상기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총괄하여 상기 BSS 채널과 동연인,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 중 하나의 채널은 1차 채널로서 지정되며,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총괄하여 상기 1차 채널과 동연인,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이한 상 회전 배수(phase rotation multiplier)로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의 사본을 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제 1 사본으로 이루어진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10.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사본들 중,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이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상기 BSS 채널과 동연이고,
    각각의 사본이 (i)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고 (ii)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사본에서의 상기 복수의 OFDM 톤들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톤들, 하나 이상의 파일럿 톤들, 및 하나 이상의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사본이 상기 BSS 채널의 에지에 위치될 것임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스케일 다운하는 것 및 (ii) 상기 제 1 사본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톤을 제로 아웃하는 것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은 상기 BSS 채널 대역폭과 같은 대역폭을 갖는, 상기 제 2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32-포인트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정상 모드 데이터 유닛을 발생시키기 위해 64-포인트, 128-포인트, 또는 256-포인트 IFFT를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둘 이상의 사본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적어도 상기 제 1 사본 및 제 2 사본을 포함하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총괄하여 상기 BSS 채널과 동연(coextensive)인,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 중 하나의 채널은 1차 채널로서 지정되며,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은 총괄하여 상기 1차 채널과 동연인,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이한 상 회전 배수로 상기 둘 이상의 사본들의 각각의 사본을 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상기 BSS 채널과 동연인, 상기 방법은,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사본은 (i) 제 1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의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제 1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사본은 (i)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의 상기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2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2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며,
    (i)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중 적어도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거나, 또는 (ii)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중 적어도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은, 상기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i) 상기 BSS 채널 내에서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1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 및 (ii) 상기 BSS 채널 내에서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2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SS 채널 내에서의 상기 제 2 서브-대역은 상기 BSS 채널의 상부 에지 또는 상기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의 채널은 1차 채널로서 지정되며, 상기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i) 상기 1차 채널 내에서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1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 및 (ii) 상기 1차 채널 내에서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2 사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는 상기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와 상이한,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는 상기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보다 크고;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중 적어도 상기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으며;
    상기 BSS 채널 내에서의 상기 제 2 서브-대역은 상기 BSS 채널의 상기 상부 에지에 위치되는, BSS 채널 내에서 송신될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21.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사본은 (i) 제 1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가 총괄하여 기본 서비스 세트(BSS) 채널 대역폭을 가진 BSS 채널과 동연이며,
    상기 제 1 복수의 OFDM 톤들이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사본을 발생시키는 것; 및
    상기 저 대역폭 모드 데이터 유닛의, 주파수에서의,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사본은 (i)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을 포함하며 (ii)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에서 상기 가장 좁은 채널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제 2 복수의 OFDM 톤들은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 제 2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 및 제 2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고-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거나, 또는 (ii)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톤들은 스케일 다운되거나 또는 제로 아웃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의 적어도 최저-주파수 데이터 톤을 가진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톤들과 같은, 상기 제 2 사본을 발생시키는 것;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i) 상기 BSS 채널 내에서의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1 사본을 송신하며 (ii) 상기 BSS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2 사본을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BSS 채널 내에서의 상기 제 2 서브-대역은 상기 BSS 채널의 상부 에지 또는 상기 BSS 채널의 하부 에지에 위치되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채널들의 세트의 채널은 1차 채널로서 지정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i) 상기 1차 채널 내에서 제 1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1 사본을 송신하며, (ii) 상기 1차 채널 내에서의 제 2 서브-대역을 통해 상기 제 2 사본을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BSS 채널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해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하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는 상기 제 1 세트의 상부-에지 가드 톤들에서의 톤들의 수와 상이한, 장치.
KR1020147023769A 2012-02-15 2013-02-15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 KR102065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9166P 2012-02-15 2012-02-15
US61/599,166 2012-02-15
PCT/US2013/026438 WO2013123395A1 (en) 2012-02-15 2013-02-15 Low bandwidth phy transmission in a wider bandwid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70A KR20140135170A (ko) 2014-11-25
KR102065562B1 true KR102065562B1 (ko) 2020-02-11

Family

ID=4784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769A KR102065562B1 (ko) 2012-02-15 2013-02-15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42311B2 (ko)
EP (1) EP2815531B1 (ko)
JP (1) JP6083684B2 (ko)
KR (1) KR102065562B1 (ko)
CN (1) CN104641588B (ko)
WO (1) WO2013123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1588B (zh) * 2012-02-15 2017-12-2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生成要在基本服务集信道内发送的信号的方法和装置
US9774481B2 (en) * 2012-04-05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pilot tones
JP6253642B2 (ja) 2012-05-24 2017-12-2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長距離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周波数領域複製
WO2015024229A1 (zh) * 2013-08-22 2015-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带宽选择方法及设备
US9648620B2 (en) * 2013-08-28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Tone allocation for multiple access wireless networks
US9717086B2 (en) * 2013-11-27 2017-07-25 Marvell World Trade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3162015B1 (en) 2014-06-27 2021-08-11 Techflux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unit
CN106664178B (zh) 2014-06-27 2020-06-02 泰科弗勒克斯公司 带宽信令
US10128917B2 (en) * 2014-09-16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one pl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S2904690T3 (es) * 2014-10-06 2022-04-05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datos en una unidad de recursos que incluye tono piloto en WLAN
US10321458B2 (en) * 2015-05-08 2019-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118296B1 (en) * 2015-09-10 2018-11-06 X Development Llc Tagged robot sensor data
US10225851B2 (en) * 2017-04-14 2019-03-05 Intel Corporation Multi-cast long range low power access point
US10278095B1 (en) 2017-10-26 2019-04-30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control of tightly spaced machines
US10735991B1 (en) * 2017-10-26 2020-08-04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communication with tightly spaced machines
EP3998753A1 (en) 2017-12-06 2022-05-18 Marvell Asia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s for vehicular environments
US11381959B2 (en) * 2018-01-12 2022-07-05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US10778392B2 (en) 2018-04-26 2020-09-15 Marvell Asia Pte, Ltd. Pilots for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US11665036B2 (en) 2019-04-09 2023-05-30 Marvell Asia Pte Ltd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physical layer data units in a composite communication channel in a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DE102022125829B3 (de) 2022-10-06 2024-01-04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m Steuern eines Roboters und Robot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9389B2 (ja) * 2003-12-19 2006-09-0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キャリア可変多重伝送装置
US7532565B2 (en) * 2004-05-07 2009-05-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pping data tones onto guard tones for a multi-band OFDM system
KR100735231B1 (ko) * 2004-11-11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톤 배치 방법 및 장치
EP1895703A1 (en) * 2006-07-05 2008-03-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ndwidth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OFDM and TDMA
WO2009012446A2 (en) 2007-07-18 2009-01-22 Marvell World Trade Ltd. Access point with simultaneous downlink transmission of independent data for multiple client stations
US8982889B2 (en) 2008-07-18 2015-03-17 Marvell World Trade Ltd. Preamble designs for sub-1GHz frequency bands
JP2012160774A (ja) * 2009-05-12 2012-08-23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
EP3182629B1 (en) * 2009-07-29 2019-09-04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wlan transmission
US8811203B1 (en) 2010-02-24 2014-08-19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mposite channel
CN101867550B (zh) * 2010-06-09 2013-03-20 清华大学 Ofdm系统中支持多业务的多媒体发送、接收方法及其装置
US9509391B2 (en) * 2010-09-08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feedback schemes for very high throughput wireless systems
US9119110B2 (en) * 2010-09-2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equest to send (RTS) and clear to send (CTS) for multichannel operations
JP5936280B2 (ja) 2011-01-28 2016-06-22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長距離無線lanの物理層フレーム形式
EP2671337B1 (en) 2011-02-04 2018-04-11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mode phy for wlan
US8625690B2 (en) 2011-03-04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US8774124B2 (en) * 2011-04-24 2014-07-08 Broadcom Corporation Device coexistence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9184969B2 (en) * 2011-04-24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Preamble for use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830815B2 (en) * 2011-05-19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television white space transmissions
WO2012162309A2 (en) 2011-05-26 2012-11-29 Marvell World Trade Ltd. Sounding packet format for long range wlan
JP6143016B2 (ja) 2011-06-15 2017-06-0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Wlanに用いる低帯域幅phy
US9131399B2 (en) 2011-08-15 2015-09-08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data unit format for WLAN
US9049155B2 (en) * 2011-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ual interpretation of a length field of a signal unit
JP5815873B2 (ja) * 2011-09-08 2015-11-17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バイスプロファイル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258178B2 (en) 2012-02-07 2016-02-09 Marvell World Trade Ltd. Pilot sequence design for long range WLAN
CN104641588B (zh) * 2012-02-15 2017-12-2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生成要在基本服务集信道内发送的信号的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 Roy, ‘ChangeClause 5 Changes’, IEEE 802.11-08/1375r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70A (ko) 2014-11-25
US20130208822A1 (en) 2013-08-15
JP6083684B2 (ja) 2017-02-22
CN104641588B (zh) 2017-12-29
US8942311B2 (en) 2015-01-27
JP2015512210A (ja) 2015-04-23
WO2013123395A1 (en) 2013-08-22
US9591490B2 (en) 2017-03-07
CN104641588A (zh) 2015-05-20
EP2815531A1 (en) 2014-12-24
US20150139157A1 (en) 2015-05-21
EP2815531B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562B1 (ko) 보다 넓은 대역폭에서의 저 대역폭 phy 송신
KR102133949B1 (ko) 장-거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주파수 영역 복제
US10986639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6624754B2 (ja) 通信チャネルを介した送信のためのデータユニッ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198817B1 (en) Short training field for wifi
US9350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hysical layer (PHY) mode of a data unit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112017003070T5 (de) Kanalbindungs-design und signalisierung in drahtloser kommunikation
US20160156491A1 (en) Multi-mode indication in subfield in a signal field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ata unit
KR101981693B1 (ko) 무선랜에서 트레이닝 필드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2126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3286355B (zh) 基于otfs-noma跨域传输系统中的功率分配方法
WO2024098316A1 (zh) Wi-Fi系统中PPDU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