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80B1 -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 Google Patents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780B1
KR102064780B1 KR1020180121772A KR20180121772A KR102064780B1 KR 102064780 B1 KR102064780 B1 KR 102064780B1 KR 1020180121772 A KR1020180121772 A KR 1020180121772A KR 20180121772 A KR20180121772 A KR 20180121772A KR 102064780 B1 KR102064780 B1 KR 10206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rt
short
control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7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G01R31/025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which has an output control module which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whether a port is shor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and the port of a charging module so as to block power output when the port is sho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can block the power output when the port is shorted without using a short blocking integrated circuit (IC) by using the output control module including a transistor switch and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connects an external device which requires power supply regardless of a charging function through the port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module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so as to supply the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even though the port is shorted and the power output is blocked.

Description

단락 감지 및 출력 제어 회로{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 모듈의 출력단과 포트 사이에 포트의 쇼트 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출력 제어 모듈을 구비하여 포트 쇼트 시 전원 출력을 차단하는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nd in particular, an output control module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a port is shor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and a port of a charging module, and thus, a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to block a power output when a port is shorted. It is about a circuit.

일반적으로 전압원에서 외부로 전원을 출력하는 구성의 경우, 외부로 전원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포트 등이 쇼트 등에 의해 문제가 발생되면 전원 출력이 불가능하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of outputting power from a voltage source to the outside, the output of the power is not possible if a problem occurs due to a short, for example, of an interface for outputting power to the outside.

특히, 차량에 내장되는 충전 모듈의 경우, USB 포트가 쇼트될 경우 충전 모듈에 연결된 다른 외부장치들까지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USB 포트가 쇼트되더라도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쇼트 차단용 IC를 별도로 추가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쇼트 차단용 IC를 별도로 구비시킬 경우 충전 모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arging module embedded in a vehicle, when the USB port is shorted, other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harging module may be affected. Moreover, even if the USB port is sh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it.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short blocking IC was added separately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when the short blocking IC is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harging module increases.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068호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09-0002068 한국등록특허 제10-1396177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96177

본 발명의 목적은 쇼트 차단용 IC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도 쇼트를 감지할 수 있는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 circuit detecting and output blocking circuit capable of detecting a short without separately using a short blocking IC.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제1 제어단, 상기 제1 제어단으로 입력된 입력신호와 상반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단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과, 상기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외부에 공급하는 포트, 상기 출력단과 상기 포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제어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포트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단의 전원을 단속하는 출력 제어 모듈, 및 상기 포트에서의 전원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단에 상반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module including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power, a first control terminal, and a second control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pposite to the in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And an output control port provid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ort for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output terminal supplied to the port by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The module may include a switch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is output from the 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단이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포트가 드레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제어단이 게이트에 접속된 FET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circuit sensing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FET in which the output control module is connected to a source, the port is connected to a drain, and the first control terminal is connected to a g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포트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제어단에 콜렉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는 접지되되, 상기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이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circuit sensing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port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wherein the collector is grounded,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ground. The resistor can be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FET를 포함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쇼트 차단용 IC를 사용하지 않고도 포트 쇼트 시 전원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The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power output at the time of the port short by using an output control module including a transistor switch and a FET without using a short blocking I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충전 모듈의 출력단과 출력 제어 모듈 사이에 포트를 통한 충전기능과 관련 없이 전원공급이 필요한 외부장치를 접속시켜, 포트가 쇼트되어 전원 출력이 차단되더라도 외부장치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ut-off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n external device that requires power supply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module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regardless of the charging function through the port, even if the port is shorted and the power output is cut off. The device may be power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pecific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정상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쇼트 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during short circuit of 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hor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Vout)과, 제1 제어단(CTRL_1), 상기 제1 제어단(CTRL_1)으로 입력된 입력신호와 상반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단(CTRL_2)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100)과,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외부에 공급하는 포트(200), 출력단(Vout)과 포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제어단(CTRL_1)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포트(200)로 공급되는 출력단(Vout)의 전원을 단속하는 출력 제어 모듈(300), 및 포트(200)에서의 전원 출력 여부에 따라 제2 제어단(CTRL_2)에 상반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40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short circuit detecting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signal Vout for outputting power,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nd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 charging module 100 including a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pposite to that of the output signal, a port 200 for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o the outside, an output terminal Vout, and a port 200. ) And an output control module 300 intermittently intercepting the power of the output terminal Vout supplied to the port 200 by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nd the power at the port 200. And a switch 400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according to the output.

충전 모듈(100)은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원으로서, 본 실시예는 충전 모듈(100)이 차량에 내장된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모듈(100)은 차량 등에 내장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 모듈(100)은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Vout)과, 제1 제어단(CTRL_1), 및 제2 제어단(CTRL_2)을 포함한다.The charging module 100 is a voltage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an external device, and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charging module 100 is embedded in a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modul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without being embedded in a vehicle. The charging module 100 includes an output terminal Vout for outputting power, a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nd a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제1 제어단(CTRL_1)은 출력 제어 모듈(300)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충전 모듈(100)에 내장된다. 또한, 제1 제어단(CTRL_1)은 제2 제어단(CTRL_2)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1 제어단(CTRL_1)은 제2 제어단(CTRL_2)을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와 상반되는 신호가 출력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충전 모듈(100)의 내부 알고리듬을 통해 이루어지며, 제1 제어단(CTRL_1)에서 출력된 출력신호는 출력 제어 모듈(300)에 입력된다.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and is embedded in the charging module 100.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is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Herein,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outputs a signal opposite to the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as an output signal. This is done through an internal algorithm of the charging module 100, and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제2 제어단(CTRL_2)은 스위치(400)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1 제어단(CTRL_1)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제2 제어단(CTRL_2)은 스위치(400)에서 출력되어 자신에게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알고리듬 처리 모듈에 전달하여, 내부 알고리듬을 통해 제1 제어단(CTRL_1)이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controls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400. To this end,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transmits a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400 to the algorithm processing module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internal algorithm. .

포트(200)는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외부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포트(200)로 USB 포트(200)를 예시한다. USB 포트(200)는 VBUS, D-, D+, GND를 포함하는 4개 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D-와 D+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며, 전원은 VBUS를 통해 출력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트(200)는 USB 포트(200)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출력 포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포트(200)는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면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port 200 is for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o an external device. The embodiment illustrates the USB port 200 as the port 200. The USB port 200 consists of four pins including VBUS, D-, D +, and GND. Here, D- and D + are for data transmission, and power is output through VBU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rt 200 may include an output port 200 of various interfaces in addition to the USB port 20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 200 does not limit the type of interface as long as it can output power.

출력 제어 모듈(300)은 충전 모듈(100)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포트(200) 전달을 제어한다. 이는 제1 제어단(CTRL_1)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가 출력 제어 모듈(300)에 입력되면, 출력 제어 모듈(300)은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포트(200)에 전달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출력 제어 모듈(300)이 제1 제어단(CTRL_1)에서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Vout)에서 포트(200)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1 제어단(CTRL_1)에서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Vout)에서 포트(200)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서, 출력 제어 모듈(300)은 제1 제어단(CTRL_1)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스와 드레인을 도통시키거나 단락시키는 게이트가 구비된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한다.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controls the transfer of the port 200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harging module 100. When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transmits or cuts of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o the port 200. can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blocks the output of the power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o the port 200, and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When the high signal is input, an example is such that power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to the port 200. To this end,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includes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having a gate for conducting or shorting a source and a drain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스위치(400)는 포트(200)의 쇼트 여부에 따라 충전 모듈(100)의 제2 제어단(CTRL_2)에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400)는 포트(200)로부터 포트(200)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터와 콜렉터를 도통시키거나 단락시키는 베이스를 구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포트(200) 신호가 하이 신호일 경우, 스위치(400)의 베이스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터와 콜렉터가 도통되어 제2 제어단(CTRL_2)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포트(200) 신호가 로우 신호일 경우, 스위치(400)의 베이스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터와 콜렉터가 도통되지 않으므로 제2 제어단(CTRL_2)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스위치(400)와 접지 사이, 즉, 스위치(400)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R)이 구비된다.The switch 400 allows a high signal or a low signal to be applied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of the charging module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port 200 is shorted. To this end, the switch 400 includes a transistor having a base for receiving the port 200 signal from the port 200 to conduct or short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Accordingly, when the signal of the port 200 is a high signal, when the high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 400,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are turned on so that the low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In addition, when the signal of the port 200 is a low signal, when the low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 400,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do not conduct, so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Here, the resistor R is provided between the switch 400 and the ground, that is,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ground of the switch 400.

한편, 본 발명은 충전 모듈(100)에 광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제어단(CTRL_2)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거나 제1 제어단(CTRL_1)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될 경우 포트(200)가 쇼트 상태인 것이므로 이를 광원으로 알릴 수 있다. 물론, 광원 이외에 음향으로 이를 알릴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차량 내 스피커를 이용하거나 충전 모듈(100) 등에 별도로 스피커가 추가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in the charging module 100. In this case, when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or a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the port ( Since 200 is in a short state, it can be notified to the light sourc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light source may be informed of this, in this case, the speaker in the vehicle or the charging module 100, etc., the speaker must be added separately.

한편, 본 발명은 충전 모듈(100)과 출력 제어 모듈(300) 사이에 충전 모듈(100)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가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100)과 출력 제어 모듈(300) 사이에 센서 모듈이 접속된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receiving power from the charging module 1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harging module 100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between the charging module 100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as shown.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차량의 경우, 포트(200)와는 관련 없이 작동해야 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센서 모듈을 출력 제어 모듈(300) 이전에 출력단(Vout)과 접속시킴으로써 포트(200)의 쇼트 유무와 상관없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센서 모듈이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센서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센서 모듈 외의 외부장치를 출력단(Vout)과 출력 제어 모듈(300) 사이에 연결할 수도 있다.The sensor modu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ehicle, may include a sensor that must operate without regard to the port 20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nsor module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before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regardless of the short of the port 200. Meanwhile, although the sensor module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n the drawing,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nect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sensor module between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2 and 3 are circuit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output b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는 도 2를 참조하면, 포트(200)에 외부기기가 접속되면, 전압원인 충전 모듈(100)은 출력단(Vout)을 통해 전원을 출력한다. 이때, 포트(200)에서 쇼트가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전원이 포트(200)를 통해 외부기기로 출력되면, 포트(200)와 접속된 스위치(400)의 베이스에 하이 신호가 입력된다(①). 스위치(400)의 베이스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400)의 이미터와 콜렉터가 도통되고, 충전 모듈(100)의 제2 제어단(CTRL_2)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신호로 입력된다(②). 이후, 충전 모듈(100)의 내부 알고리듬에 의해 제1 제어단(CTRL_1)에는 제2 제어단(CTRL_2)과 상반되는 신호, 즉, 하이 신호가 출력신호로 출력된다. 제2 제어단(CTRL_2)과 게이트가 접속된 출력 제어 모듈(300)은 게이트에 하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소스와 드레인이 도통되며, 충전 모듈(100)의 출력단(Vout)으로 출력된 전원이 출력 제어 모듈(300)을 통해 포트(200)에 전달되도록 한다(③). 또한, 이에 따라, 포트(200)에 접속된 외부기기는 충전 모듈(100)의 출력단(Vout)으로 출력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rt 200, the charging module 100, which is a voltage source, outputs power through an output terminal Vout. At this time, if a short is not generated in the port 200 and the power is normally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ort 200, the high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 400 connected to the port 200 (①). When the high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 400,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of the switch 400 are turned on, and the low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of the charging module 100 as an input signal (②). . Subsequently, a signal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that is, a high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by an internal algorithm of the charging module 100 as an output signal. In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having the gat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the source and the drain become conductive as the high signal is input to the gate, and the power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harging module 100 is output.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 200 through the control module 300 (③).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 200 may receive the power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harging module 100.

도 3을 참조하면, 포트(200)에 쇼트가 발생될 경우, 충전 모듈(100)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된 전원이 포트(200)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포트(200)와 접속된 스위치(400)의 베이스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400)의 이미터와 콜렉터는 도통되지 않는다(①). 이 경우, 스위치(400)의 콜렉터와 접속된 제2 제어단(CTRL_2)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신호로 입력된다(②). 이후, 충전 모듈(100)의 내부 알고리듬에 따라 제1 제어단(CTRL_1)에는 제2 제어단(CTRL_2)과 상반되는 로우 신호가 출력신호로 출력된다. 제1 제어단(CTRL_1)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되면, 제1 제어단(CTRL_1)과 접속된 출력 제어 모듈(300)의 베이스가 로우 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베이스에 로우 신호를 인가받은 출력 제어 모듈(300)은 소스와 드레인이 도통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충전 모듈(100)의 출력단(Vout)에서 포트(200)로 전원이 출력되지 못하게 한다(③). 또한, 제2 제어단(CTRL_2)으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거나 제1 제어단(CTRL_1)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될 경우 충전 모듈(100)의 광원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 사용자가 포트(200) 쇼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short occurs in the port 200,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harging module 100 is not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port 200. In addition, a low signal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 400 connected to the port 200, so that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of the switch 400 are not conductive (①). In this case,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switch 400 as an input signal (2). Thereafter, a low signal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is output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a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an internal algorithm of the charging module 100. When the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the base of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receives the low signal. The output control module 300 receiving the low signal at the base does not conduct the source and the drain, thereby preventing power from being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charging module 100 to the port 200 (③). In addition, when the high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CTRL_2 or the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CTRL_1, the user turns on the short of the port 200 by turning on or blinking the light source of the charging module 100. Make it recogniz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 스위치와 FET를 포함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쇼트 차단용 IC를 사용하지 않고도 포트 쇼트 시 전원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모듈의 출력단과 출력 제어 모듈 사이에 포트를 통한 충전기능과 관련 없이 전원공급이 필요한 외부장치를 접속시켜, 포트가 쇼트되어 전원 출력이 차단되더라도 외부장치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control module including the transistor switch and the FET can be used to block the power output when the port is shorted without using the short blocking IC.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module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at requires power supply regardless of the charging function through the port, so that even if the port is shorted and the output of the power is cut off, the external device can be supplied power.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xemplified a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not explicitly described by describing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is also to be recognized.

100: 충전 모듈 200: 포트
300: 출력 제어 모듈 400: 스위치
R: 저항 Vout: 출력단
CTRL_1: 제1 제어단 CTRL_2: 제2 제어단
100: charging module 200: port
300: output control module 400: switch
R: Resistance Vout: Output
CTRL_1: first control stage CTRL_2: second control stage

Claims (3)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제1 제어단, 상기 제1 제어단으로 입력된 입력신호와 상반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단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과,
상기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외부에 공급하는 포트,
상기 출력단과 상기 포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제어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포트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단의 전원을 단속하는 출력 제어 모듈, 및
상기 포트에서의 전원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단에 상반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
A charging module including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power, a first control terminal, and a second control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pposite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trol terminal;
A port for supplying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to the outside;
An output control modul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ort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output terminal supplied to the port by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 terminal, and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opposed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 is output from th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단이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포트가 드레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제어단이 게이트에 접속된 FET를 포함하는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includes a FET having the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source, the port connected to a drain, and the first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a g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포트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제어단에 콜렉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는 접지되되, 상기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는 저항이 접속된 단락 감지 및 출력 차단 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witch includes a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port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terminal,
The collector is grounded, but a short-circuit sensing and output blocking circuit having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and ground.
KR1020180121772A 2018-10-12 2018-10-12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KR102064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72A KR102064780B1 (en) 2018-10-12 2018-10-12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72A KR102064780B1 (en) 2018-10-12 2018-10-12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780B1 true KR102064780B1 (en) 2020-01-10

Family

ID=6915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72A KR102064780B1 (en) 2018-10-12 2018-10-12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7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6053A (en) 2014-01-28 2017-02-23 広東欧珀移動通信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050459A (en) 2014-01-28 2018-03-29 広東欧珀移動通信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charger and power supply adapter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6053A (en) 2014-01-28 2017-02-23 広東欧珀移動通信有限公司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050459A (en) 2014-01-28 2018-03-29 広東欧珀移動通信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charger and power supply adapter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113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USB interface and USB communication activation method
US9182799B2 (en) USB OTG device with power mode switch function
EP3148031B1 (en) Bus interfaces with unpowered termination
US9018798B2 (en) Power supply circuit
US20100045117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power source and power unit using same
US9183162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debugged via earphone port
US20060015670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f a peripheral unit to a host system
US20130313914A1 (en) Control circuit for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8520350B2 (en) Protection circuit for digital integrated chip
US9966757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7840743B2 (en) Double network physical isolation circuit
US8476960B1 (en) Identifying circuit
US9148014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TW201308058A (en) Computer motherboard and voltage adjustment circuit
US9448578B1 (en) Interface supply circuit
KR102064780B1 (en) Short-circuit detection and output control circuit
US20140334112A1 (en) Motherboard with connector compatible with different interface standards
US9627901B2 (en) Charging circuit
CN107147284A (en) A kind of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ic power system
US20120250235A1 (en) Interface module with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347063A1 (en) Fan test device
US10615550B2 (en) Earphone recognition and connection methods and circuits and storage medium
CN111404538B (en) Connection circuit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CN111595212B (en) Communication demodulation circuit of electronic detonator, electronic detonator chip and electronic detonator system
US9490622B2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for expansion c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