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403B1 -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403B1
KR102064403B1 KR1020180006347A KR20180006347A KR102064403B1 KR 102064403 B1 KR102064403 B1 KR 102064403B1 KR 1020180006347 A KR1020180006347 A KR 1020180006347A KR 20180006347 A KR20180006347 A KR 20180006347A KR 102064403 B1 KR102064403 B1 KR 10206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al
traditional market
uni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498A (ko
Inventor
이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이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이강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Priority to KR102018000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75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5Utilities, e.g. electricity, gas or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는,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들이 설치되고, 비상시 분전함을 통해 상기 상시 가전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전기 설비부; 및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와는 별도로 구성 및 운영되며,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단속 전기제품들로 그루핑 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는 신규 전기 설비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TRADITIONAL MARKET FIR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들이 설치되고, 비상시 분전함을 통해 상기 상시 가전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전기 설비부 및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와는 별도로 구성 및 운영되며,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단속 전기제품들로 그루핑 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는 신규 전기 설비부를 포함하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설 연휴 전인 2017년 1월 15일 여수 수산시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여 점포 4곳이 전소되는 등 1층 120개 점포 중 116개가 화재피해를 입었다.
새벽 시간이라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불은 순식간에 번져 한 시간도 안 돼 시장 전체로 확산되었다.
이번 사고는 대구 서문시장 화재(2016. 11. 30.)에 이어 한 달 만에 또 다시 대형 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대구 서문시장은 10년 전인 2005년 12월 29일에도 대형화재가 발생하여 1,220여 개 점포를 불태우고 187억여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내었다.
전통시장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대형화재로 확대되어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함으로써, 지역 상인들의 생계수단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전통시장에서의 화재는 대부분 철시 후 심야 시간대(22시~04시)에 발생(32%) 하였으며, 화재원인은 전기적 요인(50%), 개인 부주의(24%) 순으로 집계 되었다.
이는 점포 마다 안정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문어발처럼 마구 설치해 사용하고 있는 전기시설로 인한 것으로, 특히 멀티 플러그에 무질서하게 연결된 조명기구와 전열기구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하였다.
또한 전통시장은 미로 형 골목에 소규모 점포가 밀집된 형태로 노후시설(소방, 전기, 가스 등)의 관리가 미흡하고, 상인들의 안전의식 부족 등으로 인해 화재발생이 높은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전기 및 가스 시설의 관리는 화재 초기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사전에 계획된 바에 따라 철저한 유지 관리가 요청되고 있지만, 현실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632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들이 설치되고, 비상시 분전함을 통해 상기 상시 가전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전기 설비부 및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와는 별도로 구성 및 운영되며,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단속 전기제품들로 그루핑 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는 신규 전기 설비부를 포함하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는,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들이 설치되고, 비상시 분전함을 통해 상기 상시 가전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전기 설비부; 및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와는 별도로 구성 및 운영되며,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단속 전기제품들로 그루핑 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는 신규 전기 설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는,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운영하는 점포들의 화재 관리를 원격에서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수행하는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 또는 점포주들이 소지한 이동단말을 통해 자동 전송되며,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는, 상기 상시 가전제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일반 콘센트; 및 상기 상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차단을 제어하는 일반 분전함;을 포함하고,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는,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를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도록 명령하는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이 그루핑되도록 상기 단속 전기제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 및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와 상기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가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속 전기제품으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해 주는 분전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는,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 및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이 한 세트로 구성되며,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1 : 1 대응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는, 점포주들이 혼동 없이 단속 전기제품들 만을 그루핑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특정 색깔이 도색된다.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의 신규 전기 설비부를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설치하고, 필요시 원격으로 전원들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감지와 조치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전기설비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신규 전기설비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의 색상 및 단속 전기제품들의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에의 전기적 접속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전기설비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신규 전기설비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의 색상 및 단속 전기제품들의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에의 전기적 접속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1000)는 전통시장 전기 설비부(100),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 및 사용자 이동단말(300)을 포함한다.
우선 전기 설비부(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대로, 기존 전기 설비부(100a) 및 신규 전기 설비부(100b)를 포함하며, 이들은 전기제품의 사용 목적, 사용 형태, 화재 단속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서로 구분되어 설치됨에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기존 전기 설비부(100a)는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이를테면, 냉장고, 정수기 등)과, 상기 상시 가전제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일반 콘센트(미 도시) 및 상기 상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차단을 제어하는 일반 분전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면 신규 전기 설비부(100b)는 도 2b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100a)와는 별도로,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110), 분전함(120) 및 단속 전기제품부(130)를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며,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1 : 1 대응하여 설치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원격 제어 방식으로 점포별 설치된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기적 연결을 일괄 차단하여 점포별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110)는 전통시장의 점포에 설치된 단속 전기제품부(130)의 과열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또는 화재발생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외부의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300)로부터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원격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상기 분전함(120)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분전함(120)에 연결된 모든 단속 전기제품부(1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분전함(120)은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분전함(120)에 연결된 모든 단속 전기제품부(1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해 준다.
단속 전기제품부(130)는 제1 단속 전기제품(130-1) ~ 제N 단속 전기제품(130-N)을 포함하며, 도 2c에 도시된 바대로,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13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테면, 제1 단속 전기제품(130-1)으로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고, 제2 단속 전기제품(130-2)으로 전기 스토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3 단속 전기제품(130-3)으로 전기 밭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은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130b)의 각각의 코드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단속 전기제품들은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전기 제품으로서, 점포주들이 실수로 이들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 자칫 과열로 인한 화재를 일으킬 소지가 있어서 외부의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300)을 통해 원격으로 단속이 이루어지는 전기제품을 의미한다.
한편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130b)는 점포주들이 혼동 없이 단속 전기제품들 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특정 색깔(이를테면, 연두색, 붉은색 등)이 도색된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멀티 또는 낱개의 코드 선을 꽂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점포주들이 혼동 없이 단속 전기제품들 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130b)에 알림 표시판(전기적, 물리적 형태 포함)을 부착하고, 알림 표시판에 단속 전기제품의 종류, 사용 목적, 사용 시 주의 사항 등을 게시하여 점포주가 올바른 사용을 유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은 전통시장의 점포별 또는 점포 주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들(미도시) 또는 카메라 모듈(미도시)로부터 각종 화재 감지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 판단 등을 하고, 화재 판단 시 일정한 형태의 화재처리 패킷을 외부(이를테면, 점포주, 소방서, 보험회사 등)로 제공하여 전통시장의 화재 발생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알람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사용자 이동단말(300)은 전통시장의 점포주가 소지한 이동단말로,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으로 상기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하는데, 이를테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를테면, 점포주가 소지한 스마트 폰에 전통시장 화재 예방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전통시장 화재 예방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신규 전기 설비부(100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화재 발생 시 점포별 위치를 추적하여 화재가 발생된 점포에 설치된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110)로 차단 신호를 전송하여 단속 전기제품부(130)로의 전원 공급을 일체로 차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은 감지신호 수신부(210), 통신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화재 판단부(240), 경보 발생부(250), 유지보수 관리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감지신호 수신부(210)는 전통시장의 점포별 또는 점포들 간의 이웃 주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들(미도시) 또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감지한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화재감지 센서들(미도시)은 이를테면, 열 감지센서, 온도 감지센서, 불꽃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열 감지센서는 화재 보호 구간 내의 화재 발생 시 열을 감지하는데, 이를테면 차동식 스포트형 주소형 열감지기 또는 정온식 스포트형 주소형 열감지기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동식 스포트형 주소형 열감지기는, 감지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1 NTC 서미스터와, 감지기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2 NTC 서미스터를 구비하는 화재센서, 경계구역에 설치되는 감지구역 단위의 감지기 번호를 2진화 10진수 입력방식으로 01~99까지 중 하나의 주소로 설정하는 딥스위치(Dip switch) 및 상기 딥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주소인 감지기 번호를 내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재발생 감지나 비화재보 발생의 이벤트 발생시, 연결 접속된 해당 회로 루프를 통해 화재발생 감지나 비화재보의 신호를 주소형 수신기로 전송하여 경계구역 번호를 알리고, 이후 주소형 수신기로부터 감지기의 주소를 요청하는 카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감지기 번호의 주소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온도 감지센서는 화재 보호 구간 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불꽃 감지센서는 화재 보호 구간 내의 화재 발생 시 불꽃을 감지하며, 연기 감지센서는 화재 보호 구간 내의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는데, 이를테면 광전식 스포트형 주소형 연기감지기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또는 점포들 간의 이웃 주변에 공동으로 설치되며, 이를테면 PTZ 돔 카메라(Pan /Tilt/ Zoom dome camera)의 팬/틸트/줌 기능을 통해 넓은 구역의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은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200)로 실시간 전송된다.
다음으로, 통신부(220)는 외부의 전통시장 전기 설비부(100)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300)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사물인터넷(IoT)은 기 존재하는 혹은 향후 등장할 상호 운용 가능한 정보 기술 및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리 및 가상 사물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서,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글로벌 스케일의 인프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이하 'WSN') 기술과 함께 발전하였다.
여기서 WSN 기술은 컴퓨팅 능력과 무선 통신 능력을 갖춘 센서노드를 응용 환경에 배치하여 자율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센서 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무선으로 수집하여 감시/제어 등의 용도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WSN 기술의 궁극적 목표는 모든 사물에 컴퓨팅 능력 및 무선통신 능력을 부여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물들끼리의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는 것으로, 현재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면서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를 위한 기반 기술로는, 이를테면 근거리 통신, WiFi, 3G/4G/LTE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디바이스가 인터넷 연결을 기반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IP 방식의 프로토콜과는 달리, I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디바이스 간 통신은, 이를테면 블루투스, ZigBee, RFID, ZWave, WAVENIS, INSTEON, 6LowPAN 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저장부(230)는 감지신호 수신부(210), 화재 판단부(240), 유지보수 관리부(260) 및 제어부(270)를 통해 처리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240)는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한 화재 감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로 판단된 경우 일정한 형식의 화재처리 패킷을 제공한다.
이 경우 화재처리 패킷은 화재발생 위치정보 및 개별 연락처별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전통시장의 점포주가 소지한 사용자 이동단말(300)로 자동 전송된다.
화재발생 위치정보는 이를테면, 화재가 발생한 전통시장의 점포 주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개별 연락처별 데이터 정보는 이를테면, 연락처별 ID, 연락처의 PSTN 및 LTE 통신 번호, 음성 데이터 인덱스, 메시지 데이터 인덱스, 및 옵션 데이터 인덱스와 사용자 할당 영역(reserved are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락처별 ID는 연락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연락 우선순위의 일련번호로 부여될 수도 있다.
경보 발생부(250)는 상기 화재 판단부(240)로부터 생성되는 화재 경보를 상기 화재처리 패킷 형태로 전통시장의 점포주가 소지한 사용자 이동단말(300)로 자동 전송하여 알람(alarm)을 발생 시킨다.
유지보수 관리부(260)는 화재 관리 대상이 되는 전통시장 점포별로,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100b)의 설치 현황, 소방기기 들의 작동 상태, 화재발생 여부, 화재발생 원인 등의 유지 보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화하고, 필요 시 통계작업, 3차원 그래픽 작업, 보고서 파일 등의 형태로 관리자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전통시장의 화재에 대한 유지 보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어부(270)는 감지신호 수신부(210), 통신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화재 판단부(240), 경보 발생부(250) 및 유지보수 관리부(260)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통시장 전기 설비부
100a : 기존 전기 설비부
100b : 신규 전기 설비부
110 :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
120 : 분전함
130 : 단속 전기 제품부
130-1 ~ 130-N : 제1 단속 전기 제품부 ~ 제N 단속 전기 제품부
200 :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
210 : 감지신호 수신부
220 : 통신부
230 : 데이터 저장부
240 : 화재 판단부
250 : 경보 발생부
260 : 유지보수 관리부
300 : 사용자 이동단말

Claims (5)

  1. 전통시장의 마감 시간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공급이 필요한 상시 가전제품들이 설치되고 비상시 분전함을 통해 상기 상시 가전제품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존 전기 설비부와,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와는 별도로 구성 및 운영되며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단속 전기제품들로 그루핑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는 신규 전기 설비부를 포함하는 전통시장 전기 설비부;
    전통시장의 점포별 또는 점포 주변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들 또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화재 감지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판단시 일정한 형태의 화재처리 패킷을 제공하는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 및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으로 상기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과 통신하고,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는,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운영하는 점포들의 화재 관리를 원격에서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수행하는 상기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 또는 전통시장의 점포주들이 소지한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을 통해 자동 전송되며,
    상기 기존 전기 설비부는,
    상기 상시 가전제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일반 콘센트; 및
    상기 상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차단을 제어하는 일반 분전함; 을 포함하며,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는,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화재 발생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전기제품의 전원을 일괄 차단하도록 명령하는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이 그루핑되도록 상기 단속 전기제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 및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와 상기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가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속 전기제품으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해 주는 분전함; 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 관재센터 시스템은,
    전통시장의 점포별 점포들 간의 이웃 주변에 설치된 차동식 스포트형 주소형 열감지기 또는 카메라모듈이 감지한 화재 감지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전통시장 전기 설비부 또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화재 감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점포별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화재 발생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개별 연락처별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처리 패킷을 제공하는 화재 판단부;
    상기 화재 판단부로부터 생성되는 화재 경보를 상기 화재처리 패킷 형태로 전통시장의 점포주가 소지한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자동 전송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화재 관리 대상이 되는 전통시장 점포별로,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의 설치 현황, 소방기기의 작동 상태, 화재발생 여부 및 화재발생 원인의 유지 보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통시장의 화재에 대한 유지 보수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유지보수 관리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통신부, 상기 화재 판단부, 상기 경보 발생부, 상기 유지보수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 판단부, 상기 유지보수 관리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처리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은,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화재 발생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전통시장 점포별 위치를 추적하여 화재가 발생된 점포에 설치된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로 상기 외부의 차단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신규 전기 설비부는,
    상기 원격 전기배선 차단기 및 상기 단속 전기제품들이 한 세트로 구성되며, 전통시장의 점포별로 1 : 1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속 전기제품 콘센트는,
    점포주들이 혼동 없이 단속 전기제품들 만을 그루핑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특정 색깔이 도색되고, 단속 전기제품의 종류, 사용 목적 및 사용시 주의 사항이 게시된 알림 표시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06347A 2018-01-18 2018-01-18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KR102064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47A KR102064403B1 (ko) 2018-01-18 2018-01-18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47A KR102064403B1 (ko) 2018-01-18 2018-01-18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498A KR20190103498A (ko) 2019-09-05
KR102064403B1 true KR102064403B1 (ko) 2020-02-11

Family

ID=6794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347A KR102064403B1 (ko) 2018-01-18 2018-01-18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72Y1 (ko) * 2004-05-03 2005-01-14 박명희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KR101721585B1 (ko) * 2015-11-16 2017-04-11 김성훈 화재경보기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겸용 실내기기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325A (ko) 2003-10-15 2005-04-20 김순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KR100998113B1 (ko) * 2008-07-28 2010-12-02 랜스(주) 유비쿼터스 화재 방어시스템
KR101826630B1 (ko) * 2016-07-06 2018-02-23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72Y1 (ko) * 2004-05-03 2005-01-14 박명희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KR101721585B1 (ko) * 2015-11-16 2017-04-11 김성훈 화재경보기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겸용 실내기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498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7520B (zh) 主动防护系统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CN213789746U (zh) 基于物联网和gis技术的文物智慧消防平台
CN107715362A (zh) 基于物联网的消防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04881943A (zh) 一种核电站可视化图像消防报警系统及方法
KR101665407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KR20200082766A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1790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onnection, communication, and power conversion
GB2599142A (en) Fire safety system and method
CN104035424A (zh) 一种远程监控系统
KR20080055591A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101195592B1 (ko) 화재 속보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CN107850877A (zh) 识别温度异常
KR20190019469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CN105894710B (zh) 一种温度监测警告装置及消防警示系统
KR20140094680A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2064403B1 (ko) 전통시장 화재 예방장치
WO2023180751A1 (en) Smart socket device and system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CN205788615U (zh) 一种温度监测警告装置及消防警示系统
CN105321310A (zh) 从警报系统向紧急服务人员传送数据的系统和方法
KR102144098B1 (ko) Iot 기반의 화재 예측 및 진화 시스템
US20170196069A1 (en) Combination of Led Lamp and Wireless mesh Environmental Sensors Network
CN105389926A (zh) 火灾报警及响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