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26B1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126B1 KR102064126B1 KR1020190084233A KR20190084233A KR102064126B1 KR 102064126 B1 KR102064126 B1 KR 102064126B1 KR 1020190084233 A KR1020190084233 A KR 1020190084233A KR 20190084233 A KR20190084233 A KR 20190084233A KR 102064126 B1 KR102064126 B1 KR 102064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mming
- insertion hole
- user
- body por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수영보조기구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을 포함하는 삽입홀, 상기 신체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부유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영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영 운동량 정보 및 수영 자세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수중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발전하면서 사용자의 운동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이용한 운동기록 애플리케이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운동기록을 분석하고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들과의 정보 공유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스포츠 활동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캠코더인 액션 카메라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사용자가 액션 카메라를 자신의 신체나 헬멧, 자전거 등의 장비에 부착하여 1인칭 시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수영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수영은 별다른 장비 없이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액션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중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영 운동량 정보 및 수영 자세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수중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수영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을 포함하는 삽입홀, 상기 신체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부유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신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영보조기구의 기울기 정보 및 회전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자세감지센서, 상기 수영보조기구의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운동량감지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영보조기구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홀, 상기 신체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며 모바일 단말기의 일 영역이 삽입되는 단말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삽입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삽입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삽입홈의 가로폭 및 세로폭은 상기 몸체부 상단면의 가로폭 및 세로폭보다 각각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삽입홈에 삽입된 모바일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잎, 똑딱이 단추, 마그네틱, 고리 또는 후크 형태, 지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 및 회전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자세감지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운동량감지센서,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는, 수영 운동량 정보 및 수영 자세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수중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는,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관통홀(15) 및 센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재질은 발포압축 스티로폼 등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0)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타원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부력은 수중에 잠기는 몸체부(10)의 부피와 몸체부(10)의 밀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중에 잠기는 몸체부(10)의 부피가 크고, 몸체부(10)의 밀도가 작을수록 몸체부(10)에 의한 부력이 커질 수 있다.
삽입홀(20)은, 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삽입홀(20)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삽입홀(20)은 사용자의 양 하지의 발목이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20)이 두 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측 발목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을 제1 삽입홀(21), 우측 발목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을 제2 삽입홀(22)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0)는 탄성 또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홀(20)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홀(21) 및 제2 삽입홀(22)은 사용자의 양 발목 부분에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양 허벅지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1 삽입홀(21) 및 제2 삽입홀(22)이 사용자의 양 허벅지에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허벅지가 고정된 상태로 영법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홀(20)의 크기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청소년 등의 분류 또는 남성과 여성의 분류에 의해 삽입홀(20)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삽입홀(20)에 손을 넣어서 삽입홀(20) 주변을 파지한 후 수영을 할 수도 있다.
삽입홀(20)은 사용자의 하지를 불편하지 않은 정도의 거리로 모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홀(21)과 제2 삽입홀(22)은 특정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홀(20)에 양쪽 다리를 삽입하여 수영하는 경우 삽입홀(20)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가 고정될 수 있다. 다리가 고정된 사용자는 수영 시 상체의 운동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사용하는 경우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하지마비 장애인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하면 수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는, 수영 초보자의 전형적인 문제인 발장구치느라 상체의 자세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절개부(30)는,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삽입홀(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20)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20)의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수영을 할 때에는 양쪽 다리의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삽입홀(20)에서 다리를 일부러 이탈시키려 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홀(2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삽입홀(20)에 삽입된 다리를 벌려서 절개부(30)를 통해 다리를 빼낼 수 있다. 즉, 절개부(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의 효용성은 상승시키고, 위험성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절개부(30)의 위치는 삽입홀(20)의 상측 및 하측 등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30)는 제1 삽입홀(21) 및 제2 삽입홀(2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삽입홀(21)에 형성되는 절개부(30)의 위치와 제2 삽입홀(22)에 형성되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0)의 재질이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절개부(30)로 하지 일측을 삽입할 때에는 절개부(30)의 너비가 늘어나고, 사용자의 하지 일측이 삽입홀(2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절개부(30)의 너비가 원래의 너비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좀 더 편리하게 절개부(30)를 통해 다리 일부를 삽입홀(20)에 삽입할 수 있다.
관통홀(15)은 제1 삽입홀(21) 및 제2 삽입홀(22)의 사이에서 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5)은 삽입홀(20)의 길이 방향으로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15)의 형태 및 관통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0)는 몸체부(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센서부(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관통홀(15)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관통홀(15)을 통해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감지센서(도 3의 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감지센서(47)는 물의 속도 또는 유량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유속감지센서(47)를 통해 감지된 물의 속도를 이용하여 수영 속도 및 수영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는 삽입홀(20)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 삽입홀(2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직선형, 반구형, 나선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20)의 내측면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접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는, 센서부(40), 위치측정부(50) 및 통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등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도 2에는 도시를 생략한다.
센서부(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자세감지센서(41), 운동량감지센서(43), 심박센서(45) 및 유속감지센서(4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감지센서(41)는, 수영보조기구(100)의 기울기 정보 및 회전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자세감지센서(41)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3축 방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3축 방향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 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발목 부근에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팔동작을 함에 따라 하체가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자세감지센서(41)는 수영보조기구(100)의 수평이 유지되는지 감지하고 수영보조기구(100)가 좌우로 움직이는 기울기 각도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수영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운동량감지센서(4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의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운동량감지센서(43)는 수영 속도, 수영 거리, 수영 시간 등을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운동량감지센서(43)는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는 수영보조기구(100)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가속도를 적분하여 수영 속도 및 수영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수영 속도, 수영 거리, 수영 시간, 칼로리 소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심박센서(45)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 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심박센서(45)는 광혈류량검사 방식으로 사용자의 심장 박동 정보 및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심박센서(45)는 삽입홀(2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종아리, 발목 또는 손목 부분 등에 근접되어 사용자의 심장 박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유속감지센서(47)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수영보조기구(100) 주변으로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속감지센서(47)는 몸체부(10)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수영보조기구(100) 주변으로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유속감지센서(47)를 통해 감지된 물의 속도를 이용하여 수영 속도 및 수영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5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위치측정부(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모듈이나 WiFi 측위 장치 등 다양한 위치측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60)는, 센서부(40)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0)는 위치측정부(50)에서 측정된 수영보조기구(100)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적외선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에서 측정된 데이터 또는 위치측정부(50)에서 측정된 수영보조기구(100)의 위치 정보 등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 등으로 송신될 수 있다.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 등은 상기 센서부(40) 또는 위치측정부(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위치 정보 등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 등은 사용자의 수영 운동량, 수영 구간, 수영 속도, 수영 거리, 수영 시간, 소비 칼로리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컴퓨터(PC),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영보조기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또는 전자 장비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정보로부터 수영 영법 교정 및 자세 교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생체 정보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영 영법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영 운동량 등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어 커뮤니티(대화, 모임) 및 순위 리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60)는 수중에서는 센서부(40) 또는 위치측정부(5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수영보조기구(100)가 물 밖으로 나오면 임시 저장했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위치측정부(50) 및 통신부(60)는 몸체부(10)의 내부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는, 상기 센서부(40), 위치측정부(50) 및 통신부(6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는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및 함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수영보조기구(200)는 도 1에 도시된 수영보조기구(100)와 유사하게 관통홀(15) 및 센서부(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로 함몰부(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70)는 몸체부(10)의 중단부에서 몸체부(1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함몰부(70)는 몸체부(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몸체부(10)의 내측을 향해 함몰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70)는, 몸체부(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 중 어느 한 곳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10)의 전후방향 내측으로 함몰구성될 수도 있다. 함몰부(70)는, 삽입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70)의 양측은 곡면을 이루며, 함몰부(70)는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는, 함몰부(70)를 구비하므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수영보조기구(100)에 비해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는, 몸체부(10)의 수직 단면적이 감소되면서 수중에서의 수중 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100)의 절개부(30)를 통해 삽입홀(20)에 양쪽 다리를 각각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목, 종아리, 무릎, 허벅지 등에 수영보조기구(100)를 착용할 수 있고, 수영보조기구(100)에 의해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인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가 삽입홀(20)에 삽입된 채로 수영을 하는 경우, 몸체부(10)의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영보조기구(100)를 이용하여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팔을 휘저으면서 각종 영법을 훈련하게 된다. 몸체부(10)의 부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하체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다양한 영법을 훈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중 허리를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번갈아 가면서 유동하는 영법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물고기가 꼬리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영을 하는 영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영법으로 사용자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강화됨은 물론, 사용자의 틀어진 골반을 바르게 교정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무릎이나 허벅지 사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의 함몰부(70)를 끼워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체연습을 할 때나 자세교정을 할 때에는,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벅지가 함몰부(70)에 끼워지도록 하여, 무릎이나 허벅지 사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200)를 끼우고, 하체 내측으로 강하게 압박하는 방식으로 풀부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수영보조기구(100, 200)는, 사용자의 발목 사이에 함몰부(70)가 끼워지도록 하여 하체로 압박하거나, 사용자의 허벅지를 삽입홀(20)에 삽입하여 이용하거나, 함몰부(70)를 파지한 채로 수영보조기구(100, 200)를 양손에 들고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수영보조기구(100, 200)를 끼워서 사용자의 상박과 가슴 측부가 함몰부(70)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영보조기구(100, 200)는, 발차기를 하지 않고도 상체의 움직임만으로 수영을 할 수 있으므로, 하체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하지마비 장애인들이나 하체 힘이 약한 소인, 노인 등도 수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지 장애인의 경우에도 통증완화 또는 치료 등의 의료 목적으로 수영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마비 등의 장애를 가진 하지 장애인의 경우에는 발차기를 하거나 허리를 상하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하지 장애인들이 입수하게 되면 하지 장애인들의 두 다리가 벌어진 채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영보조기구(100, 200)를 하지 장애인들이 이용하게 되면, 물리치료사의 간편한 도움으로 하지 장애인들도 수영을 즐길 수 있게 되어 재활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300)는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및 단말기 삽입홈(9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수영보조기구(3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수영보조기구(100)와 유사한 형태이나 단말기 삽입홈(99)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단말기 삽입홈(99)은 몸체부(10)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단말기 삽입홈(99)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모바일 단말기(9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모바일 단말기(90)는 몸체부(10)의 상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90)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일 수 있고,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90)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90)는 모바일 단말기(90)의 기울기 정보 및 회전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자세감지센서 및 모바일 단말기(90)의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운동량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90)는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모바일 단말기(90)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90)는 방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9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 촬영을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9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영보조기구(300)의 자세 등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0)가 모바일 단말기(90)에 내장되어 외부 서버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영 운동량, 수영 구간, 수영 속도, 수영 거리, 수영 시간, 소비 칼로리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부(50)가 모바일 단말기(90)에 내장되어 모바일 단말기(90)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영 운동량 등은 모바일 단말기(90)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될 수 있고, 커뮤니티(대화, 모임) 및 순위 리스트가 모바일 단말기(9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90)는 사용자의 자세 정보로부터 수영 영법 교정 및 자세 교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90)는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연동시킬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해당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90)는 유명한 수영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수영장을 방문하여 수영을 하거나 수중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영장을 방문했음을 인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90)의 기능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삽입홈(99)은 몸체부(10)의 상단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9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가로폭, 세로폭 및 깊이가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 삽입홈(99)의 가로폭 및 세로폭은 몸체부(10) 상단면의 가로폭 및 세로폭보다 각각 작을 수 있다. 일례로서, 단말기 삽입홈(99)의 가로폭 및 세로폭이 모바일 단말기(90)의 가로폭 및 세로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몸체부(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90)가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된 모바일 단말기(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영보조기구(300)는 벨크로 테잎, 똑딱이 단추, 마그네틱, 고리 또는 후크 형태, 지퍼 형태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구현되는 단말기 결합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a 및 5b에는 단말기 삽입홈(99)이 몸체부(10)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단말기 삽입홈(99)의 위치는 몸체부(10)의 전후방 위치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단말기 삽입홈(99)의 형태도 모바일 단말기(90)의 형태에 대응되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400)는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함몰부(70) 및 단말기 삽입홈(9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수영보조기구(400)는 도 5a 및 도 5b을 참조하여 상술한 수영보조기구(300)와 유사하게 단말기 삽입홈(99)을 포함하나 함몰부(70)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단말기 삽입홈(99)은 함몰부(7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90)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90)가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수영보조기구(400)는, 모바일 단말기(90)를 단말기 삽입홈(99)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벨크로 테잎, 똑딱이 단추, 마그네틱, 고리 또는 후크 형태, 지퍼 형태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500)는 몸체부(10), 삽입홀(20), 절개부(30) 및 단말기 삽입홈(99)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삽입홈(99)은 몸체부(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9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90)는 몸체부(10)의 상단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90)가 단말기 삽입홈(99)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수영보조기구(500)는, 모바일 단말기(90)를 단말기 삽입홈(99)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벨크로 테잎, 똑딱이 단추, 마그네틱, 고리 또는 후크 형태, 지퍼 형태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고, 특히 센서부(40), 관통홀(15), 단말기 삽입홈(99). 모바일 단말기(90) 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도시된 내용을 기초로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15: 관통홀
20: 삽입홀 21: 제1 삽입홀
22: 제2 삽입홀 30: 절개부
40: 센서부 41: 자세감지센서
43: 운동량감지센서 45: 심박센서
47: 유속감지센서 50: 위치측정부
60: 통신부 70: 함몰부
90: 모바일 단말기 99: 단말기 삽입홈
20: 삽입홀 21: 제1 삽입홀
22: 제2 삽입홀 30: 절개부
40: 센서부 41: 자세감지센서
43: 운동량감지센서 45: 심박센서
47: 유속감지센서 50: 위치측정부
60: 통신부 70: 함몰부
90: 모바일 단말기 99: 단말기 삽입홈
Claims (1)
- 수영보조기구로서,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을 포함하는 삽입홀;
상기 신체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며 모바일 단말기의 일영역이 삽입되는 단말기 삽입홈;
상기 수영보조기구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는 자세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기울기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삽입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신체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233A KR102064126B1 (ko) | 2019-07-12 | 2019-07-12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233A KR102064126B1 (ko) | 2019-07-12 | 2019-07-12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4019A Division KR102001726B1 (ko) | 2017-10-16 | 2017-10-16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6422A KR20190086422A (ko) | 2019-07-22 |
KR102064126B1 true KR102064126B1 (ko) | 2020-01-08 |
Family
ID=6746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233A KR102064126B1 (ko) | 2019-07-12 | 2019-07-12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126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9477A (ja) | 2004-11-25 | 2006-06-1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着座式便器 |
US7169000B1 (en) | 2006-03-06 | 2007-01-30 | Miguel Angel Hernandez | Swimming aid training device |
WO2007088544A2 (en) * | 2006-02-02 | 2007-08-09 | David Cohen | Personal sporting activity monitor |
US20100030482A1 (en) | 2008-08-04 | 2010-02-04 | Xipu Li | Real-Time Swimming Monitor |
KR101323112B1 (ko) | 2013-07-04 | 2013-11-07 | 김정훈 | 수영보조기구 |
US20150283447A1 (en) | 2014-04-08 | 2015-10-08 | Tyr Sport, Inc. | Ankle float buoy |
KR200480506Y1 (ko) | 2015-11-20 | 2016-06-01 | 안희조 | 발목 착용 수영보조구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876Y1 (ko) * | 2011-06-27 | 2013-03-25 | 신동현 | 팔다리용 부력재 |
KR101559659B1 (ko) * | 2014-03-18 | 2015-10-15 | 김정훈 | 수영보조장치 |
KR101829028B1 (ko) * | 2015-07-11 | 2018-03-29 | 홍선기 | 운동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대와 연동하여 운동 선수의 상태를 관리하는 선수 관리 장치, 선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수 관리 방법 |
KR101643852B1 (ko) * | 2015-09-30 | 2016-07-28 | 김정훈 | 수영보조장치 |
KR101637873B1 (ko) * | 2016-06-09 | 2016-07-07 | 김정훈 | 수영보조장치 |
KR20180065763A (ko) * | 2016-12-08 | 2018-06-18 | 김정훈 | 수영보조기구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233A patent/KR1020641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9477A (ja) | 2004-11-25 | 2006-06-1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着座式便器 |
WO2007088544A2 (en) * | 2006-02-02 | 2007-08-09 | David Cohen | Personal sporting activity monitor |
US7169000B1 (en) | 2006-03-06 | 2007-01-30 | Miguel Angel Hernandez | Swimming aid training device |
US20100030482A1 (en) | 2008-08-04 | 2010-02-04 | Xipu Li | Real-Time Swimming Monitor |
KR101323112B1 (ko) | 2013-07-04 | 2013-11-07 | 김정훈 | 수영보조기구 |
US20150283447A1 (en) | 2014-04-08 | 2015-10-08 | Tyr Sport, Inc. | Ankle float buoy |
KR200480506Y1 (ko) | 2015-11-20 | 2016-06-01 | 안희조 | 발목 착용 수영보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6422A (ko) | 201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52523B2 (en) |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 |
CN105433949B (zh) | 混合角运动传感器 | |
CN107105804B (zh) | 具有可移除模块的运动带 | |
RU2679533C2 (ru) |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сбора данных о движениях и способ сбора данных о движениях | |
US20180160943A1 (en) | Signature bas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US20140228649A1 (en) | Activity monitoring | |
US20140031703A1 (en) | Athletic monitoring | |
KR20170073655A (ko) | 사용자의 올바른 런닝을 훈련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20150116125A1 (en) | Wristband with removable activity monitoring device | |
US11117020B2 (en) | Swimming paddle | |
JP2003339137A (ja) | 生体系の動きに応答して電力を発生する装置 | |
Hamidi Rad et al. | A novel macro-micro approach for swimming analysis in main swimming techniques using IMU sensors | |
KR102064126B1 (ko)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
US10848854B2 (en) | Wearable device for activity monitoring | |
EP3128905A1 (en) | Wearable system for monitoring a swimmer's performance | |
KR102001726B1 (ko) |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 | |
CN109876387A (zh) | 基于穿戴式设备的游泳呼吸提醒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Rodriguez et al. | Wearable devices: Concepts and applications | |
Lee et al. | A three-dimensional motion anlaysis of horse rider i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s | |
Andreoni et al. | Smart garments for performance and training assessment in sport | |
WO2019106354A1 (en) | Buoyancy suit | |
Graaf | The Design of Vibrotactile Feedback to Coach Posture in Inline Skating | |
EP4162987A1 (en) |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CN106345116A (zh) | 一种用于游戏的智能服装 | |
Perego et al. | Wearable device for swim assessment: a new ecologic approach for communication and analy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