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857B1 -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 Google Patents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857B1
KR102063857B1 KR1020190068232A KR20190068232A KR102063857B1 KR 102063857 B1 KR102063857 B1 KR 102063857B1 KR 1020190068232 A KR1020190068232 A KR 1020190068232A KR 20190068232 A KR20190068232 A KR 20190068232A KR 102063857 B1 KR102063857 B1 KR 10206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
air
platfor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방용
윤기천
Original Assignee
엔비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비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공기질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들이 일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다중센서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중센서용 플랫폼은 일측에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관형의 통기구; 상기 하우징과 통기구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의 센서소자들이 장착되는 센서장착유닛; 상기 통기구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벽과 통기구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과 접촉한 후,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HELICAL AIR FLOW MULTIPLE SENSOR FLATFORM}
본 발명은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공기질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공기질 센서을 수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내지 그 설계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국지적 또는 광역적 단위에서 공기질(air quality)을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장치 내지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에는 온도, 습도 또는 가스성분 등의 공기 자체의 고유 물성치는 물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공기질(air quality)에 영향을 주는 미세먼지, 유독가스, 자외선 또는 방사선 등의 각종 공기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기질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은 감시 또는 제어의 대상이 되는 공기질의 종류에 따라 그 용도나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공기질에 대한 다양하고 통합된 감시 또는 제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공기질 센서들이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 설계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각종 공기질 센서는 센서소자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기구물로 구성된 디바이스로 제작되며, 다양한 공기질 센서들은 하나의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더라도 각각이 별도의 디바이스로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A, B, C … (n) 의 n종의 공기질 센서를 필요로 하는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센서들에 대한 n개의 별도의 디바이스가 시스템의 센서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트렌드에 따른 통합된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에서와 같이 필요한 공기질 센서들이 많아질수록 각각의 센서들에 대한 물리적인 디바이스의 개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 중 센서부 자체는 물론 시스템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스템의 용도에 따라 해당 센서들에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설계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용도를 확장 또는 전환시 새롭게 추가되는 관련 센서들에 대한 디바이스 설계 및 제작이 새롭게 추가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들이 일괄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수용된 복수의 센서소자들 각각이 우수한 감응도를 가질 수 있는 다중센서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일측에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관형의 통기구; 상기 하우징과 통기구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의 센서소자들이 장착되는 센서장착유닛; 상기 통기구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벽과 통기구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과 접촉한 후,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2) 상기 통기구는 선회류 유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3)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은 상기 통기구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되는 나선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4)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은 상기 통기구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글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5) 상기 통기구의 내경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6) 상기 센서장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 또는 상기 통기구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7) 상기 하우징은 외부공기와 차폐된 상태로 상기 데이터전송유닛을 수용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8) 상기 데이터전송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통기구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9)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필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
본 발명의 다중센서용 플랫폼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들을 일괄 수용함으로써 센서소자 각각에 대한 별도의 디바이스 설계 및 제작이 생략될 수 있어 최근의 통합된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저비용으로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의 용도를 용이하게 확장 또는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들을 수용하는 것에 수반하여, 하우징, 통기구 및 선회류 형성수단 등에 대한 기구적 설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모서리에 위치한 센서 및 기타 모든 센서소자에 공기를 균일하게 접촉시키고 단순히 직선형 공기 흐름보다 센서에 대한 공기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센서의 감응도를 종래 단일 디바이스로 설계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하게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서용 플랫폼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의 단면 사시도.
도 4은 도 1의 다중센서용 플랫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유도수단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유도수단에 의한 외부 공기 흐름에 대한 모식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라고 할 때, 해당 실시예에 대한 균등물로 대치 또는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센서용 플랫폼(10)'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을 일괄적으로 통합 수용할 수 있는 모듈화된 디바이스(modularized device)이다. 이 경우, '다중센서(multiple sensors)'는 일군의 센서소자(310), 즉 서로 다른 감지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센서소자(31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감지동작을 위해 공기 접촉이 전제되는 센서소자(310)들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센서용 플랫폼(10)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소자(310)로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비롯하여 각종 가스센서, 먼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서용 플랫폼(10)(이하, '플랫폼(10)'로 약칭함)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은 플랫폼(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플랫폼(10)의 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유도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할 때, 상기 플랫폼(10)은 하우징(100), 통기구(200), 센서장착유닛(300), 송풍유닛(400) 및 데이터전송유닛(5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선회류 유도수단, 시트부(600) 또는 필터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플랫폼(10)의 몸체(210)를 구성하여 플랫폼(10)의 다른 부품요소들을 수용함과 동시에, 통기구(200)와의 사이에서 강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위한 유로(P)를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일측은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개방부(120)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는 개방부(120)가 하우징(100)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상부는 캡(110)에 의해 의해 밀봉되며, 하우징(100)의 내부 상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전송유닛(500)과 이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플랫폼(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920), 데이터 송수신용 안테나(910) 및 플랫폼(10) 장착구(93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고).
상기 통기구(200)(tuyere)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대한 초기 도입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외벽은 하우징(100) 내벽과의 사이에서 유로(P)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통기구(200)는 내측 통로(H)가 구비된 관형이며, 그 일측에는 통기구(2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유닛(400)이 결합된다. 관형의 통기구(20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그 내부 통로는 원형 단면이 바람직하고, 외부는 후술하는 판형의 센서장착유닛(300)의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통기구(200)는 센서장착유닛(300)이 장착될 수 있는 몸체(210)와 내부 통로를 이루는 중공형 인서트(220)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몸체(210)와 통기구(200)의 결합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접촉부에서 접합하는 방식 또는 나사 결합하는 방식 등 통상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기구(200)를 몸체(210)와 중공형 인서트(220)로 분리 제작하는 것은 예컨대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는 등의 실용적인 측면에서 예시된 것이고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통기구(200)는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트부(600)가 설치된 하우징(100)의 경우, 통기구(200)는 하우징(100)의 중심에 정렬된 상태에서 시트부(600) 하부 및 하우징(100) 측벽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앵커(800)를 이용해 시트부(600)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외부 공기의 이동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면 그 설치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통기구(200)의 하우징(100) 내 기본적인 설치구조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통기구(200) 내부를 상승 통과한 후 하우징(100) 내 상부에서 가장자리로 발산하고, 하우징(100) 내벽과 통기구(200) 외벽 사이의 유로(P)를 따라 하강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개방부(120)를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P)에 배치된 센서장착유닛(300)에 외부 공기가 접촉하게 되고, 센서장착유닛(300)에 장착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에 의해 외부 공기의 공기질이 감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기구(200)의 내경은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기구(200)가 몸체(210)와 중공형 인서트(220)로 분리 제작된 경우, 중공형 인서트(220)를 나팔관 또는 디퓨져 형태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공기 흐름방향으로 통기구(200)의 내경이 증가함으로써 통기구(200) 상부에서 토출되는 외부 공기 유속을 감속시켜 하우징(100) 내부 상층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유도되는 외부 공기 흐름을 더욱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유로(P) 내 외부공기와 센서소자(310) 간 접촉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감응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기구(200)는 선회류 유도수단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선회류 유도수단은 흡입된 외부 공기를 통기구(200) 통과 과정에서 선회류로 전환시켜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에서,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은 나선스크류(230)로 예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나선스크류(230)는 통기구(200)를 구성하는 중공형 인서트(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나선스크류(230)의 외경은 통기구(200) 내경과 마찬가지로 공기 흐름방향으로 증가한다. 나선스크류(230)의 리지는 중공형 인서트(220)의 내벽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중공형 인서트(220)의 내부 공간은 나선스크류(230)의 나사산에 의해 구획되어 공기 흐름 방향으로 발산하는 형태의 연속된 내측 통로(H)가 형성된다.
이러한 선회류 유도수단의 형태는 통기구(200) 출구 측에서 토출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방사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는 선회류로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별도 부품으로 설치되는 나선스크류(230)를 예시하였으나,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통기구(200)를 구성하는 종공형 인서트(220') 자체의 내벽에 나선글루브(222)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나선스크류(230)의 경우도 나사산이 1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공형 인서트(220)의 내부를 복수의 선회류 형상의 내측 통로(H)로 구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에 의한 외부 공기 흐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선회류 형태로 회전하여 토출 방사됨으로써 통기구(200)를 통과한 후 하우징(100) 내벽과 통기구(200) 외벽 사이의 유로(P)를 따라 하강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체류시간이 증가되고 하우징(100) 원주방향으로 외부 공기의 균일도가 증가된다. 공기질 센서의 감응도는 센서소자(310)와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이러한 선회류 유도수단의 작용에 의해 센서소자(310)와 공기와의 접촉 빈도 및 시간이 최대로 되어 더욱 우수한 감응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유닛(300)은 복수의 센서소자(310)들이 장착되는 위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센서장착유닛(300)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320) 형태일 수 있고,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장착유닛(300)에는 다중센서용 플랫폼(10)이 이용될 전체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이 예컨대 인쇄회로기판(320)에 마련되는 슬롯(도면 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각 센서소자(310)별로 별도의 디바이스가 요구되었던 것과는 달리, 하나의 플랫폼(10)만으로도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이 요구하는 다양한 종류의 공기질 센서들을 일괄 수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플랫폼(10)에 구비되는 센서소자(310)들의 종류를 탈부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가감함으로써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의 용도가 확장 또는 전환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유닛(300)은 하우징(100)과 통기구(200) 사이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센서장착유닛(300)은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P)의 경로 상에 놓여지게 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센서장착유닛(300)에 장착된 센서소자(310)에 접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센서장착유닛(300)은 복수로 제공되어 통기구(200)의 외벽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한편 센서장착유닛(300)이 설치되는 위치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균일하고 최대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서 유로(P) 내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통기구(200)와 마주보는 하우징(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도면 미도시).
상기 송풍유닛(400)은 통기구(2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서는 송풍유닛(400)이 통기구(200) 하단에 설치되어 통기구(2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압송하는 방식으로 예시되었다. 통기구(200)가 몸체(210)와 중공형 인서트(220)로 구성된 경우에 몸체(210) 밖으로 노출된 중공형 인서트(220)의 입구와 팬 사이의 연결부는 압손을 방직하기 위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에서 송풍유닛(400)이 통기구(200) 하단에 설치되어 통기구(2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압송하는 방식으로 예시되었으나, 통기구(200) 상단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전송유닛(500)은 복수의 센서소자(310)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전송유닛(500)과 센서장착유닛(300) 간 신호전달과, 데이터전송유닛(500)으로부터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의 신호전달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면 미도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데이터전송유닛(500)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시트부(600)를 이용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외부 공기에 차폐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시트부(600)는 사발형이으로 제작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20) 반대측에서 그 주연부가 단턱에 걸려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부(6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상부는 캡(110)에 의해 밀봉되며, 시트부(600) 하부에는 통기구(200)를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격 고정하기 위한 앵커(800)가 설치된다.
한편 실시예에서 데이터전송유닛(500)이 시트부(600)를 이용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외부 공기에 차폐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되었으나, 외부 공기 오염으로 고장의 염려가 없거나 또는 적극적인 방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통기구(200)의 외벽면과 같이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유닛(700)은 하우징(100)의 개방부(12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곤충이나 낙엽 등의 커다란 입자성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700)은 링형 고정구(710); 및 메시(720)로 구성되며, 메시(720)가 키워진 상태의 링형 고정구(710)가 하우징(100) 하단의 림을 따라 볼트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중센서용 플랫폼(10)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을 일괄 수용함으로써 센서소자(310) 각각에 대한 별도의 디바이스 설계 및 제작이 생략될 수 있어 최근의 통합된 공기질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저비용으로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의 용도를 용이하게 확장 또는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소자(310)들을 수용하는 것에 수반하여, 하우징(100), 통기구(200) 및 선회류 형성수단 등에 대한 기구적 설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센서소자(310)에 의한 감응도를 종래 단일 디바이스로 설계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청허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다중센서용 플랫폼
100: 하우징
110: 캡
120: 개방부
200: 통기구
210: 몸체
220, 220': 중공형 인서트
222: 나선글루브
230: 나선스크류
300: 센서장착유닛
310: 센서소자
320: 인쇄회로기판
400: 송풍유닛
500: 데이터전송유닛
600: 시트부
700: 필터유닛
710: 링형 고정구
720: 메시
800: 앵커
910: 안테나
920: 표시등
930: 장착구
P: 유로
H: 내측 통로

Claims (9)

  1. 하단에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하우징의 상벽 및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되 공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향하고 공기 유출구는 하우징의 상벽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선회류 유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에서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그 내경이 증가하는 관형의 통기구;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통기구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설치되며, 복수의 센서소자들이 장착되는 센서장착유닛;
    상기 통기구의 공기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통기구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통기구 내부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에 의해 선회류 형태로 전환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로 토출된 후 하우징 내 상부에서 가장자리로 발산하고, 토출된 선회류 형태의 외부 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벽과 통기구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소자들과 접촉한 후,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재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은 상기 통기구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되는 나선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유도수단은 상기 통기구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글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 또는 상기 통기구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와 차폐된 상태로 상기 데이터전송유닛을 수용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통기구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필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용 플랫폼.
KR1020190068232A 2019-06-10 2019-06-10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KR10206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232A KR102063857B1 (ko) 2019-06-10 2019-06-10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232A KR102063857B1 (ko) 2019-06-10 2019-06-10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857B1 true KR10206385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232A KR102063857B1 (ko) 2019-06-10 2019-06-10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821A (ko) * 1991-12-13 1993-07-23 경상현 청정실 공조용 벨트형 필터 자동세척장치
KR20150068160A (ko) * 2013-12-11 2015-06-19 (주) 동우엔지니어링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 환기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5397A (ja) * 2017-06-30 2019-04-11 ザ エスワイ−クロン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空気質監視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90063012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습식 공기청정기
KR20190063522A (ko) * 2017-11-30 2019-06-10 (주)다나티앤씨 습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821A (ko) * 1991-12-13 1993-07-23 경상현 청정실 공조용 벨트형 필터 자동세척장치
KR20150068160A (ko) * 2013-12-11 2015-06-19 (주) 동우엔지니어링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 환기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5397A (ja) * 2017-06-30 2019-04-11 ザ エスワイ−クロン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空気質監視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90063012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습식 공기청정기
KR20190063522A (ko) * 2017-11-30 2019-06-10 (주)다나티앤씨 습식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904B2 (ja) 統合型煙セル
CN1125419C (zh) 周围状况检测器
US20100091500A1 (en) Multi-function light and air filtration unit
US6215398B1 (en) Occupancy sensors for long-range sensing within a narrow field of view
EP3424029B1 (en) Smoke detectors with light shields and alarm systems including such
MXPA00012798A (es) Dispositivo de senalizacion industrial de multiples colores.
KR102063857B1 (ko) 선회흐름 다중센서용 플랫폼
CA1103779A (en) Optical smoke detector
CN113168753B (zh) 火灾或烟雾报警器
CN117589645B (zh) 一种火灾烟尘检测传感器
CN210690536U (zh) 多气体检测装置
WO2001078031A1 (en) Fire detector
CN208907814U (zh) 一种环境监测装置的壳体和环境监测装置
CN106705254B (zh) 空气盒子
US20020121973A1 (en) Oil tank sight glass monitor
CN108731720A (zh) 一种环境监测装置的壳体和环境监测装置
JP2022118146A (ja) 熱感知器
JP7463702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010257175A (ja) 警報器
BR9903858A (pt) Mini ventilador mecânico pneumático
JP2007017009A (ja) スチーム式加湿器用蒸気調整器
CN221182110U (zh) 一种用于to封装传感器的外用过滤器
KR102669019B1 (ko) 공기 살균 모듈을 구비한 led 조명등
CN220553187U (zh) 感烟探测装置
KR102606842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