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800B1 -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800B1
KR102063800B1 KR1020190082126A KR20190082126A KR102063800B1 KR 102063800 B1 KR102063800 B1 KR 102063800B1 KR 1020190082126 A KR1020190082126 A KR 1020190082126A KR 20190082126 A KR20190082126 A KR 20190082126A KR 102063800 B1 KR102063800 B1 KR 10206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water
drinking
iot
tumbl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9008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a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ydrogen water producing IoT tumbler for electrolyzing water in a container to produce hydrogen water;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producing IoT tumbler, and collecting and transmitting the number of production times of the produced hydrogen water and production time, the number of drinking times of the hydrogen water of a user, drinking time, and drinking amount data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ver for receiving the number of production times of the hydrogen water and production time, the number of drinking times of the hydrogen water of the user, drinking time, and the drinking amount data from the smartphone to form the same as big data for analysis, and transmitting an analysis result to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of a tumbler can be electrolyzed to produce hydrogen water to drink water before thirst in accordance with a preset time in case of forgetting drinking of the water due to a busy task.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roduction times of the hydrogen water or the amount thereof, and the number of drinking times or the drinking amount thereof are analyzed to provide an alarm for production or drinking of the hydrogen water,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of continuously producing the hydrogen water to drink the same.

Description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텀블러(tumbler)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소수(hydrogen water) 생성용 IoT(Internet of Things)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and a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n Internet of Things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ed.

수소수(hydrogen water)는 수소 분자가 일정 수준 이상 혼입된 물이다.Hydrogen water is water in which hydrogen molecules are mix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수소수는 암, 뇌질환, 동맥 경화 등의 다양한 질병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노화, 항염증, 항알레르기 등의 효능이 입증되었으며, 음용시 피부염 방지, 피부 미백, 면역력 증가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 제거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Hydrogen water is known to have therapeutic effects on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brain diseases, and atherosclerosis. In addition, the effects of anti-aging,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the like has been proved, it is known that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free radicals causing various diseases as well as preventing dermatitis, skin whitening, increased immunity when drinking.

수소수는 간단하게는 격막이 있는 전해조에 전기를 인가해 전기 분해를 통해 쉽게 생성될 수 있다.Hydrogen water can be easily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by simply applying electricity to a diaphragm electrolyzer.

그런데, 수소수는 분자가 가볍고 결합성이 떨어져 물 속 용존 시간이 매우 짧다. 즉, 수소수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However, hydrogen water has a very short dissolved time in water because of its low molecular weight and low binding properties. That i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hydrogen water for a long time.

이에, 수소수를 생성한 후에는 짧은 시간 내에 음용해야 그 효과가 있다.Therefore, after generating hydrogen water, it is necessary to drink it within a short time for the effect.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전자 기기나 서비스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하여 전자 기기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활용하고 있다.Meanwhile, recently, the IoT has been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services to increase convenience of electronic devices.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스마트폰, PC를 넘어 자동차, 가전 기기 등과 같은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means that everything beyond smartphones and PCs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일반적으로, IoT 기반 기기들은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서버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며, 서버는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oT-based devices transmit data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collect and manage data on the server,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data to the smart phone to sen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smart phone. The way of providing is widely used.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연령층이 높은 사용자의 경우나, 통신 환경 등에 의해 스마트폰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user of a high age group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smartphone or when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impossible due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the like.

위 수소수에 관련된 기기나 서비스에도 사물인터넷에 의한 자동화된 서비스의 적용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는 수소수와 사물인터넷의 관련성을 높여 자동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가 없는 실정이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utomated services through the IoT to devices or services related to the above hydrogen water. So far, there is no example of providing an automated service by increa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ydrogen water and the Internet of Things.

등록특허공보 10-1805760Patent Publication 10-1805760 등록특허공보 10-1854572Patent Publication 10-1854572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사용 정보 데이터를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drinking management and usage information data using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through the system.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는, 용기 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고,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을 산출하는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수소수가 생성되면, 수소수의 생성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수소수가 생성되면, 수소수의 생성을 실시간으로 알람 출력하는 알람 모듈;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수소수의 음용 여부를 판단하여 수소수의 음용 횟수 및 음용 시간 및 음용량을 산출하는 음용 판단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which generates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in a container,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generation of hydrogen water in real time when the hydrogen water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 alarm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in real time when hydrogen water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hydrogen water of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to drink the number of drinking, the drinking time and the volume of the hydrogen water.

여기서,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상기 음용 판단 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을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IoT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oT which transmits the number of times and generation time of the hydrogen water calcul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the drinking time and the volume of hydrogen water calculated by the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to the smartphone in real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그리고 상기 IoT 통신 모듈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음용 요청 알람 및 또는 생성 요청 알람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drinking request alarm and / or a generation request alarm of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from the smartphone.

그리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IoT 통신 모듈에서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음용 요청 알람 또는 생성 요청 알람이 수신되면, 음용 요청 알람 또는 생성 요청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larm module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inking request alarm or a generation request alarm when the drinking request alarm or the generation request alarm of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is received in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용기 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빅데이터화 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ydrogen generation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the water in the container; 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collects the generated number and generation time of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the drinking time and the volume data of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Smartphone to deliv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for receiving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from the smartphone,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water of the user, drinking time and volume data to be big data, and analyzing and transmitting the analysis result to the smartphone. Can be.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분석 결과를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있도록 도표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to each user's smartphone.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가 소정 기간 동안 음용되지 않거나 수소수가 소정 기간 동안 생성되지 않는 경우, 음용 요청 알람 또는 생성 요청 알람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phon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drinking request alarm or a generation request alarm when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is not consu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when the hydrogen water is not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그리고 상기 서버는, 성별, 연령 또는 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리 가입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의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수소수를 음용하는 장소 및 음용량을 분석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빅데이터를 해당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rver may generate big data by analyzing a place and a volume of a user drinking hydrogen water based on pre-subscribed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or region and GP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generated big data to the smart phone.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용기 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 상기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사용 횟수,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및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사용 횟수,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및 사용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빅데이터화 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in accordance wit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the water in the container; 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generated number and generation time of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hydrogen water, use place, use time and usage data Smartphone to collect and deliver; Receiving the number of generation and generation time of the hydrogen water from the smartphon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hydrogen water, the use place, the use time and usage data received by the big data analysis, and includes a server for transmitting the analysis results to the smartphone It can be configured to.

여기서, 상기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는, 수소수 미스트기, 이온수기 또는 구강 세척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 hydrogen water mist group, an ion water group or oral cleaning device.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분석 결과를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있도록 도표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on device may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each other, and provide the same to a smartphone of each user.

상술한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텀블러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쁘거나 급한 용무로 인해 물의 섭취를 까먹었을 때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갈증 전에 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nd drin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the water of the tumbler, thereby thirsting according to a preset time when water consumption is forgotten due to busy or urgent business. It is effective to drink water before.

특히, 수소수의 생성 횟수나 양 그리고 그 음용 횟수나 양을 분석하여 수소수의 생성이나 음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수소수를 생성하여 음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number and amount of hydrogen water generated and the number or amount of drinking water to provide an alarm for the generation or drinking of hydrogen water, the effect of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an continue to generate hydrogen water to drink have.

한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에 연관된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평균 물소비량을 제공하고 물을 섭취해야 하는 목표를 설정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form big data related to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o use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to provide an average water consumption and set a goal to intake water.

또한, IoT 텀블러의 알람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몸에 필요한 물을 항상 휴대하고 즉시 음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larm function of the IoT tumbler has the effect that you can always carry the water required for the user's body and drink immediately.

아울러 IoT 텀블러의 알람 기능을 통해 물 교체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것은 물론 배터리 충전이 요구됨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동중이나 갑작스러운 외출시 항상 휴대가 가능하게 스마트폰과 IoT 텀블러가 일정 거리 떨어지게 되면 알림 기능이 있어 항시 휴대하고 음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larm function of the IoT tumbler not only informs that the water needs to be replaced, but also informs that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Also, it is possible to always carry it when moving or suddenly going out, and when the smartphone and the IoT tumbler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always portable and drink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rin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n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rin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n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시스템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 스마트폰(200), 서버(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rin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100, the smartphone 200, and the server 300.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시스템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에서 수소수를 쉽게 생성하도록 하며 서버(300)에서 스마트폰(200)을 통해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Drin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to easily generate hydrogen water in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nd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via the smartphone 200 in the server 300 It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analyze relevant data and provide the required analysis results to the user.

사용자의 수소수 음용이 가능하도록 꾸준히 관리하여 주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수소수 음용 상태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steadily manage to enable the user to drink hydrogen water as well as to manage the user's hydrogen water drinking status.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is demonstrated.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는 용기 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in a container.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는 사용자 버튼 입력 모듈(101),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102), 센서 모듈(103), 타이머(104), 음용 판단 모듈(105),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106), 배터리 모듈(107), 배터리 체크 모듈(108), 통신 거리 감지 모듈(109), 디스플레이 모듈(110), 알람 모듈(111), IoT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includes a user button input module 101, an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102, a sensor module 103, a timer 104, a drinking judgment module 105, and an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6, battery module 107, battery check module 108, communication distance sensing module 109, display module 110, alarm module 111,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to be configured. Can be.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is demonstrated.

사용자 버튼 입력 모듈(101)은 텀블러의 외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수소수를 생성하고자 할 때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이다.The user button input module 101 is provided outside the tumbler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when the user wants to generate hydrogen water.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102)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lysis module 102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hydrogen water by electrolyzing water in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102)은 수소수의 생성 시마다 그 수소수의 생성 횟수를 계수하고 그 생성 시간을 확인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lysis module 102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may be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hydrogen water is generated each time the hydrogen water is generated and confirm and calculate the generation time.

센서 모듈(103)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움직임 또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수소수 수위 또는 수소수 무게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서 모듈(103)은 3축 가속도 센서, 무게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03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or the hydrogen water level or the weight of the hydrogen water of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That is, the sensor module 103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 weight sensor, a gyro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타이머(104)는 수소수가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count)하기 위한 구성이다. 수소수가 생성된 이후에 어느 정도의 시간 내에 음용하지 않으면 물에 녹은 수소 분자가 대부분 증발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미리 설정되는 시간은 예를 들어 5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timer 104 is a component for counting a preset time after the hydrogen water is generated. This is because most of the hydrogen molecules dissolved in the water will evaporate if they are not consume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hydrogen water is produced. The preset time may be set to, for example, about 5 minutes.

음용 판단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소수 음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drink determination module 105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n drink hydrogen water.

음용 판단 모듈(105)은 수소수 생성 후 타이머(104)에 의해 카운트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센서 모듈(103)에서 움직임이나 수위 낮아짐, 무게 감소 등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수소수를 음용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105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consumed the hydrogen water when movement, water level decrease, weight loss, etc. are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3 within the preset time counted by the timer 104 after the hydrogen water generation. Can be configured.

센서 모듈(103)에 의해 감지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3축 움직임에 의해 수소수를 음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용 판단 모듈(105)은 그 수소수의 음용 횟수를 계수하고 음용 시간을 확인하며 3축 움직임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ydrogen water is to be consumed by the three-axis movement of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sensed by the sensor module 103, the drinking judgment module 105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the hydrogen water and drinks the drinking water. It can be configured to check the time and calculate the volume according to the three-axis movement.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106)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수소수 생성과 수소수 음용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6 may be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ed to hydrogen water generation and hydrogen water drinking of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106)은 수소수 생성용 전기분해 모듈(102)의 수소수 생성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소수의 생성 횟수, 생성 시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6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hydrogen water generation event of the electrolysis module 102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o store data such as the number of generation of hydrogen water, generation time, and the like.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106)은 음용 판단 모듈(105)로부터 수소수 음용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음용량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6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hydrogen water drinking event from the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105 to store data such as the number of drinking water, the drinking time, the volume of the hydrogen water, and the like.

배터리 모듈(107)은 전력을 충전하여 전기 분해나 디스플레이 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battery module 107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for electrolysis or display by charging power.

배터리 체크 모듈(108)은 배터리 모듈(107)의 배터리 잔여량을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잔여량은 IoT 통신 모듈(112)을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실시간 송신될 수 있다.The battery check module 108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107.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통신 거리 감지 모듈(109)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와 스마트폰(200) 간의 IoT 통신의 끊김에 의해 양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져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하거나 통신 끊김 시 스마트폰(200)에 알람을 띄워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distance detecting module 109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y disconnection of the IoT communication between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100 and the smartphone 200. The hydrogen tumbler IoT tumbler 10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oss away from the user or to float while holding the alarm in the smartphone 200 when th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to always use.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각종 IoT 텀블러 데이터와 배터리 잔여량,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이탈 등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display module 11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various IoT tumbler data, battery remaining amount, departure from the smartphone 20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수소수 생성용 전기분해 모듈(102)의 수소수 생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104)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물의 수소수 여부에 대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whether hydrogen water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102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Information on the timer 104 may also be used to indicate whether the water is currently hydrogen.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음용 판단 모듈(105)에 의한 수소수 음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drinking hydrogen water by the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105.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배터리 체크 모듈(108)의 배터리 체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과 그 충전 필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battery check information of the battery check module 108. You can display the battery level and whether it needs charging.

알람 모듈(111)은 각종 IoT 텀블러 데이터에 기반한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larm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sound based on various IoT tumbler data.

알람 모듈(111)은 수소수의 생성 완료를 알리는 수소수 생성 완료 알람 출력할 수 있고, 배터리 부족 여부를 알리는 충전 요청 알람을 출력할 수 있고, 통신 거리 감지 모듈(109)에 의한 IoT 통신 끊김 즉,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이탈 방지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module 111 may output a hydrogen water generation completion alarm indicating completion of generation of hydrogen water, output a charge request alarm indicating whether the battery is low, and disconnection of the IoT by the communication distance detection module 109, that is, In addition, the departure-avoidance alarm indicating that the distance is far away can be output.

한편, 알람 모듈(111)은 수소의 생성 완료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소수가 음용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음용할 수 있도록 음용 요청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larm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inking request alarm to drink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hydrogen water is not drinking within a preset time after the generation of hydrogen.

IoT 통신 모듈(112)은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106)에 저장된 IoT 텀블러 데이터 예를 들어,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 등을 IoT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통신 방식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stores the IoT tumbler data stored in the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6, 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water, drinking time, volume, etc. by IoT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smartphone 200.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the IoT communication method.

또한, IoT 통신 모듈(112)은 스마트폰(200)의 IoT 통신 모듈(201)로부터 각종 알람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IoT 통신 모듈(201)로부터 수신되는 알람에는 앞서 언급한 음용 요청 알람, 충전 요청 알람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alarms from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of the smartphone 200. The alarm received from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of the smartphone 200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drinking request alarm and charging request alarm.

스마트폰(20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서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와 무선 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phone 200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s a mobile terminal of a user.

스마트폰(200)은 IoT 통신 모듈(201), 제어 모듈(202), 알람 생성 모듈(203), 알람 출력 모듈(204), 이동 통신 모듈(205), 메신저 모듈(20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smartphone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a control module 202, an alarm generation module 203, an alarm output module 204,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05, and a messenger module 206. Can be.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is demonstrated.

IoT 통신 모듈(201)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IoT 통신 모듈(112)과 통신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IoT 텀블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IoT 통신 방식에는 블루투스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communicates wit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of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IoT tumbler data therefrom. As mentioned above,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the IoT communication method.

제어 모듈(202)은 IoT 통신 모듈(201), 알람 생성 모듈(203), 알람 출력 모듈(204), 이동 통신 모듈(205) 등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trol module 202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the alarm output module 204,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05, and the like.

또한, 제어 모듈(202)은 IoT 통신 모듈(201)을 통해 IoT 텀블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동 통신 모듈(205)을 통해 서버(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oT tumbler data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and deliver it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05.

알람 생성 모듈(203)은 IoT 통신 모듈(201)에서 수신된 IoT 텀블러 데이터에 따라 알람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수소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음용량, 음용 패턴 등에 따라 사용자에 맞게 수소수의 음용이 필요한 타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시간에 따라 음용 요청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according to the IoT tumbler data receiv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According to the user's number of drinking water, drinking time, volume, drinking pattern, the user can set the time required to drink the hydrogen water according to the user, and a drinking request alarm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 time.

알람 생성 모듈(203)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에서 소정 기간 동안 물이 음용되지 않는 경우에 음용 요청 알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소정 기간 동안 수소수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생성 요청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may generate a drinking request alarm when water is not consu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nd generate a generation request alarm when hydrogen water is not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n be generated.

음용 요청 알람이나 생성 요청 알람은 IoT 통신 모듈(201)을 통해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로 송신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10)이나 알람 모듈(111)을 통해 음용 요청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The drinking request alarm or the generation request alarm may be transmitted to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and the drinking request alarm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or the alarm module 111. .

그리고 알람 생성 모듈(203)은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잔여량을 통해 충전 요청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may generate a charge request alarm through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received from the IoT tumbler 100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한편, 스마트폰(200)의 IoT 통신 모듈(201)에서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IoT 통신 모듈(112)과의 IoT 통신 끊김이 발생하면, 알람 생성 모듈(203)이 이탈 방지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oT communication wit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2 of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in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201 of the smart phone 200 occurs, 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is an alarm to prevent departure Can be generated.

알람 출력 모듈(204)은 알람 생성 모듈(203)에서 생성된 음용 요청 알람, 생성 요청 알람, 충전 요청 알람, 이탈 방지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larm output module 204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ink request alarm, a generation request alarm, a charge request alarm, and a departure prevention alarm generated by the alarm generation module 203.

제어 모듈(202)은 스마트폰(200)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서 음용 요청 알람, 생성 요청 알람, 충전 요청 알람을 알람 출력 모듈(204)에서만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이나 알람 모듈(111)에서만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알람 출력 모듈(204), 디스플레이 모듈(110), 알람 모듈(111)에서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02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nking request alarm, the generation request alarm, the charging request alarm only in the alarm output module 204 or the hydrogen tumbler IoT tumbler 100 according to a preset value set in the smartphone 200. Control to output only from the display module 110 or the alarm module 111 of the) or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from the alarm output module 204, the display module 110, the alarm module 111.

이동 통신 모듈(205)은 IoT 텀블러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05 may be configured to deliver IoT tumbler data to the server 300.

메신저 모듈(206)은 서버(300)로부터 IoT 텀블러 데이터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ssenger module 206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a big data analysis result of IoT tumbler data from the server 300.

서버(300)는 원격에서 각 사용자의 IoT 텀블러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각 사용자의 스마트폰(2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server 300 is configured to form big data using the IoT tumbler data of each user remotely, and provide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to each user's smartphone 200.

서버(300)는 통신 모듈(301),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 빅데이터 저장 모듈(30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301, a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and a big data storage module 303.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is demonstrated.

통신 모듈(301)은 스마트폰(200)로부터 IoT 텀블러 데이터를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oT tumbler data from the smartphone 200.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통신 모듈(301)에서 전달받은 IoT 텀블러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수의 생성 횟수, 생성 시간,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음용량, 기간별 음용 패턴 등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the IoT tumbler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301. For example, the number of generations of hydrogen water, generation time, the number of drinking of hydrogen water, the drinking time, the volume, the drinking pattern for each period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미리 가입된 사용자 정보 즉. 성별, 연령, 지역, GPS 정보 등의 다양한 인자에 기반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Big data analysis module 302 is pre-subscribed user information, namely. Big data analysis can be performed based on various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gion, and GPS information.

위 GPS 정보는 사용자가 어디에서 물이나 수소수를 음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집, 사무실, 기타 지역 등에 대응될 수 있다.The above GPS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where the user drinks water or hydrogen water,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house, an office, or another area.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동일한 종류의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에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상호 분석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도표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 모듈(301)을 통해 스마트폰(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generates a chart that enables users to analyze and compare data related to the same type of hydrogen tumbler IoT tumbler 100 for each user, and compare the data with the smartphon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1. ) Can be provided.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동일 성별의 같은 나이대의 사용자들이 물 마시는 횟수 및 음용량을 특정 사용자가 물 마시는 횟수 및 음용량을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며, 비교 분석 결과를 통신 모듈(301)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20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국내 사용자와 해외 사용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is configu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number of drinking water and the volume of the water of the same age users of the same gender by the specific user drinking water and the volume, and compare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1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each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200. In this case, the user may include both a domestic user and an overseas user.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특정 사용자의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물 마시는 횟수 및 음용량을 그 특정 사용자의 물 마시는 횟수 및 음용량과 비교 분석하도록 구성되며, 비교 분석 결과를 통신 모듈(301)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20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is configu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number of drinking water and the volume of people living in a specific user's area with the number of drinking water and the volume of the specific user, and compare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301.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each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200 through.

또한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은 전기 분해 및 음용 하는 장소를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통신 모듈(301)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200)으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laces of electrolysis and drinking, and provide the analyzed results to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1, respectively.

즉, 각 사용자의 패턴을 빅데이터 분석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ig data may be analyzed and provided to each user.

서버(300)는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음용량 등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각 사용자들 간에 서로 공유하게 하여 각 사용자가 물을 더 마시도록 하는 자극을 줄 수 있다.The server 300 may share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such as the volume of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with each user to stimulate each user to drink more water.

통신 모듈(301)은 각 사용자의 메신저 모듈(206)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각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에서는 메신저 모듈(206)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1 may provide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to the messenger module 206 of each user, and the smart phone 200 of each us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through the messenger module 206. Can be.

빅데이터 저장 모듈(303)은 빅데이터 분석 모듈(302)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ig data storage module 303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of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302.

위에서 설명한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의 기능은 비단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100)뿐만 아니라 수소수 미스트기, 이온수기, 구강 세척 장치 등과 같은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function of the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both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s such as hydrogen water mist group, ionizer, oral cleaning device as well as IoT tumbler 100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또한, 스마트폰(200)과 서버(300) 역시 해당하는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의 종류에 따른 알람이나 빅데이터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200 and the server 300 may also perform functions such as alarm or big data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스마트폰(200)은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이용하여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사용 횟수,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및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phone 2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and the number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generated in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the hydrogen water of the user The number of times of use, places of use, times of use and usage data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and deliver the data to the server 300.

한편, 서버(3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사용 횟수, 사용 장소, 사용 시간 및 사용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빅데이터화 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big number of generation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from the smart phone 200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hydrogen water, use place, use time and usage data to be big data analysis .

서버(300)는 위 분석 결과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above analysis result to the smartphone 200.

그리고 서버(300)는 IoT 기반 수소수 생성 장치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그 분석 결과를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있도록 도표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의 스마트폰(200)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IoT-bas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can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each other, and provide it to the smartphone 200 of each user.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There will be.

100: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101: 사용자 버튼 입력 모듈
102: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
103: 센서 모듈
104: 타이머
105: 음용 판단 모듈
106: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
107: 배터리 모듈
108: 배터리 체크 모듈
109: 통신 거리 감지 모듈
110: 디스플레이 모듈
111: 알람 모듈
112: IoT 통신 모듈
200: 스마트폰
201: IoT 통신 모듈
202: 제어 모듈
203: 알람 생성 모듈
204: 알람 출력 모듈
205: 이동 통신 모듈
206: 메신저 모듈
300: 서버
301: 통신 모듈
302: 빅데이터 분석 모듈
303: 빅데이터 저장 모듈
100: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101: user button input module
102: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103: sensor module
104: timer
105: drinking judgment module
106: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107: battery module
108: battery check module
109: communication distance sensing module
110: display module
111: alarm module
112: IoT communication module
200: smartphone
201: IoT communication module
202: control module
203: alarm generation module
204: alarm output module
205: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06: messenger module
300: server
301: communication module
302: big data analysis module
303: big data storage module

Claims (12)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스마트폰 및 서버를 구비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는,
용기 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고,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을 산출하는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움직임, 수소수 수위 또는 수소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3축 가속도센서, 무게감지센서, 자이로 센서 및 수위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모듈;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수소수가 생성되면, 수소수의 생성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수소수가 생성되면 수소수의 생성을 실시간으로 알람 출력하고, 수소의 생성 완료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소수가 음용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음용할 수 있도록 음용 요청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모듈;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3축 움직임에 의해 수소수의 음용 여부를 판단하여, 수소수의 음용 횟수 및 음용 시간 및 음용량을 산출하는 음용 판단 모듈;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분해 모듈의 수소수 생성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소수의 생성 횟수, 생성 시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용판단 모듈로부터 수소수 음용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소수의 음용 회수, 음용 시간, 음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IoT 텀블러 데이터 저장 모듈; 및
상기 수소수 생성용 전기 분해 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상기 음용 판단 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을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IoT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스마트폰용 IoT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폰용 IoT 통신 모듈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수소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음용량, 음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 맞게 수소수의 음용이 필요한 타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시간에 따라 음용 요청 알람을 생성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에서 소정 기간 동안 수소수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소수 생성 요청 알람을 생성할 수 있는 알람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빅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In the drinking water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a smartphone and a server with a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An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that electrolyzes water in the container to generate hydrogen water,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and generation time of the hydrogen water;
A sensor module including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 weight sensor, a gyro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hydrogen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the hydrogen water level, or the weight of the hydrogen water;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generation of hydrogen water in real time when the hydrogen water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When hydrogen water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 alarm is output in real time to generate hydrogen water. An alarm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A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ing whether the drinking water is consumed by three-axis movement of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sensed by the sensor modul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drinking water, the drinking time, and the volume of the hydrogen water;
Receive hydrogen water generation event of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to store the data of the number of generation,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and receive the hydrogen water drinking event from the drinking judgment module,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drinking time IoT tumbler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of the volume; And
Hydrogen water generation for real time transmission and generation time of hydrogen water calculat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drinking time and volume of hydrogen water calculated by the drinking determination module in real time Includes; Io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IoT tumbler
The smartphone,
An IoT communication module for a smartphone communicating with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hydrogen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user can set the time required to drink hydrogen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number of drinking water, drinking time, volume, drinking pattern received from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smart phone, and generates a drinking request alarm according to the set time And an alarm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hydrogen water generation request alarm when hydrogen water is not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 server for receiving the generation number and generation time of the hydrogen water from the smartphone and the number of drinking times of the user's hydrogen water, the drinking time, and the volume data to be analyzed by big data, and transmitting the analysis result to the smartphone; Drink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의 분실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상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와 상기 스마트폰 간의 통신 끊김을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통신 거리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prevent a user from losing the IoT water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or to carry the hydrogen water generating IoT tumbler at all times, the smartphone is detected by detecting a disconnection between the hydrogen water generating IoT tumbler and the smartphone.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distance sensing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throug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수소수의 생성 횟수 및 생성 시간과 사용자의 수소수의 음용 횟수, 음용 시간 및 음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phone,
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oT tumbler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program) to collect the number and generation time of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nking, drinking time and volume data of the hydrogen water of the user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분석 결과를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있도록 도표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erver,
Drink management using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t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to each other's smartphones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가 소정 기간 동안 음용되지 않거나 수소수가 소정 기간 동안 생성되지 않는 경우, 음용 요청 알람 또는 생성 요청 알람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phone,
When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is not consu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the hydrogen water is not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hydrogen tumble generation IoT tumb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drinking request alarm or a generation request alarm.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성별, 연령 또는 지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리 가입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의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수소수를 음용하는 장소 및 음용량을 분석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빅데이터를 해당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erver,
Based on pre-subscribed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or region and GPS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the user analyzes a place and volume of drinking hydrogen water to generate big data, and generates generated big data Drink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IoT tumbler for hydrogen wat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data to the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82126A 2019-07-08 2019-07-08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063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26A KR102063800B1 (en) 2019-07-08 2019-07-08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26A KR102063800B1 (en) 2019-07-08 2019-07-08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800B1 true KR102063800B1 (en) 2020-01-08

Family

ID=6915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26A KR102063800B1 (en) 2019-07-08 2019-07-08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439A (en) 2020-11-19 2022-05-26 김인권 The portable tumbler with thermostatic and alarm functions
CN117776346A (en) * 2024-02-28 2024-03-29 广州市纳爱生物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hydrogen-rich water for improving visual fatigu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656B1 (en) * 2015-03-27 2016-05-17 신종천 APPLIC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BY CONVERGING SMART WATER CUP SENSING DRINKING AND BREATHING PATTERN AND IoT TECHNOLOGY
KR101721083B1 (en) * 2015-10-26 2017-03-29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Portability hydrogen water of easy to understand status
KR101805760B1 (en) 2016-08-16 2017-12-07 김규현 Portable Hydrogen-water Generator
KR101854572B1 (en) 2017-10-13 2018-05-03 주식회사 지엠바이오 Portable tumbler
KR101855813B1 (en) * 2016-11-07 2018-05-14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hydrogen generator
KR20180059316A (en) * 2016-11-25 2018-06-04 코웨이 주식회사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cup, health care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656B1 (en) * 2015-03-27 2016-05-17 신종천 APPLIC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BY CONVERGING SMART WATER CUP SENSING DRINKING AND BREATHING PATTERN AND IoT TECHNOLOGY
KR101721083B1 (en) * 2015-10-26 2017-03-29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Portability hydrogen water of easy to understand status
KR101805760B1 (en) 2016-08-16 2017-12-07 김규현 Portable Hydrogen-water Generator
KR101855813B1 (en) * 2016-11-07 2018-05-14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hydrogen generator
KR20180059316A (en) * 2016-11-25 2018-06-04 코웨이 주식회사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cup, health care system
KR101854572B1 (en) 2017-10-13 2018-05-03 주식회사 지엠바이오 Portable tumb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439A (en) 2020-11-19 2022-05-26 김인권 The portable tumbler with thermostatic and alarm functions
CN117776346A (en) * 2024-02-28 2024-03-29 广州市纳爱生物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hydrogen-rich water for improving visual fatigue
CN117776346B (en) * 2024-02-28 2024-05-28 广州市纳爱生物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hydrogen-rich water for improving visual fatig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194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sensitive delivery notification
US116900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US9366746B2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US9196139B2 (e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CN109325618A (e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for express delivery and takeout industries
US9953128B2 (en) Identific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dentification method, program, and identification system
KR102063800B1 (en) IoT TUMBLER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DRINK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CN10532475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fer
CN106066622B (en) A kind of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CN203493628U (en) Intelligent detection device for activity statuses and health conditions of old people based on wireless network
CN107113611A (en) User authentication confidence level based on multiple equipment
RU2011126149A (en) SYSTEM OF CALCULATION AND MEASURE ITEM FOR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ELECTRIC ENERGY AND METHOD
CN108886749A (en) A kind of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of wearable smart machine
US20200402383A1 (en) Comprehensive system and method of universal real-time linking of real objects to a machine, network, internet, or software service
CN110852850A (en) Shared articl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4160372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KR101773395B1 (en) Alaram car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ne's using a smartphone
CN109964199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ans
JP2012065178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CN104796166B (en) A kind of wireless accessory awaken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ory
CN106453968A (en) Terminal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and system
JP5451564B2 (en) Server apparatus and program
JP2016149862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harging management program,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JP5485845B2 (en)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CN215117672U (en) Intelligent water business charging device for direct drink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