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241B1 -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241B1
KR102063241B1 KR1020170166459A KR20170166459A KR102063241B1 KR 102063241 B1 KR102063241 B1 KR 102063241B1 KR 1020170166459 A KR1020170166459 A KR 1020170166459A KR 20170166459 A KR20170166459 A KR 20170166459A KR 102063241 B1 KR102063241 B1 KR 102063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imple search
content
are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50A (ko
Inventor
김효
윤수진
최지호
김지환
이윤석
최성은
손희정
김효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2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의 검색을 보조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콘텐츠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간이 검색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간이 검색창에 간이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CONTENTS SEARCH METHOD AND CONTENTS SEARCH APPARATUS}
본 발명은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의 검색을 보조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컴퓨터, 전자, 인터넷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각종 콘텐츠도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중이다.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웹 브라우저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웹 서버로부터 로드되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조회하고 다른 웹페이지를 이어 탐색하거나 새로운 웹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주된 요인 중 하나는 콘텐츠의 검색이며, 사용자의 콘텐츠 검색을 돕기 위한 다양한 검색 엔진들이 제공되고 있다. 웹 브라우저 또한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로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검색창을 상기한 검색 엔진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간단히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손 끝이나 터치용 펜을 이용하여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할 때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검색하고 결과를 탐색하는 경우, 콘텐츠 검색과 그 결과가 각각 다른 웹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콘텐츠의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린 여러 웹페이지를 이동하며 그 내용을 확인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5-007949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탐색을 수행할 때, 콘텐츠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 사용자의 콘텐츠 검색을 위한 창을 단순화하고, 검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1차적인 검색 결과에서 진행되는 보다 구체적인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은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콘텐츠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간이 검색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간이 검색창에 간이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콘텐츠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며,상기 간이 검색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고, 상기 간이 검색창에 간이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는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탐색을 수행할 때, 콘텐츠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는 사용자의 콘텐츠 검색을 위한 창을 단순화하고, 검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1차적인 검색 결과에서 진행되는 보다 구체적인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장치와 웹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콘텐츠 검색 장치가 표시하는 제1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조회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에 표시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간이 검색창을 통해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창을 닫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콘텐츠 검색 장치가 간이 검색 수행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음성으로 지정할 때 콘텐츠 검색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음악으로 지정할 때 콘텐츠 검색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이미지로 지정할 때 콘텐츠 검색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콘텐츠 검색 장치가 간이 검색 수행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예시된 간이 검색 결과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제2 웹페이지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검색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장치(10)와 웹 서버(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검색 장치(10)와 웹 서버(12)는 네트워크(11)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11)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1)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웹 서버(12)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 서버(12)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한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웹 서버(12)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검색 장치(10)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콘텐츠 검색 장치(10)로서,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11)에 접속하여 웹 서버(12)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웹 패드, 테블릿 PC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웹페이지를 로드하며, 로드된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및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 부대되는 다른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웹 서버(12)에는 콘텐츠 검색 장치(10)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며,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검색 장치(10)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검색 방법은 검색 버튼 입력 단계(S100),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 간이 검색 대상 입력 단계(S120),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버튼 입력 단계(S100)는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240)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영역(100)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웹 서버(1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콘텐츠 영역(100)은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크기나 설정에 따라 그 크기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콘텐츠 영역(100)은 웹 서버(12)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영역(100)은 웹페이지 간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는 툴이 집합된 툴바 영역(200)을 포함할 수 있다. 툴바 영역(200)에는 다양한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콘텐츠 영역(10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툴바 영역(200)에는 하기하는 뒤로가기 버튼(210)과 검색 버튼(240)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웹페이지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웹 서버(12)로부터 로드한 웹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웹페이지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해당 콘텐츠가 표시되는 페이지일 수 있으나, 웹 브라우저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콘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빈 페이지로 설정될 수 도 있다.
검색 버튼(240)은 하기하는 툴바 영역(200)에 포함되는 여러 버튼 중 하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검색 버튼(240)에 대한 입력은 사용자가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검색 버튼(240)이 위치한 디스플레이 상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검색 버튼(240)의 입력은 터치 외에도 터치용 펜을 이용하거나 커서를 이용한 클릭 등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해당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는 콘텐츠 영역(1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120)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간이 검색창은 사용자의 검색 버튼(240) 선택에 대응하여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표시하는 창으로서, 웹페이지의 조회 중에 간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간이 검색 창은 전경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전경 영역(120)은 콘텐츠 영역(1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전경 영역(120)을 통해 간이 검색창이 표시됨으로써 기존에 표시되던 제1 웹페이지는 전경 영역(120)과 중복되는 일부 영역만큼 표시되지 않고, 전경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배경 영역(110)을 통해 나머지 일부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는 제1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상기 제1 웹페이지에 유지된 상태에서 간이 검색창을 전경 영역(12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이 제1 웹페이지의 전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에서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이 콘텐츠 영역(10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의 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간이 검색창이 상단 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는 정도는 웹 브라우저의 제작자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이 미끄러져 올라오는 시각적 효과를 통하여 간이 검색창이 기존의 창을 닫거나 기존의 창으로부터 검색을 위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창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간이 검색창을 전경 영역(120)에 표시할 때, 기존에 사용자가 조회하던 제1 웹페이지는 배경 영역(110)을 통해 그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이 전면에 표시되고 있음을 더 강조하고, 배경 영역(110)과 전경 영역(120)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배경 영역(120)을 어둡거나 흐리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배경 영역(110)을 구분하기 위하여 배경 영역(110)의 채도, 명도 또는 색상을 전경 영역(120)과 달리하여 표시할 수 도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열린 간이 검색창은 배경 영역(110)에서 수행되는 스와이프 동작 또는 간이 검색창의 닫힘 버튼(123)을 통해 닫힐 수 있다. 여기서 스와이프 동작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일부 영역으로 이동하고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배경 영역(110)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경 영역(120)에서 종료되는 스와이프 동작 또는 배경 영역(110)의 일 영역에서 시작하여 해당 영역의 하단 방향으로 스와이프 되는 동작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창을 닫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에서 간이 검색창과 같이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의 닫힘 버튼(12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서도 간이 검색창을 닫을 수 있다.
간이 검색 대상 입력 단계(S120)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창을 통해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간이 검색창이 표시되는 전경 영역(120)에는 간이 검색 대상 입력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간이 검색 대상은 텍스트로 구성된 검색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리나 이미지의 형태로 입력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간이 검색 대상이 소리의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간이 검색 대상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청취하는 음성이나 음악, 효과음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간이 검색 대상이 이미지의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간이 검색 대상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촬영하는 사진, 영상 또는 바코드나 QR(Quick Response) 코드 와 같은 코드 형태의 이미지가 예시될 수 있다.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입력 받은 간이 검색 대상을 이용해 간이 검색을 수행하고, 간이 검색의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간이 검색 대상을 매개로 하여 검색 엔진을 통해 간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사용하는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지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간이 검색 대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이 표시되는 전경 영역(120)의 일부 영역을 통해 간이 검색창 내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의 스크롤을 통해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에서 간이 검색창을 통해 표시되는 간이 검색 결과를 보다 확장하여 조회할 수 있게 된다.
간이 검색을 수행한 결과는 전경 영역(120)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내용의 변동 없이 전경 영역 상에서 간이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웹 브라우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웹페이지에서 검색을 위한 웹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추가적인 웹페이지를 새로 열지 않아도 콘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검색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한 도 2의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에 이어 간이 검색 결과 선택 단계(S200) 및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이 검색 결과 선택 단계(S200)는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에서 간이 검색창을 표시된 간이 검색 결과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검색이 수행된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는 바로 원하던 콘텐츠를 확인할 수 도 있으나, 보다 구체적인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이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다른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는 선택된 간이 검색 결과에 따른 제2 웹페이지를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웹페이지는 상기한 제1 웹페이지와 달리 간이 검색창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링크에 대응하여 열리는 웹페이지 일 수 있다.
제1 웹페이지와 제2 웹페이지는 서로 다른 탭 또는 창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포함한 상태로 열릴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창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 결과 중 다른 웹페이지로 링크되는 간이 검색 결과를 선택한 경우, 해당 링크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콘텐츠 영역(100)에 제2 웹페이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가 수행되면,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디스플레이의 전경 영역(120)에 표시되던 간이 검색창은 닫히고, 제1 웹페이지와 구분되는 제2 웹페이지가 새로운 창을 통해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웹페이지는 제1 웹페이지와 같이 간이 검색창이 아닌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제2 웹페이지가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한 도 3의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에 이어 뒤로가기 버튼 입력 단계(S300) 및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 입력 단계(S300)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탐색했던 웹페이지로 돌아가는 뒤로가기 버튼(210)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210)은 상기한 툴바 영역(200)에서 표시되는 버튼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뒤로가기 버튼(210)은 웹페이지의 탐색 중, 이전에 탐색했던 페이지로 돌아가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새로 열린 웹페이지의 경우 이전에 탐색했던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기에 웹 브라우저는 뒤로가기 버튼(210)을 비활성 시키거나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더라도 아무 응답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310)는 제2 웹페이지를 닫고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간이 검색창을 전경 영역(12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310)는 제2 웹페이지가 초기 페이지인 경우에 대응하여 제2 웹페이지를 닫고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간이 검색창을 전경 영역(1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에 있어서, 뒤로가기 버튼(210)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도 3의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를 통해 제2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면,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 대상을 제2 웹 페이지를 열기 위해 간이 검색창으로 검색했던 간이 검색 대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웹페이지에서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면, 제2 웹페이지를 닫고, 직전에 입력했던 간이 검색 대상이 간이 검색창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웹페이지를 조회하다가,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검색어가 간이 검색창에 다시 표시되므로, 다시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할 필요 없이 검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검색을 용이하게 하여 해당 검색 대상에 대한 상세한 콘텐츠 확인의 편의성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가 제2 웹페이지 상에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면 바로 이전에 탐색했던 제2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뒤로가기 버튼(210)의 선택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한 도 3의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에서 제2 웹페이지를 연 이후, 제2 웹페이지 상에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전의 초기 페이지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한 도 3의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에 이어 검색 버튼 입력 단계(S400) 및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버튼 입력 단계(S400)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상기한 도 2의 검색 버튼 입력 단계(S100)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던 검색 버튼(240)의 선택을 다시 입력 받는 단계일 수 있다.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410)는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간이 검색창을 전경 영역(12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도 3의 제2 웹페이지 표시 단계(S210)를 통해 제2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검색 버튼(240)을 선택하면,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 대상을 제2 웹 페이지를 열기 위해 간이 검색창으로 검색했던 간이 검색 대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웹페이지에서 검색 버튼(240)을 선택하면, 제2 웹페이지를 유지한 상태에서, 직전에 입력했던 간이 검색 대상이 간이 검색창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410)가 수행될 때, 제2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은 배경 영역(11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웹페이지를 조회하다가, 선택 버튼(240)을 선택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검색어가 간이 검색창에 다시 표시되므로, 다시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할 필요 없이 검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검색을 용이하게 하여 해당 검색 대상에 대한 상세한 콘텐츠 확인의 편의성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제2 웹페이지가 표시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검색 버튼(240)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간이 검색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상기 소정 시간 이후 검색 버튼(240)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으면 간이 검색 대상이 초기화된 간이 검색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버튼(240)은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버튼의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제2 웹페이지를 표시할 때, 툴바 영역(200)의 검색 버튼(240)이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된 경우에 최근 검색어가 유지되는 간이 검색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웹페이지를 소정 시간 이상 조회하는 경우, 이전에 사용했던 검색어가 아니고 제2 웹페이지와 관련된 새로운 검색어를 사용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의 검색창(121)에 최근 검색어가 유지되는 시간에 제한을 둘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상기한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전 검색어 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검색 버튼(240)의 모양을 상기한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근 검색어가 유지되는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6은 콘텐츠 검색 방법에 따라 콘텐츠 검색 장치에 표시되는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표시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콘텐츠 영역(100)의 제1 웹페이지가 콘텐츠 검색 장치(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영역(200)의 일부 영역에는 툴바 영역(20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서 툴바 영역(200)은 콘텐츠 영역(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설계자의 의도에 다라 툴바 영역(200)은 그 위치나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툴바 영역(200)을 살펴보면, 웹 브라우징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들(210 내지 250)이 툴바 영역(200)의 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2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탭 또는 창에서 여러 웹 페이지를 조회한 경우, 바로 이전에 조회하였던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앞으로가기 버튼(220)은 같은 탭 또는 창 에서 여러 웹 페이지를 조회한 경우, 바로 이후에 조회하였던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설정 버튼(230)은 웹 브라우저의 설정 창이나 현재 조회 중인 웹 페이지에 대한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설정 버튼(230)을 통해 표시되는 메뉴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검색 버튼(2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간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탭 표시 버튼(250)은 웹 브라우저가 복수의 탭 또는 창을 통해 여러 웹페이지를 열 수 있는 경우, 현재 열린 탭 또는 창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탭 표시 버튼(250)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다른 탭 또는 창의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열린 다른 탭 또는 창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툴바 영역(200)의 각종 버튼들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배치 순서나 버튼의 모양이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도 6에 예시된 툴바 영역(200)의 버튼들보다 더 많거나 적은 수의 버튼이 툴바 영역(2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검색 버튼(240)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검색 버튼(240)을 손가락(20)이나 터치용 펜을 통해 터치할 수 있고,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음으로써 상기한 도 1의 검색 버튼 입력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영역(100)의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120)에 간이 검색창이 표시되고, 전경 영역(120)이 커버하지 않는 나머지 배경 영역(110)에 기존의 제1 웹페이지가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배경 영역(110)은 전경 영역(120)과 구분되기 위하여 어둡거나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간이 검색창에는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121), 추천 검색어를 표시하기 위한 추천 검색어창(122), 간이 검색 대상의 입력 형태를 지정하기 위하여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SA, SB, SC, S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간이 검색창을 닫기 위한 닫힘 버튼(123)이 배경 영역(110)의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검색창(121)은 간이 검색 대상의 입력 형태가 텍스트의 형태인 경우,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도 7에서 간이 검색 대상은 기본적으로 텍스트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을 다른 형태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하기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SA, SB, SC, SD)의 선택을 통해 다른 형태로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할 수도 있다.
검색창(121)에는 검색어 입력 버튼(121A)이 표시될 수 있다. 검색어 입력 버튼(121A)은 검색창(121)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추천 검색어창(122)은 간이 검색 대상이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간이 검색 대상의 입력 수준에 따라 변형되는 추천 검색어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검색창(121)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인식하여 추천 검색어창(122)에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검색창(121)에 아무런 검색어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실시간으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추천 검색어창(122)에 표시하거나 사전에 지정된 키워드를 추천 검색어창(122)에 표시할 수 도 있다.
간이 검색 대상이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콘텐츠 영역(100)의 일부 영역에는 검색어를 입력 받기 위한 터치용 자판(30)이 표시될 수 도 있다.
카테고리 지정 버튼(SA, SB, SC, SD)은 상기한 도 2의 간이 검색 대상 입력 단계(S120)에서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지정 버튼(SA)은 간이 검색 대상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고, 카테고리 지정 버튼(SB)은 간이 검색 대상을 음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고, 카테고리 지정 버튼(SC)은 간이 검색 대상을 음악으로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며, 버튼(SD)은 간이 검색 대상을 코드의 형태로 입력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카테고리 지정 버튼(SA, SB, SC, SD)의 순서, 기능, 버튼 모양 등은 상기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이나 웹 브라우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는 사진, 동영상, 냄새 등 다양한 인지 대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간이 검색창을 통해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도면들과 중복되는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달리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창(121)에 "신재평"이라는 간이 검색 대상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검색창(121)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것에 대응하여 추천 검색어창(122)에 표시되는 추천 검색어의 내용을 상기 검색어 "신재평"과 관련하여 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검색창(121)에 입력되는 검색어의 완성 정도에 따라 관련된 추천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창(122)을 통해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검색어는 인기순, 조회순, 업데이트 순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창을 닫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간이 검색창은 배경 영역(110)에서 수행되는 스와이프 동작 또는 간이 검색창의 닫힘 버튼(123)을 통해 닫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배경 영역(110)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경 영역(120)에서 종료되는 스와이프 동작 또는 배경 영역(110)의 일 영역에서 시작하여 해당 영역의 하단 방향으로 스와이프 되는 동작(M1)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창을 닫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 표시 단계(S110)에서 간이 검색창과 같이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의 닫힘 버튼(123)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M2)을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서도 간이 검색창을 닫을 수 있다.
도 10은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간이 검색 수행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경 영역(120)은 제1 전경 영역(120A)과 제2 전경 영역(120B)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전경 영역(120A)은 상기한 카테고리 지정 버튼(SA, SB, SC, SD)가 표시되는 영역이고, 제2 전경 영역(120B)은 검색창(121) 또는 간이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지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간이 검색 대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간이 검색창의 제2 전경 영역(120B)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경 영역(120B)을 통해 간이 검색창 내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의 스크롤을 통해 상기한 도 2의 간이 검색 결과 표시 단계(S130)에서 간이 검색창을 통해 표시되는 간이 검색 결과를 보다 확장하여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간이 검색창에 간이 검색 결과가 표시 될 때, 새 창 버튼(124)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새 창 버튼(124)은 간이 검색 결과가 표시된 간이 검색 창을 별도의 웹페이지로 확장하여 조회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가 새 창 버튼(124)을 선택하는 것을 입력 받아 간이 검색 결과를 새로운 웹페이지로서 별도의 창 또는 탭으로 열고,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텍스트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지정할 때,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음성으로 지정할 때 콘텐츠 검색 장치(1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 전경 영역(120A)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 중 음성과 관련된 버튼을 선택한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도 11과 같이 제2 전경 영역(120B)에 음성 인식을 안내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분석하고, 해당 음성과 관련된 간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음악으로 지정할 때 콘텐츠 검색 장치(1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 전경 영역(120A)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 중 음악과 관련된 버튼을 선택한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도 12와 같이 제2 전경 영역(120B)에 음악 청취를 안내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이후, 콘텐츠 검색 장치(10)에 포함되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소리 입력 장치를 통해 주변의 음악을 인식하여 분서하고, 해당 음악과 관련된 간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가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이미지로 지정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 전경 영역(120A)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 중 이미지와 관련된 버튼을 선택한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제2 전경 영역(120B)에 사진 촬영을 안내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콘텐츠 검색 장치(10)에 포함되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입력 장치를 통해 제2 전경 영역(120B)에 도 13과 같이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제2 전경 영역(120B)의 내부에 촬영되는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창(120C)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간이 검색창을 통하여 미리 보기 화면과 인식창(120C)을 제공하는 방식은 사진이나 동영상, 코드와 같이 간이 검색 대상을 촬영하여 인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이미지의 형태로 지정하는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간이 검색창에 카메라로 촬영되는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되는 대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간이 검색 대상을 지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간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간이 검색 수행에 대응하여 간이 검색 결과를 간이 검색창에 표시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전경 영역(120B)의 검색창(121)에 "이효리"라는 검색어가 입력된 상태이고, 해당 검색어를 이용한 간이 검색 결과들(R1, R2)이 제2 전경 영역(120B)에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간이 검색창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 결과들(R1, R2)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검색 결과들(R1, R2)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다 상세한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도 있다.
도 15는 도 14에 예시된 간이 검색 결과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제2 웹페이지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간이 검색 결과(R1)를 선택하고, 간이 검색 결과(R1)의 선택에 대응하여 콘텐츠 검색 장치(10)가 제2 웹페이지를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이 검색 결과들이 다른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콘텐츠 검색 장치(10)는 사용자가 해당 간이 검색 결과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링크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를 열어 콘텐츠 영역(1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제2 웹페이지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하거나(M3) 검색 버튼(240)을 선택(M4)할 수 있다. 여기서 뒤로가기 버튼(210)과 검색 버튼(2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툴바 영역(200)의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조회 중인 제2 웹페이지가 닫히고 도 14와 같은 상태로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간이 검색창은 이전의 검색어 "이효리"를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검색어 "이효리"에 추가적인 검색어를 바로 이어서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검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버튼(240)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조회 중인 제2 웹페이지가 열린 상태에서 도 16과 같은 상태로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간이 검색창은 이전의 검색어 "이효리"를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조회 중인 상태에서, 뒤로가기 버튼(210)이 선택된 경우, 제2 웹페이지가 닫힌 상태로 이전의 검색어가 유지되는 간이 검색창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버튼(210)이 선택된 경우, 제2 웹페이지가 열린 상태로 이전의 검색어가 유지되는 간이 검색창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14는 사용자가 도 15의 예시에서 뒤로가기 버튼(210)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의 예시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검색 버튼(240)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간이 검색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간이 검색창이 전경 영역(120)에 표시되며, 간이 검색창의 검색창(121)은 도 15의 제2 웹페이지에 진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이전의 검색어 "이효리"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콘텐츠 영역(100)을 통해 표시되던 제2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이 도 16의 배경 영역(110)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콘텐츠 검색 장치 11: 네트워크
12: 웹 서버 100: 콘텐츠 영역
110: 배경 영역 120: 전경 영역

Claims (19)

  1. 콘텐츠 검색 장치에 의한 콘텐츠 검색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콘텐츠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간이 검색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간이 검색창 내에 상기 간이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간이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버튼은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는 툴이 집합된 툴바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툴바 영역은 상기 콘텐츠 영역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상기 전경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간이 검색창이 상기 콘텐츠 영역의 하단에서 상단의 방향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영역 중 상기 전경 영역이 커버하지 않는 배경 영역을 어둡거나 흐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은
    상기 콘텐츠 영역 중 상기 전경 영역이 커버하지 않는 배경 영역에서 수행되는 스와이프 동작 또는 상기 간이 검색창의 닫힘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 결과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선택된 간이 검색 결과에 따른 제2 웹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이전에 탐색했던 웹페이지로 돌아가는 뒤로가기 버튼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웹페이지를 닫고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상기 전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페이지를 닫고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상기 전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웹페이지가 초기 페이지인 경우일 때, 상기 제2 웹페이지를 닫고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상기 전경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전경 영역에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경 영역에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웹페이지가 표시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표시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 상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으면 간이 검색 대상이 초기화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버튼은
    상기 제2 웹페이지에서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은
    텍스트, 소리 및 이미지 중 하나의 형태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을 상기 텍스트, 소리 및 이미지 중 하나의 형태로 입력받기 위하여 간이 검색 대상의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카테고리 지정 버튼을 상기 간이 검색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이미지 형태인 경우,
    상기 간이 검색창에 카메라로 촬영되는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되는 대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이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간이 검색 대상의 입력 수준에 따라 변형되는 추천 검색어를 상기 간이 검색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하나의 콘텐츠 검색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웹페이지를 조회하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콘텐츠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경 영역에 간이 검색창을 표시하며,
    상기 간이 검색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간이 검색 대상을 입력 받고,
    상기 간이 검색창 내에 상기 간이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간이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이 검색 결과 중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고,
    선택된 간이 검색 결과에 따른 제2 웹페이지를 상기 콘텐츠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장치.
KR1020170166459A 2017-12-06 2017-12-06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KR102063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9A KR102063241B1 (ko) 2017-12-06 2017-12-06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9A KR102063241B1 (ko) 2017-12-06 2017-12-06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50A KR20190066750A (ko) 2019-06-14
KR102063241B1 true KR102063241B1 (ko) 2020-01-08

Family

ID=6684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59A KR102063241B1 (ko) 2017-12-06 2017-12-06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2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4777A (ja) * 2011-12-23 2013-07-08 Kakao Corp メッセージ入力ウィンドウを用いた拡張サービス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973A (ko) * 1999-08-26 1999-11-05 정성민 간이한 검색 엔진 제공 방법
KR20010091344A (ko) * 2000-03-14 2001-10-23 이병철 하나의 브라우저화면에서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수 있는 다중창 웹 브라우저
CN102930017B (zh) 2012-10-31 2016-08-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在移动终端上提供搜索结果的方法和设备
KR101659063B1 (ko) * 2016-01-20 2016-09-26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4777A (ja) * 2011-12-23 2013-07-08 Kakao Corp メッセージ入力ウィンドウを用いた拡張サービス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50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360B2 (en) Simulated hyperlinks on a mobile device
US20210027203A1 (en) Action suggestions for user-selected content
US20190340209A1 (en) Method for searching and device thereof
US10140314B2 (en) Previews for contextual searches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US107128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displayed on screen
US11748557B2 (en) Personalization of content suggestions for document creation
US20080275850A1 (en) Image tag designating apparatus, image search apparatus, methods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computers of same
US10169374B2 (en) Image searches using image frame context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30130748A (ko) 멀티 모드 웹 브라우징
CN103455590A (zh) 在触屏设备中进行检索的方法和装置
KR20110099225A (ko) 제안된 미세 조정 용어 및 버티컬 검색의 검색 결과 미리보기
WO20120212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configurable creative units for delivery via intext advertising
CN103258534A (zh) 语音命令识别方法和电子装置
US11314826B2 (en) Method for searching and device thereof
US201502131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owsing
KR100796810B1 (ko) 미리보기 기능을 포함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07870721B (zh) 搜索结果展现方法、装置及用于搜索结果展现的装置
US20070073713A1 (en) Term search and link creation from a graphical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presentation code
KR102063241B1 (ko) 콘텐츠 검색 방법 및 콘텐츠 검색 장치
CN104899287A (zh) 网页的显示方法和装置
JP2017107436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KR20150097250A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62215B1 (ko) 확장정보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