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525B1 -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 Google Patents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525B1
KR102062525B1 KR1020180132719A KR20180132719A KR102062525B1 KR 102062525 B1 KR102062525 B1 KR 102062525B1 KR 1020180132719 A KR1020180132719 A KR 1020180132719A KR 20180132719 A KR20180132719 A KR 20180132719A KR 102062525 B1 KR102062525 B1 KR 10206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test
module
self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방
Priority to KR102018013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5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moke detector having a self-test fun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oke detector having a self-test function comprises: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rence signal is output by using a sensing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smoke generation module for emitting smoke in a body when a self-test function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Description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oke detector having a self-test function.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유무를 확인하려면 열감지기의 경우 열을 직접 가해야 하고, 연기감지기에는 가스등의 연기를 분사하여 반응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e detector is operating normally, the heat detector should be directly heated, and the smoke detector is sprayed with gas or other gas to check the reaction.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마다 개별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한 시험장비를 일일이 들고 다니면서 감지기의 기능을 점검하고 있다.Accordingly, each fire detector carries out test equipment manufactured separately to inject heat or smoke individually to check the function of the detector.

그러나 이러한 시험방법은 화재감지기의 감도에 적합한 온도 또는 농도를 맞추어 투입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감지기가 동작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을 일시에 투입하기 때문에 감지기가 정상적인 감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사 때마다 열감지기에 가해지는 고온의 열기나 연기감지기에 가해지는 다량의 액체 가스는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 인하여 화재감지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However, this test method should be adjusted to the temperature or concentration suitable for the sensitivity of the fire detector. In reality,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detector maintains its normal sensitivity because a large amount is continuously injected at a time until the detector is operated.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liquid gas applied to hot heat or smoke detectors applied to heat detectors at regular intervals of inspection results in shortening the life of fire detectors due to repeated tes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0319 (등록일자 2004년08월18일)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60319 (Registration date: Aug. 18, 2004) Smoke detector fire detect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연기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provide a smoke detector that can perform a test remotel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시험장비가 필요치 않고 자체적으로 연기를 발생시켜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연기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oke detector for testing the normal operation by generating smoke by itself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test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Fur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센싱하기 위한 수광소자; 상기 수광소자에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본체 내에 연기를 방출하기 위한 발연모듈을 포함하는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 fire occurrence signal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when the self-test function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there is provided a smoke detector with a self-test function comprising a smoke module for releasing smoke in the body.

여기서, 상기 발연모듈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스프레이 형태로 연기를 분사할 수 있다.Here, the fume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inject smoke in the form of a spray.

또한,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재시험 명령이 수신되면,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끝단에 구비된 발연제에 열을 가하여 연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발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management device, when receiving a retest command from the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by applying heat to the fuming agent provided at the end second smoke for generating smoke The module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2 발연모듈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단계에 상응하여 동작시킬 제2 발연모듈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second fume module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second fume modules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test step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apparatus.

또한, 상기 발연모듈은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끝단에 구비되어 열이 가해지면 연기를 발생시키는 발연제에 열을 가하기 위한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me modul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at the end may include a heat gener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smoke generating agent when the heat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르면, , 자체적으로 연기를 발생시켜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연기감지기를 제공함으로 인해, 별도의 시험장비가 필요치 않고 원격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moke detector to test the normal operation by generating smoke itself,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est remotely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test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험을 위한 화재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자체 시험 기능을 위한 발연모듈의 구현 방식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단면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for a remot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moke detector with a self tes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lan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method of a fume module for a self-test functio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erms such as a first threshold value, a second threshold value,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e-specified as threshold value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or partially the same value, but may be confused when expressed with the same wor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erms "first" and "second" will be written together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into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험을 위한 화재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for a remot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연기감지기(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및 관리 장치(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moke detectors 10-1, 10-2,..., 10-n,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 and a management device 50. .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10)는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관리 장치(50)는 연기감지기(10)들을 원격에서 성능을 시험(test)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moke det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elf-test function, the management device 50 may test the performance of the smoke detectors 10 remotely.

일반적으로, 연기감지기(10)는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면, 화재발생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리 장치(50, 일반적으로 수신반이라 칭함)로 전송하고, 관리 장치(50)는 수신된 화재발생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처리(예를 들어 경종 또는 사이렌 구동 등)한다.In general, when the smoke detector 10 detects smoke due to fire, the smoke detector 10 generates a fir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remote management device 50 (generally called a reception panel) through a network, and the management device 50 receives the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e occurrence signal, a notification of a fire occurrence is processed (for example, alarm or siren driving).

도 2는 일반적인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smoke detector with a self-tes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는 연기에 의한 산란광을 이용하는 광전식 연기감지기가 주로 이용된다.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LED와 같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직진성을 갖는 빛이 평소에는 수광소자로 유입되지 못하다가 화재로 인해 본체 내부에 유입된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그 일부가 수광소자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산란식 방식뿐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광식 감지형태도 존재하는데, 감광식의 경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다이렉트로 수광소자에 유입되도록 배치하고, 연기에 의해 빛의 일부가 산란되어 유입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광전식 연기 감지 방식뿐 아니라 모든 방식의 연기감지 방식에도 이하에서 설명될 자체 시험 기능의 적용은 모두 가능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들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 2, a smoke detector for detecting smoke mainly uses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using scattered light by smoke. In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light having a linearity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does not normally enter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ut is scattered by the smok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due to a fire, and part of the light is e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t is to detect the fire by using whether or not it is introduced. In addition to the scattering metho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lso a photosensitive sensing type. In the case of the photosensitive method,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disposed to directly enter the light receiving device, and a part of the light is scattered and introduced by the smoke. If the amount of light is less, it is recognized as a fi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s that not only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ion method but also all types of smoke detection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self-test function described below.

연기감지기의 자체시험 기능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는 발연모듈(3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which shows a configuration for a self test function of a smoke detector, the smok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ume module 310.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센싱하기 위한 수광소자 및 수광소자에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320)을 포함하는데, 여기에 제어모듈(320)의 제어하에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본체 내에 연기를 방출하기 위한 발연모듈(31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a control module 320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 fire signal by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device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ensing value from the light receiving device. If the self-test function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20, it further comprises a smoke-smoke module 310 for releasing smoke in the body.

그리고, 연기감지기는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30)을 더 포함하며, 제어모듈(320)은 관리장치로부터 자체시험 기능을 구동을 명령을 통신모듈(330)을 통해 수신하면, 발연모듈(310)을 구동하여 자체시험 기능을 수행한다.The smoke detector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30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the control module 320 receives a command to drive a self-test function from the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0. The self-test func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fume module 310.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는 원격의 관리장치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자체시험 기능을 구동함으로 인해, 관리자 입장에서는 원격에서 다수의 연기감지기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에서는 자체시험 명령을 제1 연기감지기로 전송하고, 제1 연기감지기가 자체시험을 구동함에 따라 화재발생신호가 해당 연기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원격에서 제1 연기감지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mok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operate a self-test function according to a command from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so that a plurality of smoke detectors can be checked remotely from an administrator's point of view. For example, the management device transmits a self-test command to the first smoke detector and remotely checks whether the fire occurre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oke detector as the first smoke detector drives the self-test. You can do a test on it.

그리고, 연기감지기에서의 자체 시험 기능은, 구비된 발연모듈(310)에 의해 실제 발생되는 연기를 정상적으로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테스트의 정확도가 보다 높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test function in the smoke detector is to check whether the smoke actually generated by the provided smoke module 310 is normally detected, the accuracy of the test is higher.

이하 발연모듈(310)의 구현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fume module 3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자체 시험 기능을 위한 발연모듈의 구현 방식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4 and 5 are a plan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manner of a fume module for a self-test functio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발연모듈(310)은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발연 스프레이(430)로 구현될 수 있다. 발연 스프레이(430)는 현재에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연기체크스프레이(SMOKE CHECK SPRAY)와 같이, 일정량의 연기를 방출하는 형태로서 제어모듈(320)의 제어하에 일정량의 연기를 분사방식으로 방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중화장실에서 전기적 제어에 의해 스프레이가 구동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적 제어에 의해 스프레이가 구동되는 형태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에게는 발연 스프레이(430)의 구동 방식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fume module 310 may be implemented by a fume spray 43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e fuming spray 430 is a form of discharging a certain amount of smo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20, such as a smoke check spray (SMOKE CHECK SPRAY) still on the market. It can be implemented as. Since spray is driven by electrical control in various fields such as spraying by electrical control in a public toilet, a driving method of the fuming spray 430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tailed description. .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시험 기능이 구동되면, 연기감지기의 제어모듈(320)의 제어하에 발연 스프레이(430)로부터 연기가 방출되고, 방출된 연기에 의해 발광소자(410)로부터 방출된 빛이 수광소자(420)로 전달되는 양이 변하게 되어 화재발생신호가 정상적으로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연기감지기의 정상 작동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lf test function is driven, the smoke is emitted from the fuming spray 4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smoke detector, and the smoke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410 by the emitted smoke.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420 is chang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rence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moke detector is normally operated.

발연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발연모듈은 발연제(510-1, 510-2, 이하 510으로 통칭) 및 발열부(520-1, 520-2, 이하 520으로 통칭)를 포함한다. 발연제(510)는 열이 가해지면 일부가 연소되어 연기가 발생되는 물질이며, 발열부(520)는 해당 발연제(510)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발열부(520)는 내부에 코일이 구비되어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며, 발열부(520)의 끝단에 구비되는 발연제(510)에 열이 전달되어 발연제(510)가 일부 연소됨으로써 연기가 발생되는 것이다. 발연제(510)로부터 발생된 연기는 본체(500) 내부로 유입되며, 마찬가지로 그로 인해 자체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fume module, a fume module may include a smoke agent (510-1, 51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510) and a heat generating unit (520-1, 520-2, 520 referred to below). It includes. The smoke agent 510 is a material in which a part of the smoke is generated when smoke is applied, and the heat generator 520 is a means for applying heat to the smoke agent 510.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520 is provided with a coil therein to generate hea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smoke 510 provided at the end of the heating unit 520 so that the smoke 510 burns partly. As a result, smoke is generated.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e 51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0, and likewis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elf test.

본 실시예에서는 자체시험 기능이 수행되면 발연제(510)가 일부 또는 전체 연소될 수 있으므로, 발연제(510)는 교체될 수 있도록 발열부(520)의 끝단에 부착 또는 장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교체 시기를 늦출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연모듈은 도면과 같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가 구비되는 경우 최소 2번의 자체시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elf-test function is performed, the smoke agent 510 may be partially or totally burned, and thus the smoke agent 510 may be manufactured to be attached or mounted to the end of the heating unit 520 so as to be replaced.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ume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shown in order to delay the replacement time. For example, if two are provided, at least two self-test functions may be perform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연모듈이 구비된 경우, 복수개의 단계로 테스트가 구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단계 테스트에서는 하나의 발연모듈이 동작하고, 2단계에서는 2개의 발연모듈이 동작하는 형태이다. 즉, 테스트 단계가 높아질 수록 동작하는 발연모듈의 개수가 많아져 방출되는 연기가 많아지는 것이다. 연기감지기가 설치되고 시간이 경과할 수록 연기를 감지하는 기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단계로 자체시험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낮은 테스트에서 정상적으로 화재발생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단계를 올려 화재발생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smoke modules are provided as shown in Figure 5, the tes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one smoke module operates in the first stage test, In the second stage, two fume modules operat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est step, the greater the number of fume modules operating and the more smoke is emitted. Since the smoke detector is installed and the function of detecting smoke may become weaker as time passes, it is to perform self-test in multiple stages. In other words, if the low test does not recognize the fire as normal, it can be stepped up to check whether the fire is recogniz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연 스프레이(430)를 제1 발연모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연제(510)를 이용한 방식을 제2 발연모듈로서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발연모듈을 이용한 자체시험 기능을 먼저 수행하고, 비정상으로 판단되면(즉, 화재발생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제2 발연모듈을 이용한 자체시험 기능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연기감지기는 제1 발연모듈을 이용한 자체시험 기능 수행 이후, 관리장치로부터 재시험 명령이 수신되면, 제2 발연모듈을 이용한 자체시험 기능을 다시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발연모듈 및 제2 발연모듈의 자체시험 기능의 수행 순서는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 fuming spray 430 as shown in FIG. 4 may be provided as a first fuming module, and a method using a fuming agent 510 as shown in FIG. 5 may be provided as a second fuming module, respectively. .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elf-test function using the first fume module may be performed fir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bnormal (that is,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not normally output), the self-test function using the second fume module may be performed again. have. That is, the smoke detector performs the self test function using the second smoke module again when the retest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apparatus after performing the self test function using the first smoke modul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der in which the self-test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moke modules are performed may be chang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10 : 연기감지기
50 : 관리 장치
310 : 발연모듈
320 : 제어모듈
330 : 통신모듈
410 : 발광소자
420 : 수광소자
430 : 발연 스프레이
500 : 본체
510-1, 510-2 : 발연제
520-1, 520-2 : 발열부
10: smoke detector
50: management device
310: smoke module
320: control module
330: communication module
410: light emitting element
420: light receiving element
430: fuming spray
500 body
510-1, 510-2: Smoke Retardant
520-1, 520-2: heating unit

Claims (5)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센싱하기 위한 수광소자;
상기 수광소자에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
본체 내에 구비되어 스프레이 형태로 연기를 분사하는 제1 발연모듈;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열이 가해지면 연기를 발생시키는 발연제에 열을 가함으로써 연기가 외부에서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발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2 발연모듈; 및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발연모듈에 의한 테스트 결과로서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발연모듈을 이용한 추가테스트를 수행하되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단계에 상응하여 동작시킬 제2 발연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는,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지기.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 fire occurrence signal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first fuming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inject smoke in a spray form;
A plurality of second fuming module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heating unit for applying the heat to a fuming agent that generates smoke when heat is applied to allow the smoke to flow into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management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module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test by the first fume module, the control module performs a further test using the second fume module, bu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test step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apparatus. Smoke detector with self test function to determine the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32719A 2018-11-01 2018-11-01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KR102062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19A KR102062525B1 (en) 2018-11-01 2018-11-01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19A KR102062525B1 (en) 2018-11-01 2018-11-01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525B1 true KR102062525B1 (en) 2020-01-06

Family

ID=6915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19A KR102062525B1 (en) 2018-11-01 2018-11-01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5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465A (en) * 2022-01-05 2022-05-13 山东山消智慧安全科技有限公司 Atomization core-based smoke sensor automatic test an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14495465B (en) * 2022-01-05 2024-05-31 山东山消智慧安全科技有限公司 Automatic testing and checking system and method for smoke sensor based on atomization c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1746A1 (en) * 1993-08-19 2003-01-02 Bernal Brian Andrew Self-diagnostic smoke detector
US20150310732A1 (en) * 2014-04-23 2015-10-29 Tyco Fire & Security Gmbh Self-testing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moke source
JP2017194320A (en) * 2016-04-19 2017-10-26 泰一郎 吉本 Smoke producing composition for smoke detector operational tester, and smoke detector operational te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1746A1 (en) * 1993-08-19 2003-01-02 Bernal Brian Andrew Self-diagnostic smoke detector
US20150310732A1 (en) * 2014-04-23 2015-10-29 Tyco Fire & Security Gmbh Self-testing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moke source
JP2017194320A (en) * 2016-04-19 2017-10-26 泰一郎 吉本 Smoke producing composition for smoke detector operational tester, and smoke detector operational t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465A (en) * 2022-01-05 2022-05-13 山东山消智慧安全科技有限公司 Atomization core-based smoke sensor automatic test an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14495465B (en) * 2022-01-05 2024-05-31 山东山消智慧安全科技有限公司 Automatic testing and checking system and method for smoke sensor based on atomization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68B2 (en) Device and apparatus for self-testing smoke detector baffle system
AU2015249511B2 (en) Self-testing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moke source
US11132891B2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AU2006251047B9 (en) A flame detector and a method
EP4250261A2 (en) Self-calibrating fire sensing device
US11756400B2 (en) Self-testing hazard sensing device
KR102062525B1 (en) Smoke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WO2015080795A1 (en) Ultraviolet light flame detector
US9881491B2 (en) Fire detector comprising a MOS gas sensor and a photoelectric detector
KR101264591B1 (en) Fire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TW201501086A (en) Test system and method
KR102397698B1 (en) Self-check smoke detector
KR101393517B1 (en) Remote checking system for smoke detector and device thereof
CN105190718B (en) Fire-alarm
US20230260390A1 (en) Testing a heat detector of a self-testing hazard sensing device
CN210836517U (en) Detection device of gas type fire detector
KR102561529B1 (en) Fire detecting system for enhancing frie detecting efficiency
KR102062302B1 (en) Cross circuit supervisory machine used in firefighting track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40040299A (en) A automatic fire alarm system using an optimized analog detector based on a P-type receiver to reduce non-fire alarms
JPH02242498A (en) Remote testing device for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