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266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266B1
KR102062266B1 KR1020170147240A KR20170147240A KR102062266B1 KR 102062266 B1 KR102062266 B1 KR 102062266B1 KR 1020170147240 A KR1020170147240 A KR 1020170147240A KR 20170147240 A KR20170147240 A KR 20170147240A KR 102062266 B1 KR102062266 B1 KR 10206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lay
unit
sensors
s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497A (en
Inventor
조성준
김용배
유준석
최인
윤종관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to KR102017014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26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취합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로부터 분류된 감지 정보들을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Patient and weak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an external stimulu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 and collects a predetermined reference And a gateway configured to convert the sensed information classified from the relay into servic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Figure R1020170147240
Figure R1020170147240

Description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본 발명은 다량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다량의 센서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이를 수집 및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and elderl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large amount of sens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llecting and utilizing data collected by a large amount of sensors in real time.

최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과 고령화, 소득증대 등의 시대 흐름에 따라 헬스 케어(Health Care) 산업이 급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 헬스 케어 산업이 특정 환자에 대한 치료가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환자 맞춤방식으로 관리를 통해 예방하는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Recently, the health care industry is showing rapid growth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aging, income growth, etc. In the past, the healthcare industry was centered on the treatment of specific patients, and now it is expanding to preventive management.

또한, 자기 보호 능력 및 의사 표현 능력이 없고 신체가 발달하지 않은 유아나,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경우에 각종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에 돌연사나 질병의 초기 현상의 발견, 사고의 방지 등은 결국 보호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지만, 병원의 의료진이 항상 유아 또는 환자들에게 모든 일을 집중하고 감시를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In addition, a variety of diseases and accidents are likely to occur in the case of a socially underprivileged child, such as a child who does not have self-protection ability and expressive ability and does not have a physically developed body, or a disabled person who is incapable of restricting daily activities. Sudden death, early detection of disease, prevention of accidents, etc. must eventually be carried out by the guardian,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hospital's medical staff to always focus and monitor everything on infants or patients.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유아 또는 환자들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지만, 수면 시간이나 다른 일에 집중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상당 시간 동안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The guardian's position is to visually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infant or patient, but if he or she needs to focus on sleep time or other work, he or she may not be aware of the onset of the onset for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웨어러블 센서의 발달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유아 또는 환자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로서 온도 및 맥박 센서를 갖추고 유아 또는 환자들의 팔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밴드 또는 온도계 등의 각종 센서를 갖춘 의복 등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이것이 착용된 유아 또는 환자들의 맥박, 온도 등을 수시로 측정하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호자에게 전달한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wearable sensor and network technology, it is a technology that continuously monitors the condition of infants or patients.It is equipped with temperature and pulse sensor and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band or thermometer worn on the wrist or ankle of infants or patients. Etc. These devices often measure the pulse, temperature, etc. of an infant or patient wearing it and transmit the measured data to the caregiver via a network.

이러한 종래 서비스는 유아 또는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는 하나의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장치가 유아 또는 환자들에게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위치정보를 포함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거나, 열을 측정할 수 있는 열 센서 장치가 측정한 열이 특정 임계치 이상 올라갈 경우에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The conventional service has a form in which a service for an infant or a patient is provided with no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short message or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single sensor device.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device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occurs to an infant or a patient, o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heat measured by a heat senso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heat rises above a certain threshold. To provide.

이렇듯 종래의 서비스 플랫폼은, 하나의 단말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ervice platform is generally composed of one terminal device,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application of a user who receives a service.

또한, 종래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단수의 센서정보와 다수의 사용자로 구성되었다. 즉, 하나의 측정정보를 다수의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받는 형태로 구성되었다.In addition, the form of providing information collected by a conventional sensor is generally composed of a single sensor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a single piece of measurement inform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erson who needs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ccesses a network or is provided to an application.

하지만, 이는 다량의 상이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할 경우, 측정 데이터의 양이 크고, 서로 상이한 센서의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연동이 어렵고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병원과 같이 다량의 센서를 활용해야 하는 공간에서, 다량의 상이한 센서와 수 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통합하는 소프트웨어를 갖추는 등 비용도 커지고 그 활용성도 떨어질 수 밖에 없다.However, when a large amount of different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processed, the amount of measurement data is large, and due to the interface of different sensors, interworking is difficult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may be reduced. In addition, in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sensors are to be utilized, such as a hospital, a large amount of different sensors and applications for each kind and software for integrating them are inevitably costly and their utilization is inevitably reduced.

이에 따라, 다량의 센서와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capable of easily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sensors and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다량의 정보가 생성되는 병원과 같은 곳에서 중요한 정보만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aging a patient and a weak person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o that only important information can be easily processed in a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generated.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거동이 불편하거나 관리 및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신속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ient and a weak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provide a quick help to those who are uncomfortable or need management and help.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중계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활용하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중계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 중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유효한 감지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유효한 감지 정보를 전송 패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을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중계장치와 인접한 제2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thod for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utiliz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provided in the re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lay device, waiting for the reception of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first relay Receiving, by the apparatus,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validity of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sensor amo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relay apparatus is vali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lassifying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valid sensing information into a transmission packet, and the first relay apparatus transmits the transmission packet along with the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to a second relay apparatus adjacent to the first rela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감지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moving, by the first relay device, invalid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is invalid.

본 발명의 상기 전송 패킷을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중계장치와 인접한 제2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 및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제3 중계장치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제3 중계장치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port p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to the second re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relay device, the second relay device, the transport packet including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Waiting for delivery of the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by the second relay device, Transmitting the valid transport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relay or gateway existing in a preset range, and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a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third relay or gateway.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중계장치로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중계장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중계장치로부터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 중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감지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의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valid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ansmitted to the third relay device, the second relay device exists in a preset range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first relay device. Waiting for reception of a transmission packe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re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relay device determines validity of two or more pieces of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relay apparatus, the valid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apparatus,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of the valid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식별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mov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inval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valid.

본 발명의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유효하지 않은 식별 정보를 제공한 중계장치에 오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ransmitt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signal to the relay device providing the inval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제공한 중계장치로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eiv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relay device provided with the transmission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한 정보들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 측정치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 validity by compa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measurement valu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본 발명의 변환장치를 활용하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receivi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received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Normalizing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to the relay unit or the gateway at regular time intervals.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 외의 감지 정보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고, 즉시 상기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ceiving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nsing information oth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rrives from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the sensing information is normalized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immediately sent to the relay unit or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본 발명의 변환장치는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디바이스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 송수신부, 상기 중앙 처리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device transceiv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normalizi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normalized sensing. And a wireless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relay unit or a gateway, and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device transceiver, the central processor, and the data transceiver.

본 발명의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 외의 감지 정보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가, 즉시 상기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normalizes th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arriv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is immediately connected to the relay unit or gateway.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본 발명의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가 송신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ion information reception times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취합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로부터 분류된 감지 정보들을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tient and weak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an external stimulus,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 is col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nd a gateway configured to convert the detected information classified from the relay into servic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중계부는,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중계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복수의 감지 신호들을 분류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분류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d And a second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classify the plurality of valid sensing signals,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lassified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장치, 상기 외부 자극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장치 및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센서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상기 중계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device for detecting the external stimulus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sensor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external stimulus occurs and the electrical signal and sensor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the relay unit.

본 발명의 상기 제1 센서장치 및 상기 제2 센서장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중계부로 전송하는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nsor device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devic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converti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relay unit.

본 발명의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센서부, 상기 중계부, 상기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service platform utilizing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sensor unit, the relay unit, the gateway.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은, 중계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중계부로 수신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정보를 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버퍼에 기록된 감지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는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atient and weak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performed by th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relay unit,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det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ption status to the relay unit, And recording the sensed information in a buffer, converting the sens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uffer into servi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utilizing the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로부터 전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기록된 감지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moving sens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uffer when receiving a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 중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감지 정보에 대하여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 측정치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val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 validity by compar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value measurement with respect to two or more identical sensing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 정보를 활용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of utilizing a plurality of sensor informa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 정보들이 생성하는 다량의 정보들이 중복되지 않고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generated by a plurality of sensor information can be used accurately without overlapping.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들을 쉽게 연동하고, 이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can be easily interlocked and can be easily managed.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들을 융합하여 보다 명확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안전하고 높은 수준의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can be fused to enable clearer and more accurate measurement, thereby providing a safe and high level of care ser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유선 센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선 센서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신호 처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선 센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변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선 센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변환장치가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과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의 데이터 중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중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정보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과 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이 센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provided with a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receiving a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wired sensor.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a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red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rt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wired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by a convert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wired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lay unit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and a data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first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relay process of the first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the data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second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by a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among the drawings have been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vice and method should be described together when necessary.

종래의 환자나 노약자, 영유아 보호를 위한 돌봄 서비스는 보호자와 피보호자 간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피보호자가 소지한 장치와 장치가 측정한 값은 보호자에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알림, 문자 형식으로 제공되는 방식이거나, 서비스 관리자 서버로 제공되는 방식이었다.Conventional care services for the protection of patients, the elderly, and infants have been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guardian and the caregiver. Such a service is a method in which a device possessed by a ward and a value measured by the device are provided to the guardian in a mobile application notification, a text format, or a service manager server.

도 1은 종래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정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정보 측정을 위한 장치(101)를 소지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provided with a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Referring to FIG. 1, a user who subscribes to a specific service installs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to use a service, and possesses an apparatus 101 for measur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보호가 필요한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피보호자는 정보 측정을 위한 장치(101)를 신체에 부착하거나 소지한다. 정보 측정 장치(101)는 위치 정보를 장치(101)가 연동된 휴대장치(103) 또는 기지국(105)에 전송한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107)는 기지국(105)을 통하여 정보 측정 장치(101) 또는 휴대장치(103)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게 되고, 서비스 사업자 서버(107)는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보호자의 휴대 단말에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the person to be attached or possessed a device 101 for measur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10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apparatus 103 or the base station 105 to which the apparatus 101 is linked.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07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01 or the portable device 103 through the base station 105, and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07 process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s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various formats.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보호자의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107)는 지도에 표시(109), 해당 위치의 주소 정보와 함께, 피보호자의 상태를 제공(111), 특정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알림(113), 경로 추적 등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를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제공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mad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guardian's portable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07 displays a map on the map 109, provides the status of the ward, together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location (111), alerts when leaving a particular location (113), route tracking services such as various ways Provid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subscribed to the service.

또한, 정보 측정 장치(101)가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일 경우, 주기적 체온 값을 전송하거나, 급격한 체온 변화 값을 정보 측정 장치(101)와 연동된 휴대장치(103) 또는 기지국(105)를 통해 사업자 서버(107)로 전송하게 된다. 사업자 서버(107)는 정보를 가공하여 피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01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the periodic body temperature value is transmitted, or the abrupt body temperature change valu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rtable device 103 or the base station 105 in conjunction with th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101. I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 server 107. The operator server 107 processes th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to be protected.

도 2는 종래의 유선 센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도 도 1의 무선 센서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선 센서가 구비된 장치(201)를 측정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고 LAN이나 Wi-Fi로 네트워크(203)에 연결되어 주기적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네트워크(203)와 연결된 사업자 서버(205)는 측정 데이터를 가공하고 서비스 플랫폼(207)이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 장치(209) 또는 PC 서버(211)으로 가공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receiving a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wired sensor. 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using a wired sensor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wireless sensor of FIG. 1. The device 201 having a wired sensor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measurement is required, an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203 by LAN or Wi-Fi to transmit measurement data when a periodic or event occurs. The operator server 205 connected with the network 203 processes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ervice platform 207 transmits the process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device 209 or the PC server 211 of the service use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센서를 구비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하나의 센서 정보와 다수의 서비스 시스템 이용자로 구성되었다. 즉, 하나의 측정 정보를 다수의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공받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measuring device with a conventional sensor is composed of one sensor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ervice system users. That is, one measur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erson who needs a plurality of information is provided by connecting to a network or using an application.

그러나, 하나의 센서 정보가 아닌 복수 개의 센서 정보가 존재하고 이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 종래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 양이 많을 뿐 아니라 서로 상이한 센서의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연동이 어렵고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conventional system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sensor information instead of one sensor information and needs to be used. In addition to the large amount of data, the interface of different sensors makes it difficult to interwork and reduc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다량의 정보를 통합하여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tegra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3a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1)은 센서부(30), 중계부(40), 게이트웨이(50), 서비스 플랫폼(60), 서비스 모니터링(70), 연결망(80a, 80b) 및 서비스 이용자 장치(90a, 9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해 부가적인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and the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and the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the patient and weak management system 1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s a sensor unit 30, a relay unit 40, a gateway 50, a service platform 60, and a service monitoring 70. ), Connection networks 80a and 80b and service user devices 90a and 90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dditional elements may be added to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30)는 제1 센서장치(301) 및 제2 센서장치(303)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장치(301, 303)은 복수 개의 무선 센서 및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환자나 노약자, 영유아(이하, 피보호자라 칭함)의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 즉, 상태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한다.The sensor unit 30 may include a first sensor device 301 and a second sensor device 303. The first and second sensor devices 301 and 3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and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The sensor unit 30 collects electrical signals, that is, st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of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an inf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rd), and provides the collected state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30)는 피보호자의 상태, 피보호자의 환경, 위치 등을 파악하는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부(30)는 근접해있는 중계부(40)로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센서, 피보호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동작센서, 심박센서, 체온센서, 대소변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30 may be composed of sensors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person, the environment, the location of the person, etc., each sensor unit 30 is the relay unit 40 in close proximity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passed. For example, the sensors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an op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a heart rate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 fecal sensor, and the like.

각각의 센서는 피보호자의 몸에 부착되어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장치(301), 즉 무선 센서와 환경, 진동, 각종 보안 센서 등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장치(303), 즉 유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Each sensor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guardian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that is, a wireless sensor and a second sensor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position, such as environment, vibration, various security sensors to detect a change ( 303), i.e., a wired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센서장치(301)는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Ant+ 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여 중계부(4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device 301 is Bluetooth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 (Wi-Fi)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IrDA) It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unit 40 using one of Data Association (WFD) communication, Wi-Fi Direct (WFD)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and Ant +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센서장치(301)는 주기적인 시간에 따라 센서 정보를 중계부(40)로 제공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센싱 정보를 중계부(40)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device 301 may provide sensor information to the relay unit 40 according to a periodic time, or provide sensing information to the relay unit 40 when an event occur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센서장치(303)는 RS485, RS422, RS232, LAN 포트 증을 이용하여 중계부(4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unit 40 using RS485, RS422, RS232, or LAN po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30)는 다량의 센서 정보를 하나의 전송 장치로 모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 장치(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센서장치(303)가 존재하거나, 제1 및 제2 센서장치(301, 303)가 중계부(40)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유선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중계부(40)에 연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케이블 설치와 같은 비용 문제, 제1 및 제2 센서장치(301, 303)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정보의 인식 오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환 장치(305)를 배치하여 제1 및 제2 센서장치(301, 303)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device 305 to collect and transmit a large amount of sensor information to one transmission devic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devices 303 or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 devices 301 and 303 are physically remote from the relay part 40,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lay part 40 through a wire. There is a limit to this. In addition, a cost problem such as a cable installation and a problem of recognition error of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devices 301 and 303 may occur. Accordingly, the conversion device 305 may be arranged to securely transmi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devices 301 and 303.

본 발명에 따르면, 변환장치(305)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미도시)와 RF(Radio frequency) 송신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해 부가적인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RF 송신부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중계부(4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ter 305 may be composed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not shown) and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not shown), and additional elements may be added to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F transmitter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unit 4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중계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비스 플랫폼(60) 및 서비스 모니터링(7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50)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중계부(40)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중계장치 각각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unit 4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30 and providing it to the gateway 50 for providing the service platform 60 and the service monitoring 70. can do.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the relay unit 40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terface types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Ant+ 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5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Bluetooth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 (Wi-Fi)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ommunication, WFD ( It may be connected to the gateway 50 using one of Wi-Fi Direct (UWB)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and Ant +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계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생성된 복수 개의 감지정보가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거치는 데이터 호핑(Data Hopping) 방식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게이트웨이(50)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unit 40 may finally be delivered to the gateway 50 using a data hopping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3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have.

실시예에 따라, 중계부(40)는 제1 중계장치(41)와 제2 중계장치(42)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2, 3 중계장치(41, 43, 45)는 1-1st,, 2-1st, 3-1st 중계장치, 1-2nd, 2-2nd, 3-2nd 중계장치, 1-3th, 2-3th, 3-3th 중계장치와 같이 복수 개의 중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많은 중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감지정보가 중복되는 정보 없이 전달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elay unit 40 may include a first relay device 41 and a second relay device 42.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lays 41, 43, and 45 may be 1-1 st , 2-1 st , 3-1 st relay, 1-2 nd , 2-2 nd , 3-2 nd repeater, 1-3 th , 2-3 th , 3-3 th Like a relay device,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More relays can be provided. Accordingly,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using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may be transmitted without overlapping information.

게이트웨이(50)는 중계부(4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서비스 정보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는 중계부(40)의 마지막 중계장치 및 서비스 플랫폼(60), 서비스 모니터링(70)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앞서 언급한 중계부(40)의 통신 인터페이스 형식과 동일할 수 있다.The gateway 5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the relay 40 and convert the information into a service information format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he gateway 5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last relay device of the relay unit 40, the service platform 60, and the service monitoring 7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the gateway 50 may b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ype of the relay unit 40 mentioned above.

서비스 플랫폼(60)은 게이트웨이(5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및 가공하여 연결망(80a, 80b)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 장치(90a, 90b)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platform 60 may collect, analyze, and proc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ateway 50 to the service user devices 90a and 90b through the connection networks 80a and 80b.

또한, 서비스 모니터링(70)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1) 전체를 관리 감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monitoring 70 may manage and supervise the entire patient and weak management system 1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센서부(30)들의 구성과 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sensor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센서장치(301)로 조작부(401), 동작 감지부(403), 중앙 처리부(405), 전원부(407) 및 무선 통신부(409)로 구성될 수 있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first sensor device 301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n operation unit 401, an operation detection unit 403, a central processing unit 405, and a power supply unit 407.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제1 센서장치(301)은 실내에서 피보호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장치(301)는 밴드형 또는 고리형 등 간편히 피보호자의 신체와 떨어지지 않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device 301 is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subject in the room, and may b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who is not comfortable with movement.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device 301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protector such as a band type or a ring shape.

제1 센서장치(301)의 조작부(401)는 피보호자 외의 보호자 또는 시스템 관리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01)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에게 긴급한 상황이 생길 경우, 긴급 호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401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may turn on / off the sens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guardian or a system management server other than the guardian. In addition, when an urgent situation arises to the to-be-guarded person using the operation part 401, an emergency call signal can be transmitted.

동작 감지부(403)는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즉, 움직임이라는 외부 자극에 반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처리부(405)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or 403 may sense a movement of the guardian. In other words, it can respond to external stimuli called movement. According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5 may generate electrical signals and data in response to an external stimulus.

무선 통신부(409)는 중앙 처리부(405)가 생성한 데이터를 중계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부(409) 짧은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중계부(4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선 통신부(409)는 데이터 및 데이터 번호와 함께 제1 센서장치(301)의 식별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may transmit data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5 to the relay unit 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may repeatedly transmit data to the relay unit 40 with a short period. In this pro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together with the data and the data number.

제1 센서장치(301)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제1 센서장치(301)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조작부(401)가 전원 종료 전까지 수행했던 순차 번호와 함께 이전에 수집한 정보들을 초기화한다(S501, S503). 실시에에 따라, 조작부(401)는 제1 센서장치(301)의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초기화 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data, the first sensor device 301 initializes previously collected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equence number that the operation unit 401 performed before the power was terminat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sensor device 301 was activated (S501). , S5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401 may initialize an advertising packet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무선 통신부(409)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 전송을 시작한다(S505). 무선 통신부(409)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패킷 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전송한 경우, 제1 센서장치(301)의 데이터 번호를 1 증가 시킨다(S509, S511).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starts transmitting an advertising packet including data (S505).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repeatedly transmits the packe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increases the data number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by one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transmitted (S509 and S511).

데이터 번호를 증가 후, 동작 감지부(403)가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S513), 다시 패킷 전송을 초기화하여 전송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After increasing the data number,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403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rotected person (S513), the packet transmission may be initialized again to repeat the transmission.

한편, 데이터 번호 증가 후, 동작 감지부(403)가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기 설정된 동작 감지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515). 대기 시간 동안 피보호자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다시 패킷 전송을 초기화하며, 대기 시간 범위 내인 경우에는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대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increasing the data number, if the motion detection unit 403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protected pers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t motion detection waiting time is exceeded (S515). If there is no movement of the guardian during the waiting time, the packet transmission is initialized again, and if it is within the waiting time range, the guardian waits for the movement.

이처럼, 기 설정된 주기와 횟수를 반복하여 피보호자의 움직임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피보호자에게 기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주기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s such,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guardian may be provided by repeating the preset period and the number of times. However, when a movement beyond the reference occurs to the guardian, data can be transmitted regardless of the period.

또한, 앞서 언급한 패킷 전송 프로토콜은 중계부(40)의 수신 인터페이스와 맞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packet transmission protocol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receiving interface of the relay unit 40.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장치(301)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계부(40)는 제1 센서장치(301)가 전송한 신호의 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를 기반으로 제1 센서장치(30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unit 40 receiv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first sensor device 301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of the first sensor device 301. The position of the sensor device 301 can be grasp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제2 센서장치(303)로 조작부(601), 상태 감지부(603), 신호 처리부(605), 전원부(607) 및 통신부(609)로 구성될 수 있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second sensor device 303 capable of wired communication, including an operation unit 601, a state detection unit 603, a signal processing unit 605, and a power supply unit 607. )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9.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장치(303)은 피보호자의 소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소변센서, 피보호자의 심장 박동을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전도 센서 등 위치가 변동될 수 없고 고정되어 있는 센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is fixed in position without being immutable such as a urine sensor for detecting the urine state of the subject, an electrocardiogram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and an EMG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muscles. It may be a sensor.

제2 센서장치(303)의 조작부(601)는 또는 시스템 관리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 온/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장치(303)가 심전도 센서인 경우, 상태 감지부(603)는 환자의 주기적인 심장 박동 수, 심장 박동의 변화 폭 감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601 of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may also turn on / off the sens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ystem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is an electrocardiogram sensor, the state detector 603 may detect a periodic heart rate of the patient, detection of a change in the heart rate, and the like.

상태 감지부(603)가 수집한 외부 자극에 대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부(605)가 가공하여 패킷화 할 수 있다.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external stimulus collected by the state detector 603 may be processed and packetized by the signal processor 605.

통신부(609)는 신호 처리부(605)가 생성한 패킷, 즉 데이터를 제2 센서장치(303)의 식별번호와 함께 변환장치(305)로 전송하거나, 중계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통신부(609)는 유선 포트와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하거나 무선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09 may transmit the packet gener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5, that is, the data,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to the converter 305 or to the relay unit 40.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609 may be connected to a wired port to transmit information or wirelessly.

제2 센서장치(303)는 조작부(601)에 의해 전원 신호가 들어오면, 외부 감지 신호를 대기하고, 심장 박동 변화와 같은 상태 정보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S701, S703). 외부에서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신호 처리부(605)는 상태 감지부(603)가 파악한 정보를 감지 신호와 함께 제2 센서장치(303) 식별 번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중계부(40)로 전송한다(S805, S707).When the power supply signal is input by the operation unit 601,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waits for an external sensing signal and checks whether state information such as a heartbeat change is input (S701 and S703).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the outside, the signal processor 605 may detect a packet includ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ate detector 603 together with a detection signal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cond sensor device 303 and time information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It generates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unit 40 (S805 and S707).

신호 처리부(605)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패킷 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709). 이는, 통신부(609)가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패킷을 전송한 경우, 패킷 전송을 초기화 하며(S711), 다시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가 들어오기를 대기한다.The signal processor 605 may repeatedly perform packet transmiss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709). This is in case the packet loss occurs while the communication unit 609 transmits the packet. When the packet is transmit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mmunication unit 609 initializes the packet transmission (S711). Wait for coming

도 8은 본 발명의 유선 센서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동이 불편한 피보호자가 많은 병원에서 유선 센서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합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red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n a hospital where a lot of the incompetent behaviors are inconvenient, a configuration of measuring the information of the insured and using the wired sensor may be provided.

실시예에 따라, 피보호자의 침대를 이용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피보호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보호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유선센서로 침상 매트 센서(801), CCTV(803), 레이더 센서(805), 산소포화도(807), 심박동센서(809) 가 구성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주변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센서(811)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e of the person lying in the bed may be measured by using the person's bed. Accordingly, the bed mat sensor 801, the CCTV 803, the radar sensor 805, the oxygen saturation 807, the heart rate sensor 809 may be configured as a wired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It may be configured as an environmental sensor 811 that can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다량의 유선 센서는 한 명의 피보호자를 위한 것으로, 다량의 유선 센서가 측정한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패킷화 하기 위해 변환장치(305)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amount of wired sensors are for one person to be protected, and a converter 305 may be provided to packetiz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arge amount of wired sensors into one piece of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신호 처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는 피보호자가 누울 수 있는 침상 매트 센서(801)일 수 있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needle mat mat sensor 801 that may be lie down by the person being protected.

일반적인 매트센서는 하나의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외부의 힘을 측정하고,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상 매트 센서(801)는 피보호자가 어떠한 형태로 누워있거나, 앉아 있거나, 이탈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로 분할된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The general mat sensor measures the external force by using a single pressure sensor and transmits data when an event occurs. In the couch mat sensor 801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disposed to measu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form of the culprit being laid, sat or separated.

위치 감지 센서(901)는 매트 내부에 하나의 분리된 매트 당 3열 이상의 1, 2, 3 번 센서(903, 905, 907)를 구히바여 피보호자가 누워있는 형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침대 매트의 전 영역에 걸쳐 누워 있을 경우,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901 may know the form in which the guardian is lying by using three or more rows 1, 2, and 3 sensors 903, 905, and 907 per one separated mat in the mat. For example, if the ward is lying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ed mat,

1, 2, 3 번 센서(903, 905, 907) 모두에 신호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의 데이터는 통신부(909)를 통해 변환 장치(305)로 제공되고, 변환 장치(305)는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또한, 더 자세한 피보호자의 상태를 감지하고자 할 경우, 센서의 수를 늘릴 수 있다.Signals are generated in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s 903, 905, and 907, and the data of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s are provided to the converter 30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09, and the converter 305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In addition, if the user wants to detect more detailed condition of the ward, the number of sensors can be increased.

침상 매트 센서(801)는 조작부(1005)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분리된 매트에 배치된 각각의 센서가 외부 자극, 즉 피보호자의 움직임에 의해 신호를 감지하면, 신호 처리부(1003)가 이를 중앙 처리부(1007)로 전달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uch mat sensor 801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unit 1005. When each sensor disposed on the separated mat senses a signal by an external stimulus, that is, the movement of the war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03 centers it. It transfers to the processing part 1007.

중앙 처리부(1007)는 정보 수신 시간, 센서 식별번호, 복수 개의 센서(903, 905, 907)의 압력 수치를 가공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009)가 가공된 정보를 변환 장치(305)로 전송한다. 변환장치(305)는 유선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중계부(40) 또는 서비스 플랫폼(60)으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7 processes the information receiving time, the sensor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pressure value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903, 905, and 907,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converter 305 by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009. . The converter 305 may convert the wired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and directly transmit the wired signal to the relay 40 or the service platform 60.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플랫폼(60)은 제공받은 정보를 복수 개의 압력 센서의 횡과 열을 고려하여 침상 매트 센서(801)에서의 피보호자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피보호자의 상태 파악을 위하여, 변환장치(305)와 연결된 CCTV(803), 레이더 센서(805), 산소포화도(807), 심박동센서(809), 환경센서(811)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ice platform 60 may predict the condition of the guardian in the couch mat sensor 801 by considering the provid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ateral and heat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ward, data using the CCTV 803, radar sensor 805, oxygen saturation 807, heart rate sensor 809, environmental sensor 811 connected to the converter 305. Can be received.

앞서 언급한 제1, 2, 3 실시 예의 센서부 이외에 보호자의 요청이나 추가적인 센서부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ensor uni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a request of a guardian or an additional sensor unit.

도 11은 본 발명의 유선 센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변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환장치(305)는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수용하고 이를 무선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센서 송수신부(1101), 중앙 처리부(1103),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105) 및 조작부(1107)로 구성될 수 있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rt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wired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converter 305 is an apparatus for rece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and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to a wireless device. The sensor transceiver 110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3, and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105 may be used. ) And the operation unit 1107.

센서 송수신부(1101)은 센서 디바이스1, 센서 디바이스2, 센서 디바이스 3, 센서 디바이스4의 각각의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송수신부(1101)는 유선 포트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or transceiver 1101 may receive sensor information of each of the sensor device 1, the sensor device 2, the sensor device 3, and the sensor device 4. In some embodiments, the sensor transceiver 1101 may be connected to a wired port.

중앙 처리부(1103)는 센서 송수신부(1101)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무선 통신 규격에 맞추어 송신하고,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상이한 상태 정보를 각 센서에서 송신되는 기준 정보(예. 시간)에 따라 하나의 포맷에 맞추어 규정된 시간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감지될 경우 해당 센서에서 전송된 정보와 함께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3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nsor transceiver 1101 in accordance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s different sta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reference information (eg, time)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It can be transmitted in the unit of time specifi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In addition, when an event signal is detect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 notification may be generated along wi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sensor.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105) 정보와 함께 알림을 외부로 전송하며, 조작부(1107)는 변환장치(305)와 연결된 복수 개의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변환장치(305)의 조작부(1107)가 복수 개의 센서들을 제어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변환장치(305)에 외부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105, and the operation unit 1107 may control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connected to the converter 3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xternal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converter 305 so that the operation unit 1107 of the converter 305 controls and sets a plurality of sensors.

도 12는 본 발명의 유선 센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변환장치가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변환장치(305)의 센서 송수신부(1101)는 센서 디바이스 1, 2, 3, 4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마다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이벤트 신호가 감지될 경우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대기할 수 있다(S1201).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by a convert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wired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sensor transceiver 1101 of the converter 305 may receive data from sensor devices 1, 2, 3, and 4 at predetermined times, or wait to receive data when an event signal is detected. It may be (S1201).

중앙 처리부(1103)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정규화된 패킷으로 생성한다(S1203). 생성된 패킷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105)에 의해 외부로 전송된다(S1205).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3 receives the sensor data and generates it as a normalized packet (S1203). The generated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by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105 (S1205).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1107)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고, 센서 디바이스 1, 2, 3, 4의 오류를 감지한 경우, 초기화 명령을 전송한다(S1207).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107 is not provided with the sensor data and detects an error of the sensor devices 1, 2, 3, and 4, the operation unit 1107 transmits an initialization command (S1207).

또한, 변환장치(305)는 외부로의 정보 전송을 완료하면, 다시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대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rter 305 complete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converter 305 may initialize the data again and return to the standby state.

도 13은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과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계부(40)는 다양한 종류, 다양한 센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수집 장치(1301)와 수집된 센서 신호를 1차 처리하여 다음 중계부(40)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전달 장치(1303)로 구성될 수 있다.FIG.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lay unit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and a data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relay unit 40 wirelessly collects a wireless data collection device 1301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various sensor signals,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ollected sensor signals to the next relay unit 40. It can be configured as a delivery device 1303.

도 3a의 중계부(40)의 구성에서 제1 중계장치의 1st 중계장치와 2nd 중계장치, 3th 중계장치 모두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고 있겠지만, 그 기능을 각각 다르게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과 같이 중계부(40)는 수집 장치 및 전달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unit 40 of FIG. 3A, the 1st relay device, the 2nd relay device, and the 3th relay device of the first relay device may all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bu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differently.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relay unit 40 may be divided into a collection device and a deliver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부(40)의 수집장치(1301)가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조작부(1307)은 제1 무선 통신부(1305)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수집장치(1301)는 센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1st 중계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unit 1307 activat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5 so that the collection device 1301 of the relay unit 4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Accordingly, the collection device 1301 may serve as a 1st relay device for receiving sensor signals.

또한, 조작부(1307)에서 제2 무선 통신부(1309)를 활성화하고 다른 제1 무선 통신부, 제3 무선 통신부(1305, 1311)를 비 활성화하게 되면, 1st 중계장치가 수신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2nd 중계장치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307 activat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9 and deactivates the other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5 and 1311, 2nd for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by the 1st relay device. Can serve as a relay.

본 발명에서, 제3 무선 통신부(1311)는 수집장치(1301)의 타 통신부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예비 통신부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11 may serve as a preliminary communication unit when an error occurs in another communication unit of the collecting device 1301.

수집장치(1301)로서의 중앙 처리부(1313)는 수집된 센서 정보의 유효성과 중계부(40)가 수신한 정보를 포맷에 맞도록 재배열하여 전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13 as the collecting device 1301 may rearrange the validity of the collected senso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lay unit 40 to a format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delivery device.

또한, 조작부(1307)가 제1 무선 통신부(1305)와 제2 무선 통신부(1309)를 모두 활성화하게 되면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경우에 제1 무선 통신부(1305)가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중계부(40)에서 변형된 중계를 요청하는 정보가 들어온다면 제2 무선 통신부(1309)가 이를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307 activates bo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5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9,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5 may operate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If the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modified relay from the other relay unit 40 comes 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9 may process it.

도 14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중계장치가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1307)에서 제1 무선 통신부(1305)를 활성화한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first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relay device activat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5 in the operation unit 1307 to perform a data collection function.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S1401).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의 정보는 각 센서의 측정치, 센서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시간과 동일한 데이터를 수번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센서의 경우 수신 전력(RSS, Received Signal Strength)값까지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waits to receive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S140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measurement value and a sensor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sensor, and in the case of a sensor that periodically transmits the same data as the reception time several times, the received power (RSS, Received Signal) Up to strength) value.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다(S1407). 실시예에 따라, RSS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은 유지하고, 그 보다 낮은 값의 정보는 버리게 된다. 즉, 낮은 값의 정보는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The sens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validity judgment is perform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S14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RSS values are compared to maintain the largest value, and information of lower values is discarded. That is, low valu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invalid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된 감지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감지 정보는 수집 장치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유효하지 않은 감지 정보를 제공한 센서로 오류 신호를 전송한다(S1405).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is invalid, the invalid sensing information may be removed from the collecting device. In addition, an error signal is transmitted to a sensor that provides invalid sensing information (S1405).

가장 큰값을 전달장치(1303)으로 전달할 포맷으로 변경하면서, 수신장치(1301)의 고유 ID를 붙여서 함께 전달한다.While changing the largest value to the format to be delivered to the delivery device 1303, the unique ID of the reception device 1301 is attached and transmitted together.

유효성 판단에 따라, 유효한 감지 정보는 전송 패킷으로 변경한다(S1407). 실시예에 따라, 유효한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은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서비스 플랫폼(60)에서 중계부(40)가 설치된 장소를 판단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lidity judgment, the valid sensing information is changed into a transport packet (S14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port packet including the valid sens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the collection func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a place where the relay unit 40 is installed in the service platform 60.

생성된 전송 패킷과 제1 중계장치의 식별 정보는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로 전달된다(S1409).The generated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relay that performs the transfer function (S1409).

도 1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중계장치의 데이터 중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중계장치가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1307)에서 제2 무선통신부(1309)를 활성화시킨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relay process of the first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the data transf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relay device activat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9 in the operation unit 1307 to perform a data transfer function.

이에 따라, 제1 중계장치는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대기한다(S1501).Accordingly, the first relay apparatus waits to receive the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S1501).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많은 양의 감지 신호가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전달받은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 정보가 많기 때문에, 또 한번의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다(S1503).As mentioned above, since a large amount of detection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us the received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are large, another validity determination is performed (S1503).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 판단은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전송되거나, 중복되는 정보인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RSS 값을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값은 저장하고, 나머지 낮은 값은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낮은 값을 가진 전송 패킷 에 대해서는 오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505)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idity judgment is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or duplicate information in the same sensor, the RSS values may be compared to store the highest value, and the remaining low values may be removed. Accordingly, erro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or a transport packet having a low value (S1505).

유효성 판단에 따라, 유효한 정보는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다음 중계부로 송신한다(S1507).According to the validity judgment, the vali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xt plurality of relays existing in the preset range (S1507).

중계부의 전달 장치는 다음 중계부에서 정보가 확실하게 수신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해 전송 확인 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509).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relay unit waits for reception of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nformation is received at the next relay unit reliably (S1509).

다음 중계부가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중계부의 전달 장치는 수집 장치로 전송 확인 되었음을 알리고, 이에 따라 일련의 중계 과정이 종료된다(S1511).When the next relay unit transmits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he relay unit's delivery device notifies that the transmission unit has confirmed the transmission, and thus a series of relay processes are terminated (S1511).

이와 같이, 중계부(40)는 중복되지 않은 확실한 정보만이 확실하게 전송될 수 있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정보 또한 복수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정보 처리 과정에서의 혼선을 막을 수 있다.As such, the relay unit 40 may perform a process in which only non-overlapping reliabl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reliably, and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lso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es, thereby preventing confus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

도 16은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중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중계장치가 데이터 전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1307)에서 제2 무선통신부(1309)를 활성화시킨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second relay apparatus that performs a data collec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relay apparatus activat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9 in the operation unit 1307 to perform a data transfer function.

이에 따라, 제2 중계장치가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 정보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S1601).Accordingly, the second relay apparatus waits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S1601).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중계부로부터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바,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are received from the relay unit existing within the plurality of preset ranges, verification thereof may be required.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들이 유효한 정보인지,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다(S1603).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relay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valid information or not (S1603).

실시예에 따라,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두 개 이상의 동일한 전송 패킷이 수신된 경우, RSS 값을 비교하는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하지 않은 정보를 전송한 중계부로는 오류 신호를 전송한다(S1605).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hecked, and when two or more identical transport packets are received, validation may be performed to compare RSS values. Accordingly, an erro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lay unit that has transmitted the invalid information (S1605).

유효한 정보에 대해, 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또 다른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1607).The vali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other relay unit or gateway existing in a preset range (S1607).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 확인 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609).  Aft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t waits for reception of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orresponding relay unit or gateway (S1609).

해당 장치로부터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유효한 정보를 제공한 중계부로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다음 수신을 대기한다(S1611). 이 때, 유효성 검증에 따라, 동일한 전송 패킷은 제거하여,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일련의 중계 과정이 종료된다.When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vice,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lay unit which has provided the valid information, and waits for the next reception (S1611).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validation, the same transport packet can be removed to reduce the data capacity, and a series of relay processes are completed.

이와 같이, 중계부가 메쉬(Mesh)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수신 신호의 유효성 판단, 중복 센싱 신호(신호 수신시간, 식별 번호)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계부의 RSS 값을 가지고 최종까지 센서부(30)가 제공한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면서,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다.As such, since the relay unit is configured as a mesh structure,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redundant sensing signal (signal reception time and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performed. The data capacity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exact information provided by 30).

도 17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50)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 조작부(1703), 중앙 처리부(1705) 및 데이터 송수신부(1707)로 구성될 수 있다.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7, the gateway 50 may include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701, an operation unit 1703, a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707.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는 중계부(4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701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unit 40.

중앙 처리부(1705)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을 이용하여 중계부(40)의 중앙 처리부(1313) 및 변환장치(305)의 중앙 처리부(1103)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원격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와 통신하여 유효성을 판단하고, 서비스 플랫폼이 원하는 포맷으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may perform a software upgrade and remote rese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13 of the relay unit 4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3 of the converter 305 using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701. . In addition, it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701 to determine validity, and generate service information in a format desired by the service platform.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1707)는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플랫폼(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ceiver 1707 may transfer the genera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service platform 60.

도 18은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정보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5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은 중계부(40)로부터 감지 정보 수신을 대기한다(S1801). 본 발명에서, 감지 정보는 전송 패킷 및 중계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8,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701 of the gateway 50 waits to receiv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relay 40 (S180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port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게이트웨이(50) 또한, 복수 개의 중계부(40)로부터 많은 양의 감지 정보를 제공받는 바, 중앙 처리부(1705)는 감지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한다(S1803).The gateway 50 also receives a large amount of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relays 4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determines whether the sensing information is valid information (S1803).

게이트웨이(5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701)가 추가적으로 복수 개의 중계부(40)로 정보들의 수신 상태를 전송한다(S1805).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양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30)와 중계부(40)를 가지고 다수의 피보호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1)임에 따라, 수신 상태를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701 of the gateway 50 additionally transmits a reception state of the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relays 40 (S18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nagement system (1)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plurality of the protector having a sensor unit 30 and a relay unit 40 including a large amount of sensors,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check the reception state have.

중앙 처리부(1705)는 중복되는 감지 정보 중 가장 큰 RSS 값을 선택한다(S1807). 가장 큰 RSS 값을 가진 감지 정보가 유효한 감지 정보일 수 있으며, 유효한 감지 정보만을 파악한 후, 중앙 처리부(1705)는 감지 정보를 버퍼에 기록한다(S1809). 이는 외부로부터 감지 정보 제공 요청이 들어 올 경우, 즉시 제공할 수 있는 로우 데이터(raw data) 형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selects the largest RSS value among the overlapping sensing information (S1807). The sensing information having the largest RSS value may be valid sensing information. After identifying only valid sensing informa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writes the sensing information in a buffer (S1809). This may be recorded in a raw data format that can be provided immediately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comes in.

중앙 처리부(1705)는 해당 감지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 변환한다(S1811). 서비스 정보는 후술하게 될 서비스 플랫폼(60)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는 피보호자의 위치와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converts the corresponding sensing information into service information (S1811). The service information may be in the form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by the service platform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ccurate figures of the location and current state of the ward.

데이터 송수신부(1707)은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S1813).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는 서비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60)일 수 있다.The data transceiver 1707 transmits the genera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S181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may be a service platform 60 that may utilize service information.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 완료 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815). 전송 완료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며, 전송 완료 신호를 수신할 경우, 중앙 처리부(1705)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 기록을 제거한다(S1817). 실시예에 따라, 전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동안은 버퍼 기록을 제거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 다만, 계속해서 새로이 생성되는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록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it waits for reception of the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S1815). If the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preset time range, retransmission is performed, and when receiving the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05 removes the buffer record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18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receiving the transfer completion signal, the buffer record may be stored without removing the buffer fo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in order to keep managing newly created information, the record can be removed.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50)는 최종 중계부에서 전달된 복수 개의 동일 시간, 동일 센서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최종 확정 지을 수 있다As such, the gateway 50 may finally determine a plurality of identical times, electrical signals provided from the same sensor,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final relay unit.

도 19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과 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를 참조하면, 서비스 플랫폼(60), 서비스 모니터링(70) 보호자 부(90a, 90b)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60)은 게이트웨이(5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여 보호자 부(90a, 90b)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라이센스, 보호자 단말 인증, 시스템 장치 원격 제어, 정보 수집, 통합 관제, 보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9, referring to FIG. 19, the service platform 60, the service monitoring 70, and the guardian unit 90a and 90b may be configured. The service platform 60 utilizes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teway 50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units 90a and 90b, in addition to license, guardian terminal authentication, system device remote control, information collection, integrated control, and security. And the like.

또한, 서비스 모니터링(70)은 웹과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플랫폼(60)과 서비스 모니터링(70)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관리 감독하여 많은 양의 정보들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monitoring 70 may perform a function of managing web and applications. As such, the service platform 60 and the service monitoring 70 manage and supervise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system so tha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도 20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이 센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서비스 플랫폼(60)은 게이트웨이(50)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을 기록한다(S2001, S2003).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by a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0, the service platform 60 receives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50, and records times of receiving data includ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2001 and S2003).

서비스 플랫폼(60)은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가 어떠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제공되었는지 판단한다(S2005). The service platform 60 determines what kind of sensor the data includ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S2005).

예를 들어 센서가 위치가 지정되어 고정된 제2 센서장치일 경우, 제공된 값을 저장하고(S2007), 이를 분석하여 보호자부(90a, 90b)로 문자 또는 알림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한다(S2011).For example, when the sensor is a fixed second sensor device, the location is stored (S2007), and the information is analyzed and provided to the guardian unit 90a or 90b in a text or notification form (S2011). .

또한, 제공된 값에 대한 임계치 값을 확인한 후 초기화와 같은 정보의 변경을 시도한다(S2013)In addition, after checking the threshold value for the provided value, it attempts to change information such as initialization (S2013).

또 다른 예로 센서의 위치가 가변적인 제1 센서장치일 경우,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의 임계치 값을 확인 후 초기화 같은 변경을 시도한다(S2013).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sensor is the first sensor device, the information provided at the periodic or event occurrence is checked, and after changing the threshold value of the ser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same, an attempt such as initialization is attempted (S2013).

센서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센서장치일 경우, 서비스 플랫폼(60)은 제공받은 정보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나 허용된 위치 범위 내인지 확인한다(S2015).When the sensor is the first sensor device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platform 60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a preset location range or an allowed location range (S2015).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센서장치 일 경우, 올바른 정보인지 판단하기 위해,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2017).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first sensor device tha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he connection state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s correct (S2017).

제1 센서장치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플랫폼(60)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보호자부(90a, 90b)로 문자 또는 알림 형식을 정보를 제공한다(S2019).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device, the service platform 60 generates service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in text or notification format to the guardian units 90a and 90b (S2019).

이와 같이, 서비스 플랫폼(60)은 최종적으로 전송받은 정보에 대해 개별 판단을 수행하여 정보를 보호자부(90a, 90b)에 전달하는 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such, the service platform 60 performs individual judgment on the finally receiv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unit 90a or 90b, so that the user using th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 more reliable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and optical reading media.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the data format of the messag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n a recording medium.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claims. Each step of the invention need not necessarily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selectively or individu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Equivalents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component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1: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30: 센서부
305: 변환장치
40: 중계부
50: 게이트웨이
60: 서비스 플랫폼
70: 서비스 서버
80a, 80b: 통신망
90a, 90b: 보호자부
1: Patient and Acronym Management System
30: sensor unit
305: inverter
40: relay
50: gateway
60: service platform
70: service server
80a, 80b: communication network
90a, 90b: Guardian part

Claims (21)

중계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활용하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 중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한 수신 전력의 값을 비교함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감지 정보를 전송 패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을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중계장치와 인접한 제2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계장치는,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송 패킷과 상기 수신장치의 식별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 전송 패킷 및 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제3 중계장치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us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provided in the relay unit,
Waiting, by a first relay device, to receive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The first relay device receives the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from the same sensor amo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reception power of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sensor. Determining the validity based on comparing the values of;
Changing, by the first relay device,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valid into a transport packet;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relay device, the transmission packet to a second re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relay device together with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lay unit;
Including,
The second relay device,
A validity determination is performed as to whether the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apparatus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apparatus are valid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validity determination is performed exist in a preset range. 3 Patient and weak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relay or gate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감지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the validity,
Removing, by the first relay device, invalid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is invalid;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패킷을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중계장치와 인접한 제2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 및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를 전달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중계장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제3 중계장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packet to the second relay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relay device with the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Waiting, by the second relay apparatus, to transmit a transmission packet including the sensing information and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apparatus,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transport packe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the valid transport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relay device or the gateway; And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a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third relay device or the gateway;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중계장치로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중계장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중계장치로부터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 중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감지 정보에 대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유효한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의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valid transmission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hird relay device,
Afte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first relay device,
Wait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to receive a transmission packe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lay device existing in a preset range;
Determin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validity of at least two pieces of identical sensing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d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valid gateway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Receiv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a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of the valid transport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식별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etermining the validity,
Remov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inval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valid;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유효하지 않은 식별 정보를 제공한 중계장치에 오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Send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an error signal to the relay device providing the inval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계장치가, 상기 전송 패킷 및 식별 정보를 제공한 중계장치로 상기 전송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Receiving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ransmitting, by the second relay device, the transmission confirmation signal to a relay device that has provided the transport packe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변환장치를 활용하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중계장치와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장치는,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제3 중계장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은,
상기 중계부에 의해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한 수신 전력의 값을 비교함에 기초하여 유효성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using an inverter,
Recei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from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Receiving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and normalizi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to a relay unit or a gateway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relay unit,
A first relay device for receivi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and a second relay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some of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and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he second relay device,
At least some of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are determined to be valid information, and amo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for which the validity judgment is performed, Transmitting at least par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relay apparatus or the gateway existing in a preset range,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is
The validity is determined based on comparing the value of the received power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ensor by the relay unit.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 외의 감지 정보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고, 즉시 상기 중계부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When sensing information outside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rrives from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Normalizing the sensed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relay unit or the gateway;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디바이스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 송수신부, 상기 중앙 처리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중계장치와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장치는,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제3 중계장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정규화한 감지 정보들은,
상기 중계부에 의해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한 수신 전력의 값을 비교함에 기초하여 유효성이 판단되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A sensor device trans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plurality of wired senso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 central processing unit normalizi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A wireless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to a relay unit or a gateway; And
And a manipula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ensor device transceiver, the central processor, and the data transceiver.
The relay unit,
A first relay device for receiving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and a second relay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some of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and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he second relay device,
At least some of the normalized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and the receiving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are determined to be valid. Transmitting at least par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relay apparatus or the gateway existing in a preset range,
The normalized sensed information is
The validity is determined based on comparing the value of the received power f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ensor by the relay unit.
Inverte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 외의 감지 정보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정규화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가,
즉시 상기 중계부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n sensing information outside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rrives from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Normalize th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Converter immediat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relay or gatew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선 센서가 송신하는 복수의 감지 정보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is,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information reception times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wired sensors.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각각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취합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중계부; 및
상기 중계부로부터 분류된 감지 정보들을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분류된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중계장치와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분류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장치는,
상기 제1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분류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 분류된 감지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와 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제3 중계장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정보들 중 동일한 센서부에서 동일한 시간에 생성된 감지 정보의 수신 전력의 값을 비교함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감지 정보를 분류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sensor units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each having a different function;
A relay unit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classifying the detec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And a gateway for converting the sensed information classified from the relay into servi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The relay unit,
A first relay device for receiving the classified sensing information and a second relay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some of the classified sensing information and rece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he second relay device,
At least some of the classified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unit are determined to be valid, and among the classified sensing information which performed the validity determination. Transmitting at least par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relay apparatus or the gateway existing in a preset range,
The relay unit,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based on comparing the value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ensor unit of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and classifies the valid sensing information;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복수 개의 중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중계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중앙 처리부; 및
상기 분류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을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에 의해 판단되는 복수의 감지정보들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복수의 감지 정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lay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lassified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장치;
상기 외부 자극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장치; 및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센서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상기 중계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or unit,
A first sensor device for sensing the external stimulus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time;
A second sensor device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external stimulus occurs;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device to the relay unit;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장치 및 상기 제2 센서장치는,
복수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중계부로 전송하는 변환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sensor device and the second sensor device,
Receive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A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the transmission based on a preset reference to the relay unit;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센서부, 상기 중계부, 상기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platform utilizing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The service platform,
A service manager for managing the sensor unit, the relay unit, and the gateway;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으로서,
중계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중계부로 수신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정보를 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버퍼에 기록된 감지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는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며,
상기 중계부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는,
상기 중계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센서에서 동일한 시간에 수신된 감지 정보의 수신 전력의 값을 비교함에 기초하여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에 포함되는 제1 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한 감지 정보 중 유효한 감지정보가 결정되어 상기 중계부에 포함되는 제2 중계장치로 상기 결정된 유효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중계부의 수신장치 식별정보가 전달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중계장치에 의해 상기 결정된 유효한 감지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 판단이 이루어짐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A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performed by a gateway,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relay unit;
Determining validity of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eception state to the relay unit;
Recording the sensing information in a buffer and converting the sens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uffer into service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outside utilizing the service inform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has a different functi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lay unit,
If there is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ensor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relay is determined to be valid based on comparing the value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sensor Include detection information,
Valid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information by the plurality of sensors is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relay device included in the relay unit, and the valid detec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second relay device included in the relay unit and the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of the relay unit.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the second relay device receives the valid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validity determin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로부터 전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기록된 감지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transmitting step,
When receiving a transmiss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outside,
Removing the sens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uffer;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 중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감지 정보에 대하여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 측정치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Determining the validity,
Determining validity by comparing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measurement with respect to two or more identical sensing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Patient and abbrevi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70147240A 2017-11-07 2017-11-0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KR102062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40A KR102062266B1 (en) 2017-11-07 2017-11-0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40A KR102062266B1 (en) 2017-11-07 2017-11-0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97A KR20190051497A (en) 2019-05-15
KR102062266B1 true KR102062266B1 (en) 2020-02-11

Family

ID=665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40A KR102062266B1 (en) 2017-11-07 2017-11-0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2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035B1 (en) * 2019-12-16 2020-07-21 주식회사 투윈스컴 Wearabl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2362151B1 (en) * 2020-06-11 2022-02-14 유한회사 동방이노베이션 Data collection device having monitoring functions of peripher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KR102578659B1 (en) * 2021-10-22 2023-09-15 주식회사 메쥬 System for monito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328B1 (en) * 2004-05-12 2006-09-25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Efficient Data Aggregation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32911B1 (en) * 2007-11-13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of sensor node for proactive data filtering 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97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24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gning locations to devices
JP6134058B2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collecting and storing data on the state of absorbent products
CN100506145C (en) Safe identification and association of wireless sensors
KR1020622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and weak people using multiple sensors
US87951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d monito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ovement within an area of at least one person
KR101952705B1 (en) Dementia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lleviation of dementia care
KR101897236B1 (e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mart band and smart band therefor
CN105286789A (en) Vital sign data acquisition and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use
CN100534380C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d monito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ovement within an area of at least on person
JP2016116130A (e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022135922A (en) Gateway-base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KR101990118B1 (en) System for detecting accidents in care hospital using radar signals
US201903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KR101846845B1 (e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KR101608453B1 (en) Smart care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ing activity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04837075B (en) A kind of building conversational system with health medical treatment function
JP4587062B2 (en) Biological data detection system
Thammachote et al. Contactless monitoring of human behaviors in bed using RSSI signals
CN111759273A (en) Behavior tracking method and device
JP7480475B2 (en)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413604B1 (en) Remot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t home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JP2001195678A (en) Life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age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Borda et al. Non-contact sensor-based falls detection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developing a real-life picture
KR102159997B1 (en) Medica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