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880B1 -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 Google Patents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880B1
KR102061880B1 KR1020170132256A KR20170132256A KR102061880B1 KR 102061880 B1 KR102061880 B1 KR 102061880B1 KR 1020170132256 A KR1020170132256 A KR 1020170132256A KR 20170132256 A KR20170132256 A KR 20170132256A KR 102061880 B1 KR102061880 B1 KR 10206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frame
wall
fram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1071A (en
Inventor
권용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테크
Publication of KR2018004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막대 형상의 메인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고정하는 보조홀을 구비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도장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도장되지 않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메인홀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보조홀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frame having a main frame formed of a hexahedral shape coupled to a plurality of rod-shaped main frame members and an auxiliary hole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and fixing a tra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the main frame is painted and the auxiliary frame is not painted,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 main hole and the auxiliary fram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hole, while being coupled to the main hole Disclosed is a rack system for an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an insert nut or a pop n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Description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기능성 보조 프레임을 구비한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기후 변화로 인한 냉난방 기기의 보급 확대, 소득 증대와 삶의 질 향상, 각종 서비스의 고도화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의 수요가 지속 발생하여 전력의 일시적 중단이나 전력 수급의 차질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 전력원의 전력을 미리 저장하여 상용 전력원의 중단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비상 전력을 제공하거나 태양광, 풍력 또는 조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대에 제공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상용 전력원의 중단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비상 전력을 제공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와, 상용 전원의 전력,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을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대에 제공하는 협의의 전력 저장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As demand for new energy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expansion of air-conditioning equipment, income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advancement of services due to climate change, temporary interruptions in power and disruptions in supply and demand are increasing. To solve this problem, the power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is stored in advance to provide emergency power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the interruption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or to store power generated by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or tidal power. The need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to provide to the increasing. The power storage device includ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that provides emergency power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interruption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stores power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renewable energy and provides the power at a necessary time. It can be divided into a negotiable power storage device.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리튬 이차전지와 같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전력을 충전한 후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건물, 공장, 태양광 발전소 또는 풍력 발전소등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형으로 사용되거나, 트럭과 같은 이동 수단에 실려져서 이동하는 이동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저장 장치는 적어도 1 대의 랙 시스템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전지 모듈이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된다.The power storage device is a device for supplying charged power after charging the power to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power storage device may be used as a fixed type fixed inside a building, a factory, a solar power plant, a wind power plant, or the like, or may be used as a mobile type mounted on a moving means such as a truck. The power storage device is formed including at least one rack system. The rack system is formed by receiving a secondary battery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herein.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필요로 하는 저장 및 공급 전력의 용량, 사용 용도, 사용 분야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구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가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조 장치의 설계 및 가공 데이터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제조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추가로 다양한 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절곡 및 절단 과정이 증가되어 오차가 누적되어 정밀하게 제작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절곡 및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scrap)이 많아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가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현장에서 수급 및 관리에 어려움이 가중된다.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storage and supply power required, the use purpose, the field of use, and the like.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is manufactured by welding or bolting a frame member including a main frame and an auxiliary fram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a structure. Therefore, since the frame member must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it may take a long time and a long time to change the design and processing data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frame member is further increased bending and cutting process for fixing the various members is difficult to accumulate the error accurately accumulates. In addition, the frame member may increase in cost due to a large amount of scrap generated during bending and cutting. In addition, since the frame member has various shapes and sizes, it is difficult to supply and manage in the field.

따라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높이, 폭, 깊이 및 전체 형상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고, 생산성 저하와 제작 기간 증가와 정밀도 저하 또는 제조 원가 상승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using the frame member, 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may have an error in height, width, depth and overall shape, and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reduced productivity, increased production time, reduced precision, or increased manufacturing cost. Can be.

본 발명은 표준화된 메인 프레임과 별도로 제조되고 메인 프레임에 조립 되어 결합되며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이 고정될 수 있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한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an auxiliary frame, which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tandardized main frame,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and to which various functional members can be fixed.

본 발명의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막대 형상의 메인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고정하는 보조홀을 구비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d-shaped main frame members are combined to form a hexahedron shape, and are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to fix a tra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frame having an auxiliary hole.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서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메인 프레임에 전측에 접촉하는 제 1 보조벽과 상기 제 1 보조벽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보조벽과 상기 제 2 보조벽으로부터 제 1 보조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보조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보조벽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도입홀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an auxiliary frame member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frame member extends from the first auxiliary wall and the first auxiliary wall in front contact with the main frame to the front side. The second auxiliary wall may include a third auxiliary wall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auxiliary wall from the second auxiliary wall, and the second auxiliary wall may have an introduction hole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제 3 보조벽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 2 보조벽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 4 보조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보조벽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힌지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홀에는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 블록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uxiliary wall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third auxiliary wall to the main frame to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auxiliary wall, and the fourth auxiliary wall may be form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hinge hole further penetrates into the hinge block, and the hinge block to which the door is coupled may be coupled to the hinge hole by bolts.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메인 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메인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보조홀과 상기 메인홀에 삽입되는 볼트나 스크류에 의하여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i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uxiliary frame member may include auxiliary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in holes, and the auxiliary frame members may be disposed in the auxiliary hole. It may be assembled and coupled by a bolt or screw inserted into the main hol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도금 처리 강판으로 형성되면서 도장되지 않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은 도장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is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without being painted, and the auxiliary frame may be formed by being painted.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막대 형상의 메인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고정하는 보조홀을 구비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도장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도장되지 않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메인홀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보조홀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d-shaped main frame member is coupled to form a hexahedral shape and the main frame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having an auxiliary hole for fixing; wherein the main frame is painted and the auxiliary frame is not painted, the main frame has a main hole, and the auxiliary frame comprises an auxiliary hole. And an insert nut or pop nut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ho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표준화된 메인 프레임과 별도로 제조되고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어 결합되며 다양한 용량과 규격에 대응하여 전용화할 수 있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므로 제조 가격을 낮추고 납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tandard main frame, assembled and assembled to the main frame,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frame that can be dedicated to meet various capacities and specification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shortening delivery time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하나의 메인 프레임에 트레이가 고정되는 보조홀이 구비된 보조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조되므로 다양한 구조와 형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an auxiliary frame having an auxiliary hole in which a tray is fixed to one main fram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various structures and typ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별도로 제조하므로 메인 프레임을 부식 방지 도금처리된 강판으로 제조하면서 도장을 생략하고 보조 프레임만 도장을 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에 대한 접지용 마스킹 과정을 생략하여 도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separately, so that the main frame is made of anti-corrosion-plated steel sheet, omitting the coating and painting only the auxiliary frame, thereby maintaining a beautiful appearance. By omitting the masking process for grounding the main fr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ain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과 트레이를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보조 프레임의 도장 과정에서 별도로 접지용 마스킹을 생략하여 도장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the tray using an insert nut or popnut, so that the grounding mask can be omitted separately in the painting process of the auxiliary frame to reduce the painting process cost.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메인 프레임의 메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메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보조 프레임의 전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메인 프레임 부재와 보조 프레임 부재의 결합 상태에 데한 수평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조 프레임과 도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보조 프레임과 도어의 결합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랙 시스템이 두 개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ack system for power storage device of FIG. 1.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member of the main frame of FIG. 1.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frame of FIG. 1.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ram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4B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frame member and the auxiliary frame member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rame and the door of FIG.
6A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coupling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and the door of FIG. 6A.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rack systems of FIG. 1 are coupled;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메인 프레임의 메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메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보조 프레임의 전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메인 프레임 부재와 보조 프레임 부재의 결합 상태에 데한 수평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조 프레임과 도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보조 프레임과 도어의 결합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랙 시스템이 두 개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ack system for power storage device of FIG. 1.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member of the main frame of FIG. 1.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frame of FIG. 1.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ram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4B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frame member and the auxiliary frame member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rame and the door of FIG. 6A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coupling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and the door of FIG. 6A.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rack systems of FIG. 1 are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 및 도어(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1 to 7,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an auxiliary frame 200, and a door 300.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100)이 표준화된 상태로 제조되며, 보조 프레임(200)이 다양한 용량과 규격에 대응하여 전용화되어 별도로 제조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 조립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에 트레이(미도시)가 고정되는 메인홀과 보조홀이 각각 형성되므로, 표준화된 메인 프레임(100)을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용량의 리튬 이차전지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 또는 스위치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를 별도의 공간에 고정할 수 있다.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frame 100 is standardized, and the auxiliary frame 200 is dedicated to correspond to various capacities and standard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ssemb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Combined. In addition, 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formed in the main frame 100 and the auxiliary frame 200, the main hole and the auxiliary hole for fixing the tray (not shown), respectively, while using the standardized main frame 100 The tray in which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odules of various capacities are mounted may be fixed. In addition,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may be fixed to a tray in which the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module or switch module is mounted in a separate space.

또한, 상기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200)을 별도로 제조하므로 메인 프레임(100)을 부식 방지 도금처리된 강판으로 제조하면서 도장을 생략하고 보조 프레임(200)만 도장을 하므로 도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메인 프레임(100)에 별도로 접지용 마스킹을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ck system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manufactures the main frame 100 and the auxiliary frame 200 separately, the main frame 100 is made of a steel plate coated with anti-corrosion, and the coating is omitted, and only the auxiliary frame 200 is omitted. Since painting is performed, the cost of painting can be reduced and the masking for grounding can be omitted separately in the main fram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과 트레이를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보조 프레임의 도장 과정에서 별도로 접지용 마스킹을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main frame and the tray using an insert nut or a popnut, the masking for grounding may be omitted separately during the painting of the auxiliary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막대 형상의 메인 프레임 부재(110)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일정한 높이와 폭과 깊이를 갖는 표준화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에 장착되는 이차전지 모듈의 수량과 형상 등에 따라 표준화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0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rod-shaped main frame members 110 are combined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in a standard hexahedral shape having a constant height, width and depth. The main frame 100 may be formed in a standardiz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shape of secondary battery modules mounted therein.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여섯 방향이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도어(300)가 결합되는 전측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판재에 의하여 각각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0 may be formed to open in all six directions, and may be formed to be shielded by separate plates, except for the front side to which the door 300 is coupled.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에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과 이차전지 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미도시)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이차전지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정한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는 이차전지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안착판에 형성되는 수직판을 구비하며 수직판에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데 필요한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0 accommodates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a tray (not shown)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seated according to a power capacity required therein. Therefore,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volume to accommodat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he tray may include a mounting plate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mounted and a vertical plate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and through holes necessary for coupling to the main frame 100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plate.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 부재(1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가 볼트 또는 스크류에 의하여 브라켓과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육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브라켓에 의하여 이웃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와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은 별도의 볼트, 스크류 또는 용접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된다. The main fram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frame members 110.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formed of a hexahedron by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bracket by a bolt or screw or by welding.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main frame member 110 by a bracket.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by a separate bolt, screw or weld.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도 3a를 참조하면, 내부가 중공이며 길이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복수 개의 벽체가 연결되어 내부가 중공이 되도록 복수 개의 벽체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복수 개의 벽체에 의하여 내부가 중공인 구조로 형성되므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강도와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강도가 증가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Referring to FIG. 3A,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hollow and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n axial direction.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s such that a plurality of walls are connected and the inside thereof is hollow. Since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by a plurality of walls, str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r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creased. The main frame member 110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main frame 100.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10a)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110a)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다른 부재가 결합될 때 치수 오차로 발생되는 뒤틀림이나 변형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제공하여 랙 시스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110 has a cutout 110a formed by cut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tout 110a may provide a buffering role for absorbing distortion or deformation caused by a dimensional error when anoth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thereby improving assembling of the rack system.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수평 단면이 사각 형상에서 어느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제 1 외벽(111)과 제 2 외벽(112)과 제 1 연결벽(113)과 제 1 내벽(114)과 제 2 연결벽(115) 및 제 2 내벽(116)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를 구성하는 제1 외벽(111)과 제 2 외벽(112)과 제 1 연결벽(113)과 제 1 내벽(114)과 제 2 연결벽(115) 및 제 2 내벽(11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하나의 판재가 다단계로 절곡되면서 제1 외벽(111)과 제 2 외벽(112)과 제 1 연결벽(113)과 제 1 내벽(114)과 제 2 연결벽(115) 및 제 2 내벽(116)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A,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forming a '-' shape. That is,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rizontal section is bent inward at any corner portion in a square shape. The main frame member 110 includes a first outer wall 111, a second outer wall 112, a first connecting wall 113, a first inner wall 114, a second connecting wall 115, and a second inner wall 116. It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second outer wall 112, the first connecting wall 113, the first inner wall 114, the second connecting wall 115, and the second inner wall constituting the main frame member 110. 116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in multiple stages, such that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second outer wall 112, and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are formed. And a first inner wall 114, a second connecting wall 115, and a second inner wall 116.

상기 제1 외벽(111)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외벽(111)은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외벽(111)은 메인 프레임(100)에서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The first outer wall 111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outer wall 111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The first outer wall 111 is positio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0 in the main frame 100.

상기 제 2 외벽(112)은 제 1 외벽(111)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외벽(112)은 제 1 외벽(111)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측단이 제 1 외벽(111)의 타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외벽(112)은 조립되었을 때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The second outer wall 1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wall 111. One end of the second outer wall 112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1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second outer wall 112 is positio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0 when assembled.

상기 제 1 연결벽(113)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13)은 제 2 외벽(112)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13)은 제 1 외벽(11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13)은 제 1 외벽(111)과 직각을 이루도록 타측단이 제 1 외벽(111)의 일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13)은 제 2 외벽(112)과 평행하게 제 1 외벽(111)과 결합된다.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outer wall 112.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is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1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first connecting wall 113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wall 111 in parallel with the second outer wall 112.

상기 제 1 내벽(114)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14)은 제 1 외벽(11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14)은 제 1 외벽(11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14)은 제 1 연결벽(113)과 직각을 이루도록 타측단이 제 1 연결벽(113)의 일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벽(114)은 제 1 외벽(111)과 평행하게 제 1 연결벽(113)과 결합된다.The first inner wall 114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inner wall 114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first inner wall 114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11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The first inner wall 114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wall 113 in parallel with the first outer wall 111.

상기 제 2 연결벽(115)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15)은 제 1 외벽(11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15)은 제 2 외벽(11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15)은 제 2 외벽(112)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측단이 제 2 외벽(112)의 타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15)은 제 1 외벽(111)과 평행하도록 제 2 외벽(112)과 결합된다.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outer wall 111.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outer wall 112.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uter wall 112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second outer wall 112.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is coupled to the second outer wall 112 to be parallel to the first outer wall 111.

상기 제 2 내벽(116)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16)은 제 2 외벽(112)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16)은 제 2 외벽(11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16)은 제 2 연결벽(115)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측단이 제 2 연결벽(115)의 타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내벽(116)은 제 2 외벽(112)과 평행하도록 제 2 연결벽(115)과 결합된다.The second inner wall 116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second inner wall 116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outer wall 112. The second inner wall 116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outer wall 112. One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116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second connection wall 115. The second inner wall 116 is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wall 115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outer wall 112.

상기 절개부(110a)는 제 1 내벽(114)과 제 2 내벽(116)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단부가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10a)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다른 부재가 결합될 때 치수 오차로 발생되는 뒤틀림이나 변형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제공한다.The cutout 110a is formed when the first inner wall 114 and the second inner wall 116 form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and end portions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utout 110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provides a buffering role for absorbing distortion or deformation caused by dimensional errors when anoth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메인홀(118)이 각 벽들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홀(118)은 복수 개가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홀(118)은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차전지 모듈용 트레이의 상하 이격 간격 등에 따라 이격되는 거리와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홀(118)은 메인 프레임(100)의 구조에 따라 각 벽들중에 어느 하나의 벽 또는 전체 벽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홀(118)은 트레이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트레이를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한다. 상기 메인홀(118)은 메인 프레임 부재(110)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고정하는 볼트 또는 스크류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110 has a main hole 118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each wall. The main holes 118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The main hole 118 may be adjusted to the distance and the number of spaced apart depending on the vertical gap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ra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and the like. The main hole 118 may be formed in any one wall or the entire walls of each wal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ain frame 100. The main hole 118 may be bol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tray. The bolt secures the tray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The main hole 118 may be fastened by inserting a bolt or screw that fixes the bracket connecting the main frame member 110.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 부재(120)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ㅁ’자 형상을 이루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20)는 외벽(121)과 제 1 연결벽(123)과 제 1 내벽(124)과 제 2 연결벽(125) 및 제 2 내벽(12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20a)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20)를 구성하는 외벽(121)과 제 1 연결벽(123)과 제 1 내벽(124)과 제 2 연결벽(125) 및 제 2 내벽(12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20)는 하나의 판재가 다단계로 절곡되면서 외벽(121)과 제 1 연결벽(123)과 제 1 내벽(124)과 제 2 연결벽(125) 및 제 2 내벽(126)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3B, the main frame memb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a 'ㅁ' shape. For example, the main frame member 120 includes an outer wall 121, a first connecting wall 123, a first inner wall 124, a second connecting wall 125, and a second inner wall 126. do. The main frame member 120 includes a cutout 120a formed by cut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wall 121, the first connecting wall 123, the first inner wall 124, the second connecting wall 125, and the second inner wall 126 constituting the main frame member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main frame member 120 is the outer wall 121, the first connecting wall 123, the first inner wall 124, the second connecting wall 125 and the second as one plate is bent in multiple stages It is formed to have an inner wall 126.

상기 외벽(121)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벽(121)은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벽(121)은 조립되었을 때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The outer wall 121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outer wall 121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The outer wall 121 is positio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0 when assembled.

상기 제 1 연결벽(123)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23)은 외벽(12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23)은 외벽(12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벽(123)은 외벽(121)과 직각을 이루도록 타측단이 외벽(121)의 일측단과 결합된다.The first connecting wall 123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outer wall 121.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outer wall 121.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er wall 121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outer wall 121.

상기 제 1 내벽(124)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24)은 외벽(12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24)은 외벽(121)의 폭의 절반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벽(124)은 제 1 연결벽(123)과 직각을 이루도록 타측단이 제 1 연결벽(123)의 일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벽(124)은 외벽(121)과 평행하도록 제 1 연결벽(123)과 결합된다.The first inner wall 124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inner wall 124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outer wall 121. The first inner wall 124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half the width of the outer wall 121.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12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The first inner wall 124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wall 123 to be parallel to the outer wall 121.

상기 제 2 연결벽(125)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25)은 외벽(12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25)은 외벽(12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벽(125)은 외벽(121)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측단이 외벽(121)의 타측단과 결합된다.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outer wall 121.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outer wall 121.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wall 121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outer wall 121.

상기 제 2 내벽(126)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26)은 외벽(12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26)은 외벽(121)의 폭의 절반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벽(126)은 제 2 연결벽(125)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측단이 제 2 연결벽(125)의 타측단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내벽(126)은 외벽(121)과 평행하도록 제 2 연결벽(125)과 결합된다.The second inner wall 126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second inner wall 126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outer wall 121. The second inner wall 126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half of the width of the outer wall 121. One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126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The second inner wall 126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wall 125 to be parallel to the outer wall 121.

상기 절개부(120a)는 제 1 내벽(124)과 제 2 내벽(126)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단부가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0a)는 소정 폭으로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 부재(120)에 다른 부재가 결합될 때 치수 오차로 발생되는 뒤틀림이나 변형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제공한다.The cutout 120a is formed when the first inner wall 124 and the second inner wall 126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end portions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utout 120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provides a buffering role for absorbing distortion or deformation caused by dimensional error when anoth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20.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2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메인홀(128)이 각 벽들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홀(128)은 복수 개가 메인 프레임 부재(120)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홀(128)은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차전지 모듈용 트레이의 상하 이격 간격 등에 따라 이격되는 거리와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120 has a main hole 128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each wall. A plurality of main holes 128 are form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member 120. The main hole 128 may be adjusted to a distance and the number of spaced apart according to the vertical gap of the tray for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0.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ㄱ’자 또는 ‘ㅁ’자 형상이면서 절개부(110a)를 구비하여 높은 단면 계수와 높은 강성을 갖는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0)은 지진이나 이동형 전력 저장 장치의 이동시 발생되는 고충격과 진동에 대하여 전력 저장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110 has a 'a' or 'ㅁ' shape and has a cutout 110a to have a high cross-sectional coefficient and high rigidity. The main frame 100 formed by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protect the power storage device against high shock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an earthquake or movement of the mobile power storage device.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절개부(110a)를 구비하므로 자동화된 절곡 방법만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며, 강관의 제조시 적용되는 용접과 같은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없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절개부(110a)를 구비하여 메인 프레임(100)으로 조립될 때 서로 용이하게 조립될 있다.Since the main frame member 110 includes the cutout 110a,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easily manufactured by an automated bending method, and no additional work such as welding applied in manufacturing the steel pipe is required.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easily assembled to each other when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provided with the cutout 110a and assembled to the main frame 100.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도금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전력 저장용 랙 시스템이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어느 정도의 내부식성만 충족된다면 추가적인 도장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도장을 위해서는 전용 도장 설비가 필요하며, 도장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전기적으로 그라운드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도장 과정에서 그라운드 연결 위치를 마스킹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마스킹 과정도 도장 공정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가 도금 강판으로 제조되는 형성되는 경우에,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식성을 가지게 되므로 별도의 도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110)는 아연 도금과 같은 금속 도금에 의한 도금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ember 110 is preferably formed by bending a plated steel sheet. Since the main frame 100 is a part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wer storage rack system is installed, additional coating is not required if only a certain degree of corrosion resistance is satisfied. In order to paint the main frame 100, a dedicated painting facility is required, and painting costs are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frame 100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it is required to mask the ground connection position during the painting process. The masking process also increases the cost of the painting process. However, when the main frame member 110 is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the main frame 100 has a corrosion resistance so that no separate coating is required. The main frame member 110 may be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by metal plating such as zinc plating.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적어도 2개의 보조 프레임 부재(2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서 양측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볼트나 스크류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조립되어 결합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00)는 전체적으로 도장되므로 메인 프레임과 결합될 때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200 includes at least two auxiliary frame members 210. The auxiliary frame 200 is formed to be coupled to both sid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The auxiliary frame 200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by bolts or screws. Since the auxiliary frame member 200 is generally painted, it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when combined with the main frame.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별도로 제작되어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므로 외관과 내부식성을 위하여 메인 프레임(100)과 달리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은(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도장 공정에서 별도의 접지용 마스킹을 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도금 강판 또는 도금되지 않은 강판으로 형성된다.Since the auxiliary frame 20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frame 100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the auxiliary frame 200 may be painted differently from the main frame 100 for appear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frame 20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0,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ground masking in the painting process. The auxiliary frame 200 is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or an unplated steel sheet.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벽체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방부(210a)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대략 길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 단면이 ‘ㄷ’자 형상과 같이 일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서 양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조립되어 결합된다.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formed with an open portion 210a open to one side. For example, the auxiliary frame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rizontal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is open to one side, such as a 'c' shape.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100.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located at both sid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제 1 보조벽(211)과 제 2 보조벽(212) 및 제 3 보조벽(2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제 4 보조벽(21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를 구성하는 제 1 보조벽(211)과 제 2 보조벽(212)과 제 3 보조벽(213) 및 제 4 보조벽(2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하나의 판재가 다단계로 절곡되면서 제 1 보조벽(211)과 제 2 보조벽(212)과 제 3 보조벽(213) 및 제 4 보조벽(214)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중에서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부재(2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ncludes a first auxiliary wall 211, a second auxiliary wall 212, and a third auxiliary wall 213.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further includes a fourth auxiliary wall 214.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and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constituting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ncludes a first auxiliary wall 211, a second auxiliary wall 212, a third auxiliary wall 213, and a fourth auxiliary wall 214 while one plate is bent in multiple stages. It is formed to. Hereinafter,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coupl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among the auxiliary frame members 21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메인 프레임(100)에서 전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에 후면이 접촉되면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제 1 외벽(111)과 제 2 외벽(112)중에서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을 향하는 벽체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보조 프레임 부재(210)가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제 1 외벽(111) 또는 제 2 외벽(11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formed in a plate-shaped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coupled while the rea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member 110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That is,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coupled to a wall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among the first outer wall 111 and the second outer wall 112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wall 111 or the second outer wall 112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to which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coupled.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관통되는 보조홀(211a)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조홀(211a)은 복수 개가 제 1 보조벽(2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홀(211a)은 보조 프레임 부재(210)가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제 1 외벽(111) 또는 제 2 외벽(112)에 형성되는 메인홀(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홀(211a)은 메인홀(118)에 대응되는 개수 또는 작은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홀(211a)의 일부에 제 1 보조벽(211)을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또는 스크류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제 1 보조벽(211)은 보조홀(211a)에 삽입되는 볼트나 스크류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홀(211a)의 또 다른 일부에 메인 프레임(100)에 수용되는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 및 볼트가 삽입된다. 즉, 상기 보조홀(211a)중에서 메인 프레임(100)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보조홀(211a)은 트레이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보조홀(211a)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 또는 스위칭 모듈이 장착되는 트레이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formed with an auxiliary hole 211a penetrat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 plurality of auxiliary holes 211a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The auxiliary hole 211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hole 118 formed in the first outer wall 111 or the second outer wall 112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to which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coupled. do. The auxiliary hole 211a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or smaller than the main hole 118. A bolt or screw for fixing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to the main frame 100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auxiliary hole 211a. That is,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by bolts or screw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oles 211a. In addition, an insert nut or pop nut and a bolt for fixing the tray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0 are inserted into another part of the auxiliary hole 211 a. That is, the auxiliary hole 211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tray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0 among the auxiliary holes 211a is used to fix the tray. In addition, the auxiliary hole 211a may be used to fix a tray in whic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module or a switching module is mounted.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제 1 보조벽(21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일측단이 제 1 보조벽(211)의 타측단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제 1 보조벽(211)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제 1 보조벽(211)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므로 메인 프레임(10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한다.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s formed with a plate-shaped ba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One sid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s formed by being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That is,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s formed by bending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from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Since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s position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상기 제 2 보조벽(212)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도입홀(212a)을 포함한다. 상기 도입홀(212a)은 메인 프레임(100)의 외부에서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신호선 또는 전력선이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입홀(212a)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includes an introduction hole 212a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introduction hole 212a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signal line or the power line penetrates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0 to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00. The introduction holes 212a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제 2 보조벽(21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일측단이 제 2 보조벽(212)의 타측단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제 2 보조벽(212)으로부터 제 1 보조벽(211)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제 2 보조벽(212)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므로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 3 보조벽(213)은 보조 프레임 부재(210)에 결합되는 도어(300)가 열릴 때 도어(3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도어(300)가 90도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많이 열리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s formed with a plate-shaped ba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One side end of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s formed by being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That is,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s bent from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to be parallel to the first auxiliary wall 211. Since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s positioned to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When the door 300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s opened,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300 to support the door 300 not to be opened much more than 90 degrees. .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제 3 보조벽(213)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일측단이 제 3 보조벽(213)의 타측단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제 3 보조벽(213)으로부터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제 3 보조벽(213)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므로 제 2 보조벽(212)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한다.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s formed of a plate-shaped ba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One side end of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s formed by being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s formed by bending at a right angle from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0. Since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third auxiliary wall 213,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s positioned to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auxiliary wall 212.

상기 제 4 보조벽(214)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힌지홀(214a)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홀(214a)에는 도어(300)가 결합되는 힌지 블록(220)이 결합된다. 상기 힌지홀(214a)은 제 4 보조벽(21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적어도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블록(220)은 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힌지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보조벽(214)에는 도어(300)가 힌지 블록(22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includes a hinge hole 214a penetr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 hinge block 220 to which the door 300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214a. At least one hinge hole 214a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The hinge block 220 may be formed of a general hinge block used in a rack system. The door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through the hinge block 220.

상기 도어(300)는 랙 시스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도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300)는 힌지 블록에 의하여 보조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상기 도어(300)는 보조 프레임(200)의 제 4 보조벽(214)에 고정되는 힌지 블록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 블록은 힌지홀(214a)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도어(300)는 도금 강판 또는 도금되지 않은 강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300)는 메인 프레임(100)과 별도로 제작되어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므로 메인 프레임(100)과 달리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300 is formed of a general door used in a rack system. The door 300 is form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The door 3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200 by a hinge block. The door 300 is coupled to a hinge block fixed to the fourth auxiliary wall 214 of the auxiliary frame 200. The hinge block is fixed to the hinge hole 214a by bolts. The door 300 is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or an unplated steel sheet. Since the door 30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frame 100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the door 300 may be painted and formed differently from the main frame 100.

다음은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및 트레이의 결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mbining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frame, and the tray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메인홀(118)과 보조 프레임 부재(210)의 보조홀(211a)을 관통하도록 일부의 보조홀(211a)의 전측에서 볼트나 스크류가 삽입된다.First, the front side of some of the auxiliary holes 211a to pass through the main hole 118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and the auxiliary hole 211a of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In the bolt or screw is inserted.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메인홀(118)과 보조 프레임 부재(210)의 보조홀(211a)을 관통하도록 또 다른 일부 보조홀(211a)의 전측에서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가 삽입된다. 상기 인서트너트나 팝너트(230)의 헤드부는 보조 프레임 부재(210)의 전면에 위치한다.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의 나사부와 변형부는 메인홀(118)과 보조홀(211a)에 삽입된다.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메인 프레임 부재(110) 및 보조 프레임 부재(210)에 체결한다.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는 헤드부가 보조 프레임 전면과 접촉되고, 기둥부는 변형되면서 메인 프레임 부재(11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는 메인 프레임 부재(110)와 보조 프레임 부재(2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는 도장이 되지 않은 메인 프레임 부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는 도장된 보조 프레임 부재(210)의 전면 및 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매인 프레임(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auxiliary hole 211a of the main hole 118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auxiliary hole 211a of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pass through each other. Insert nut or pop nut 230 is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he head part of the insert nut or the pop nut 2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The thread part and the deformation part of the insert nut or the pop nut 230 are inserted into the main hole 118 and the auxiliary hole 211a.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and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by using a separate tool.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has a head part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auxiliary frame, and a pilla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main frame member 110 while being deformed. Therefore,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is fix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and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In addition,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member 110 which is not painted.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0 withou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inted auxiliary frame member 210.

다음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이차전지 모듈이 장착된 트레이가 삽입된다. 상기 트레이에는 보조홀(2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트레이홀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홀을 관통하여 볼트가 삽입되며,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와 체결된다. 상기 트레이는 보조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홀 주변이 미도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미도장 부위에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의 헤드부가 접촉된다. 상기 트레이는 인서트너트 또는 팝너트(230)와 볼트를 통하여 메인 프레임(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100)과 동일한 접지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메인 프레임(100)과 트레이를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조홀(211a) 주변이 도장되어도 관계가 없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210)는 도장 과정에서 보조홀(211a) 주변에 대한 마스킹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Next, the tray o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100. The tray is provided with a tray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ole 211a. The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tray hole and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or the pop nut 230. The tray is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200. On the other hand, the tray is formed in the uncoated state around the tray hole, the head portion of the insert nut or pop nut 230 is in contact with the unpainted portion. The tra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0 through an insert nut or pop nut 230 and a bolt, and is connected to the same ground as the main frame 100. Since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ain frame 100 and the tray,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may be coated without surrounding the auxiliary hole 211a. Therefore, the auxiliary frame member 210 does not need a masking process around the auxiliary hole 211a during the painting proces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메인 프레임
110: 메인 프레임 부재
200: 보조 프레임
210: 보조 프레임 부재
300: 도어
100: main frame
110: main frame member
200: secondary frame
210: auxiliary frame member
300: door

Claims (6)

복수 개의 막대 형상의 메인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조립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고정하는 보조홀을 구비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도금 처리 강판으로 형성되면서 도장되지 않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은 도장 처리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
A main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rod-shaped main frame members are combined to form a hexahedron shape;
It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and includes an auxiliary frame having an auxiliary hole for fixing the tra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is formed of a plated steel shee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without being painted.
And the auxiliary frame is paint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main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서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메인 프레임에 전측에 접촉하는 제 1 보조벽과 상기 제 1 보조벽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보조벽과 상기 제 2 보조 벽으로부터 제 1 보조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보조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보조벽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도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auxiliary frame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frame member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wall contacting a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a second auxiliary wall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auxiliary wall, and a third auxiliary wall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auxiliary wall from the second auxiliary wall. With walls,
The second auxiliary wall is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troduction hole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제 3 보조벽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 2 보조벽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 4 보조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보조벽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힌지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홀에는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 블록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frame member further includes a fourth auxiliary wall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third auxiliary wall to the main frame to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auxiliary wall.
The fourth auxiliary wall further includes a hinge hole penetr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hinge hole is a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lock is coupled to the door by a bol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메인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메인홀의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보조홀과 상기 메인홀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스크류에 의하여 조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용 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frame member has a plurality of main hol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uxiliary frame member has an auxiliary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main hole,
The auxiliary frame member is assembled and coupled by a bolt or screw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ole and the main hole rack system for a power storag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32256A 2016-10-13 2017-10-12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KR1020618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2777 2016-10-13
KR1020160132777 201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71A KR20180041071A (en) 2018-04-23
KR102061880B1 true KR102061880B1 (en) 2020-01-02

Family

ID=6208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56A KR102061880B1 (en) 2016-10-13 2017-10-12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8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239A (en) 2011-12-02 2013-06-13 Fujitsu Ltd Frame and frame connection member
KR101554608B1 (en) * 2014-02-27 2015-09-22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Frame of Structure such as Steel Ho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239A (en) 2011-12-02 2013-06-13 Fujitsu Ltd Frame and frame connection member
KR101554608B1 (en) * 2014-02-27 2015-09-22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Frame of Structure such as Steel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71A (en)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3153B2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end plate
EP3270439A1 (en) Battery module
US20160029497A1 (en) Cabinet and Cabinet Group Including the Same
US20230307753A1 (en) Energy storage frame and energy storage battery cluster
KR102061880B1 (en)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functionality Auxiliary Frame Coupled with Main Frame
JP2016189317A (en) Container type power storage unit
CN204362476U (en) Cabinet framework and there is the rack of this cabinet framework
KR101617876B1 (en) Switching board using assembly type frame structure
CN212677477U (en) Frame section bar for rack
WO2016186139A1 (en) Power storage device and reinforcement structure
JP2015115150A (en) Power storage device
KR102120949B1 (en) Connecting device of sub fram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 frame
CN215284458U (en) Stand and contain its power station or energy storage station that trades
CN210709099U (en) Automatic three-dimensional storehouse goods shelves stand is refuted and is connect device
CN211685319U (en) Bracket, bracket assembly and bracket mounting system
KR100337207B1 (en) Prefabricated Box
CN216437671U (en) Corner connecting assembly and cabinet
JP7159009B2 (en) MODULE INSTALLATION TOOL AND SOLAR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CN209218501U (en) A kind of cabinet line switching control unit fixed structure
CN114954110A (en) Assembly method of modular power changing station
WO2016175270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reinforcing structure
CN217334344U (en) Busbar support and battery device
CN210519111U (en) Non-metal assembled cabinet convenient to maintain
US20040239215A1 (en) Cabinet for electronic equipment
CN215733356U (en) Assembled metal enclosed bus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