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818B1 -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818B1
KR102061818B1 KR1020190003139A KR20190003139A KR102061818B1 KR 102061818 B1 KR102061818 B1 KR 102061818B1 KR 1020190003139 A KR1020190003139 A KR 1020190003139A KR 20190003139 A KR20190003139 A KR 20190003139A KR 102061818 B1 KR102061818 B1 KR 10206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user
coupled
pillow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은
Original Assignee
박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은 filed Critical 박영은
Priority to KR102019000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8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comprising: a base frame which has a pillow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reof by a predetermined area; a pillow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and a jaw pull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base frame and pulls a jaw of a user lying on the pillow towards the head to shut the mouth of the user. The jaw pulling unit comprises: a jaw support band which covers the jaw of the user;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in a rear part of the base frame; a horizontal support shaft which is horizontal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a horizontal mov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a strap interval maintaining shaft which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in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ir of jaw pulling adjustment straps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rap interval maintaining shaft to be coupled with the jaw support band, and elastically pulls the jaw support band to the vertical support shaft.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supports cervical vertebra of a user to help the cervical vertebra restore a C-shaped curve.

Description

다기능 베개조립체{MULTI-FUNCTION PILLOW ASSEMBLY}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본 발명은 다기능 베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코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실내 가습 및 코의 건조를 막을 수 있는 다기능 베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that can reduce snoring and prevent indoor humidification and drying of the nose.

사람은 누워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하기도 한다. 이 때, 편안하게 눕는 자세를 취하기 위해 베개가 요구된다. 베개의 머리를 받쳐 안락한 수면자세가 형성되도록 한다. Man spends more than one third of a day lying down. You may lie down to sleep, relax, read a book, or use your smartphone. At this time, a pillow is required to sit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pillow to create a comfortable sleeping posture.

최근에는 사용자의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베개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쿠션감이 좋은 베개, 경추를 편안하게 지탱해줄 수 있는 베개, 거북목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베개, 코골이를 줄일 수 있는 베개 등이 있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pillows have been developed for a user's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leep. For example, good cushioning pillows, pillows that can comfor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pillows to alleviate the turtle neck phenomenon, pillows to reduce snoring.

그러나, 종래 베개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머리만 받칠 뿐, 사용자가 누워 있는 동안의 수분을 보충한다거나 스마트폰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illows merely support the user's head, there is a limit to provide convenience such as replenishing moisture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or comfortable viewing the smartphone.

공개특허 제10-2008-0112613호 "코골이 방지 베개"Patent Publication No. 10-2008-0112613 "Anti-Snoring Pillow"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가 움직이지 않도록 베개를 받치면서 수면 중에 사용자의 입벌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베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that can prevent the user's mouth while sleeping while supporting the pillow to prevent the pillow from mov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공간에 수분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코속으로도 수분을 공급하여 코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베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that can supply moisture to the space where the user sleeps, and also to supply moisture to the user's nose to prevent the nose from dry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누워서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다기능 베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that can be mounted on a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smartphone while lying down.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청색광을 차단하여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다기능 베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eye fatigue by blocking the blue light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다기능 베개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베개조립체는, 상면에 베개삽입홈이 일정면적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삽입되는 베개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에 누운 사용자의 턱을 머리쪽으로 당겨 입이 다물어지게 하는 턱당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턱당김부는,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지지밴드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 양쪽으로 수직하게 구비된 한 쌍의 수직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축 사이에 수평하게 결합된 수평지지축과; 상기 수평지지축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평이동부재와;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일정 길이를 갖는 끈간격유지축과; 상기 끈간격유지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턱지지밴드와 결합되어 상기 턱지지밴드를 탄성적으로 상기 수직지지축 측으로 당기는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illow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A pillow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A jaw tug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frame to pull the user's chin lying on the pillow toward the head to close the mouth, and the jaw tug portion includes a jaw support band surrounding the user's chin;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provid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 horizontal support shaft coup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A horizontal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A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ring interval maintenance shaft is coupled to the jaw support b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pull pull adjustment strap for pulling the jaw support band elastically toward the vertical support shaft si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턱지지밴드에는 물이 흡수된 거즈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에 결합되며 상기 턱지지밴드가 사용자의 턱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턱지지밴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밴드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aw support b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jaw support band, coupled to the user's neck and the jaw support band is maintained so that the jaw support band is coupled to the user's jaw. A band position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한지를 통해 공중으로 분사시켜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실내가습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거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거치부의 전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차광판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door humidifi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to control the indoor humidity by spraying the water contained therein into the air through the Hanji; Remov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further includes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mart phone,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blocking plate to block the blue light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는 베개가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경추가 C커브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 도와준다.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he pillow to s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of the user to restore the cervical C curve shape.

또한, 턱당김부가 탄성적으로 턱을 머리높이 위로 들어올리고 뒤쪽으로 당겨주어 잠을 자는 동안 입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자면서 좌, 우로 머리를 움직이고 , 옆으로 누울 경우 턱 당김부 수평 지지축도 같이, 같은 쪽으로 움직여 주므로 머리를 움직임으로 인한 수면 장해가 없이 입 안이 건조해지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aw pull elastically lifts the jaw above the head and pulls it backwards to prevent the mouth from opening while sleeping. In addition, while moving the head to the left and right while sleepi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of the jaw puller is also moved to the same side, so that the mouth can be dried or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without sleeping disturba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head. .

또한, 턱당김부에 구비된 거즈와 실내가습부의 한지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코속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supplying moisture from the gauze provided in the jaw pull and the indoor humidifying unit to prevent the nose of the user to dry. This can alleviate the symptoms of sleep apnea and sno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는 스마트폰거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목과 어깨, 손목 등의 근육통 없이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the user can use the smart phone without holding the smart phone by hand. This will allow you to use your smartphone comfortably without muscle pain such as neck, shoulders and wrists.

또한, 스마트폰거치부에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차광판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함과 눈 손상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light blocking plate that can block the blue light of the smartphone in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can reduce the eye fatigue and eye da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에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에 사용자가 누워 있는 측면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의 실내가습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의 스마트폰거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r lying on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de configuration of the user lying on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humidifying unit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다기능 베개조립체(1)에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lying on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에 삽입된 베개(200)와,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베개(200)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턱을 위쪽으로 당겨 입벌림을 방지하는 턱당김부(300)와,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실내로 수분을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실내가습부(400)와,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M)을 거치하는 스마트폰거치부(5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the pillow 200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100, and the base frame 100, lying on the pillow 200 Pulling the user's chin upwards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jaw pull unit 300, the indoor humidifier 40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100 to supply moisture to the room to control the humidity, and the base Remov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ame 100 includes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500 for mounting the smart phone (M).

베이스프레임(100)은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베개(200)가 안착되도록 지지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10)와, 프레임본체(110)의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프레임(120)을 포함한다. The base frame 10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bottom, and supports the pillow 200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base frame 100 includes a frame body 110 and a vertical frame 120 disposed vertically behind the frame body 110 as shown in FIG. 1.

프레임본체(110)에는 판면에 함몰 형성되어 베개(200)가 수용되는 베개삽입홈(111)과, 후방에 구비되어 턱당김부(300)의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이 삽입되는 지지축삽입공(113)과, 일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거치부(500)의 거치축(51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축결합공(115)이 형성된다. The frame main body 110 is recessed in the plate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pillow insertion groove 111 for accommodating the pillow 200, and is provided at the rear to support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of the pull tab 300. The shaft insertion hole 113 and the mounting shaft 510 of the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500 is provided on one sid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shaft coupling hole 115 is formed.

베개삽입홈(111)은 프레임본체(110)의 판면에 일정 면적 함몰 형성되어 베개(200)가 삽입된다. 베개삽입홈(111)에 베개(200)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에 베개(2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pillow insertion groove 111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rame body 110 to insert the pillow 200. The pillow 200 is inserted into the pillow insertion groove 111 to prevent the user from moving the pillow 200 during sleep.

프레임본체(11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지지축삽입공(11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축삽입공(113)에는 턱당김부(300)의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의 하단이 삽입된다. 거치축결합공(115)은 프레임본체(11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스마트폰거치부(500)의 거치축(51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M)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거치축(510)을 거치축결합공(115)으로부터 분리하여 베이스프레임(100)과 스마트폰거치부(500)를 분리한다. On the rear of the frame body 110, a pair of support shaft insertion holes 113 are formed at both sides.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of the pull tab 300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support shaft insertion holes 113. The mounting shaft coupling hole 115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ide of the frame body 110, the mounting shaft 510 of the smart phone mounting unit 500 is detachably couple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martphone M, the mounting shaft 51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haft coupling hole 115 to separate the base frame 100 and the smartphone mounting unit 500.

베개(200)는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한다. 베개(200)는 다양한 형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변형된 경추가 C자 커브로 회복될 수 있게 유도하는 베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illow 200 comfortably supports the user's head. The pillow 2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Preferably, the pillow 200 may be provided as a pillow for inducing a modified cervical spine to be recovered to a C-shaped curve.

최근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종이 많고, 해당 직종의 종사자들은 그 후유증으로 목이 일자형이나 거북목 증상등으로 경추에 변형이 온 경우가 많다. 이렇게 경추에 변형이 오는 경우 어깨와 머리가 아파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occupations that use computers, and workers in these occupations often have deformed cervical vertebrae due to their neck-shaped or turtle neck symptoms. This deformation of the cervical spine causes pain in the shoulders and head.

본 발명의 베개(200)는 내부에 고정틀을 삽입하여 변형된 경추를 C자형으로 회복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의해 잠을 자면서 경추를 치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The pillow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recovery of the deformed cervical spine C-shaped by inserting a fixing frame therein. This allows you to see the effect of treating the cervical spine while sleeping.

턱당김부(300)는 잠을 자는 사용자의 턱을 사용자의 머리 높이로 머리 위쪽으로 당겨 입벌림을 방지하여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등이 감소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수면을 취할 경우 노화로 인한 턱 벌림, 목젖 늘어짐 등, 공기의 흐름때문에 입을 벌리게 된다. 이렇게 입을 벌리게 되면 코골이, 기도 막힘 등으로 일시적 수면 무호흡등, 침 마름, 세균 번식이 발생되고 개인 건강에 좋지 않는 악영향을 끼친다. Pulling jaw 300 is to prevent the snoring and sleep apnea by reducing the jaws of the sleeping user to the head of the head to the height of the user's head. In general, when sleeping, the mouth is open due to air flow, such as chin opening and sagging neck due to aging. If you open your mouth like this, snoring, airway blockage, temporary sleep apnea, drooling, bacterial breeding, and adversely affects personal health.

턱당김부(300)는 이러한 입벌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턱을 들어 위로 올려 입이 다물어지게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당김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수직하게 구비된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과,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지지축(320)과,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지지밴드(330)와, 턱지지밴드(330)를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과,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끈간격유지축(350)과, 끈간격유지축(350)이 수평지지축(32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수평이동부재(360)와, 턱지지밴드(330)가 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위치고정부재(370)를 포함한다. Jaw pull unit 300 is to prevent such opening, and lift the user's chin up to shut the mouth.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ull tab 30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and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00.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jaw support band 330 surrounding the user's chin, a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 340 to elastically pull the chin support band 330 toward the user's head ) And a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for supporting the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s 340 to be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from side to side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Horizontal moving member 360 to support the movement and the jaw support band 330 includes a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to prevent the jaw from being separated.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은 수평지지축(320)을 지지하여, 수평이동부재(360)가 수평지지축(320)을 따라 좌우 또는 회전하여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은 하부가 지지축삽입공(113)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shafts 320 to support the horizontal movable member 360 to be stably moved left or right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s 320.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 31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insertion hole 113, the position is fixed.

턱지지밴드(330)는 사용자의 턱(B)을 감싸 턱당김조절끈(340)의 가압력이 턱(B)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턱지지밴드(330)는 사용자의 목쪽에 위치되는 제1밴드(331)와, 사용자의 입 밑에 위치되는 제1밴드(331)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턱지지밴드(330)의 양측은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과 연결된다. Jaw support band 330 is wrapped around the user's jaw (B) so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pull adjustment strap 340 is transmitted to the jaw (B). The jaw support band 33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by connecting the first band 331 positioned on the user's neck and the first band 331 located under the user's mouth. Both sides of the jaw support band 330 is connected to a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 340.

제1밴드(331)와 제2밴드(333)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턱 주변, 즉 목과 입술 하부를 감싸 턱당김조절끈(340)의 가압력이 턱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2밴드(333)에는 거즈(38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band 331 and the second band 333 are wrapped around the user's jaw,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neck and lips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pull adjustment strap 340 can be transmitted to the jaw. Here, the gauze 38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nd 333.

거즈(380)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제2밴드(333)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수면 중에 호흡을 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거즈(380)에 흡수된 수분(W)이 증발되고, 증발된 수분(W)은 사용자의 코(D) 속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코(D)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Gauze 380 is coupled to the second band 333 in the state of absorbing moisture,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The moisture (W) absorbed by the gauze 380 is evaporated by the heat generated while the user breathes during sleep, and the vaporized moisture (W) is moved into the user's nose (D), so that the user's nose (D) Prevent drying.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은 턱지지밴드(330)를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 측으로 당겨 사용자의 턱(B)이 상방향으로 들어지게 한다. 이렇게 턱(B)이 상방향으로 들어지면 치아가 서로 맞닿아 입이 다물어지게 되고, 호흡이 원활해지면서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가 개선될 수 있다. The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s 340 pull the jaw support band 330 toward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so that the user's jaw B is lifted upward. When the jaw (B) is lif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teet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uth is closed, and the breathing is smooth and sleep apnea and snoring may be improved.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은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턱당김조절끈(340)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당김조절끈(340)에는 길이조절수단(341)이 구비된다. 길이조절수단(341)은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턱(B)과 끈간격유지축(350)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A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 34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this end, the jaw pull strap 340 is preferably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Jaw pull adjustment strap 34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341). The length adjusting means 341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jaw B and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끈간격유지축(350)은 양단에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결합된다. 끈간격유지축(350)은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너비로 유지되도록 한다. 끈간격유지축(350)이 없을 경우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수평지지축(320)에 직접 연결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눕거나 몸을 뒤척이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사용자의 얼굴 측면을 당기거나 가압하여 불편함을 줄 수 있다.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is coupled to the pair of pull adjustment strap 340 on both ends.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is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pull adjustment straps 340 to a constant width. If there is no strap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a pair of pull pull adjustment strap 3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and a pair of pull pull adjustment by the user lying on the side or tossing the body The spacing between the 340 is narrowed, a pair of pull pull adjustment strap 340 may give discomfort to pull or press the side of the face of the user.

이를 방지하기 위해 끈간격유지축(350)은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 사이의 간격이 사용자의 얼굴 너비 보다 크게 조절한다. To prevent this,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adjust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pull adjustment straps 340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ace of the user.

수평이동부재(360)는 일단은 수평지지축(320) 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끈간격유지축(350)에 고정결합된다. 수평이동부재(360)는 사용자가 잠을 자며 몸을 뒤척이거나 돌아눕는 동작을 할 때 수평지지축(3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턱지지밴드(33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옆으로 누울 때도 끈간격유지축(350)이 머리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도록 유지 시켜준다. 또한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얼굴을 가압하는 불편함을 겪지 않게 한다. One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360 is mov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60 is fixedly coupled to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Horizontal movement member 36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when the user is sleeping or turning the body while sleeping, so that the jaw support band 330 is not peeled off, even when lying sideways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is maintained to rotat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In addition, a pair of jaw pull strap 340 does not suffer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face.

밴드위치고정부재(370)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면서 몸을 뒤척일 때 제1밴드(331)가 목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밴드위치고정부재(370)는 사용자의 목에 감겨지는 밴드형태로 형성된다. 밴드위치고정부재(370)는 벨크로(371)에 의해 사용자의 목에 고정된다. 밴드위치고정부재(370)에는 제1밴드(331)에 결합되는 밴드결합부재(373)가 구비된다. 밴드결합부재(373)는 벨크로, 단추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prevents the first band 331 from being peeled off the neck when the user flips his body while sleeping.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wound around the user's neck. The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is fixed to the neck of the user by the Velcro 371. The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is provided with a band coupling member 373 coupled to the first band 331. The band coupling member 373 may be provided as a velcro, a button, or the lik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턱지지밴드(330)가 결합될 때, 밴드위치고정부재(370)는 사용자의 목에 결합되고, 밴드결합부재(373)는 제1밴드(331)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몸을 좌우로 움직이더라도 밴드결합부재(373)가 제1밴드(331)를 목 쪽으로 가압하여 제1밴드(331)가 턱을 감싸고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jaw support band 330 is coupled to the face of the user as shown in Figure 2, the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is coupled to the neck of the user, the band coupling member 373 is the first band 331 Is fixed to.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moves the body left and right, the band coupling member 373 presses the first band 331 toward the neck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331 surrounds the chin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러한 턱당김부(30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개(200)를 베고 잠을 잘 때, 사용자의 턱(B)이 머리 높이 보다 높게 상방향으로 들리면서 머리쪽으로 당겨진다. 이에 의해 수면 중 입벌림이 방지되고,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가 줄어들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user sleeps by cutting the pillow 200, the jaw B of the user is pulled toward the head while lifting upwards higher than the head height. This prevents mouth opening during sleep and reduces sleep apnea and snoring.

실내가습부(400)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한 사용자가 잠을 자는 실내 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The indoor humidifier 400 adjusts indoor humidity by supplying moisture to an indoor space where the user sleeps while the user sleeps.

도 4는 실내가습부(4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가습부(400)는 수직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컵수용함(410)과, 컵수용함(410)에 삽입되는 물컵(420)과, 물컵(420)에 삽입되는 한지(H)를 포함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indoor humidifying unit 400.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indoor humidifier 400 includes a plurality of cup holders 410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20, a water cup 420 inserted into the cup holders 410, and Hanji (H) is inserted into the water cup (420).

복수개의 컵수용함(410)은 수직프레임(120)에 고정결합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내가습부(4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직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up container 410 is fixed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20 or detachably coupled. When the indoor humidifier 400 is not used, the vertical frame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0.

컵수용함(410)의 내부에은 물컵(42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물컵(420)은 내부에 물이 채워진다. 물컵(420)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거치날개(421)가 구비된다. 거치날개(4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한지(H)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거치날개(421)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The interior of the cup container 410 is form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cup 420. The water cup 420 is filled with water t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up 4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blades 421 extending radially outward as shown in FIG. Mounting wing 421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Hangji (H) inserted therein so as not to fall to the bottom. Mounting wing 4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t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s.

한지(H)는 물컵(420) 내부에 삽입되어 물컵(420)에 수용된 물을 흡수하고, 실내 공간으로 물을 배출한다. 한지(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물컵(420)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는 거치날개(421) 상에 지지된다. Hanji (H) is inserted into the water cup 420 to absorb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cup 420, and discharges the water into the indoor space. Hanji (H),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water cup 420, the upper part is supported on the mounting wing 421.

실내가습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을 잘 때, 사용자의 머리 위로 수분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코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코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코의 건조함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indoor humidifying unit 400 supplies moisture to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sleeps, thereby supplying moisture to the user's nose. Thereby, nasal congestion can be prevented and dryness of a nose can be prevented.

코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경우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줄여주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If you supply enough water to your nose, reduce snoring and sleep apnea so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거치부(500)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phone mounting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거치부(500)는 사용자가 누워서 편안히 스마트폰을 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누워서 스마트폰을 할 경우,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어깨, 손목, 팔 등의 근육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거치부(500)는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Smartphone mounting unit 500 allows the user to comfortably lay on the smartphone.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martphone, holding the smartphone with one or both hands can cause muscle pain, such as shoulders, wrists, arms. Smartphone mounting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smartphone by hand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스마트폰거치부(500)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축(510)과, 거치축(5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M)이 결합되는 스마트폰홀더(520)와, 거치축(510)에 연장되는 차광판지지축(540)과, 차광판지지축(5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차광판(530)을 포함한다. Smartphone mounting unit 500 is a mounting shaft 51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as shown in Figure 1 and 5,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mounting shaft 510 smartphone (M ) Is coupled to the smart phone holder 520, the light blocking plate support shaft 540 extending to the mounting shaft 510, and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coupled to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plate support shaft 540.

거치축(510)은 스마트폰홀더(520)를 지지한다. 거치축(510)은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거치축결합공(115)에 끼움결합된다. 거치축(510)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베개(200)에 누운 상태에서 본인이 누운 방향으로 거치축(510)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스마트폰(M)을 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mounting shaft 510 supports the smartphone holder 520. Mounting shaft 510 is the lower end is fitted to the mounting shaft coupling hole 115 of the base frame 100. Mounting shaft 5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freely variable in shape by an external force. As a result, the user can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smartphone M by variously deforming the mounting shaft 510 in the lying direction of the user while lying on the pillow 200.

스마트폰홀더(520)는 탄성적으로 폭이 조절되며 스마트폰(M)의 양단을 지지한다. 스마트폰홀더(520) 내부에 스마트폰(M)이 끼워져 스마트폰(M)의 위치가 고정된다. 스마트폰홀더(520)는 거치축(510)과의 사이에 각도조절부재(5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홀더(520)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martphone holder 520 is elastically adjusted in width and supports both ends of the smartphone (M). The smartphone M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holder 5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M. FIG. The smartphone holder 520 may be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mber 521 between the mounting shaft 510. As a result, the angle of the smartphone holder 520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can be adjusted.

차광판(530)은 스마트폰홀더(5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M)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선, 특히 인체의 눈을 피로하게 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한다. 차광판(530)은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블루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phone holder 520 to block visible light generated from the smart phone M, in particular, a blue light that makes the human eye tired.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may be provided as a blue filter to block blue light.

차광판(530)은 차광판지지축(540)에 의해 지지된다. 차광판지지축(540)은 거치축(510)으로부터 분리되며, 형상이 자유롭게 가변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거치축(510)과 차광판(530)의 형상을 조절하여 스마트폰(M)의 전면에 차광판(530)이 위치되도록 한다.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is supported by the light blocking plate support shaft 540. The light blocking plate support shaft 54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haft 510 and provided with a variable shape. Accordingly, the user adjusts the shape of the mounting shaft 510 and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so that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M.

차광판(530)은 사용자의 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게 구비되어 차광판(530)이 스마트폰(M)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M)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게 한다.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is provided to recognize a touch of the user's hand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M while the light blocking plate 530 is coupled to the smart phone M.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use process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사용자는 이불 위에 다기능 베개조립체(1)를 준비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0)의 베개삽입홈(111)에 베개(200)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The user prepares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 on the blanket. Then, the pillow 200 is inserted into the pillow insertion groove 111 of the base frame 100 to fix the position.

그리고, 실내가습부(400)의 물컵(420)에 물을 채우고, 물컵(420) 내에 한지(H)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베개(200)를 머리를 베고 눕는다. 베개(200)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는 턱당김부(300)의 턱지지밴드(330)를 턱쪽으로 당겨 본인의 턱에 끼운다. 제1밴드(331)는 목쪽으로 위치시키고 제2밴드(333)는 입술 밑쪽에 위치시킨다. 제2밴드(333)에는 물을 흡수시킨 거즈(380)가 결합된다. Then, the water cup 420 of the indoor humidifier 400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Hanji (H) is inserted into the water cup 420. As shown in FIG. 2, the user lays his head on the pillow 200. In the state lying on the pillow 200, the user pulls the jaw support band 330 of the jaw puller 300 toward the jaw and inserts it into his jaw. The first band 331 is located toward the neck and the second band 333 is located below the lips. The gauze 380 absorbing water is coupled to the second band 333.

이 때,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팽팽하게 당겨져 턱(B)을 윗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턱당김조절끈(340)의 길이를 조절한다. At this time, the pair of jaw pull strap 340 is pulled tigh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jaw pull strap 340 to pull the jaw (B) upwards.

이렇게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M)을 사용하는 경우, 거치축(510)을 변형시켜 스마트폰(M)을 사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게 조절하고, 차광판(530)도 스마트폰(M)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차광판지지축(540)도 이동시킨다. When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M in such a state of lying down, the mounting shaft 510 is deformed to adjust the smartphone M toward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light shield plate 530 of the smartphone M The light blocking plate support shaft 540 is also moved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이에 의해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스마트폰(M)을 잡지 않고서 편안하게 스마트폰(M)을 이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martphone M can be comfortably used without holding the smartphone M in the lying state.

사용자가 잠을 자는 경우, 스마트폰거치부(500)를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을 자는 경우, 사용자가 호흡을 하면서 코로부터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제2밴드(333)에 결합된 거즈(380)로부터 수분(W)이 증발하게 된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W)은 사용자의 코로 들어가 코가 건조해지지 않게 한다. When the user sleeps, the smart phone mounting unit 500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0.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user sleeps, the water W evaporates from the gauze 380 coupled to the second band 333 by the heat discharged from the nose while the user breathes. The water (W) thus evaporated enters the user's nose and prevents the nose from drying out.

이와 더불어 실내가습부(400)의 물컵(420)에 수용된 한지(H)가 하부에서 흡수된 물을 공중으로 증발시키며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수분(W)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잠을 자는 주변을 가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Hanji (H) accommodated in the water cup 420 of the indoor humidifier 400 evaporates the water absorb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air and supplies water (W) toward the user's head. This humidifies the surroundings where the user sleeps.

한편, 사용자가 잠을 자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입벌림이 진행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턱(B)이 턱지지밴드(330)에 의해 감싸여져 있고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이 수직지지축(310) 측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짐에 의해 턱지지밴드(330)가 후방쪽으로 당겨진다. Meanwhile, as the user sleeps, mouth opening proceeds naturally. However, the user's jaw B is wrapped by the jaw support band 330 and the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s 340 are elastically pulled toward the vertical support shaft 310 to support the jaw support band 330. Is pulled backwards.

이에 의해 사용자의 턱(B)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높이로 들리면서 사용자의 입이 닫혀지게 한다. 이렇게 사용자의 입이 닫혀지게 되므로 잠을 자는 중에 입으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입이 건조되는 것을 막아준다. As a result, the user's mouth is closed while the user's jaw B is lifted to the head height as shown in FIG. 3. As the user's mouth is closed in this way, foreign substances enter the mouth or prevent the mouth from drying out while sleeping.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 공급에 의해 코 안이 건조해지지 않고 턱이 들리면서 원활한 호흡이 가능해져,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 증상도 완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moothly breathe while lifting the chin without drying the nose in the nose, thereby relieving sleep apnea and snoring symptoms.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a)는 별도의 수직프레임이 없이 수직지지축(310)에 컵수용함지지축(310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실내가습부(400)가 필요없는 경우 컵수용함지지축(310a)을 수직지지축(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As shown,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up receiving support shaft 310a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shaft 310 without a separate vertical frame. As a result, when the indoor humidifying unit 400 is not required, the cup receiving container support shaft 310a may be separated from the vertical support shaft 310.

또한, 수평지지축(320)이 수직지지축(310)의 거치턱(310b)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턱지지밴드(330)를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턱지지밴드(330)와 끈간격유지축(350)과 수평이동부재(360) 및 수평지지축(320)을 수직지지축(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ounting jaw 310b of the vertical support shaft 310. As a result,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jaw support band 330, the jaw support band 330,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360, and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are vertically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310. ) Can be separa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1a)는 턱지지밴드(330)가 탄성을 갖는 곡선 일체형 밴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턱지지밴드(330)는 생고무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urved integral band in which the support band 330 has elasticity. At this time, the jaw support band 330 may be provided with raw rubb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는 베개가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경추가 C커브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 도와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he pillow to s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of the user to restore the cervical C curve shape.

또한, 턱당김부가 탄성적으로 턱을 머리높이로 들어올리고 뒤쪽으로 당겨주어 잠을 자는 동안 입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입 안이 건조해지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aw pull elastically lifts the jaw to the head height and pulls it backwards to prevent the mouth from opening while sleeping. As a result, the mouth can be dried or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또한, 턱당김부에 구비된 거즈와 실내가습부의 한지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코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수면 무호흡과 코골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supplying moisture from the gauze provided in the jaw pull and the indoor humidifying unit to prevent the user's nose to dry. This can alleviate the symptoms of sleep apnea and sno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조립체는 스마트폰거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목과 어깨, 손목 등의 근육통 없이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the user can use the smart phone without holding the smart phone by hand. This will allow you to use your smartphone comfortably without muscle pain such as neck, shoulders and wrists.

또한, 스마트폰거치부에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차광판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함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light blocking plate that can block the blue light of the smartphone in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can reduce the eyestrain of the user.

한편 거치축(5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치축(510)의 표면에는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부식방지도포층은,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shaft 5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anti-corrosion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ounting shaft 510 to prevent corrosion. The anti-corrosion coating layer may include 20 wt% of guanadino benzoimidazole, 15 wt% of oxycarboxylic acid leaf, 10 wt% imidazoline thione, 15 wt% hafnium, 10 wt% molybdenum emulsion (MoS2), 25 wt% aluminum oxide, 5 wt% diglycidyl aniline, the coating thickness can be formed to 7㎛. .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옥시카르복시산엽, 이미다졸린 티온 및 디글리시딜 아닐린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Guanadino benzoimidazole, oxycarboxylic acid leaf, imidazoline thione, and diglycidyl aniline serve as corrosion protection and discoloration prevention.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Hafnium is a corrosion-resistant transition metal element that serves to have excellent waterproof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Molybdenum emulsion plays a role of imparting slidability and lubricity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Aluminum oxide is added for the purpose of fire resistance, chemical stability, and the like.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The reason for limit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ratio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s analyzed through the test results several times, showed the optimum anti-corrosion effect at the ratio.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100 may be formed with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coated with a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adhesion and removal of contaminants.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암포디글리시네이트와 솔비톨 에스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The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includes ampodiglycinate and sorbitol ester in a 1: 0.01 to 1: 2 molar ratio, and the total content of ampodiglycinate and sorbitol ester is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queous solution. to be.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mpodiglycinate and sorbitol esters are preferably in a molar ratio of 1: 0.01 to 1: 2. If the molar ratio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coating property of the substrate is reduced or the moisture absorption of the surface is increased after application, thereby removing the coating film. There is a problem.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The ampodiglycinate and sorbitol esters have a problem in that 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is preferred.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coating property of the substrate is lowered. Precipitation is likely to occur.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 coat by the spray method 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this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on the base frame 100. FIG. In addition, the final coating film thickness on the base frame 100 is preferably 500 to 2000 kPa,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kPa. I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00 kPa,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the case of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i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exceeds 2000 kPa, crystal precipitation of the coated surface is liable to occur.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0.1 몰 및 솔비톨 에스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0.1 mol of ampodiglycinate and 0.05 mol of sorbitol ester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stirring.

그리고 프레임본체(110)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본체(110)를 살균처리하고,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the fragrance material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may be coated on the frame body 110, thereby sterilizing the frame body 110, the user can obtain the effect of relieving stress.

한편,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카다몸 오일(Cardamom oil) 50중량%, 마리골드 오일(Marigol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ragrance material may be mixed functional oil, the mixing ratio of the fragrance is 95 to 97% by weight of the functional oil is mixed 3 to 5% by weight, the functional oil, Cardamom oil (Cardamom oil) 50% by weight, It consists of 50% by weight of Marigold oil.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The functional oil is preferably 3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perfume. If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If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is more than 5% by weight, the function thereof is not greatly improv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카다몸 오일(Cardamom oil)의 주 화학성분은 terpineol, cineol 등이며, 신경통,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The main chemicals of Cardamom oil are terpineol and cineol, which are good for neuralgia, antiseptic, antidepressant and stress relief.

마리골드 오일(Marigold oil)은 마리골드 꽃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Marigold oil is an oil extracted from marigold petals and has excellent effects on treating skin diseases, disinfecting, relieving itching, clearing hair, and relaxing tension.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프레임본체(110)에 코팅됨에 따라 프레임본체(110)를 살균처리하고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등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As the functional oil is coated on the frame body 110, the frame body 110 may be sterilized and the user's fatigue may be restored.

또한 턱당김조절끈(34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턱담김조절끈(340)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In addition, the chin pull strap 34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raw material content ratio of the chin pull strap 340 is 60% by weight of rubber, carbon black 33 ~ 36% by weight, antioxidant 2 ~ 5% by weight , 1 to 3% by weight of sulfur as an accelerator is mixed.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Carbon black is added to increase the wear resistance, bu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3% by weight, the elasticity and wear resistance is reduced, if the content exceeds 36% by weight, the rubber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fear that the elastic force is lowered , 33 to 36% by weight.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Antioxidants add 2-5% by weight of 3C (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 or RD (POLYMERIZED 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If it is less than the weight%, the product is easy to oxidize, and if it is added too much, if it exceeds 5 weight%, the rubber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 is relatively small, and the elastic force may be reduced. ~ 5% by weight is appropriate.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Sulfur, an accelerator, is mixed with 1-3 wt%. Less than 1% by weight is a slight vulcanization effect in the heating step during molding, so 1% by weight or more is added. If it exceeds 3% by weight, the content of rubber, which is a main component, is relatively low, so that the elastic force may drop.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턱당김조절끈(34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턱당김조절끈(340)의 수명이 증대된다.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with synthetic rubber having elasticity in various directions, the elasticity, toughness, and stiffness of the tuck adjustment strap 340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thus, the lifespan of the tuck adjustment strap 340 is increased. .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기능 베개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Could be.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다기능 베개조립체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프레임본체 111 : 베개삽입홈
113 : 지지축삽입공 115 : 거치축결합공
120 : 수직프레임 200 : 베개
300 : 턱당김부 310 : 수직지지축
320 : 수평지지축 330 : 턱지지밴드
331 : 제1밴드 333 : 제2밴드
340 : 턱당김조절끈 341 : 길이조절수단
350 : 끈간격유지축 360 : 수평이동부재
361 : 수평축결합고리 370 : 밴드위치고정부재
371 : 벨크로 373 : 밴드결합부재
380 : 거즈 400 : 실내가습부
410 : 컵수용함 420 : 물컵
421 : 거치날개 500 : 스마트폰거치부
510 : 거치축 520 : 스마트폰홀더
521 : 각도조절부재 530 : 차광판
540 : 차광판지지축
A : 사용자
B : 턱
C : 입
D : 코
H : 한지
M : 스마트폰
W : 수분
1: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100: Base frame
110: frame body 111: pillow insert groove
113: support shaft insertion hole 115: mounting shaft coupling hole
120: vertical frame 200: pillow
300: jaw pull 310: vertical support shaft
320: horizontal support shaft 330: jaw support band
331: first band 333: second band
340: pull pull strap 341: length adjustment means
350: string spacing axis 360: horizontal moving member
361: horizontal axis engaging ring 370: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1: Velcro 373: band coupling member
380: gauze 400: indoor humidifier
410: cup container 420: cup of water
421: mounting wing 500: smartphone mounting unit
510: mounting shaft 520: smartphone holder
521: angle adjusting member 530: shading plate
540: Shading plate support shaft
A: user
B: jaw
C: mouth
D: nose
H: Hanji
M: Smartphone
W: moisture

Claims (3)

상면에 베개삽입홈(111)이 일정면적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삽입되는 베개(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200)에 누운 사용자의 턱을 머리쪽으로 당겨 입이 다물어지게 하는 턱당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턱당김부(300)는,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지지밴드(3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양쪽으로 수직하게 구비된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축(310) 사이에 수평하게 결합된 수평지지축(320)과;
상기 수평지지축(320)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평이동부재(360)와;
상기 수평이동부재(360)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일정 길이를 갖는 끈간격유지축(350)과;
상기 끈간격유지축(35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턱지지밴드(330)와 결합되어 상기 턱지지밴드(330)를 탄성적으로 상기 수직지지축(310) 측으로 당기는 한 쌍의 턱당김조절끈(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조립체.
A base frame 1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aving a pillow insertion groove 111 formed thereon;
A pillow 200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100;
It is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includes a jaw pull unit 300 to pull the user's chin lying on the pillow 200 toward the head to close the mouth,
The jaw pull unit 300,
A jaw support band 330 surrounding the user's jaw;
A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00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horizontal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shafts 310;
A horizontal moving member 360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320;
A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360;
A pair of jaw pull adjustment strap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ring interval maintaining shaft 350 and coupled to the jaw support band 330 to elastically pull the jaw support band 330 toward the vertical support shaft 310.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comprising a (3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지지밴드(330)에는 물이 흡수된 거즈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에 결합되며 상기 턱지지밴드(330)가 사용자의 턱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턱지지밴드(33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밴드위치고정부재(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jaw support band 3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auze absorbed water,
Coupled to the neck of the user and the jaw support band 3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nd position fixing member 37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jaw support band 330 so that the state is coupled to the user's jaw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한지를 통해 공중으로 분사시켜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실내가습부(4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거치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거치부(500)의 전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차광판(5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humidifier 400 coupled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00 to control indoor humidity by spraying water contained therein into the air through Hanji;
Remov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100 further includes a smart phone mounting unit 500 for mounting the smart phone,
Multifunctional pillow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smart phone mounting unit 500 is provided with a light shielding plate 530 to block the blue light generated from the smart phone.

KR1020190003139A 2019-01-10 2019-01-10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KR102061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39A KR102061818B1 (en) 2019-01-10 2019-01-10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39A KR102061818B1 (en) 2019-01-10 2019-01-10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818B1 true KR102061818B1 (en) 2020-01-02

Family

ID=6915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39A KR102061818B1 (en) 2019-01-10 2019-01-10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8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264B2 (en) 1996-04-25 2001-10-09 孝一 堀江 Combustion equipment for feces storage
KR101456461B1 (en) 2012-11-26 2014-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lemental sleep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264B2 (en) 1996-04-25 2001-10-09 孝一 堀江 Combustion equipment for feces storage
KR101456461B1 (en) 2012-11-26 2014-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lemental sleep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6820B1 (en) Chin and neck support device
US7146976B2 (en) Nasal cannula retainer
DE112015001488T5 (en) Vacuum masks, systems and methods
US11305082B2 (en) Lin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BRPI0909558A2 (en) LINING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THAT HAS A FITTING PART ON THE FACE AND TWO-PIECE LINING SYSTEM FOR USE WITH A RESPIRATORY MASK THAT HAS A FITTING PART ON THE FACE AND A STABILIZING PART ON THE TEST
US20130312771A2 (en) Lin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US20020144685A1 (en) Multipurpose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or preventing gnashing of teeth
US20070181135A1 (en) Adjustable headgear assembly for sleep apnea patients
DE102009047246A1 (en) nasal cannula
AU2012241583A1 (en) Chin and neck support device
CA2900001C (en) Lin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US20030005509A1 (en) Head gear apparatus for use with a nasal mask
US9220629B2 (en) Wearable airway supporting device
SE1100215A1 (en) Aids for supporting the jaw angle
US20230218849A1 (en) Liner and retaining memb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KR102061818B1 (en) Multi-function pillow assembly
US9788989B2 (en) Nasal dilator
CA2617722C (en) Manually adjustable nasal cavity dilator
CN2695009Y (en) Respiratory face mask
KR102487694B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materials
US20120048282A1 (en) Sleep apnea headstrap apparatus
CN209405430U (en) A kind of fixation device hanging trachea cannula
US20080120765A1 (en) Anti-snoring and anti-chocking apparatus and method
CN209004973U (en) A kind of amount control humidifying heating larynx stoma filtering protective cover
KR102284420B1 (en) Mask to induce deep sleep by preventing and treating snoring and rhinitis sympt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