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192B1 -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 Google Patents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192B1
KR102061192B1 KR1020170124207A KR20170124207A KR102061192B1 KR 102061192 B1 KR102061192 B1 KR 102061192B1 KR 1020170124207 A KR1020170124207 A KR 1020170124207A KR 20170124207 A KR20170124207 A KR 20170124207A KR 102061192 B1 KR102061192 B1 KR 10206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key
unit
lock
smar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5223A (en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한 filed Critical 박경한
Priority to KR102017012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19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G07C9/00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3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key 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랍이나 금고와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한 전기적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잠금 장치를 통한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여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system that supports two-factor authent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electrical authentication of the smart key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mart key inserted in a lock that locks an item storage box such as a drawer or a saf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system that supports two-factor authentication to increase security by performing physical authentication through a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upon successful authentication to unlock the lock device only when two-factor authentication succeeds. As described above, the lock system for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digital-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key, including the physical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the security of the locking device can be greatly improved.

Figure R1020170124207
Figure R1020170124207

Description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랍이나 금고와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한 전기적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잠금 장치를 통한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여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system that supports two-factor authent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electrical authentication of the smart key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mart key inserted in a lock that locks an item storage box such as a drawer or a saf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system that supports two-factor authentication to increase security by performing physical authentication through a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upon successful authentication to unlock the lock device only when two-factor authentication succeeds.

현재 도서관, 사우나, 스포츠 센터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에서 사용자의 시설 이용 시간 동안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락커가 구비되어 있으며, 시설 운영자는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락커 이용시 락커를 구성하는 임의의 물품 보관함에 대한 락커키를 지급하여 시설 이용 시간 동안 안전하게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t present, there are lockers that can safely store items during the user's use time at various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saunas, sports centers, and the like. The facility operator is responsible for any locker that constitutes the locker when the user uses the locker. Locker keys will be provided to ensure safe storage of goods during the facility's usage time.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락커는 락커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만 의존하여 잠금을 해제하므로, 락커 키의 복제만으로 락커의 잠금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락커의 보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ocker releases the lock depending only on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locker key, the locker can be easily unlocked only by duplicating the locker key, and thus, the security of the locker is significantly reduced.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775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277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고나 서랍과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물리적 키가 구성되고 전기적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키를 제공하여, 해당 스마트 키가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해 잠금 장치에 삽입시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한 전기적인 인증과 더불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된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을 통한 물리적인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잠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key configured to release the lock of the lock device for locking the item storage box, such as a safe or drawer, and transmits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smart key is locked Performs two-factor authentication including electrical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inserted into the lock device to unlock the device, and physical authentication through the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inserted into the lock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double authentication succee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security by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lock device on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와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와, 상기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이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가 구비된 키 뭉치부와,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키의 제 1 근거리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물을 통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including a lock device configured in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key inserted into the lock device to unlock the lock device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authentication module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smart key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a, a physical key structur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and a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operation.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with a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device and a lock device including a key bundle unit having a cylinder for varying a lock state of the lock device, and a solenoid unit limiting movement of the cylinder configured at the key bundle unit. Check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operate the solenoid unit to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through the structure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is ma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마트 키의 근거리 통신부는 제 1 권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권선부와 인접시 상기 제 1 권선부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제 1 권선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2 권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모듈은 상기 제 1 권선부로부터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를 통해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key includes a first winding unit, and the locking device receives curren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is electro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nding unit when adjacent to the first wind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inding unit for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in the first winding through induction, wherein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smart key is operated by receiving an induction current from the first winding unit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제 2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며, 상기 인증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key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to store the induced current and supplying power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뭉치부에 인접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려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인증 정보의 확인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로드를 동작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키 구조물에 의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rod configured to limit movement of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key bundle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key bundle portion to be caught by the stopper rod.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bundle portion,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stopper rod through the solenoid por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not caught on the stopper ro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by the key structur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키 구조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같이 회전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센싱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by the rotation of the key structure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lock the sensor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 system for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digital-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key, including the physical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the security of the locking devi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품 보관함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에 상기 스마트 키가 항상 삽입된 상용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스마트 키의 축전부가 충분히 충전되어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및 분실 방지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키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ommercial state in which the smart key is always inserted into the lock device configured in the item storage box when the item storage box is not in use, the power storage unit of the smart key is sufficiently charged so that the smart key is removed from the lock device. Even in the case of departure, the power required for the authentication and loss prevention operation of the smart key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smart key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king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king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 및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Smart Key)(2)와, 락커(Locker)(1000)를 구성하는 금고나 서랍 등과 같은 물품 보관함(10)에 마련되어 상기 물품 보관함을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잠금 장치(1) 및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ocking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key 2 including an authentication module and a physical key structure in which digital-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s shown. ), A lock device (1) provided in a locker (10) such as a safe or a drawer constituting the locker (1000) to selectively lock the locker, and the locker (1)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30 for controlling the lock state of the).

이때, 상기 잠금 장치(1)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에서 개폐 가능한 개폐 구조물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구조물의 일례로 상기 금고의 경우 도어(door)일 수 있으며, 상기 서랍의 경우 서랍 바디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1 may be configured in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item storage box 10, and as an examp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may be a door in the case of the safe, the drawer body in the case of the drawer Can be.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스마트 키(2)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2)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키(2)의 전기적 인증 정보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시에만 상기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1)를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적 인증과 물리적 인증을 통한 이중 인증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rol module 30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 key 2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2, and performs authentication through the electric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 By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the locking device 1 can be controlled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1 through the physical key structure only through successful authentication, thereby enabling dual authentication through electrical authentication and physical authentication. It can enhance security.

상술한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system supporting the dual authentication for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는 디지털 기반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22)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21)가 내부에 구성되는 하우징부(20) 및 상기 하우징부(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고유 패턴을 가지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K)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smart key 2 includes a housing 20 in which an authentication module 22 in which digital-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1 suppor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re configured therein.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hysical key structure (K) having a unique pattern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20.

또한, 상기 잠금 장치(1)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상호 근거리 통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키 구조물(K)이 삽입되며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120)가 구비된(구성된) 키 뭉치부(100)와, 상기 키 뭉치부(100)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또는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200) 및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 device 1 is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key structure (K) which is in close-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smart key 2 is inserted into the key structure ( K) is provided adjacent to the key bundle (100) and the key bundle (100) is provided (configured) and the cylinder 120 for vary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by the The loc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120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olenoid portion 200 and the cylinder 120 to limit the rotation (or movement) of the cylinder 120 configured in the key assembly 1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unit 300 for providing a sensing signal for the locked state of the device (1).

이때, 상기 잠금 장치(1)에는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라 개폐 구조물을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 수단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opening /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120.

또한, 상기 실린더(120)는 실린더 구조물과 하나 이상의 다른 구조물로 구성되는 실린더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ylinder 120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 portion composed of a cylinder structure and one or more other structures.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로드(221)가 일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로드(221)는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상기 솔레노이드부(200) 또는 상기 키 뭉치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어) 직선 이동(또는 전진 및 후퇴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enoid portion 200 may be a part of the stopper rod 221 for limi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ylinder 120 configured in the key assembly 100, the stopper rod 221 is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part 200, it may be linearly moved (or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ront-rear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olenoid part 200 or the key bundle part 100).

또한,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상기 제어 모듈(30)과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30 by wire, and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etc. Various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supported.

이때,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되나 상기 제어 모듈(30)의 구성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configured in the locking device 1, but the control module ( 30) may be defined as a component.

또한,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가 상기 센서부(300)의 일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320)의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대한 걸림에 따라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된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로 상기 키 뭉치부(100) 또는 잠금 장치(1)를 잠금 해제할 수 있음에도 상기 걸림부(320) 및 스토퍼 로드(221)의 상호 걸림 상태에 의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ing part 320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may be configured in a part of the sensor part 300, and the sensor may be caught by the stopping part of the stopper rod 221 of the stopping part 320.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120 configured in the key bundle 100 connected to the unit 300 may be limited, thereby locking the key bundle 100 or the locking device 1 with the key structure K.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 can be released by preventing the cylinder 120 formed in the key block 100 from being rotated by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320 and the stopper rod 221. Can be kept locked.

이때,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300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key assembly 100.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인가시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의한 상기 걸림부(320)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된 키 뭉치부(100)의 실린더(120)가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물리적인 잠금 해제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rod 221 may move backward (retreat) when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portion 200, and thus the locking portion 320 of the stopper rod 221 may be released. The cylinder 120 of the key assembly 100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lock release by the key structure K to release the lock of the locking device 1.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잠금 상태 관련 센싱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120 configured in the key bundle unit 100 to control the sensing state-related sensing signal for any one of locking or unlock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The controller 30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module 30, and the control module 30 may determine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이때,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의 일부에 구성되어 상기 키 구조물(K)의 삽입 여부에 따른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키 구조물(K)의 삽입 여부와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nfigured to be part of the key assembly 100 to provide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key structure K is inserted, and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In operation 30, a sensing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key structure K is inserted and whether the locking device 1 is locked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미인가시 상기 스토퍼 로드(221)가 전방으로 이동(전진)되어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solenoid portion 200, the stopper rod 221 may be moved forward (advanc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320 may be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한편, 상기 제어 모듈(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1)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31)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33)와,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인증정보가 저장된 저장부(34)와,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6) 및 상기 제어 모듈(3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30 includes an interface unit 31 for connecting to the locking device 1, a display unit 32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for use of the item storage box 10, and An input unit 33 for receiving a user input, a storage unit 34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item storage box 10 or the locking device 1, and the control module 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36 for performing an overall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supply unit 35 for provid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30.

이때, 상기 입력부(33) 및 표시부(32)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33 and the display unit 32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touch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저장부(34)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36)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34)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4)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3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6 execute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module 30 by using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34. The controller 36 may include a RAM, a ROM, a CPU, a GPU, a bus, and the RAM, a ROM, a CPU, a GPU,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The CPU may access the storage unit 34 to perform booting using an operating system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The CPU may store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using.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부(34)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3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 extracts interfac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items storage box 10 or the locking device 1 from the storage unit 34 to display through the display unit 32. Can be.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may be configured 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한 후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ker 1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ker 1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ocker 10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terface. After identifying and operating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portion 200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based on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5, through this the locking device by the key structure (K) ( 1) can be unlocked.

이때,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31)는 상기 제어부(36)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6 may apply a current to the solenoid unit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1, and the interface unit 3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36.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잠금 장치(1)별로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제 2 근거리 통신부(11)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과 통신하여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상기 저장부(34) 또는 상기 제어부(36)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6 may be wired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interface unit 31 configured for each locking device 1, and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smart key 2 may be connected. )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by communicating with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of the smart key 2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or the control unit 36 in advance,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34.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하고, 식별된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부(200)에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전류를 인가하여 해당 솔레노이드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류가 인가된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identifies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on the basis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and the solenoid unit 200 configured in the identified specific locking device 1 The solenoid unit 200 may be operated by applying a current based on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5, and through this, the stopper rod 221 of the solenoid unit 200 to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moves backward. It is possible to unlock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by the key structure K.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센서부(30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이후(상기 특정 잠금 장치(1)가 잠금 해제에서 잠금으로 전환시)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200)를 원래 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6 is a preset condition after the locking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00 (when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switches from unlocking to locking). When satisfied, the solenoid 20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cutting of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200.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른 잠금 장치(1)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1)는 물품 보관함인 서랍의 서랍 바디(10)에 마련되는 키뭉치부(100)와, 키뭉치부(100)에 결합 되는 솔레노이드부(200)와, 키뭉치부(100)에 마련되며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키뭉치부(100)의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며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를 구비한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device 1 includes a key bundle 100 provided in a drawer body 10 of a drawer, which is an article storage box, and a solenoid portion coupled to the key bundle 100. 200 and provided in the key assembly 10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120 of the key assembly 100 by the rotation of the key structure K configured in the smart key 2 of the solenoid portion 200 It may include a sensor unit 300 having a locking portion 320 that is caught on the stopper rod 221.

키뭉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삽입 장소로 제공되며 센서부(300)의 걸림부(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4, the key bundle unit 100 is provided as an insertion position of the key structure K configured in the smart key 2, and has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locking unit 320 of the sensor unit 300. to provide.

본 실시 예에서 키뭉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뭉치(110)와, 키뭉치(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키뭉치(110)에 마련되는 실린더(120)와, 실린더(120)에 연결되어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며 일측부에 센서 바디(310)가 결합 되는 커넥터 회전체(130)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key block 100 may include a key block 110 and a key structure K formed in the smart key 2 inserted into the key block 110. Cylinder 120 is provided in the key bundle 110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 the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20 is rotated like the cylinder 120, the sensor body 310 is coupled to one side portion 130 ).

본 실시 예에서 키 구조물(K)이 삽입되어 회전 및 잠금 되는 키뭉치(110)와 실린더(120)의 구조는 공지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key bundle 110 and the cylinder 120 to which the key structure K is inserted and rotated and locked may be applied as it is.

다만 본 실시 예는 커넥터 회전체(130)의 결합을 위해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로드가 더 마련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120)에 마련되는 돌출된 로드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커넥터 회전체(130)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끼워 맞춤 결합 되거나 나사 결합 될 수 있다.However, this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at a protruding rod is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120 for coupling of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rod provided in the cylinder 120 may have a polygonal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in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to be fit or screwed together.

이때, 상기 커넥터 회전체(130) 및 상기 돌출된 로드는 상기 실린더(1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and the protruding ro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er 120.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에 의해 서랍 바디(10)에 결합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예는 너트를 풀어 키뭉치(110)를 외부에서 교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ylinder 120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body 10 by a nut, as shown in FIG. 5. As a result, the present embodiment can loosen the nut to replace the key bundle 110 from the outside.

키뭉치부(100)의 커넥터 회전체(130)는 일측부가 도 5에 도시된 실린더(120)의 돌출된 로드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The connector rotator 130 of the key assembly 100 may be fitted to one side portion is fitted to the protruding rod of the cylinder 120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회전체(130)의 타측부 외벽에는 나사산이 마련되고, 이 나사산에는 센서 바디(3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and the sensor body 3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crew thread.

솔레노이드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와 근접되게 커넥터 회전체(130)에 결합되어 센서부(3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막아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을 이중으로 잠그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5, the solenoid part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in close proximity to the sensor part 300 to prevent the sensor part 300 from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t serves to double lock the key structure (K) configured in the).

본 실시 예에서 솔레노이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0)에 결합 되는 솔레노이드 바디(21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바디(210)에 마련되며 직선 이동되는 스토퍼 로드(221)를 갖는 솔레노이드 부재(2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olenoid portion 200, as shown in Figure 3, the solenoid body 210 is coupled to the cylinder 120, and the stopper rod 221 is provided on the solenoid body 210 and moved linearly It includes a solenoid member 220 having a.

솔레노이드부(200)의 솔레노이드 바디(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0)의 외벽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 있다.The solenoid body 210 of the solenoid portion 200 may be detachably screwed to the outer wall of the cylinder 120,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솔레노이드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바디(210)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lenoid body 210 may have a hollow ring shape, as shown in FIG. 3, and threads may be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solenoid body 210.

솔레노이드부(200)의 솔레노이드 부재(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바디(210)에 용접 또는 브래킷으로 결합 될 수 있고, 상측부에는 센서부(300)의 걸림부(320)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토퍼 로드(221)가 마련된다.Solenoid member 320 of the solenoid portion 200, as shown in Figure 4, may be coupled to the solenoid body 210 by welding or bracket,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320 of the sensor unit 300 A stopper rod 221 that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is provided.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로드(221)는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센서 바디(310)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센서부(30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부(320)를 홀딩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rod 221 is locked so that the sensor unit 300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the sensor body 310 is not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key structure K configured in the smart key 2. It serves to hold the part 320.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로드(221)는 상기 제어 모듈(30)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220)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해 걸림부(320)의 방향으로 전후 직선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pper rod 221 may be linearly moved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0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member 220 by the control module 30.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회전체(130)에 마련 되어 커넥터 회전체(130)와 같이 회전됨과 아울러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며, 작동되는 스토퍼 로드(221)에 걸려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어 키뭉치부(100)와는 별도로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nso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to sense the rotated angle and to the operated stopper rod 221. The rotation is restri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anging direction to perform a locking function separately from the key bundle (100).

본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회전체(130)에 결합 되어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는 센서 바디(310)와, 센서 바디(310)에 마련되어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enso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sensor body 310 and the sensor body 310 that are coupled to the connector rotating body 13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120. And a catching part 320 that is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이때, 상기 걸림부(320)는 스토퍼 바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320 may be configured as a stopper bar.

센서부(300)의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될 수도 있다.The sensor body 310 of the sensor unit 300 may be fitted to the connector rotator 130 and may be screwed.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body 3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or rotator 130.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에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 회전체(130)는 실린더(120)에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120)는 스마트 키(2)의 키 구조물(K)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키 구조물(K)을 회전시키면 센서 바디(310)도 같이 회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body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rotator 130, the connector rotator 13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20, and the cylinder 120 is a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2 ( Since it is connected to K), when the corresponding key structure K is rotated, the sensor body 310 is also rotated.

이러한 키 구조물(K)의 회전은 센서 바디(310)에서 감지되고, 센서 바디(31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솔레노이드 부재(220)는 스토퍼 로드(221)를 전진시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된 걸림부(3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홀딩한다.The rotation of the key structure K is sensed by the sensor body 310, and the solenoid member 220 moves forward by the stopper rod 221 based on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body 310 to be lock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art 320 is held so as not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리미트 스위치,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body 310 includes a limit switch and a rotation detection sensor.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센서 바디(310) 자체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3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unit 300 may determine the locked position and the unlocked position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nsor body 310 itself, and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nsor body 3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module 30. have.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이중 인증 방식을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dual authentication scheme of a locking system supporting dual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되거나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의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접근시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연동하여(연결되어)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2 근거리 통신부(11)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인증 모듈(22)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smart key 2 is inserted into the key block 100 of the locking device 1 or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 configured in the key block 100. When approaching withi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 configured in the locking device 1 and the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smart key 2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1 (connec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 to the control module 30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 22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이때,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스마트 키(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스마트 키(2)에 대응되는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predetermined unique code corresponding to the smart key 2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tem storage box 10 or the locking device 1 corresponding to the smart key 2.

또한, 상기 제어 모듈(30)에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와 각각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정보가 상기 제어 모듈(3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0 may be pre-set one or m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each of the one or more different item storage box 10 or the locking device 1, the smart key (2)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module 30.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 및 인증정보는 하나의 인증 테이블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테이블이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 또는 저장부(34)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ne or m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one authentication table, and the authentication table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36 or the storage unit 34 of the control module 30.

일례로, 복수의 서랍으로 구성된 서랍함의 경우 상기 물품 보관함(10)에 해당되는 상기 개별 서랍마다 상기 잠금 장치(1)가 구성될 수 있으며, 개별 서랍마다 매칭되는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 키(2)의 인증정보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rawer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drawers, the locking device 1 may be configured for each individual drawer corresponding to the item storage box 1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cking device 1 matching for each individual drawer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 may be set in the authentication table.

한편,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인증 정보 수신시 상기 인증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물품 보관함(10) 또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인증 테이블의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6 of the control module 30,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 compared with the authentication table, and stores a specific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10)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by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table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You can check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인증 성공시 해당 인증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구성되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may apply a current to the solenoid unit 200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configured in the specific article storage box 10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구성된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상기 특정 잠금 장치(1)는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센서부(300)에 구성된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지 않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pper rod 221 configured in the solenoid portion 200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moves backwards, whereby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The locking part 320 configured in the 300 may be switched to a locking release state that is not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한편, 상기 스마트 키(2)의 키 구조물(K)이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되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 내부의 패턴과 상기 키 구조물(K)의 패턴이 일치하여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해 상기 키 뭉치부(100)의 실린더(12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300)의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ey structure (K) of the smart key (2) is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portion 100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and the pattern inside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key bundle portion 100 and the key structure ( When the pattern of K) matches and the cylinder 120 of the key assembly 100 is rotated by the key structure K, the locking part 320 of the sensor part 300 is stopped by the stopper rod 221.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1 can be switched from locking to unlock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2)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2)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1)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digital-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key 2 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2) By performing two-factor authentication including physical authentication, the security of the locking device 1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의 하우징부(20)에 구성되는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는 코일 기반의 권선으로 구성되는 제 1 권선부(2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와 인접하여 코일 기반의 권선으로 구성되는 제 2 권선부(11)가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로서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and 7,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1 configured in the housing unit 20 of the smart key 2 has a first winding composed of a coil-based winding. The second winding 11, which is configured as a coil-based winding adjacent to the key bundle 100 of the locking device 1,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21. It can be configured in the locking device (1).

또한,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는 상기 제 2 권선부(11)로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원부(35)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시 전류가 인가된 상기 제 2 권선부(11)와 제 1 권선부(21) 사이의 전자기 유도에 따라 상기 제 1 권선부(21)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로 동작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of the control module 30 applies the current to the second winding unit 11 based on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5 of the control module 30, and the smart key ( 2) the first winding part according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between the second winding part 11 and the first winding part 21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part 100 of the locking device 1. 21 may provide an operating current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of the smart key 2.

이때,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잠금 장치(1)의 센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에 삽입시 상기 잠금 장치(1)의 제 2 권선부(11)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6 is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00 of the lock device 1 when the smart key 2 is inserted into the lock device (1) the lock device (1)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winding 11 of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상기 센서부(3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36 may receive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1.

또한,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동작 전류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의 전자기 유도에 따른 제 1 권선부(21) 및 제 2 권선부 사이의 비접촉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operates based on the operating current to control the control module through contact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winding part 21 and the second winding part according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par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30.

또한, 상기 제 2 권선부(11)와 전자기 유도에 따른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1 권선부(2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고, 축전된 축전 전류를 상기 인증 모듈(22)에 동작 전류로 제공하는 축전부(25)가 상기 스마트 키(2)의 하우징부(20)에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current provided from the second winding unit 11 and the first winding unit 21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according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is stored, and the stored storage current is operated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A power storage unit 25 that provides a current may be configured in the housing unit 20 of the smart key (2).

이에 따라,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축전부(25)를 통해 제공되는 동작 전류(또는 축전 전류)를 기초로 동작하여 상기 스마트 키(2)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상호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는 상기 하우징부(20)에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두절시 상기 출력부(24)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operates based on the operating current (or power storage current) provided through the power storage unit 25 to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smart key 2 and the first short distan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the smart key 2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24 for outputting sound to the housing unit 20, the output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isconnected The warning sound signal preset through the unit 24 may be output.

즉, 상기 스마트 키(2)는 상기 잠금 장치(1)에 체결된(삽입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축전부(25)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축전부(25)에 축전된 축전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키(2)의 분실 방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mart key 2 is locked (inserted) to the locking device 1, the power storage unit 25 may be charged, and the smart key 2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 When separated from 1)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smart key 2 based on the power storag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25.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에 구성된 잠금 장치(1)에 상기 스마트 키(2)가 항상 삽입된 상용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스마트 키(2)의 축전부(25)가 충분히 충전되어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잠금 장치(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및 분실 방지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키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art key 2 is alway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1 configured in the item storage box 10 when the item storage box 10 is not in use, the smart Even when the power storage unit 25 of the key 2 is sufficiently charged so that the smart key is separated from the lock device 1, the power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and loss prevention operation of the smart key 2 may be sufficiently supplied. This prevents the loss of the smart key in advance.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한 요금을 수령하여 이용 요금의 수령(수납)시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사용을 허가하는 키오스크(KIOSK)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3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여 결제 수단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rol module 30 receives a charge for the use of the goods storage box (10) Kiosk (KOSOS) to permit the use of the goods storage box 10 when receiving (receipt) of the use fee (KIOSK) )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and the control module 30 may further include a payment unit that recognizes a user's payment means and generates payment means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각 잠금 장치(1)의 상기 스토퍼 로드(2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의해 걸려 상기 각 잠금 장치(1)의 실린더(120)가 모두 스마트 키(2)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rod 221 of each locking device 1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locking unit 320 is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to lock each of the locking devices. The cylinders 120 in (1) can all be kept from rotating by the smart key 2.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해 상기 결제 수단이 상기 결제부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결제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 요금이 수령(수납)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한 후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6 charges the charge of the goods storage box 10 based on the payment mean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ayment means is input through the payment unit for the use of the goods storage box 10 from the paymen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pt (storage) is completed,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ker 1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ocker 10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terface. ), And then operates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portion 200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through the interface portion 31 based on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35, and thereby operating the key. It is possible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1 by the structure K.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에 삽입된 스마트 키(2)를 회전시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로 전환하고, 물품 보관함(10)의 개폐 구조물을 개방한 후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rotates the smart key 2 inserted into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to switch the locked state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to unlocking,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goods storage box 10. After that, you can store the goods.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잠금 장치(1)가 잠금 해제된 이후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다시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전환된 전환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또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과의 근거리 통신(비접촉 통신)이 두절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가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6 may determine the locked state of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00, and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is unlocked. Thereafter,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switching time when the lock state is changed to the lock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r when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module 22 of the smart key 2 is lost. The stopper rod 221 of the solenoid portion 200 may move straight ahead to block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portion 200 so that the catching portion 320 may be caught by the stopper rod 221. .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사용자가 물품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하기 위해 스마트 키(2)를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에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6 inserts the smart key 2 into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in order to terminate the use of the goods storage box, and the solenoid upon successful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 The stopper rod 221 may be moved backwar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unit 200.

더하여,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시 사용자에 의한 물품 보관함의 사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 이후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전환된 경우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6 determines that the use of the item storage box by the user is terminate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locking device 1 is based on the sensing signal after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lock state is changed to the lock,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solenoid unit 200 according to whether payment through the payment unit is completed.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circuitry (eg, CMOS based logic circuitry),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transistors, logic gates, and electronic circuits in the form of various electrical structures.

1: 잠금 장치 2: 스마트 키
30: 제어 모듈
1: lock 2: smart key
30: control module

Claims (5)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와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
상기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이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가 구비된 키 뭉치부와,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키의 제 1 근거리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물을 통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뭉치부에 인접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려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인증 정보의 확인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로드를 동작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키 구조물에 의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A lock system supporting two-factor authentication comprising a lock configured in a storage box and a smart key inserted into the lock to unlock the lock.
A smart key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authentication module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a physical key structur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A lock device comprising a key bundle portion having a cylinder that is inserted into the key structure of the smart key to chang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and a solenoid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key bundle portion. ; And
A control module for confirm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key,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operating the solenoid unit to unlock the lock device through the key structure
Including;
The lock is
The solenoid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rod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configured in the key assembly,
A hook portion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key bundle portion and to be caught by the stopper rod to limit rotation of the cylinder configured at the key bundle portion,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stopper rod through the solenoid part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confi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not caught by the stopper rod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unlocked by the key structure. Featuring a two-factor lockou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근거리 통신부는 제 1 권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권선부와 인접시 상기 제 1 권선부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제 1 권선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2 권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모듈은 상기 제 1 권선부로부터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를 통해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key is composed of a first winding unit,
The lo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winding unit which receives curren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generates an induced current in the first winding unit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with the first winding unit when adjacent to the first winding unit.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smart key operates by receiving an induction current from the first winding part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parts.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제 2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며, 상기 인증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mart key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nding unit to accumulate the induction current, and further comprising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같이 회전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센싱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or unit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cylinder by the rotation of the key structure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The control module is a locking system supporting dual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devic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KR1020170124207A 2017-09-26 2017-09-26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KR102061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en) 2017-09-26 2017-09-26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en) 2017-09-26 2017-09-26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3A KR20190035223A (en) 2019-04-03
KR102061192B1 true KR102061192B1 (en) 2019-12-31

Family

ID=661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en) 2017-09-26 2017-09-26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19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79B1 (en)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Electrical security locking system for ground facility ca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75Y1 (en) 2007-04-03 2008-12-11 주식회사 아이토프 Apparatus for double latch in door-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79B1 (en)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Electrical security locking system for ground facility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3A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307B2 (en) Method of operating locking system, locking system and tubular safe
US20130213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lock system
US20030217574A1 (en) Lock device for a do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lock device
US10062231B2 (en) Wireless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lock operating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4590839U (en) Non-interlock tandem type two-stage protection safety lock
CN103466182A (en) Storage compartment capable of delaying automatic door closing
CN105386679B (en) Security safe cabinet
CN105723426B (en) Tether safety device for electron key
KR20190080145A (en) System for safekeeping goods using smart key
KR102061192B1 (en) 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CN103147633B (en) Electric lockset capable of realizing electric control self locking
CN208339230U (en) Card-scanning type file cabinet
KR102393171B1 (en) Safety switch with actuation detection function of auxiliary unlocking control device
JP3196201U (en) Locking and / or unlocking device for lid of washing machine or dryer
KR101966757B1 (en) System for safekeeping goods supporting multiple authentication
KR102008976B1 (en) Locking device and locking system using one time password
CN206470852U (en) A kind of anti-theft power equipment box
KR20190039047A (en) System for safekeeping goods supporting multiple authentication
US20160278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motely managed animal collar lock
KR102151593B1 (en) Security apparatus for energy storage system
CN206801272U (en) A kind of lock construction of shared bicycle
CN105113867A (en) Complementary equipment cabinet lock with lock cylinder
KR101856336B1 (en) Tray device for vehicle
CN212249577U (en) Cabinet door intelligent lock
CN206773789U (en) Guest room door lock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